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태종무열왕

색인 태종무열왕

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3년~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661년)이.

238 처지: 덕적도, 만주, 마야부인, 마야부인 (신라), 마한, 무진주, 무염, 무왕 (백제), 문명왕후, 문무왕, 문화방송, 미추 이사금, 민족주의, 민속학, 백두산, 백제, 개벽 (잡지), 발해, 강릉 김씨, 박노자, 강원도 (남), 가야, 건복 (신라), 경기도, 경상남도, 경순왕, 고려, 고려 태조, 고교쿠 천황, 고구려, 고토쿠 천황, 보라궁주,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보장왕, 보은 삼년산성, 보종, 계백 (드라마), 변한, 관북 지방, 불교, 부여, 부여융, 부소산성, 기벌포 해전, 금관가야, 급벌찬, 비담, 김 (성씨), 김경중 (1863년), 김법민, ..., 김고타소, 김병세, 김부식, 김용춘, 김흠순, 김인문, 김종직, 김유신, 김품일, 김품석, 김서현, , 대동강, 대리청정, 대각간, 대나마, 대아찬, 대왕의 꿈, 구당서, 국자감 (중국), 군주, 두만강, 남북국 시대, 나제 동맹, 노 (춘추 전국), 다이카, 단군, 당 고종, 당 중종, 당 태종, 당나라, 요석공주, 자의왕후, 장지연, 장안, 임금, 평양직할시, 이덕일, 이동규, 이름, 이찬 (신라 관직), 이천시, 이호성 (배우), 일길찬, 일제 강점기, 일연, 음력 6월, 의자왕, 을사조약, 정명진, 정윤석, 조선, 조선 성종, 좌평, 죽령, 중화, 진덕여왕, 진평왕, 진흥왕, 진지왕, 진성여왕, 진서, 진한, 지도부인, 지소부인, 채상우, 천리장성, 천명공주, 천화공주, 충주시, 충청북도, 유승호, 파주 칠중성, 파진찬, , 상대등, 태조대왕, 태종무열왕, , 혁거세 거서간, 영남 지방, 영창부인, 영휘, 영화, 혜공왕, 예맥, 최치원, 최수종, 역사, 연개소문, 연개소문 (드라마), 염장 (586년), 풍월주, 풍왕, 사도왕후, 사대주의, 사찬, 삼국기, 삼국유사, 삼국사기, 삼한, 석전대제, 선덕여왕, 선덕여왕 (드라마), 선품공, 선화공주, 설총, 성덕왕, 성골과 진골, 성균관대학교, 성한 (신라), 성왕, 서라벌, 손진태, 송영창, 소정방, 애장왕, 합천군, 한민족, 한반도, 한강, 한국, 한국방송공사, 한국인, 알천, 안재홍, 압록강, 신라, 신라 집사부, 신라의 역대 국왕, 신라의 삼국통일, 신문왕, 신증동국여지승람, 신채호, 시일야방성대곡, 원효, 웅진도독부, 황산벌, 황산벌 전투, 황해, 황해도, , 화랑세기, 화백, SBS, 1906년, 1963년, 1972년, 1973년, 1992년, 1993년, 19세기, 2003년, 2006년, 2007년, 2009년, 2011년, 2012년, 2013년, 554년, 5월 26일, 603년, 641년, 642년, 645년, 647년, 648년, 649년, 650년, 651년, 654년, 655년, 656년, 658년, 659년, 660년, 661년, 663년, 668년, 683년, 6월 18일, 7월 10일, 7월 13일, 7월 18일, 7월 9일, 801년, 890년, 893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88 더) »

덕적도

덕적도(德積島)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에 속하는 섬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덕적도 · 더보기 »

만주

붉은색은 둥베이(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 지방이고, 조금 연한 부분은 내몽골 자치구 동부 지역, 가장 연한 부분은 외만주이다. 만주()는 동북아시아 압록강 북쪽의 광활한 지역을 일컫.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만주 · 더보기 »

마야부인

벽에 조각해놓은 마야부인의 하얀 코끼리 꿈 마야 부인(摩耶夫人)은 불교의 창시자 싯다르타 고타마의 어머니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마야부인 · 더보기 »

마야부인 (신라)

마야부인(摩耶夫人)은 신라 제26대 왕 진평왕의 왕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마야부인 (신라) · 더보기 »

