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조선 철종

색인 조선 철종

종(哲宗, 1831년 7월 25일(음력 6월 17일) ~ 1864년 1월 16일(1863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의 제25대 왕(재위 1849년 7월 28일 ~ 1864년 1월 16일)이자 대한제국 추존황제이.

144 처지: 동학, 로마 가톨릭교회, 문화방송, 박영효, 강화도, 강화도령 (영화), 강화군, 강화읍, 경기도, 경상도, 고양시, 본관, 권돈인, 귀인 박씨 (철종), 귀인 조씨 (철종),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김동인, 김문근, 김병세, 김흥근, 김조순, 김좌근, 대조전, 대한민국, 대한제국, 대한제국 고종, 대한제국 순종, 대원군, 대원군 (드라마), 교동도, 구군복, 남인, 남연군, 노론, 닥터 진, 용성부대부인, 승정원, 자 (이름), 임술민란, 임혁, 흥선대원군, 이름, 이융준, 이원경 (1827년), 인정문, 인천강화경찰서, 음력 12월 15일, 음력 12월 8일, 음력 6월 17일, 음력 6월 8일, ..., 음력 6월 9일, 은언군, 제주, 제주도, 전계대원군, 전주 이씨, 정원용, 조인영, 조영하, 조선, 조선 명종, 조선 문조, 조선 효종, 조선 장조, 조선 정조, 조선 순조, 조선 헌종,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왕조실록, 조성하, 진주민란, 창덕궁, 철인왕후, 철종, 철종과 복녀, 청나라, 청안군 (1851년), 추증, 축생도, 유교, 유주현, 위리안치, 상계군, 순원왕후, 숙의 방씨, 숙의 범씨, 숙의 김씨 (철종), 영평군, 영의정, 영혜옹주, 호 (이름), 예릉, 최제우, 최수종, 향리 (관리), 풍운 (1982년 드라마), 사발통문, 삼정이정청, 삼정의 문란, 성리학, 세도정치, 서오릉, 한성부, 안동 김씨, 신정왕후, 신정왕후 (조선), 신영균 (배우), 훈련도감, 홍국영, 황제, 황현, 환곡, , 10월 15일, 1753년, 1801년, 1822년, 1830년, 1831년, 1834년, 1836년, 1844년, 1849년, 1852년, 1858년, 1861년, 1862년, 1863년, 1864년, 1903년, 1908년, 1963년, 1982년, 1990년, 1월, 1월 16일, 1월 23일, 2012년, 3월 17일, 6월 6일, 7월 25일, 7월 28일, 9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94 더) »

동학

동학(東學)은 1860년(철종 11) 최제우가 창건한 신흥 종교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동학 · 더보기 »

로마 가톨릭교회

마 가톨릭교회(), 천주교(天主敎) 또는 가톨릭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명의 신자를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기독교 교파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문화방송

문화방송(文化放送)은 대한민국 수도권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공영방송사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문화방송 · 더보기 »

박영효

박영효(朴泳孝, 1861년 ~ 1939년 양력 9월 21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 사상가로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박영효 · 더보기 »

강화도

강화도(江華島)는 대한민국 경기만에 있는 섬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강화도 · 더보기 »

강화도령 (영화)

《강화도령》은 1963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강화도령 (영화) · 더보기 »

강화군

강화군(江華郡)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북부의 군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강화군 · 더보기 »

강화읍

강화읍(江華邑)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읍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강화읍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경기도 · 더보기 »

경상도

경상도 경상도(慶尙道)는 경상남도, 경상북도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영남 지방(嶺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조선 철종와 경상도 · 더보기 »

고양시

양시청 고양시(高陽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북서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고양시 · 더보기 »

본관

본관(本貫)은 시조(始祖)의 관향, 곧 고향을 뜻하며, 본적(本籍), 본(本), 관향(貫鄕)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조선 철종와 본관 · 더보기 »

권돈인

인(權敦仁, 1783년 ~ 185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헌종과 철종 때 영의정을.

