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공척보
청나라 시대에 나온 《금학입문(琴學入門)》에 실린 공척보의 예 공척보(工尺譜)는 중국에서 쓰던 기보법으로 한국에서는 근세 조선 전기에 약간 쓴 흔적이 있으나, 불편하여 별로 쓰이지 않고 있. 12율 4청성(十二律 四淸聲), 즉 한 옥타브의 12반음과 위 옥타브의 4반음까지 16반음을 1음계 혹은 2 ~ 3음계로 짝지은 뒤 간단한 문자로 대신하여 적.
보다 기보법와 공척보
임시표
임시표는 음의 높이롤 올리거나 내릴 때 사용.
보다 기보법와 임시표
정간보
정간보(井間譜)는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된 기보법의 하나이.
보다 기보법와 정간보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보다 기보법와 조선 세조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보다 기보법와 조선 세종
육보
육보(肉譜)는 악기 소리와 비슷한 발음을 따서 음높이 또는 연주법을 나타내는 기보법이.
보다 기보법와 육보
율자보
율자보(律字譜)는 중국에서 사용했던 기보법이.
보다 기보법와 율자보
태블러처
독일 민요의 오선보(위)와 기타 태블러처(아래) 태블러처(Tablature, 줄여서 Tab)는 기보법의 일종으로 음높이 보다는 운지법에 중점을 두어 표시한 악보.
보다 기보법와 태블러처
오음약보
오음약보(五音略譜)는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한 기보법의 하나이.
보다 기보법와 오음약보
오선보
right 서양의 기보법에서 오선보(staff, stave)는 5개의 수평선들과 네 개의 공백의 집합으로, 각기 다른 음 높낮이를 표현.
보다 기보법와 오선보
연음표
연음표(連音標)는 가곡과 같은 성악곡의 사설에다 그 가락의 억양, 음높이, 길이, 기타 음악적인 표현 따위를 표시하는 기호를 덧붙이는 기보법이.
보다 기보법와 연음표
합자보
합자보(合字譜)는 거문고와 같은 현악기의 주법, 즉 왼손의 짚는 법과 오른손의 타는 법을 뜻하는 약자로 된 여러 기호를 모아 짠 악보이.
보다 기보법와 합자보
참고하세요
수학 표기법
- 곱셈
- 공식
- 괄호
- 기보법
- 기수법
- 기호의 남용
- 꼭짓점 배치
- 논리 기호
- 다중지표
- 덧셈
- 델 (연산자)
-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
- 브라-켓 표기법
- 소수 (기수법)
- 수학 기호
- 슐레플리 기호
- 스테인하우스-모서 표기법
- 아인슈타인 표기법
- 역폴란드 표기법
- 연산자
- 위치 기수법
- 자유 변수와 종속 변수
- 점근 표기법
- 조건제시법
- 족 (수학)
- 줄임표
- 중위 표기법
- 칠판 볼드체
- 커누스 윗화살표 표기법
- 커틀러 묶음부호 표기법
- 콘웨이 연쇄 화살표 표기법
- 크로네커 델타
- 크리스토펠 기호
- 큰 수
- 키푸
- 튜플
- 폴란드 표기법
- 피연산자
- 합
또한 한국음악의 기보법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