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김근행 (1610년)

색인 김근행 (1610년)

행(金謹行, 1610년 - ?)은 조선 후기의 역관이.

54 처지: 명나라, 병조, 부산광역시, 부산진, 김이교, 김해 김씨, 임진왜란, 평산 신씨, 이현상, 이완, 일본, 일본인, 일본어, 전주 김씨, 조총, 조상, 조선, 조선 효종, 조선 인조, 조선 현종, 좌의정, 청나라, 유황, 순빈 김씨, 호성공신, 최세진, 사역원, 쓰시마섬, 통역, 통신사, 한성부, 원두표, 원종공신, 훈련도감, 홍순언, 왜관, 화약, 1592년, 1604년, 1610년, 1627년, 1630년대, 1633년, 1640년, 1643년, 1644년, 1655년, 1663년, 1664년, 1665년, ..., 1676년, 1678년, 3월, 7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4 더)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명나라 · 더보기 »

병조

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병조 · 더보기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동남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부산광역시 · 더보기 »

부산진

부산진(釜山鎭)은 조선시대 부산광역시 동구 일대에 있던 진(津)(나루터)을 말하는 지역 이름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부산진 · 더보기 »

김이교

이교 1811년 조선통신사 인물도에서 흑단령을 입은 김이교의 모습 김이교(金履喬, 1764년 ~ 1832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김이교 · 더보기 »

김해 김씨

씨(金海 金氏)는 경상남도 김해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김해 김씨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임진왜란 · 더보기 »

평산 신씨

평산 신씨(平山 申氏)는 황해도 평산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평산 신씨 · 더보기 »

이현상

이현상(李鉉相, 1905년 9월 27일 ~ 1953년 9월 17일)은 한국의 공산주의계열 독립운동가, 사회주의자, 노동운동가이며, 해방 후에는 남조선로동당의 간부로 지리산 일대를 중심으로 파르티잔 활동을 주. 일제 강점기 당시 독립운동과 노동운동에 참여하였고, 해방 이후에는 박헌영 등과 함께 조선공산당 재건 운동과 남조선로동당 활동을 하였.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이현상 · 더보기 »

이완

이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이완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일본 · 더보기 »

일본인

일본인(にっぽんじん; 닛폰진으로도 읽힘)은 일본 열도에 사는 야마토 민족, 류큐 민족, 아이누 민족, 윌타 민족, 니브히 민족, 오로치 민족 등을 총칭.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일본인 · 더보기 »

일본어

일본어(「にっぽんご」를 표제어로 세우고 있는 국어사전은 일본국어대사전 등 소수에 그친다.)는 주로 일본에서 사용되는 언어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일본어 · 더보기 »

전주 김씨

전주 김씨(全州 金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전주 김씨 · 더보기 »

조총

조총(鳥銃)은 전근대 조선과 중국에서 사용된 아쿼버스급 화승총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조총 · 더보기 »

조상

조상(祖上)은 자손의 반대 개념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조상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조선 효종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조선 현종

현종(顯宗, 1641년 3월 14일 (음력 2월 4일) ~ 1674년 9월 17일 (음력 8월 18일), 재위: 1659년 ~ 1674년)은 조선의 제18대 임금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조선 현종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좌의정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청나라 · 더보기 »

유황

유황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유황 · 더보기 »

순빈 김씨

순빈 김씨(順嬪金氏, 생몰년 미상)는 조선 선조의 후궁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순빈 김씨 · 더보기 »

호성공신

호성공신(扈聖功臣)은 1592년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로 모시고 피난한 공신들의 공로에 대한 공신록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호성공신 · 더보기 »

최세진

세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최세진 · 더보기 »

사역원

사역원(司譯院)은 조선 태조 2년(1393년)에 설립된 외국어 교육 기관이자 통·번역 사무와 실무를 맡던 관청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사역원 · 더보기 »

쓰시마섬

쓰시마()는 한반도와 규슈 사이의 대한해협 중간에 있는 일본 나가사키현의 섬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쓰시마섬 · 더보기 »

통역

통역(通譯)은 서로 통하지 않는 둘 이상의 언어 구사자 사이에서 그들이 사용하는 말을 이해하여 그 뜻을 전해주는 행위를 말. 통역은 문자언어를 시간을 두고 숙고하여 문자로 옮기는 번역과는 구별되는 개념이며, 통역의 대상이 되는 언어는 반드시 발화(發話)되는 언어일 필요는 없고, 청각 장애인들의 수화가 될 수도 있. 통역은 크게 연사가 일정분량의 말을 청중에게 하고, 연사가 잠시 쉬는 동안 그동안의 말을 통역해주는 순차통역과 연사가 쉬지 않고 하는 말을 독립된 부스등의 장소에서 실시간으로 통역해 주는 동시통역으로 구분할 수 있.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통역 · 더보기 »

통신사

통신사(通信社)는 독자적인 취재조직을 가지고 수집한 뉴스를 신문사와 방송국에 제공하는 기관을 말. 즉, 신문, 잡지, 방송 등에 뉴스를 공급하는 언론사.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통신사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한성부 · 더보기 »

원두표

원두표(元斗杓, 1593년 ~ 1664년)는 조선후기의 문신, 공신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원두표 · 더보기 »

원종공신

원종공신(原從功臣, 元從功臣)은 각 공신녹권 중 친공신(직접적인 공신)의 아래로, 보조적인 역할을 한 공신이었.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원종공신 · 더보기 »

훈련도감

훈련도감(訓鍊都監)은 1593년(선조 26년) 임진왜란 중 임금의 수도 환궁 직후 명나라 전략가 척계광의 저서인 기효신서를 참고로 창설된 수도방위군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훈련도감 · 더보기 »

홍순언

홍순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홍순언 · 더보기 »

왜관

18세기 부산포 동래 초량왜관도 왜관(倭館)은 조선시대 일본인이 조선에 와서 통상(通商)하던 곳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왜관 · 더보기 »

화약

전장식 총포에 사용되는 흑색 화약 흑색화약(黑色火藥, black powder) 또는 그냥 화약(火藥, gunpowder)은 황, 숯과 초석(硝石)이라 불리는 질산칼륨의 혼합물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화약 · 더보기 »

1592년

159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1592년 · 더보기 »

1604년

16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1604년 · 더보기 »

1610년

161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1610년 · 더보기 »

1627년

162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1627년 · 더보기 »

1630년대

1630년대는 1630년부터 163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1630년대 · 더보기 »

1633년

163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1633년 · 더보기 »

1640년

164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1640년 · 더보기 »

1643년

164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1643년 · 더보기 »

1644년

164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1644년 · 더보기 »

1655년

165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1655년 · 더보기 »

1663년

166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1663년 · 더보기 »

1664년

166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1664년 · 더보기 »

1665년

166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1665년 · 더보기 »

1676년

167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1676년 · 더보기 »

1678년

167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1678년 · 더보기 »

3월

3월(三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세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북반구에서는 3월이 되면서 날씨가 풀리기 때문에, 대체로 이 달을 봄의 시작으로 본. 남반구는 가을이.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3월 · 더보기 »

7월

7월(七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일곱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4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윤년인 경우 그 해의 1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 400년 동안 이 달은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에 58번, 월요일과 화요일에 57번,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56번 시작.

새로운!!: 김근행 (1610년)와 7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김근행 (역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