새로운!!: 조선 철종와 권돈인 · 더보기 »

귀인 박씨 (철종)

인 박씨(貴人 朴氏, 1827년 ~ 1889년 음력 4월 10일)는 조선 철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귀인 박씨 (철종) · 더보기 »

귀인 조씨 (철종)

인 조씨(貴人 趙氏, 1842년~1865년)는 조선 제25대 군주 철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귀인 조씨 (철종) · 더보기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世界大百科事典)은 2004년 도서출판 범한에서 출판한 백과사전으로, 다음(지금의 카카오)이 라이선스를 사들여 2008년 11월 한국어 위키백과에 기증.

새로운!!: 조선 철종와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더보기 »

김동인

동인(金東仁, 일본식 이름: 東 文仁 히가시 후미히토 / 金東文仁 가네히가시 후미히토, 1900년 10월 2일 ~ 1951년 1월 5일)은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친일 문학가이자 대한민국의 소설가, 문학평론가, 시인, 언론인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김동인 · 더보기 »

김문근

문근(金汶根, 1801년 ~ 1863년)은 조선 후기의 외척으로 철인왕후의 아버지이자 철종의 장인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김문근 · 더보기 »

김병세

병세(金秉世, 1962년 9월 26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김병세 · 더보기 »

김흥근

흥근(金興根, 1796년 ~ 1870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김흥근 · 더보기 »

김조순

조순(金祖淳, 1765년 ~ 183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김조순 · 더보기 »

김좌근

좌근(金左根, 1797년~186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척으로 안동김씨 세도기 후반의 중심인물이었.

새로운!!: 조선 철종와 김좌근 · 더보기 »

대조전

창덕궁 대조전(昌德宮 大造殿)은 창덕궁 내전 중 가장 으뜸가는 건물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대조전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대한제국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대한제국 순종

순종(純宗, 1874년 3월 25일(음력 2월 8일) ~ 1926년 4월 25일)은 대한제국 제2대 황제이자, 한반도 역사상 마지막 군주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대한제국 순종 · 더보기 »

대원군

원군(大院君)은 조선 시대 적통인 임금의 자손이나 전임 임금의 대가 끊겨 방계(傍系)인 종친 중에서 왕위를 이어받을 때, 그 임금의 친아버지에게 주는 칭호 및 관직으로서, 군호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대원군 · 더보기 »

대원군 (드라마)

《대원군(大院君)》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열한 번째이자 마지막 작품으로, 1990년 5월 6일부터 1990년 12월 23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조선 철종와 대원군 (드라마) · 더보기 »

교동도

동도(喬桐島)는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의 북서쪽, 38선 근처 황해상에 있는 섬으로 강화도보다 서쪽에 있. 행정구역상으로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에 속해 있. 2014년 완공된 교동대교를 통해 강화도와 연결되어 있으며, 민간인출입통제구역 이기는 하나 누구나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

새로운!!: 조선 철종와 교동도 · 더보기 »

구군복

경복궁 재연행사의 구군복. 구군복(具軍服)은 조선시대의 군복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구군복 · 더보기 »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조선 철종와 남인 · 더보기 »

남연군

연군 이구(南延君 李球, 1788년 8월 22일 ~ 1836년 3월 19일)은 조선 시대 후기의 문신, 왕족으로 이름은 구(球), 자는 치수(稚受)이며 원래 이름은 채중(采重) 또는 채중(寀重)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남연군 · 더보기 »

노론

(老論)은 서인과 같이 성리학적 명분론을 신봉하였지만 숙종 때 서인에서 노론과 소론으로 나뉜 붕당으로 알려져 있. 서인에서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노론, 윤증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소론이 되었으며 숙종 이후 조선의 주요 집권 세력이었.

