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색인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시철도 2호선(大邱 都市鐵道 二號線)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양리의 문양역과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의 영남대역을 잇는 대구도시철도공사의 도시 철도 노선이.

80 처지: 도시 철도, 만촌역, 모노레일, 명덕역, 문양차량사업소, 문양역, 감삼역, 반고개역, 반월당역, 강창역, 경대병원역, 경상북도, 경산시, 범어역, 고산역 (대구), 복선 (철도), 계명대역, 북부동 (경산시), 금호강, 대공원역 (대구), 대구 도시철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대구도시철도공사, 대구도시철도공사 2000호대 전동차, 대구광역시, 대구은행역, 대한민국, 대실역, 두류역, 내당역, 다사읍, 다사역, 달구벌대로, 달성군, 달서구, 담티역, 스크린도어, 용산역 (대구), 승강장, 자동 열차 운전 장치, 자동 열차 제어 장치, 임당역, 이곡역, 정평역 (경산), 죽전역 (대구), 중구 (대구광역시), 직류, 차량기지, 초록, ..., 수성구, 수성구청역, 영남대역, 연호역, 표준궤, 사월역, 성서산업단지역, 서구 (대구광역시), 신매역, 신남역, 신천 (대구), 월배차량사업소, 환승역, 10월 18일, 11월 9일, 12월 19일, 1996년, 1월 1일, 2005년, 2007년, 2012년, 2014년, 2015년, 2017년, 2월 28일, 4월 23일, 5월 25일, 6월 4일, 9월 13일, 9월 19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0 더) »

도시 철도

시철도(都市鐵道)는 도시 혹은 광역권 내부 지역 간의 교통을 담당하기 위해 건설 된 철도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도시 철도 · 더보기 »

만촌역

만촌역(晩村驛)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만촌역 · 더보기 »

모노레일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모노레일 모노레일()은 단궤도(궤도가 하나)인 철도의 총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모노레일 · 더보기 »

명덕역

명덕(2·28민주운동기념회관)역(明德(2·28民主運動紀念會館)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과 남구 대명동에 걸쳐 있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환승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명덕역 · 더보기 »

문양차량사업소

문양차량사업소(汶陽車輛事業所)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양리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차량기지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문양차량사업소 · 더보기 »

문양역

문양역 구내 모습 (3층) 문양역 승강장 (문양차량기지 회차선 방면, 로프형 스크린도어 설치 전, 영남대역 연장 전) 문양역 승강장 (영남대 방면, 로프형 스크린도어 설치 전, 영남대역 연장 전) 대구지하철공사 시절 문양역 구식 폴사인 (대구도시철도공사로 바뀐 지금은 검은바탕에 초록띠를 두른 신식 폴사인이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문양역 신식 폴사인 문양역(汶陽驛)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양역길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문양역 · 더보기 »

감삼역

삼역(甘三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감삼역 · 더보기 »

반고개역

반고개역(반고개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반고개역 · 더보기 »

반월당역

반월당역(半月堂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중구 덕산동 중앙대로와 달구벌대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2호선의 환승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반월당역 · 더보기 »

강창역

강창역(江倉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향후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이 개원되는 동시에 병기역명에 기재될예정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강창역 · 더보기 »

경대병원역

경대병원역(慶大病院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경대병원역 · 더보기 »

경상북도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경상북도 · 더보기 »

경산시

경산시(慶山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경산시 · 더보기 »

범어역

범어역(泛魚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동 범어네거리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범어역 · 더보기 »

고산역 (대구)

산역(孤山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고산역 (대구) · 더보기 »

복선 (철도)

복선 전철 복선(複線)은 선로를 두 가닥 놓아 양방향으로 열차가 동시에 지나서 다닐 수 있도록 한 것을 말.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복선 (철도) · 더보기 »

계명대역

명대역(啓明大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계명대역 · 더보기 »

북부동 (경산시)

북부동(北部洞)은 경상북도 경산시의 행정동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북부동 (경산시) · 더보기 »

금호강

호강(琴湖江)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를 돌아 흐르는 낙동강의 지류로서, 포항시 북구 죽장면 가사리의 가사령에서 발원하여 영천시 자양면·고경면과 중심시가지, 경산시 일대를 지나 대구광역시 달서구 파호동과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 경계인 옛 강창 나루터에서 낙동강 본류에 유입.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금호강 · 더보기 »