마한

마한(馬韓)은 고대 한민족의 54개 부족국가 연맹체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마한 · 더보기 »

무진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무진주 대략도 무진주(武珍州) 또는 무주(武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무진주 · 더보기 »

무염

무염(無染, 800년~888년 12월 23일(음력 11월 17일))은 신라 후기의 승려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무염 · 더보기 »

무왕 (백제)

무왕(武王, ? ~ 641년, 재위: 600년 ~ 641년 음력 3월) 은 백제의 제30대 국왕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무왕 (백제) · 더보기 »

문명왕후

문명왕후(文明王后, ? ~ 681년)는 신라 태종무열왕의 왕후로, 이름은 문희(文姬), 아명은 아지(阿之)이며, 본관은 김해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문명왕후 · 더보기 »

문무왕

문무왕(文武王, 626년~681년 7월 21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 제30대 왕(재위: 661년 음력 6월 ~ 681년 음력 7월 1일)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문무왕 · 더보기 »

문화방송

문화방송(文化放送)은 대한민국 수도권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공영방송사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문화방송 · 더보기 »

미추 이사금

220px 미추 이사금(味鄒 泥師今, ? ~ 284년, 재위: 261년 ~ 284년)은 신라의 13번째 임금이며, 김씨로 임금이 된 첫째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미추 이사금 · 더보기 »

민족주의

민족주의(民族主義) 또는 혈통적 국민주의()는 민족(ethnic group)에 대해 가지는 소속감이나 애착심, 그리고 그것을 강조하려는 생각이나 정치적 운동을 말. 대표적인 예로 1992년 독립을 선포한 압하스인들의 자신들의 민족만의 나라를 건설하고 이민족의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한 압하지야 공화국이나 근대 이탈리아와 독일에서 일어난 통일 국가 수립 운동이 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민족주의 · 더보기 »

민속학

민속학(民俗學, Folklore, 독일어:Volkskunde)은 인간 사회에서 구전 등으로 전해 내려오는 문학, 음악, 미술 등의 민속 문화나, 신화, 전설 또는 민간에 전해내려오는 관습 등을 연구하여 그로부터 민족 문화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 이. 이 학문을 연구하는 사람을 민속학자(Folklorist)라고 부른.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민속학 · 더보기 »

백두산

백두(白頭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함경북도 혜산군 무산군 과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걸쳐있는 화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백두산 · 더보기 »

백제

백제(百濟, 기원전 18년 ~ 660년 8월 29일)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백제 · 더보기 »

개벽 (잡지)

벽(開闢)은 1920년대 천도교에서 천도교 청년회의 기관잡지로 발행된 잡지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개벽 (잡지) · 더보기 »

발해

발해(渤海, 698년 ~ 926년)는 고구려 멸망 이후 고구려를 계승하여 대조영이 건국한 국가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발해 · 더보기 »

강릉 김씨

강릉 김씨(江陵 金氏)는 강원도 강릉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강릉 김씨 · 더보기 »

박노자

블라디미르(귀화 후 법적 이름) 또는 블라디미르 미하일로비치 티호노프(1973년 2월 5일 ~)는 대한민국에서 활동하는 소련 출신의 교육인·언론인·사회운동가·역사학자로, 반파시즘을 대표하는 지식인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박노자 · 더보기 »

강원도 (남)

강원도(江原道, Gangwon Province)는 대한민국의 북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강원도 (남) · 더보기 »

가야

야(伽倻, 加耶, 伽耶)는 낙동강 하류 지역에 존재했던 한국의 고대 국가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가야 · 더보기 »

건복 (신라)

복(建福)은 신라 진평왕(眞平王), 선덕여왕(善德女王)의 연호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건복 (신라)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경기도 · 더보기 »

경상남도

경상남도(慶尙南道)는 대한민국 남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경상남도 · 더보기 »

경순왕

경순왕(敬順王. ? ~ 978년)은 신라의 제56대 군주(재위: 927년 ~ 935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경순왕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태조

조(高麗 太祖, 877년 1월 31일 (음력 1월 14일)《고려사절요》 제1권 태조 신성대왕〈고려사절요/제1권/태조 신성대왕〉"신라 헌강왕(憲康王) 3년 정유(877) 정월 14일 병술에 태조를 송악 남쪽 사제(私第)에서 낳으니" ~ 943년 7월 4일 (음력 5월 29일))는 후삼국 시대(後三國 時代)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장군(將軍)이자 고려(高麗)의 초대 황제(재위:918년 7월 25일~943년 7월 4일)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고려 태조 · 더보기 »