새로운!!: 조선 철종와 노론 · 더보기 »

닥터 진

《닥터 진》은 MBC에서 방영되었던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닥터 진 · 더보기 »

용성부대부인

용성부대부인 염씨(龍城府大夫人 廉氏, 1793년 7월 20일 - 1834년 3월)는 조선 후기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용성부대부인 · 더보기 »

승정원

승정원(承政院)은 정삼품아문으로, 조선과 대한제국(승선원으로 개칭)에서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던 행정기관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승정원 · 더보기 »

자 (이름)

자(字)는 한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 일본에서 성년이 되는 관례 때 받는 이름인 관명과 함께 스스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짓는 새로운 이름을 말. 이는 이름이 부모가 주신 것으로서 부모님이나 스승, 왕(혹은 황제)외에는 함부로 부르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던 데에 기인.

새로운!!: 조선 철종와 자 (이름) · 더보기 »

임술민란

임술민란(壬戌民亂), 또는 임술농민항쟁(壬戌農民抗爭)은 1862년, 조선 각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난 농민 봉기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임술민란 · 더보기 »

임혁

임혁(任革, 본명: 임정혁(任政爀), 1949년 5월 31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임혁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름

왕족 이름을 뜻한다. 이름은 "이르다"의 명사형으로, 물건, 사람, 장소, 생각, 개념 등을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해 부르는 말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이름 · 더보기 »

이융준

원자 이융준(李隆俊, 1858년 11월 22일(음력 10월 17일) ~ 1859년 5월 25일(음력 4월 23일))은 조선 후기의 왕자로, 철종의 유일한 적장자이자 영은부원군 김문근의 딸 철인왕후 김씨 소생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이융준 · 더보기 »

이원경 (1827년)

증 회평군 이명(贈 懷平君 李明, 1827년 9월 11일 - 1844년 9월 6일)은 조선후기의 농민, 왕족으로 장조의 서장남 은언군(恩彦君)의 손자이자 철종의 이복형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이원경 (1827년) · 더보기 »

인정문

창덕궁 인정문(昌德宮仁政門)은 창덕궁 정전인 인정전에 이르는 출입문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인정문 · 더보기 »

인천강화경찰서

인천강화경찰서 (仁川江華警察署, Incheon Ganghwa Police Station)는 인천광역시지방경찰청이 관할하는 경찰서 중 하나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인천강화경찰서 · 더보기 »

음력 12월 15일

음력 12월 15일은 음력 12월의 15번째 날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음력 12월 15일 · 더보기 »

음력 12월 8일

음력 12월 8일은 음력 12월의 8번째 날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음력 12월 8일 · 더보기 »

음력 6월 17일

음력 6월 17일은 음력 6월의 17번째 날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음력 6월 17일 · 더보기 »

음력 6월 8일

음력 6월 8일은 음력 6월의 8번째 날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음력 6월 8일 · 더보기 »

음력 6월 9일

음력 6월 9일은 음력 6월의 9번째 날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음력 6월 9일 · 더보기 »

은언군

은언군 이인(恩彦君 李䄄, 1754년 5월 29일 ~ 1801년 6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조선 영조의 손자이자 장조의 서장자이며 정조의 이복동생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은언군 · 더보기 »

제주

제주는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조선 철종와 제주 · 더보기 »

제주도

제주도(濟州島, Jeju-do)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섬으로, 제주특별자치도에 속하며, 한반도 남쪽 바다 건너에 있. 섬의 면적은 1833.2 km²인데 이는 대한민국 면적의 1.83%에 해당.

