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김담

색인 김담

(金淡, 1416년 ~ 1464년 7월 10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 유학자, 수학자, 천문학자이.

83 처지: 목사, 명나라, 무소속, 간의대, 박팽년, 경기도, 경주시, 경상북도, 과거제, 계유정난, 봉상시, 관상감, 부윤, 부사, 규장각, 김로, 김륵, 김굉필, 김종직, 김증, 김지 (조선 전기), 김수손, 김숙자 (1389년), 김시습, 구강서원, 단계서원, 승문원, 장영실, 흥선대원군, 이조, 이천, 이순지, 이수형 (1435년), 정인지, 정초, 조선, 조선 광해군, 조선 세조, 조선 세종, 주부, 중추원, 집현전, 지리학, 참의, , 천문학, 충주시, 측우기, 칠정산, 유교, ..., 파주시, 영주시, 예조, 예안 김씨, 최무선, 최해산, 역법, 역대병요, 사방지, 사헌부, 삼공제명암, 성리학, 성삼문, 세조찬위, 서거정, 한성부, 안동시, 안산시, 하위지, 신숙주, 시호, 원나라, 홍문관, 1416년, 1433년, 1434년, 1435년, 1437년, 1451년, 1452년, 1455년, 1464년, 7월 10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3 더) »

목사

목사(牧師)는 개신교의 성직자이.

새로운!!: 김담와 목사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김담와 명나라 · 더보기 »

무소속

무소속(無所屬)이란 일반적으로 어느 곳에도 소속되지 않음을 의미.

새로운!!: 김담와 무소속 · 더보기 »

간의대

의대(簡儀臺)는 조선시대의 천문대이.

새로운!!: 김담와 간의대 · 더보기 »

박팽년

박팽년(朴彭年, 1417년 ~ 145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겸 학자로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김담와 박팽년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김담와 경기도 · 더보기 »

경주시

경주시(慶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김담와 경주시 · 더보기 »

경상북도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김담와 경상북도 · 더보기 »

과거제

북송의 과거 과거(科擧)는 중국과 한국 등에서 시험을 치러서 관리를 뽑는 제도이.

새로운!!: 김담와 과거제 · 더보기 »

계유정난

유정난(癸酉靖難)은 1453년(단종 1) 11월 10일 (음력 10월 10일) 수양대군이 김종서와 황보인과 세종의 여러 대군들을 귀양보내거나 제가하며 마지막으로 단종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을 말. 이 정변이 계유년에 일어났으므로 계유정난이.

새로운!!: 김담와 계유정난 · 더보기 »

봉상시

봉상시(奉常寺)는 조선의 행정기관으로 국가의 제사와 시호 등을 맡아보던 기관이.

새로운!!: 김담와 봉상시 · 더보기 »

관상감

상감(觀象監)은 조선시대에 존재하였던 기구로, 천문학, 지리학(地理學)·역수(曆數: 책력)·측후(測候)·각루(刻漏) 등의 업무를 맡아보던 관청이.

새로운!!: 김담와 관상감 · 더보기 »

부윤

부윤(府尹)은 부(府)의 장관직이.

새로운!!: 김담와 부윤 · 더보기 »

부사

부사.

새로운!!: 김담와 부사 · 더보기 »

규장각

창덕궁 후원 부용지 주변에 세워진 규장각(2층 건물의 1층)과 서향각 규장각(奎章閣)은 조선 후기의 왕실 학문 연구 기관이자 왕실 도서관이.

새로운!!: 김담와 규장각 · 더보기 »

김로

(金輅, 1355년 ~ 1416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자 조선의 개국공신이.

새로운!!: 김담와 김로 · 더보기 »

김륵

륵(金玏, 1540년 ~ 1616년)은 조선 선조·광해군 때의 문신·학자이.

새로운!!: 김담와 김륵 · 더보기 »

김굉필

굉필(金宏弼, 1454년 ~ 1504년)은 조선 전기의 문인, 교육자, 성리학자로 호(號)는 한훤당(寒暄堂)·사옹(蓑翁), 또는 한훤(寒暄)이며 자는 대유(大猷), 시호는 문경(文敬)이.

새로운!!: 김담와 김굉필 · 더보기 »

김종직

종직(金宗直, 1431년 6월 ~ 1492년 8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이며, 성리학자, 정치가, 교육자, 시인이.

