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다이쇼 신수 대장경

색인 다이쇼 신수 대장경

이쇼 신수 대장경() 또는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脩大藏經, 大正新修大藏經), 신수대장경(新脩大藏經) 약칭 대정장(大正藏)은 1924~1934년에 일본 다이쇼 일체경 간행회(大正一切経刊行会)에서 출판한 대장경으로, 모두 88권이.

45 처지: 마니교, 메이지, 무량수경종요, 묘법연화경, 반야경, 간토 대지진, 밀교, 법구경, 금강삼매경론, 대승기신론소, 대장경, 대현, 교장총록, 네스토리우스파, 논장, 다이쇼, 다이쇼 데모크라시, 다카쿠스 준지로, 달마대사관심론, 자타카, 일연, 의천, 의상 (신라), 중관파, 지눌, 유가행파, 율장, 팔리어 대장경, 태현, , 현교, 연호, 열반경, 열반종요, 산스크리트어, 삼국유사, 설일체유부, 쇼소인, 쇼와 시대,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아함경, 원효, 화엄경, 화엄경탐현기, 화엄일승법계도.

마니교

마니교()는 사산 왕조(226~651) 시대에 성립된 주요한 페르시아 영지주의 종교 가운데 하나로, 현존하지 않는 고대 및 중세의 종교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마니교 · 더보기 »

메이지

메이지()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메이지 · 더보기 »

무량수경종요

《무량수경종요(無量壽經宗要)》는 신라의 고승 원효가 《무량수경》에 대하여 논술한 책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무량수경종요 · 더보기 »

묘법연화경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묘법연화경》 2권 변상도(1340년 고려(高麗)에서 간행)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또는 《법화경》(法華經)은 대승경전의 하나로, 예로부터 모든 경전의 왕으로 생각되었으며, 초기 대승경전(大乘經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묘법연화경 · 더보기 »

반야경

Prajñāpāramitā 자와 섬, 인도네시아 공화국. 《반야경(般若經)》은 원제가 프라즈냐파라미타 수트라()이며, 한역의 원제는 《반야바라밀다경(般若波羅蜜多經)》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반야경 · 더보기 »

간토 대지진

화재가 일어난 마루노우치. 요코하마에서 본 간토 대지진의 피해 간토 대지진()은 1923년 9월 1일 11시 58분 32초(일본 표준시)에 일본 가나가와현 사가미 만을 진앙지로 발생했던 큰 지진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간토 대지진 · 더보기 »

밀교

밀교(密敎EsotericismEsoterism) 또는 비교(秘敎)는 크게 다음 두 가지의 기본적인 의미를 가진 낱말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밀교 · 더보기 »

법구경

《법구경》(法句經, K.1021, T.0210)은 서기 원년 전후의 인물인 인도의 다르마트라타()가 편찬한 불교의 경전으로 석가모니 사후 삼백년 후에 여러 경로를 거쳐 기록된 부처의 말씀을 묶어 만들었.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법구경 · 더보기 »

금강삼매경론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은 신라의 고승 원효가 지은, 《금강삼매경》의 해석서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금강삼매경론 · 더보기 »

대승기신론소

《기신론소(起信論疏)》 또는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는 7세기 남북국 시대 신라(668-935)의 고승인 원효(元曉, 617-686)가 저술한 불교 논서로, 전통적으로 마명 보살의 저술로 여기는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해석서("소疏")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대승기신론소 · 더보기 »

대장경

대한민국 해인사에 보관중인 팔만대장경 대장경(大藏經)은 불경을 집대성한 경전을 말. 부처가 사용한 언어는 동부 인도의 속어(俗語)인 고대 마가다어라고 하는데 이 언어에 관한 한 문헌은 오늘날 전혀 존재하지 않으며 그것이 서북 인도의 속어인 팔리어로 옮겨져 스리랑카로부터 동남아시아로 전해지게 되었.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대장경 · 더보기 »

대현

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대현 · 더보기 »

