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극한 기수

색인 극한 기수

집합론에서, 극한 기수(極限基數)는 바로 다음 기수 연산만으로 도달할 수 없는 기수이.

11 처지: 도달 불가능한 기수, 동치, 베트 수, 고정점, 공종도, 기수 (수학), 집합론, 순서수, 연속체 가설, 선택 공리, 알레프 수.

도달 불가능한 기수

집합론에서, 도달 불가능한 기수(到達不可能한基數)는 그보다 작은 기수의 덧셈·곱셈·거듭제곱으로 나타낼 수 없는 기수이.

새로운!!: 극한 기수와 도달 불가능한 기수 · 더보기 »

동치

수학과 논리학에서 동치(同値)란 두 문장이 논리적으로 같다는 것을 의미.

새로운!!: 극한 기수와 동치 · 더보기 »

베트 수

집합론에서, 베트 수(ℶ數)는 가산 무한 집합의 거듭된 멱집합들의 크기들을 나타내는 표기법이.

새로운!!: 극한 기수와 베트 수 · 더보기 »

고정점

수학에서, 고정점(固定點) 또는 부동점(不動點)은 함수나 변환 따위에서 옮겨지지 않는 점이.

새로운!!: 극한 기수와 고정점 · 더보기 »

공종도

집합론에서, 공종도(共終度)는 주어진 원순서 집합의 공종 집합의 최소 크기이.

새로운!!: 극한 기수와 공종도 · 더보기 »

기수 (수학)

ℵ0은 가장 작은 무한 기수이다. 수학에서, 기수(基數)는 집합의 크기를 나타내는 수이.

새로운!!: 극한 기수와 기수 (수학) · 더보기 »

집합론

집합론(集合論)은 추상적 대상들의 모임인 집합을 연구하는 수학 이론이.

새로운!!: 극한 기수와 집합론 · 더보기 »

순서수

\omega^\omega 이하의 순서수들의 형상화 집합론에서, 순서수(順序數)는 정렬 전순서 집합들의 "길이"를 측정하는 수의 일종이.

새로운!!: 극한 기수와 순서수 · 더보기 »

연속체 가설

집합론에서, 연속체 가설(連續體假說,, 약자 CH)은 실수 집합의 모든 부분 집합은 가산 집합이거나 아니면 실수 집합과 크기가 같다는 명제이.

새로운!!: 극한 기수와 연속체 가설 · 더보기 »

선택 공리

선택 공리의 형상화. 선택 함수는 각 집합 S_i를 그 속의 원소 x_i\in S_i로 대응시킨다. 집합론에서, 선택 공리(選擇公理,, 약자 AC)는 공집합이 아닌 집합에서 한 원소를 고를 수 있으며, 또한 이를 무한 번 반복할 수 있다는 공리이.

새로운!!: 극한 기수와 선택 공리 · 더보기 »

알레프 수

집합론에서, 알레프 수(ℵ數)는 무한 기수를 나타내는 표기법이.

새로운!!: 극한 기수와 알레프 수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강극한 기수, 강극한기수, 극한기수, 따름 기수, 따름기수, 약극한기수.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