고교쿠 천황

황(594년 ~ 661년 8월 24일)은 사이메이 천황과 동일인물이며 일본의 35대(재위: 642년 1월 15일 ~ 645년 7월 12일)와 37대(재위: 655년 2월 14일 ~ 661년 8월 24일) 천황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고교쿠 천황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고구려 · 더보기 »

고토쿠 천황

황(596년 - 654년 11월 24일)은 일본의 36대 천황(재위:645년 ~ 654년)이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고토쿠 천황 · 더보기 »

보라궁주

보라궁주 설씨(寶羅宮主 薛氏, ? ~ ?)는 《화랑세기》에서 태종무열왕의 첫 번째 정궁부인(正宮夫人)이라고 기록된 인물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보라궁주 · 더보기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保寧 聖住寺址 郎慧和尙塔碑)는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사지에 있는 비석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더보기 »

보장왕

보장왕(寶臧王, ? ~ 682년)은 고구려의 제28대 국왕(재위: 642년 11월 ~ 668년 9월)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보장왕 · 더보기 »

보은 삼년산성

보은 삼년산성(報恩 三年山城)은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에 있는 돌로 쌓은 산성으로 신라 자비왕 13년(470)에 쌓았으며, 소지왕 8년(486)에 고쳐 세웠.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보은 삼년산성 · 더보기 »

보종

보종(寶宗, 생몰년 미상)은 《화랑세기》에만 등장하는 신라의 화랑으로 제16대 풍월주를 역임하였.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보종 · 더보기 »

계백 (드라마)

《계백》은 2011년 7월 25일부터 2011년 11월 22일까지 방송한 백제의 장군 계백을 조명한 문화방송 월화 드라마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계백 (드라마) · 더보기 »

변한

3세기 초 변한 변한(弁韓), 또는 변진(弁辰)은 한반도 남부에 있던 삼한의 하나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변한 · 더보기 »

관북 지방

북 지방(關北地方)은 현재의 함경남도, 함경북도, 량강도, 라선특별시 일대를 가리키는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관북 지방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불교 · 더보기 »

부여

부여(扶餘, 기원전 2세기 ~ 494년)는 한민족의 고대국가로 여겨지는 초기 국가(연맹 왕국)들 중 하나로, 지금의 쑹화강 유역을 중심으로 지금의 만주 일대(하얼빈, 아청, 위수, 눙안, 창춘, 솽양, 지린, 옌지, 훈춘, 치치하얼, 룽장)를 지배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 고구려에 의해 부여는 병합되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부여 · 더보기 »

부여융

부여융(扶餘隆, 615년 ~ 682년)은 백제 의자왕의 아들로 삼국 말기의 대표적인 경계인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부여융 · 더보기 »

부소산성

부소산성(扶蘇山城)은 백제의 마지막 왕성으로 백제시대에는 사비성(泗沘城)으로 불. 부여군 부여읍의 서쪽에 금강을 낀 부소산에 자리하고 있으며, 둘레는 대략 2.2km, 면적은 약 74만m2에.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부소산성 · 더보기 »

기벌포 해전

벌포 해전(伎伐浦海戰)은 나당 전쟁 중인 676년 신라와 당나라가 금강 하구인 기벌포(현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앞바다에서 벌인 전투로, 신라는 이 전투에서 당나라 20만 대군을 격파하여 나당 전쟁에서 최종 승리하였.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기벌포 해전 · 더보기 »

금관가야

야(金官伽倻), 본가야(本伽倻)는 42년부터 532년까지 존재했던 나라로, 신라에게 멸망하기 전 국명은 가락국(駕洛國)이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금관가야 · 더보기 »

급벌찬

급벌찬(級伐飡)은 유리 이사금 9년(32년)에 설치했다고 하는 삼국사기 기록이 있긴 하지만 법흥왕 7년(520년) 율령 반포와 함께 시행한 경위(京位) 17등관계 가운데 제7등관계 일길찬 또는 을길간, 제8등관계 사찬 또는 살찬, 사돌간 바로 다음인 제9등관계로서, 급찬(級飡) 또는 급벌간(及伐干), 기패한지(奇貝旱支), 급복간이라고도 하였.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급벌찬 · 더보기 »