교장총록

《교장총록(敎藏總錄)》은 고려의 승려인 대각국사 의천(義天: 1055~1101)이 편찬한 불교 장소(章疏)의 목록을 수록한 책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교장총록 · 더보기 »

네스토리우스파

스토리우스파(Nestorianism) 또는 경교(景敎)는 콘스탄티노플의 네스토리우스(?∼451?) 총주교를 시조로 하는 기독교의 일파를 말. 아시리아 동방교회로 소급.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네스토리우스파 · 더보기 »

논장

장(論藏)은 삼장(三藏)의 하나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논장 · 더보기 »

다이쇼

* 다이쇼 천황(1879-1926)은 일본의 천황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다이쇼 · 더보기 »

다이쇼 데모크라시

이쇼 데모크라시는 신해 혁명 발발에서 치안 유지법 시행까지 (1911년 ~ 1925년)에 일본에서 정치, 사회, 문화 각 방면에서 일어난 일련의 민주주의, 자유주의적인 운동, 풍조, 사조의 총칭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다이쇼 데모크라시 · 더보기 »

다카쿠스 준지로

스 준지로(게이오 2년 5월 17일(1866년 6월 29일) ~ 쇼와 20년(1945년) 6월 28일)는 일본의 불교학자이자, 인도학자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다카쿠스 준지로 · 더보기 »

달마대사관심론

마대사 관심론(達磨大師觀心論) 또는 달마관심론(達磨觀心論) 또는 관심론(觀心論)(T.2833)은 달마가 전한 것으로 알려진 대승불교의 불경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달마대사관심론 · 더보기 »

자타카

《자타카(Jataka)》 또는 《본생담(本生譚)》은 팔리어로 씌어진 고대 인도의 불교 설화집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자타카 · 더보기 »

일연

일연(一然, 속명(본명) 전견명(全見明), 1206년 7월 18일(음력 6월 11일) ~ 1289년 7월 26일(음력 7월 8일))은 고려 충렬왕 때의 승려로, 보각국사(普覺國師).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일연 · 더보기 »

의천

상화 의천(義天: 1055년 10월 30일(음력 9월 28일) ~ 1101년 10월 28일(음력 10월 5일))은 고려시대의 왕족 출신 승려, 작가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의천 · 더보기 »

의상 (신라)

의상(義湘, 625년 ~ 702년)은 고대 통일신라시대 중기의 왕족 출신, 고승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의상 (신라) · 더보기 »

중관파

중관파(中觀派) 또는 중관학파(中觀學派)는 용수(龍樹: 150~250)의 불교사상을 바탕으로 체계화된 인도 대승불교의 종파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중관파 · 더보기 »

지눌

(知訥, 1158년~1210년 4월 22일(음력 3월 27일))은 고려의 승려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지눌 · 더보기 »

유가행파

유가행파(瑜伽行派) 또는 요가차라()는 4세기 인도의 무착스님이 만든 대승불교 종파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유가행파 · 더보기 »

율장

율장(律藏)은 불교 교단의 계율을 집대성한 것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율장 · 더보기 »

팔리어 대장경

리어 대장경 또는 팔리어 경전은 팔리어로 씌어진 불교 경전의 총칭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팔리어 대장경 · 더보기 »

태현

현(太賢)은 일명 대현(大賢)이라고도 하며, 8세기 중엽 신라 경덕왕 때의 승려로, 유가종(瑜伽宗)의 조사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태현 · 더보기 »

옷 옷 또는 의복(衣服), 의상(衣裳)은 사람이 몸 위에 입는, 천이나 가죽 등으로 된 물건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옷 · 더보기 »

현교

현교(顯敎)는 비밀의 가르침, 즉 밀교(密敎)에 대해서 언어 문자 상으로 분명히 설시(說示)된 가르침의 뜻으로, 밀교 이외의 불교를 가리켜 말하는 것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현교 · 더보기 »

