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대지사륜

색인 대지사륜

9산 가운데 하나이다. 대지4륜(大地四輪)은 불교 우주론에서 하나의 우주 즉 하나의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1수미세계(一須彌世界)의 기저에 있는 풍륜(風輪)수륜(水輪)금륜(金輪)의 3륜(三輪)과 이들이 존재하는 공간으로서의 허공 즉 공륜(空輪)을 합한 4륜(四輪)을 통칭하는 말이.

51 처지: 도리천, 도솔천, 마노, 결빙, 범천, 계 (불교), 계금취, 불교 용어 목록/ㅊ, 불교 용어 목록/ㅂ, 불교 용어 목록/이, 불교 용어 목록/정, 불교의 우주론, 부정견, 근본번뇌, 브라흐마, , 비구, 대지, 대지사륜, 구산팔해, 우주, 욕계, 힌두교의 신, 이십오유, 응축, , 제석, 제석천, 중생, 진주, 지 (불교), 창조신, 천 (불교), 유정, 유순, 육욕천, 색 (불교), 색계, 수미산, 연기 (불교), , 사왕천, 삼계, 석가모니, 세간, 야차, 아비달마구사론, 아함경, 신 (불교), 환인, ..., 화락천.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 더) »

도리천

9산 가운데 하나이다. 도리천(忉利天)은 음역하여 다라야등릉사(多羅夜登陵舍) 또는 달리야달리사(怛唎耶怛唎奢)라고도 하며, 의역하여 33천(三十三天)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도리천 · 더보기 »

도솔천

솔천(兜率天, Tuṣita)은 고대인도(불교)의 세계관에서 천상(天上)의 욕계(慾界)중 네 번째 하늘나라로, (天上4,000.

새로운!!: 대지사륜와 도솔천 · 더보기 »

마노

마노 마노(瑪瑙)는 석영과 옥수의 혼합물로, 광물의 일종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마노 · 더보기 »

결빙

빙(結氷)은 물리와 화학 분야에서 충분히 온도가 낮을 때 액체를 고체로 바꾸는 과정을 말. 녹는점은 결빙이 일어나는 온도에서 비롯.

새로운!!: 대지사륜와 결빙 · 더보기 »

범천

범천왕상 범천(梵天)은 불교의 수호신인 천부 중 하나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범천 · 더보기 »

계 (불교)

불교에서 계(戒)는 덕, 바른 행동, 도덕, 도덕의 규율, 계율을 말하며, 그것을 위해 노력하는 것. 계는 정(定), 혜(慧)와 함께 삼학(三學)에 속하며, 바라밀의 두 번째 행인 지계(持戒)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계 (불교) · 더보기 »

계금취

(戒禁取)는 5견(五見), 즉 유신견(有身見)변집견(邊執見)사견(邪見)견취(見取)계금취(戒禁取)의 5가지 염오견(染汚見) 중 하나로, 그릇된 계행(戒行)을 올바른 것이라고 집착하는 것, 즉 그릇된 계율이나 금지 조항을 바른 것으로 간주하여 거기에 집착하는 것을 말. 그리고, 이에 따라, 인(因) 아닌 것을 인이라 하고, 참된 해탈도(解脫道)가 아닌 것을 참된 해탈도라고 집착하는 잘못된 견해 말. 계금취견(戒禁取見), 계금등취견(戒禁等取見), 계도견(戒盜見) 또는 계취견(戒取見)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계금취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ㅊ

1.차별(差別) 또는 차별상(差別相)은 사물과 다른 사물 간의 상(相,: 모양형상상태성격성질본질, mark, token, sign, characteristic, attribute)의 차이 또는 차별을 말. 사물 간에 서로 상(相)의 차이 또는 차별이 있기 때문에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은 각각의 사물을 다른 사물과 다른 것으로 표상(요별, 식별)할 수 있. 한편,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의 이러한 표상작용과 그 세력(적집, 집합)을 상(想) 또는 상온(想蘊)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불교 용어 목록/ㅊ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ㅂ

바깥은 내적인 것에 대해 외적인 것을 뜻. 예를 들어, 근(根)경(境)식(識)에서 가설적 존재로서의 나를 기준으로 할 때 근과 식은 내적인 것이며 경은 외적인 것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불교 용어 목록/ㅂ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이

이간어(離間語)는 양설(兩舌)의 다른 말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불교 용어 목록/이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정

불교 용어로서의 정에는 다음의 용어들이 있.