새로운!!: 김담와 김종직 · 더보기 »

김증

증(金曾 또는金潧 1413년~1456년)은 집현전 교리(校理) 였. 그의 본관은 예안(禮安)으로 김담과 형제이며 그의 부친은 영유현령 소량공이였.

새로운!!: 김담와 김증 · 더보기 »

김지 (조선 전기)

(金祗, ? - ?)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예안김씨이.

새로운!!: 김담와 김지 (조선 전기) · 더보기 »

김수손

수손(金首孫, 1430년 ~ ?)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자는 자윤(子允)이.

새로운!!: 김담와 김수손 · 더보기 »

김숙자 (1389년)

숙자(金叔滋, 1389년 ∼ 1456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자배(子培), 호는 강호(江湖)·강호산인(江湖散人)으로 불. 선산 출신의 도학자이자 유학자이.

새로운!!: 김담와 김숙자 (1389년) · 더보기 »

김시습

시습(金時習, 1435년 ~ 1493년)은 조선 초기의 문인, 학자이.

새로운!!: 김담와 김시습 · 더보기 »

구강서원

강서원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김담와 구강서원 · 더보기 »

단계서원

서원(丹溪書院)은 경상북도 봉화 지역에 있던 서원으로 지금은 철거되고 없. 1712년에 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세종과 문종 연간의 인물인 문절공 김담을 배향하고 있었.

새로운!!: 김담와 단계서원 · 더보기 »

승문원

승문원 (承文院)은 조선 시대, 외교에 관한 문서를 맡은 관청이.

새로운!!: 김담와 승문원 · 더보기 »

장영실

장영실 동상 장영실 동상 (천안아산역 소재) 장영실(蔣英實, 1390년? ~ 1450년?)은 조선 전기의 관료이며 과학자, 기술자, 발명가이.

새로운!!: 김담와 장영실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김담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김담와 이조 · 더보기 »

이천

이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김담와 이천 · 더보기 »

이순지

이순지(李純之, 1406년 ~ 1465년)는 조선 초기의 문신·천문학자이.

새로운!!: 김담와 이순지 · 더보기 »

이수형 (1435년)

이수형(李秀亨, 1435년 ~ 1528년 1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시인, 학자이.

새로운!!: 김담와 이수형 (1435년) · 더보기 »

정인지

정인지(鄭麟趾, 1396년 12월 28일 ~ 1478년 11월 26일)는 조선 초기의 문신·성리학자이며 한글학자, 역사가, 정치인이.

새로운!!: 김담와 정인지 · 더보기 »

정초

정초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갖.

새로운!!: 김담와 정초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김담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광해군

광해군(光海君, 1575년 6월 4일 (음력 4월 26일) ~ 1641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이.

새로운!!: 김담와 조선 광해군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김담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김담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주부

주부(主婦)는 일반적으로 가사 · 육아를 주로하는 기혼 여성을 말.

새로운!!: 김담와 주부 · 더보기 »

중추원

중추원(中樞院)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김담와 중추원 · 더보기 »

집현전

집현전(集賢殿)은 정이품아문으로, 고려 말 조선 초의 학문 연구 및 국왕의 자문 기관이자, 왕실 연구기관이.

새로운!!: 김담와 집현전 · 더보기 »

지리학

세계의 지형도 지리학(地理學)은 지표 상에서 일어나는 자연 및 인문 현상을 지역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김담와 지리학 · 더보기 »

참의

의(參議)는 관직의 이름으로, 조선과 전근대 및 메이지 시대의 일본에 존재.

새로운!!: 김담와 참의 · 더보기 »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홍길동전 책(冊)은 일정한 목적으로 쓴 글 및 참고 자료 등을 덧붙여 묶은 것이.

새로운!!: 김담와 책 · 더보기 »

천문학

불규칙은하인 대마젤란 은하의 별 생성영역. 초신성 잔해의 하나인 게 성운 천문학(天文學)은 별이나 행성, 혜성, 은하와 같은 천체와, 지구 대기의 바깥쪽으로부터 비롯된 현상(예를 들면,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김담와 천문학 · 더보기 »

충주시

충주시(忠州市)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김담와 충주시 · 더보기 »

측우기

측우기 측우기(測雨器)는 조선 시대에 강우량 분포를 측정하던 기구로서, 세계 최초의 강우량 측정기이.

