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5 처지: 레비치비타 기호, 레오폴트 크로네커, 복소평면, 대각합, 내적 공간, 디랙 델타 함수, 디지털 신호 처리, 단위행렬, 잉여, 정수, 직교 좌표계, 선형 변환, 선형대수학, 아인슈타인 표기법, 텐서.
- 수학 표기법
- 초등 특수 함수
레비치비타 기호
비치비타 기호(Levi-Civita symbol) 또는 치환 텐서(permutation tensor)는 선형대수학과 텐서 미적분학에서 정의된 텐서로 수의 치환과 관련해 값을 주는 텐서이.
레오폴트 크로네커
오폴트 크로네커(1823년 12월 7일 ~ 1891년 12월 29일)는 독일의 수학자이며 논리학자이.
복소평면
복소평면에 나타낸 복소수 ''z''와 켤레복소수의 기하학적 표현. 원점에서 점 ''z''를 따라 그어진 파란색 선의 거리는 복소수 ''z''의 절댓값을 나타내고 각 ¢은 z의 argument를 나타낸다.
대각합
선형대수학에서, 대각합(對角合)은 정사각 행렬의 주대각선 성분들의 합이.
보다 크로네커 델타와 대각합
내적 공간
적을 사용하여 정의한, 두 벡터 사이의 각도의 기하학적 해석 선형대수학과 함수해석학에서, 내적 공간(內積空間)은 두 벡터의 쌍에 스칼라를 대응시키는 일종의 함수가 주어진 벡터 공간이.
디랙 델타 함수
랙 델타 함수는 이론물리학자 폴 디랙이 고안해낸 함수로, δ(x)와 같이 표기하며, 크로네커 델타의 연속함수화로도 볼 수 있. 이 함수는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함수는 아니며, 0에서 완전히 축퇴된 분포의 확률밀도함수같은 것으로 정의할 수 있.
디지털 신호 처리
신호 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 DSP)는 디지털화된 신호를 원하는 방향으로 정보 신호를 수정하거나 개선할 목적으로 알고리즘에 의해 수치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말. 보통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과정에서 이산 신호가 되고 수치화.
단위행렬
선형대수학에서 행렬의 크기가 n인 단위행렬(單位行列,identity matrix)은 주 대각선이 전부 1이고 나머지 원소는 0을 값으로 갖는 n \times n 정사각행렬이.
잉여
잉여(剩餘)는 나머지의 뜻이.
보다 크로네커 델타와 잉여
정수
정수들의 집합은 순서에 따라 직선 위에 나타낼 수 있다. 수학에서, 정수(整數)는 양의 정수(1, 2, 3,...) 및 음의 정수(-1, -2, -3,...) 및 0으로 이루어진 수 체계이.
보다 크로네커 델타와 정수
직교 좌표계
직교 좌표계(直交座標系) 혹은 좌표평면(座標平面)은 임의의 차원의 유클리드 공간(혹은 좀 더 일반적으로 내적 공간)을 나타내는 좌표계 중 하나이.
선형 변환
선형대수학에서, 선형 변환(線型變換) 또는 선형 사상(線型寫像) 또는 선형 연산자(線型演算子) 또는 선형 작용소(線型作用素)는 선형 결합을 보존하는, 두 벡터 공간 사이의 함수이.
선형대수학
3차원 유클리드 공간 R³은 벡터 공간이고, 원점을 지나가는 직선과 평면들은 R³의 부분공간이다. 선형대수학(線型代數學)은 벡터 공간, 벡터, 선형 변환, 행렬, 연립 선형 방정식 등을 연구하는 대수학의 한 분야이.
아인슈타인 표기법
아인슈타인 표기법(Einstein notation) 또는 아인슈타인의 합 규약(Einstein summation convention)은 수학의 선형대수학을 물리학에 응용하면서 좌표계에 관한 공식을 다룰 때 유용한 표기 규칙이.
텐서
수학과 물리학에서, 텐서(tensor)는 선형 관계를 나타내는 기하적 대상이.
보다 크로네커 델타와 텐서
참고하세요
수학 표기법
- 곱셈
- 공식
- 괄호
- 기보법
- 기수법
- 기호의 남용
- 꼭짓점 배치
- 논리 기호
- 다중지표
- 덧셈
- 델 (연산자)
-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
- 브라-켓 표기법
- 소수 (기수법)
- 수학 기호
- 슐레플리 기호
- 스테인하우스-모서 표기법
- 아인슈타인 표기법
- 역폴란드 표기법
- 연산자
- 위치 기수법
- 자유 변수와 종속 변수
- 점근 표기법
- 조건제시법
- 족 (수학)
- 줄임표
- 중위 표기법
- 칠판 볼드체
- 커누스 윗화살표 표기법
- 커틀러 묶음부호 표기법
- 콘웨이 연쇄 화살표 표기법
- 크로네커 델타
- 크리스토펠 기호
- 큰 수
- 키푸
- 튜플
- 폴란드 표기법
- 피연산자
- 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