새로운!!: 대지사륜와 불교 용어 목록/정 · 더보기 »

불교의 우주론

9산 가운데 하나이다. 불교의 우주론의 1수미세계(一須彌世界)를 묘사한 중국의 14세기 혁사(緙絲: 실크로 짠 태피스트리) 깨달음을 나타낸다. 달을 가리키고 있는 붓다는 6도윤회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불교의 우주론에 따르면, 우주 즉 세계 또는 세간(世間)은 크게 유정세간(有情世間)기세간(器世間)의 2종세간(二種世間)으로 나뉘거나, 보다 세분하여 중생세간(衆生世間)국토세간(國土世間)5온세간(五蘊世間)의 3종세간(三種世間)으로 나뉜다. 2종세간 가운데 유정세간은 3종세간 가운데 중생세간에 해당하는데, 세계 또는 우주를 스스로 지은 바 업에 따라 그곳에 태어나 거주하는 유정들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아 구분하는 것이다. 그리고 2종세간 가운데 기세간은 3종세간 가운데 국토세간에 해당하는데, 세계 또는 우주를 유정들의 처소 즉 유정들이 태어나서 거주하는 거주처라는 관점에서 바라보아 구분하는 것이다. 그리고 3종세간 가운데 5온세간은 세계 또는 우주를 5온이 공하다는 무아의 이치를 깨닫는다는 관점 즉 '깨달음에 들어가는' 길의 관점에서 바라보아 구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4향4과9지10지42현성52위 등의 수행계위가 5온세간에 해당한다. 2종세간과 3종세간의 각 세간들은 서로 긴밀히 관련되어 있는데, 이 문서에서는 크게 기세간과 유정세간으로 나누어 기술한다. 즉 기세간 즉 국토세간 즉 '유정들이 거주하는 처소'를 먼저 다루고, 그 다음으로 유정세간 즉 중생세간 즉 '기세간에 거주하는 유정들'에 관련된 주제들에 대해 기술한다. 5온세간에 대해서는 이 문서에서는 다루지 않으며, 5온 문서와 수행계위에 대한 여러 문서들로 대신한다. 기세간의 구조형성소멸 등에 대해서는 《장아함경》 제18권 〈30. 세기경(世紀經)〉, 《대루탄경(大樓炭經)》, 《기세경(起世經)》, 《기세인본경(起世因本經)》 등의 경전과 《구사론》 등의 부파불교의 논서들과 《대승아비달마집론》 등의 대승불교의 논서들에서 설해지고 있는데, 이들 경전들과 논서들에 따르면, 우주 또는 법계는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를 말하며, 하나의 3천대천세계는 한 명의 부처의 교화의 영역이기 때문에 1불찰(一佛剎)1불국(一佛國) 또는 1불토(一佛土), 즉 하나의 불국토라고 한다. 3천대천세계를 이루는 기본 구성 단위를 1세계(一世界)1소세계(一小世界)1수미세계(一須彌世界) 또는 1사천하(一四天下)라고 한다. 1수미세계라는 명칭은 기본 구성 단위를 이루는 1세계의 중심 또는 근간이 되는 것이 수미산(須彌山)이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1사천하라는 명칭은 기본 구성 단위를 이루는 1세계에 인간도의 유정 즉 인간이 사는 네 개의 대륙이 있는 것에 근거한 명칭이다. 즉, 1세계에는 수미산을 중심으로 4방에 4대주(四大洲)가 있다는 것을 가리키는 명칭이다. 1수미세계는 풍륜(風輪: 바람)수륜(水輪: 물)금륜(金輪: 땅)의 3륜(三輪) 또는 여기에 공륜(空輪)을 더한 4륜(四輪)과 9산8해(九山八海)와 4대주(四大洲) 그리고 욕계의 하늘들인 6욕천과 색계무색계의 하늘들로 구성되는데, 수미산은 9산 가운데 하나로, 하나의 수미세계의 가장 중심에 있는 산이다. 그리고, 나머지 여덟 산은 실제로는 산맥이다. '3륜 또는 4륜과 9산8해와 4대주와 6욕천과 색계무색계의 하늘들을 포함한, 1개의 태양과 1개의 달이 있는 1수미세계 즉 1세계'가 1000개 모여서 소천세계(小千世界)를 이루고, 소천세계가 1000개 모여서 중천세계(中千世界)를 이루며, 중천세계가 1000개 모여서 대천세계(大千世界)를 이룬다. 이와 같이 천(千, 1000)이 3번 중첩되었다고 하여 대천세계를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라고도 하며 또는 1대3천세계(一大三千世界) 즉 하나의 대 3천세계라고도 한다. 또는 간단히 3천세계(三千世界)라고도 한다. 이러한 3천대천세계가 우주 즉 법계를 이룬다. 따라서 엄밀히 계산하면 1수미세계가 10억 개 모인 것이 하나의 우주인데, 불교의 우주론에 따르면 이것은 단지 표현상의 서술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대천세계 즉 우주는 실제로는 1수미세계 즉 1세계가 천백억(千百億.