연호

연호(年號)는 한문을 사용하는 동양의 군주국가에서 쓰던 기년법을 말하는 것으로, 군주 국가에서 임금이 즉위하는 해에 붙는 연대적인 칭호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연호 · 더보기 »

열반경

《열반경》(涅槃經)은 불교의 경전으로, 소승 불교의 열반경(소승열반경)과 대승 불교의 열반경(대승열반경) 두 가지가 있.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열반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소승 불교의 열반경은 붓다의 열반 전후의 이야기를 기록한 《마하빠리닙바나 숫따》(Mahāparinibbāna Sutta, D16)이며, 대승 불교의 열반경은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열반경 · 더보기 »

열반종요

《열반종요(涅槃宗要)》는 신라의 고승 원효가 지은 책으로 《대반열반경》을 요약한 책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열반종요 · 더보기 »

산스크리트어

산스크리트어(संस्कृता) 간칭 범어(梵語)는 인도의 고전어로, 힌두교대승불교자이나ㆍ교 경전의 언어이자 수많은 인도 제어의 고급 어휘의 근간을 구성하는 언어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산스크리트어 · 더보기 »

삼국유사

《삼국유사》(三國遺事)는 고려의 승려인 일연(一然)이 고려 충렬왕 7년(1281년) 에 인각사(麟角寺)에서 편찬한 삼국 시대의 역사서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삼국유사 · 더보기 »

설일체유부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는 부파불교 시대의 종파 또는 부파들 중에서 가장 유력한 부파이며, 부파불교의 사상적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부파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설일체유부 · 더보기 »

쇼소인

쇼소인 쇼소인()은 일본 나라현 나라 시 도다이지(東大寺)의 대불전 북서쪽에 위치한 창고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쇼소인 · 더보기 »

쇼와 시대

쇼와 시대()는 20세기 일본의 연호의 하나로, 쇼와 천황의 통치에 해당하는 1926년 12월 25일부터 1989년 1월 7일까지를 가리.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쇼와 시대 · 더보기 »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陜川 海印寺 大藏經板) 또는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트리피타카 코레아나)은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에 있는, 고려가 몽골의 침입을 불력(佛力)으로 막아내고자 1236년(고종 23년) 강화군에서 조판에 착수하여 15년이 지난 1251년(고종 38년)까지 총 16년에 걸쳐 완성한 고려의 대장경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 더보기 »

아함경

《아함경(阿含經)》은 불교 초기의 경전 모음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아함경 · 더보기 »

원효

원효(元曉, 617년 ~ 686년 4월 28일(음력 3월 30일), 경상북도 경산시)는 삼국시대와 신라의 고승이자 철학자, 작가, 시인, 정치가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원효 · 더보기 »

화엄경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줄여서 《화엄경(華嚴經)》() 또는 《잡화경(雜華經)》()은 초기 대승불교의 가장 중요한 경전 중 하나로,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6001 > 화엄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화엄경: 華嚴經 원명은 부다아바탐사카 나마 마하바이풀랴 수트라(Buddha­avatamsaka­nama­mahavaipulya­sutra)이고 자세하게 말해서 이라 부른.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화엄경 · 더보기 »

화엄경탐현기

《화엄경탐현기(華嚴經探玄記)》(K.1513, T.1733)는 당나라 시대 때, 화엄종을 크게 일으킨 법장(法藏: 643~712)이 687년에서 695년 사이에 저술한 《화엄경》에 대한 주석서로, 불타발타라가 번역한 《60권 화엄경》에 대한 주석서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화엄경탐현기 · 더보기 »

화엄일승법계도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勝法界圖)》 또는 《법성게(法性偈)》는 신라의 고승인 의상이 깨달음의 경계와 법(法)에 대하여 표현한 7언 30구의 게송으로, 화엄일승의 교리를 도해한 것이.

새로운!!: 다이쇼 신수 대장경와 화엄일승법계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정장, 대정신수대장경, 신수대장경.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