새로운!!: 조선 철종와 제주도 · 더보기 »

전계대원군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1785년 4월 29일(음력 3월 21일) ~ 1841년 12월 14일(음력 11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농민이며, 철종의 생부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전계대원군 · 더보기 »

전주 이씨

전주 이씨(全州 李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전주 이씨 · 더보기 »

정원용

정원용(鄭元容, 1783년~1873년)은 조선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정원용 · 더보기 »

조인영

조인영(趙寅永, 1782년 ~ 185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조인영 · 더보기 »

조영하

조영하(趙寧夏, 1845년 6월 ~ 1884년 12월 5일)는 조선의 문신, 무신, 척신, 정치가, 시인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조영하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명종

명종(明宗, 1534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1567년 8월 2일 (음력 6월 28일))은 조선의 제13대 임금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조선 명종 · 더보기 »

조선 문조

조선 문조(文祖)(1809년 9월 18일 (순조 9년 음력 8월 9일) ~ 1830년 6월 25일 (순조 30년 음력 5월 6일))는 헌종의 아버지로서 조선의 추존왕이자 왕세자, 문인, 시인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조선 문조 · 더보기 »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조선 효종 · 더보기 »

조선 장조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철종와 조선 장조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조선 정조 · 더보기 »

조선 순조

순조(純祖, 1790년 7월 29일 (음력 6월 18일) ~ 1834년 12월 13일 (음력 11월 13일))는 조선의 제23대 왕(재위 1800년-1834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조선 순조 · 더보기 »

조선 헌종

종(憲宗, 1827년 9월 8일(음력 7월 18일) ~ 1849년 7월 25일(음력 6월 6일))은 조선의 제24대 왕(재위: 1834년 ~ 1849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조선 헌종 · 더보기 »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의 임금들은 전주 이씨의 조선 태조의 후손들로 1392년부터 1897년까지 혈통이 이어졌.

새로운!!: 조선 철종와 조선 왕 가계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의 국왕의 칭호는 대개 묘호로 불린.

새로운!!: 조선 철종와 조선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태조(1392년)부터 철종(1863년)까지 25대에 걸친 472년간 조선 왕조의 역사적 사실을 연월일순(年月日順)에 따라 편년체로 기술한 역사서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조선왕조실록 · 더보기 »

조성하

조성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철종와 조성하 · 더보기 »

진주민란

주농민항쟁은 1862년(철종 13년) 봄 진주에서 일어난 민중의 봉기 사건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진주민란 · 더보기 »

창덕궁

창덕궁(昌德宮)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있는 조선 시대 궁궐로 동쪽으로 창경궁과 맞닿아 있. 경복궁의 동쪽에 있어서 조선 시대에는 창경궁과 더불어 동궐(東闕)이라 불. 창덕궁은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중요한 고궁이며, 특히 창덕궁 후원은 한국의 유일한 궁궐후원이라는 점과 한국의 정원을 대표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글로벌 세계대백과》〈창덕궁〉 1997년에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

새로운!!: 조선 철종와 창덕궁 · 더보기 »

철인왕후

인왕후 金氏(哲仁王后, 1837년 4월 27일(음력 3월 23일) ~ 1878년 6월 12일(음력 5월 12일))는 조선 제25대 군주 철종의 비(妃)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철인왕후 · 더보기 »

철종

종(哲宗)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철종 · 더보기 »

철종과 복녀

《철종과 복녀》는 1963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철종과 복녀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조선 철종와 청나라 · 더보기 »

청안군 (1851년)

청안군 이재순(淸安君 李載純, 1851년 10월 24일 ~ 1904년 3월 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으로, 장조의 서장남이었던 은언군(恩彦君)의 양증손이며, 철종의 조카이자 누동궁(樓洞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청안군 (1851년)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새로운!!: 조선 철종와 추증 · 더보기 »

축생도

축생도(畜生道) 또는 축생(畜生)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축생도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유교 · 더보기 »

유주현

유주현(柳周鉉, 1921년 6월 3일 ~ 1982년 5월 26일)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유주현 · 더보기 »

위리안치

위리안치(圍籬安置)는 중죄인에 대한 유배형 중의 하나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위리안치 · 더보기 »

상계군

상계군 이담(常溪君 李湛, 1769년 1월 21일 ~ 1786년 11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초명(初名)은 이준(李濬)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상계군 · 더보기 »