새로운!!: 대지사륜와 불교의 우주론 · 더보기 »

부정견

부정견(不正見) 또는 악견(惡見)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부정견 · 더보기 »

근본번뇌

본번뇌(根本煩惱)는 탐(貪)진(瞋)만(慢)무명(無明)견(見)의(疑)의 6가지 번뇌성의 마음작용들을 말. 이들 중 무명(無明)은 치(癡)라고도 하며, 견(見)은 모든 견해를 말하는 것이 아니며 악견(惡見) 즉 부정견(不正見), 즉 유신견변집견사견견취계금취의 5견(五見)을 말한다. 이들 6가지 번뇌성의 마음작용들, 즉 6가지 번뇌(煩惱)들은 모든 번뇌의 근본이 된다는 뜻에서 근본번뇌(根本煩惱) 또는 수면(隨眠)이라고 하며, 이들 6가지를 6근본번뇌(六根本煩惱) 또는 6수면(六隨眠)이라고 한다. 또한 6근본번뇌외에 유식유가행파의 소의 논서인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제66권에서는 탐(貪)진(瞋)치(癡)를 3근본번뇌 또는 3종근본번뇌(三種根本煩惱)라고 칭하고 있다. 근본번뇌는 본번뇌(本煩惱), 근본혹(根本惑) 또는 본혹(本惑)이라고도 하며, '근본번뇌'라는 말을 줄여서 그냥 번뇌(煩惱)라고도 한다. 그리고, 근본번뇌로부터 일어나는 2차적인 번뇌를 수번뇌(隨煩惱)라고 한다. 예를 들어,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에 따르면 질(嫉: 시기, 질투)은 근본번뇌 가운데 진(瞋: 미워함, 손상시키고 싶어함, 성냄)으로부터 생겨나는 수번뇌이다.

새로운!!: 대지사륜와 근본번뇌 · 더보기 »

브라흐마

비드 사원에 조각된 브라흐마 브라흐마() 또는 범천(梵天)은 힌두교 신화에 나오는 창조의 신으로 비슈누, 시바와 함께 힌두교의 삼주신을 이. 브라흐마는 힌두 철학에서 우주의 근본적 원리이자 최고 원리인 지고의 우주적 정신 또는 존재인 브라만이 인격화된 남신으로 브라만을 상징.

새로운!!: 대지사륜와 브라흐마 · 더보기 »

의 원자 구조. 한자의 쇠 금 금(金)은 화학 원소로 기호는 Au(←), 원자 번호는 79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금 · 더보기 »

비구

비구(比丘)는 비크슈(bhiksu)비쿠(bhikkhu)의 음역으로서, 필추(苾芻)라고도 음역하며 걸사(乞士)파번뇌(破煩惱)로 의역.