대공원역 (대구)

공원(삼성라이온즈파크)역(大公園(三星라이온즈파크)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대공원역 (대구) · 더보기 »

대구 도시철도

경권 도시철도인 대구 도시철도(大邱都市鐵道)는 대구도시철도공사에서 독점 관리하는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및 그 주변 광역권의 도시 철도 체계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대구 도시철도 · 더보기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시철도 1호선(大邱 都市鐵道 一號線)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의 설화명곡역과 동구 괴전동의 안심역을 잇는 대구도시철도공사의 도시 철도 노선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더보기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시철도 3호선(大邱 都市鐵道 3號線)은 대구광역시 북구 동호동의 칠곡경대병원역과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의 용지역을 잇는 대구도시철도공사의 도시 철도 노선이자 운행 계통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더보기 »

대구도시철도공사

시철도공사(大邱都市鐵道公社, Daegu Metropolitan Transit Corporation, DTRO)는 대한민국 대구 도시철도를 운영하는 공기업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대구도시철도공사 · 더보기 »

대구도시철도공사 2000호대 전동차

시철도공사 2000호대 전동차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에 운행되고 있는 통근형 전동차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대구도시철도공사 2000호대 전동차 · 더보기 »

대구광역시

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대구광역시 · 더보기 »

대구은행역

은행(대구교육청)역(大邱銀行(大邱敎育廳)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대구은행역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실역

실역(대실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달구벌대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대실역 · 더보기 »

두류역

역(頭流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에 위치한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두류역 · 더보기 »

내당역

당역(內唐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서구 달구벌대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내당역 · 더보기 »

다사읍

사읍(多斯邑)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읍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다사읍 · 더보기 »

다사역

사역(多斯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다사역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다사역 · 더보기 »

달구벌대로

벌대로(達句伐大路, Dalgubeol-daero)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성주대교와 수성구 사월동 중산삼거리를 잇는 대구광역시의 간선도로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달구벌대로 · 더보기 »

달성군

성군(達城郡)은 대구광역시의 군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달성군 · 더보기 »

달서구

곡역 인근 성당동 일대 달서구(達西區)는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남서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달서구 · 더보기 »

담티역

(수성대·대륜)역(담티(壽城大·大倫)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담티역 · 더보기 »

스크린도어

1961년에 완성된 상트페테르부르크 지하철 2호선 파크 포베디 역의 스크린도어. 스크린도어()는 철도역과 전철역의 승강장에 설치되는 안전 시설의 일종으로, 평상시에는 닫혀 있으나 열차의 도착에 맞추어 자동 혹은 수동으로 출입문을 개폐하는 형태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스크린도어 · 더보기 »

용산역 (대구)

용산(서부법원·검찰청입구)역(龍山(西部法院·檢察廳入口)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용산역 (대구) · 더보기 »

승강장

승강장(乘降場) 혹은 타는 곳, 플랫폼()은 전철역이나 철도역에서 화물이나 승객이 열차에 타고 내리기 위해 만든 시설물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승강장 · 더보기 »

자동 열차 운전 장치

자동열차운전장치(自動列車運轉裝置, ATO: Automatic train operation)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자동 열차 운전을 가능하게 하며, 기관사가 필요 없도록 해준.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자동 열차 운전 장치 · 더보기 »

자동 열차 제어 장치

자동 열차 제어 장치(自動列車制御裝置, ATC: Automatic Train Control)란, 철도 신호 보안 장치 중 전자 열차 제어 장치의 일종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자동 열차 제어 장치 · 더보기 »

임당역

임당역(林堂驛)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산시 임당네거리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임당역 · 더보기 »

이곡역

이곡역(梨谷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서구 이곡1동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이곡역 · 더보기 »

정평역 (경산)

정평역(正坪驛)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산시 정평동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정평역 (경산) · 더보기 »

죽전역 (대구)

죽전역(竹田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죽전역 (대구) · 더보기 »

중구 (대구광역시)

중구(中區)는 대구광역시 가운데 있는 구로, 대구광역시청 소재지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중구 (대구광역시) · 더보기 »