순원왕후

순원왕후 김씨(純元王后, 1789년 6월 8일 (음력 5월 15일) ~ 1857년 9월 21일 (음력 8월 4일))는 조선 제23대 왕인 순조의 정비(正妃)이자 문조(효명세자, 文祖)의 어머니이며 헌종의 할머니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순원왕후 · 더보기 »

숙의 방씨

숙의 방씨(淑儀 方氏, ? ~ 1878년)는 조선의 제25대 왕 철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숙의 방씨 · 더보기 »

숙의 범씨

숙의 범씨(淑儀 范氏, 1838년 ~ 1883년 음력 12월 26일)는 조선 제25대 군주 철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숙의 범씨 · 더보기 »

숙의 김씨 (철종)

숙의 김씨(淑儀 金氏, 1833년 ~ 몰년 미상)는 조선 철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숙의 김씨 (철종) · 더보기 »

영평군

영평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철종와 영평군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조선 철종와 영의정 · 더보기 »

영혜옹주

영혜옹주(永惠翁主, 1859년 ~ 1872년 7월 4일)는 조선 후기 왕족으로 철종과 그 후궁 숙의 범씨의 딸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영혜옹주 · 더보기 »

호 (이름)

호(號)는 유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에서 본명이나 자 이외에 따로 지어 부르는 이름으로, 사람의 별칭이나 필명 또는 별호(別號)나 아호(雅號) 등을 가리.

새로운!!: 조선 철종와 호 (이름) · 더보기 »

예릉

예릉(睿陵)은 조선 제25대 임금인 철종과 철인왕후의 능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예릉 · 더보기 »

최제우

제우(崔濟愚, 1824년 12월 18일(음력 10월 28일) ~ 1864년 4월 15일(음력 3월 10일))는 조선 말기 동학의 창시자이며 천도교의 창시자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최제우 · 더보기 »

최수종

수종(崔秀宗, 1962년 12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최수종 · 더보기 »

향리 (관리)

향리(鄕吏)는 조선시대 지방 관청에 속해 있던 하급 관리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향리 (관리) · 더보기 »

풍운 (1982년 드라마)

《풍운》은 대한민국의 KBS 1TV에서 제작된 대하 드라마이며, 1982년 1월 10일부터 1982년 12월 26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조선 철종와 풍운 (1982년 드라마) · 더보기 »

사발통문

동학 농민 운동 때의 사발통문. 사발통문(沙鉢通文)은 어떤 일을 함께 하고자 하는 사람 이름을 사발 모양으로 둥글게 삥 돌려 적어, 같은 뜻을 가진 다른 사람을 모으기 위해 널리 알리는 문서를 말.

새로운!!: 조선 철종와 사발통문 · 더보기 »

삼정이정청

삼정이정청은 조선 철종 재위 시절 만들어진 개혁 기관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삼정이정청 · 더보기 »

삼정의 문란

삼정의 문란(三政-紊亂)이란 조선시대 국가 재정의 3대 요소인 전정(田政)·군정(軍政)·환정(還政: 정부 보유 미곡의 대여 제도)이 문란해졌음을 말.

새로운!!: 조선 철종와 삼정의 문란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성리학 · 더보기 »

세도정치

세도 정치(勢道政治)는 조선시대 왕의 신임과 직접적인 위임(委任)을 받는 형식으로 정권을 잡고 나라를 다스리던 일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세도정치 · 더보기 »

서오릉

서오릉(西五陵)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에 있는 조선 왕실의 왕릉군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서오릉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조선 철종와 한성부 · 더보기 »

안동 김씨

안동 김씨의 종문 안동 김씨(安東 金氏)는 대한민국의 안동을 본관으로 삼은 서로 다른 두 씨족이 존재.