새로운!!: 대지사륜와 비구 · 더보기 »

대지

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대지사륜와 대지 · 더보기 »

대지사륜

9산 가운데 하나이다. 대지4륜(大地四輪)은 불교 우주론에서 하나의 우주 즉 하나의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1수미세계(一須彌世界)의 기저에 있는 풍륜(風輪)수륜(水輪)금륜(金輪)의 3륜(三輪)과 이들이 존재하는 공간으로서의 허공 즉 공륜(空輪)을 합한 4륜(四輪)을 통칭하는 말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대지사륜 · 더보기 »

구산팔해

9산 가운데 하나이다. 9산8해(九山八海)는 불교의 우주론에서 하나의 우주 즉 1개의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1수미세계(一須彌世界)에서, 금륜(金輪) 즉 대지(大地) 위에 존재하는, 수미산(須彌山)을 포함한 아홉 대산(大山)과 그 산들을 둘러싼 여덟 대해(大海)를 말. 즉, 중앙에 제1산인 수미산(須彌山)이 있고 그 다음에 수미산을 둘러싸고 있는 제1해인 수미해(須彌海)가 있으며, 다시, 수미해를 둘러싸고 있는 제2산인 지쌍산(持雙山)이 있고 그 다음에 지쌍산을 둘러싸고 있는 제2해인 지쌍해(持雙海)가 있. 이런 식으로 8산(八山)과 8해(八海)가 있으며 마지막에 제9산인 철위산(鐵圍山)이 있. 9산(九山) 중 4보(四寶)와 7보(七寶)로 이루어진 제1산인 수미산과 쇠로 이루어진 제9산인 철위산을 제외한 일곱 산은 모두 보석인 금(金)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7금산(七金山)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구산팔해 · 더보기 »

우주

우주(宇宙)란 과학적으로 또는 철학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것의 총체라 정의 할 수도 있. 표준국어대사전은 무한한 시간과 만물을 포함하고 있는 끝없는 공간의 총체로 정의..

새로운!!: 대지사륜와 우주 · 더보기 »

욕계

욕계(欲界)는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의 3계(三界) 가운데 하나로, 욕유(欲有)색유(色有)무색유(無色有)의 3유(三有) 가운데 욕유(欲有)와 동의어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욕계 · 더보기 »

힌두교의 신

힌두교의 경전은 힌두교의 신인 천계의 존재들을 천신(天神)이라고 표현.

새로운!!: 대지사륜와 힌두교의 신 · 더보기 »

이십오유

25유(二十五有)에서 유(有)는 '존재'를 뜻하는데, 특히 윤회하는 존재, 즉 완전한 깨달음에 도달하지 못했기에 어쩔 수 없이 3계 6도에 윤회하는 유정, 즉 성불에 이르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상태에 있는 유정을 뜻. 따라서 25유는 생사윤회(生死輪迴)의 미혹의 세계 또는 유정의 미혹된 상태를 25가지로 구분한 것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이십오유 · 더보기 »

응축

수증기가 공기 중에서 차가운 물병의 표면과 접촉하면 액체로 응축된다. 소나기가 내릴 때 창문의 표면에 발생하는 응축현상. 응축(凝縮, condensation)은 물질 혹은 물질의 상태의 변화가 기체의 상에서 액체의 상으로 변하는 것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응축 · 더보기 »

은(銀) 또는 백은(白銀)은 화학 원소로 기호는 Ag(←), 원자 번호는 47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은 · 더보기 »

제석

제석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대지사륜와 제석 · 더보기 »

제석천

제석천(좌측)과 범천(우측) 제석천(帝釈天)은 불교의 수호신인 천부 중 하나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제석천 · 더보기 »

중생

중생(衆生)은 산스크리트어 사트바(sattva)의 번역어로 유정(有情)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중생 · 더보기 »

진주

주 목걸이 진주 (眞珠/珍珠, Pearl)는 진주조개, 대합, 전복 등의 체내에 생기는 딱딱한 덩어리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진주 · 더보기 »

지 (불교)

불교에서 지(地)는 다음의 뜻이 있.