새로운!!: 김담와 측우기 · 더보기 »

칠정산

《칠정산》(七政算)은 운동하는 천체의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을 서술한 역서이.

새로운!!: 김담와 칠정산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김담와 유교 · 더보기 »

파주시

주시(坡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서북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김담와 파주시 · 더보기 »

영주시

영주시(榮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김담와 영주시 · 더보기 »

예조

예조(禮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김담와 예조 · 더보기 »

예안 김씨

예안 김씨(禮安 金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김담와 예안 김씨 · 더보기 »

최무선

무선(崔茂宣, 고려 충숙왕 12년(1325년) ~ 조선 태조 4년(1395년) 4월 19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

새로운!!: 김담와 최무선 · 더보기 »

최해산

산(崔海山, 1380년 ~ 1443년)은 조선시대의 무신이.

새로운!!: 김담와 최해산 · 더보기 »

역법

1871~1872년 힌두 달력의 한 페이지 역법(曆法)은 천체의 운행 등을 바탕으로 한 해의 주기적 시기를 밝히는 방법이.

새로운!!: 김담와 역법 · 더보기 »

역대병요

역대병요(歷代兵要)는 수양대군이 세종의 명을 받아 총재하여 편찬된 동국 전쟁 사서이.

새로운!!: 김담와 역대병요 · 더보기 »

사방지

사방지(舍方知, 謝方知, ? ~ ?)는 조선 초기의 인물로, 남녀한몸의 대표적인 예이.

새로운!!: 김담와 사방지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새로운!!: 김담와 사헌부 · 더보기 »

삼공제명암

삼공제명암 삼공제명암(三公題名巖)은 강원도 원주시 치악산에 정상에 소재한 바위 암각문으로, 단종폐위 직후 조선 전기의 충신(忠臣) 원호(元豪), 조려(趙旅), 이수형(李秀亨) 등이 관직에 나가지 않을 것을 맹세한 뒤 이름을 새기고 내려온 것이.

새로운!!: 김담와 삼공제명암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김담와 성리학 · 더보기 »

성삼문

성삼문(成三問, 1418년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서,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김담와 성삼문 · 더보기 »

세조찬위

세조찬위(世祖簒位) 또는 세조반정(世祖反正)은 조선의 첫 번째 반정으로 1455년(단종 3) 수양대군이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를 빼앗은 일이.

새로운!!: 김담와 세조찬위 · 더보기 »

서거정

서거정(徐居正, 1420년~1488년)은 조선 문종, 세조, 성종 때의 문신이며 학자이.

새로운!!: 김담와 서거정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김담와 한성부 · 더보기 »

안동시

안동시(安東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중북부에 있는 시이자, 경상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김담와 안동시 · 더보기 »

안산시

안산시(安山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남서부에 위치하고 있는 서해안에 인접한 시이.

새로운!!: 김담와 안산시 · 더보기 »

하위지

위지(河緯地, 1412년 ~ 1456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 정치인, 학자이며 조선 단종 때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김담와 하위지 · 더보기 »

신숙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 (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 (음력 6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문신·정치가이며 언어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김담와 신숙주 · 더보기 »

시호

시호(諡號)는 죽은 인물에게 국가에서 내려주거나 죽은 군주에게 다음 군주가 올리는 특별한 이름으로, 동양의 군주제 국가에서 시행되었.

새로운!!: 김담와 시호 · 더보기 »

원나라

원나라(元朝)은 13세기 몽골 제국이 세운 국가이.

새로운!!: 김담와 원나라 · 더보기 »

홍문관

홍문관(弘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김담와 홍문관 · 더보기 »

141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담와 1416년 · 더보기 »

143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담와 1433년 · 더보기 »

143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담와 1434년 · 더보기 »

143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담와 1435년 · 더보기 »

143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담와 1437년 · 더보기 »

145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담와 1451년 · 더보기 »

145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담와 1452년 · 더보기 »

145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담와 1455년 · 더보기 »

146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담와 1464년 · 더보기 »

7월 10일

7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1번째(윤년일 경우 19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김담와 7월 10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김 담, 무송헌 김담, 문절공 김담.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