새로운!!: 조선 철종와 안동 김씨 · 더보기 »

신정왕후

신정왕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철종와 신정왕후 · 더보기 »

신정왕후 (조선)

신정왕후(神貞王后, 1809년 1월 21일(1808년 음력 12월 6일) ~ 1890년 6월 4일(음력 4월 17일))는 조선의 추존왕 문조의 아내이며 헌종의 어머니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신정왕후 (조선) · 더보기 »

신영균 (배우)

신영균(申榮均, 1928년 11월 6일 ~)은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연극배우, 치과의사, 가수, 기업가, 영화기획가, 영화제작자, 예술기관단체인, 정치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해군 대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신영균 (배우) · 더보기 »

훈련도감

훈련도감(訓鍊都監)은 1593년(선조 26년) 임진왜란 중 임금의 수도 환궁 직후 명나라 전략가 척계광의 저서인 기효신서를 참고로 창설된 수도방위군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훈련도감 · 더보기 »

홍국영

홍국영(洪國榮, 1748년 ~ 1781년 4월 28일(음력 4월 5일))은 조선 영조,정조대의 세도 정.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덕로(德老)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홍국영 · 더보기 »

황제

황제(皇帝)는 제국(帝國)의 세습 군주의 존호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황제 · 더보기 »

황현

황현(黃玹, 1855년 음력 12월 11일(양력 1856년 1월 18일) ~ 1910년 9월 7일)은 대한제국 조선 왕조 말기의 선비로 시인, 문장가, 역사가, 우국지사이며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황현 · 더보기 »

환곡

환곡(還穀)은 조선 시대에 있었던 구휼(救恤) 제도 가운데 하나로서, 흉년 또는 춘궁기에 곡식을 빌려 주고 풍년·추수기에 되받는 진휼제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환곡 · 더보기 »

국왕(國王) 또는 왕(王) (영어;king)은 군주 칭호의 일종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왕 · 더보기 »

10월 15일

10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8번째(윤년일 경우 28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철종와 10월 15일 · 더보기 »

1753년

175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1753년 · 더보기 »

1801년

180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1801년 · 더보기 »

1822년

182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1822년 · 더보기 »

1830년

183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1830년 · 더보기 »

1831년

183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1831년 · 더보기 »

1834년

183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1834년 · 더보기 »

1836년

183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1836년 · 더보기 »

1844년

184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1844년 · 더보기 »

1849년

1849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1849년 · 더보기 »

1852년

1852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1852년 · 더보기 »

1858년

185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1858년 · 더보기 »

1861년

186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1861년 · 더보기 »

1862년

186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1862년 · 더보기 »

1863년

186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1863년 · 더보기 »

1864년

186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1864년 · 더보기 »

1903년

190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1903년 · 더보기 »

1908년

190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1908년 · 더보기 »

1963년

196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1963년 · 더보기 »

1982년

198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1982년 · 더보기 »

1990년

1990년 10월 3일. 동독의 다섯 주가 서독으로 편입되면서 41년간 분단되었던 '''독일'''이 '''통일'''되었다. 199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1990년 · 더보기 »

1월

1월(一月)은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첫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1월 · 더보기 »

1월 16일

1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번째(윤년일 경우도 1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철종와 1월 16일 · 더보기 »

1월 23일

1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번째(윤년일 경우도 2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철종와 1월 23일 · 더보기 »

2012년

201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02년 이후 10년만에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2012년 · 더보기 »

3월 17일

3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6번째(윤년일 경우 7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철종와 3월 17일 · 더보기 »

6월 6일

6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7번째(윤년일 경우 15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철종와 6월 6일 · 더보기 »

7월 25일

7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6번째(윤년일 경우 20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철종와 7월 25일 · 더보기 »

7월 28일

7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9번째(윤년일 경우 21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철종와 7월 28일 · 더보기 »

9월

9월(九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아홉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한국,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북반구에는 가을이 되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과 같은 남반구에는 봄이.

새로운!!: 조선 철종와 9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강화도령, 덕완군, 덕완군 이변, 덕완군 이원범, 대용재 이변, 대한제국 철종, 철종 이변, 철종 이원범, 철종 장황제, 철종 원범, 철종장황제.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