새로운!!: 대지사륜와 지 (불교) · 더보기 »

창조신

창조신(創造神Creator godCreator deity) 또는 조물주(造物主Creator)는 세상 또는 우주를 창조한 신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창조신 · 더보기 »

천 (불교)

(天)은 산스크리트어 데바(deva)의 번역어이기도 하지만 또한 데바로카(deva-loka)의 번역어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천 (불교) · 더보기 »

유정

유정은 다음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유정 · 더보기 »

유순

유순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유순 · 더보기 »

육욕천

6욕천(六欲天)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육욕천 · 더보기 »

색 (불교)

색(色)은 산스크리트어 루파(रुपा, Rūpa)의 역어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색 (불교) · 더보기 »

색계

색계(色界)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색계 · 더보기 »

수미산

수미산의 그림 수미산(須彌山)은 불교의 세계관에서 세계의 중심에 솟아있다는 상상의 산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수미산 · 더보기 »

연기 (불교)

연기(緣起)는 인연생기(因緣生起) 즉 인(因: 직접적 원인)과 연(緣: 간접적 원인)에 의지하여 생겨남 또는 인연(因緣: 통칭하여, 원인)따라 생겨남의 준말로,운허 &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새로운!!: 대지사륜와 연기 (불교) · 더보기 »

업(業)은 산스크리트어 낱말 카르마(Karma)의 번역어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업 · 더보기 »

사왕천

사왕천(四王天) 또는 사천왕(四天王)은 불교의 육욕천(六欲天) 중 첫 번째 하늘로, 수미산(須彌山)의 중턱에 위치하고 있.

새로운!!: 대지사륜와 사왕천 · 더보기 »

삼계

삼계(三界, 운허 & 동국역경원., 《불교 사전》. 2011년 2월 19일에 확인. 또는 trayo dhātavaḥ,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11년 2월 19일에 확인., 또는 tisso dhātuyo, William Edward Soothill, Lewis Hodous.,《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p.70. 2011년 2월 23일에 확인.)는 불교 용어로, 부처의 지위에 도달하지 못한 사람이 거주하는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를 통칭하는 낱말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삼계 · 더보기 »

석가모니

석가모니(釋迦牟尼Śākyamuni, 기원전 624년? ~ 544년? 생몰연대가 확실하지 않아 여러 설이 있지만, 세계불교도대회에서 이것(기원전 624년? ~ 544년)을 공식 채택하였다. 그 외 기원전 563년 ~ 483년, 기원전 565년 ~ 485년, 기원전 463년 ~ 383년설이 있다.)는 불교의 교조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석가모니 · 더보기 »

세간

세간(世間)의 산스크리트어로는 '로카(loka)'와 '라우키카(laukika)'가 있. 로카(loka)는 세상 또는 세계를 뜻하며 영어로는 'world (세상)'를 뜻. 이 때의 세계는 불생불멸의 무위의 세계가 아니라 생멸하고 천류하고 파괴되는 유위의 세계를 의미.

새로운!!: 대지사륜와 세간 · 더보기 »

야차

야차 야차(夜叉)는 인도 신화 베다에 나오는 신적 존재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야차 · 더보기 »

아비달마구사론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은 4세기 인도의 세친 스님이 지은 불전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아비달마구사론 · 더보기 »

아함경

《아함경(阿含經)》은 불교 초기의 경전 모음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아함경 · 더보기 »

신 (불교)

신(身)의 기본적인 뜻은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의 kāya에 해당하는 몸 또는 신체이지만, 이외에도 여러 가지 뜻이 있.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의 kāya를 음역하여 가야(迦耶).

새로운!!: 대지사륜와 신 (불교) · 더보기 »

환인

환인(桓因)은 신화 상의 신격(神格) 인물로 환웅의 아버지로 전. ‘단인(檀因)’이.

새로운!!: 대지사륜와 환인 · 더보기 »

화락천

화락천 (범어: Nirmānnarati, 팔리어: Nimmānarati)은, 욕계(欲界)의및 육욕천 (六欲天)중 제 5 천이. 화천(化天) 화자락천(化自楽天), 화자재천(化自在天) 악변화천(楽変化天)이라고도 불린.

새로운!!: 대지사륜와 화락천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4륜, 공취, 금륜, 금성지륜, 물 더미, 물 바퀴, 바람 더미, 바람 바퀴, 대지4륜, 대풍, 땅 더미, 땅 바퀴, 지륜, 지취, 수륜, 수취, 사륜, 허공 더미, 허공 바퀴, 풍륜, 풍취.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