직류

섬네일 직류(直流, direct current, 약자 DC) 또는 연속 전류(連續電流)는 높은 전위에서 낮은 전위로 전선과 같은 도선을 통한 전류의 연속적인 흐름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직류 · 더보기 »

차량기지

량기지(車輛基地)는 철도차량을 주박, 검수하기 위해 만들어진 철도 시설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차량기지 · 더보기 »

초록

록(green) 또는 녹색(綠色)은 식물의 잎과 같은 색이며, 파랑과 노랑을 섞으면 이 색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초록 · 더보기 »

수성구

수성구(壽城區)는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남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수성구 · 더보기 »

수성구청역

수성구청(KBS)역(壽城區廳(KBS)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수성구청역 · 더보기 »

영남대역

영남대역(嶺南大驛)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영남대역 · 더보기 »

연호역

연호역(蓮湖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수성구 연호네거리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연호역 · 더보기 »

표준궤

준궤(標準軌, standard gauge)는 두 레일의 간격인 궤간이 1435 mm (4 ft 8½ in) 인 철도 선로를 말. 1830년 표준궤를 도입한 조지 스티븐슨의 이름을 따서 스티븐슨 게이지(Stephenson Gauge)라고도 불린.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표준궤 · 더보기 »

사월역

사월역(沙月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수성구 신매동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사월역 · 더보기 »

성서산업단지역

성서산업단지역(城西産業團地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성서산업단지역 · 더보기 »

서구 (대구광역시)

서구(西區)는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서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서구 (대구광역시) · 더보기 »

신매역

신매역(新梅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수성구 매호동 신매네거리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신매역 · 더보기 »

신남역

신남역(新南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중구 신남네거리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과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환승역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신남역 · 더보기 »

신천 (대구)

신천(新川, Sincheon)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의 동부에 흐르는 하천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신천 (대구) · 더보기 »

월배차량사업소

월배차량사업소(月背車輛事業所)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진천동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차량기지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월배차량사업소 · 더보기 »

환승역

4호선 전동차 간 평면 환승이 가능한 수도권 전철 금정역 런던의 스트랫퍼드 역 타이베이 첩운의 환승역 구조 환승역(換乘驛) 또는 갈아타기역은 서로 다른 노선이 만나 상대 노선 열차로 갈아타는 것을 할 수 있는 역을 뜻. 좁은 뜻으로서는 광역 철도 또는 도시 철도로 이루어진 두 가지 이상의 노선이 만나 다른 노선으로 환승을 할 수 있는 역을 뜻하며, 넓은 뜻으로는 일반 철도나 다른 궤도교통수단을 모두 넣은 것을 뜻. 갈아타기역 중에는 금정역이나 김포공항역, 스트랫퍼드 역처럼 한 승강장에서 다른 노선으로 쉽게 갈아탈 수 있는 경우도 있.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환승역 · 더보기 »

10월 18일

10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1번째(윤년일 경우 29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10월 18일 · 더보기 »

11월 9일

11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3번째(윤년일 경우 31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11월 9일 · 더보기 »

12월 19일

12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3번째(윤년일 경우 35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12월 19일 · 더보기 »

1996년

199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1996년 · 더보기 »

1월 1일

1월 1일은 양력(그레고리력)으로 첫 번째 날을 말.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1월 1일 · 더보기 »

2005년

200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2005년 · 더보기 »

2007년

20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2007년 · 더보기 »

2012년

201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02년 이후 10년만에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2012년 · 더보기 »

2014년

201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2014년 · 더보기 »

2015년

201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2015년 · 더보기 »

2017년

201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2017년 · 더보기 »

2월 28일

2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9번째(윤년일 경우도 5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2월 28일 · 더보기 »

4월 23일

4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3번째(윤년일 경우 11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4월 23일 · 더보기 »

5월 25일

5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5번째(윤년일 경우 14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5월 25일 · 더보기 »

6월 4일

6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5번째(윤년일 경우 15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6월 4일 · 더보기 »

9월 13일

9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6번째(윤년일 경우 25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9월 13일 · 더보기 »

9월 19일

9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2번째(윤년일 경우 26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와 9월 19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구 지하철 2호선, 대구2호선, 대구지하철2호선.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