비담

비담(毗曇, 미상 ~ 647년 2월 26일(음력 1월 17일)) 은 신라 제 27대 선덕여왕 말기의 진골로 추정되는 귀족이며 성은 김(金)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비담 · 더보기 »

김 (성씨)

외 김(金)씨는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 (성씨) · 더보기 »

김경중 (1863년)

경중(金暻中, 1863년 ~ 1945년 4월 27일)은 조선의 문신, 학자이며 일제강점기의 역사가, 작가, 교육인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경중 (1863년) · 더보기 »

김법민

법민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법민 · 더보기 »

김고타소

소랑(古陀炤娘, 627년 이후 ~ 642년)은 대야성주 김품석의 부인으로, 김춘추(태종 무열왕)의 딸이며 김법민(문무왕)의 여동생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고타소 · 더보기 »

김병세

병세(金秉世, 1962년 9월 26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병세 · 더보기 »

김부식

부식(金富軾, 1075년 ~ 1151년)은 《삼국사기》를 쓴 고려 시대 학자·문신·역사가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부식 · 더보기 »

김용춘

용춘(金龍春, 578년 ~ 647년) 또는 김용수(金龍樹, 575년 ~ 632년)는 신라의 추촌왕으로, 진지왕의 아들이자, 태종무열왕 김춘추의 아버지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용춘 · 더보기 »

김흠순

흠순(金欽殉, 598년 ~ 680년)은 가야의 왕족 출신으로 신라의 군인 겸 정치가이자 외척이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흠순 · 더보기 »

김인문

인문(金仁問, 629년~694년)은 신라의 왕족이자 문무왕 때의 장군 겸 정치가이고, 태종무열왕의 둘째 아들이며 문무왕의 친동생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인문 · 더보기 »

김종직

종직(金宗直, 1431년 6월 ~ 1492년 8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이며, 성리학자, 정치가, 교육자, 시인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종직 · 더보기 »

김유신

유신(金庾信, 595년 ~ 673년 8월 18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의 군인 겸 정치가이자, 외척이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유신 · 더보기 »

김품일

일(金品日)은 신라 태종 무열왕 때의 장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품일 · 더보기 »

김품석

석(金品釋, ? ~642년)은 고타소공주의 부군으로, 신라장군 김품일의 형으로 김춘추(훗날 태종 무열왕)의 사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품석 · 더보기 »

김서현

서현(金舒玄, 564년 ~ ?)은 가야의 왕족이자, 신라의 군인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서현 · 더보기 »

알 골격 꿩 또는 산계(山鷄)는 꿩류의 동물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꿩 · 더보기 »

대동강

동강(大同江)은 한반도에서 다섯 번째로 큰 강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대흥군의 랑림산맥의 한태령(1,356m)에서 발원하여 평양직할시·남포특별시·황해북도·황해남도를 지나 황해로 흐른.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대동강 · 더보기 »

대리청정

리청정(代理聽政)은 동아시아의 전제군주제 국가, 특히 중국, 조선, 일본에서 임금의 재가(허락)를 받아 임금의 정치 등 여러 일을 대신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섭정).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대리청정 · 더보기 »

대각간

각간(大角干) 혹은 대서발한(大舒發翰)은 신라의 17관등 중 제1등인 각간에다가 대 자까지 붙여서 만든 임시직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대각간 · 더보기 »

대나마

마(大奈麻)은 삼국사기에서 유리 이사금 때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지만 법흥왕 7년(520년)에 율령(律令)을 공포하면서 제정된 신라 시대 17관등 중의 제10등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대나마 · 더보기 »

대아찬

아찬(大阿飡)은 520년(법흥왕 7)에 율령 공포된 신라의 17등 관계(官階) 중의 제5등 관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대아찬 · 더보기 »

대왕의 꿈

《대왕의 꿈》 은 KBS 1TV에서 기획한 삼국시대 영웅전의 세 번째 작품으로, 신라 제26대 진평왕, 제27대 선덕여왕, 제28대 진덕여왕, 제29대 태종무열왕, 제30대 문무왕까지의 치세와 흥무대왕 김유신, 그리고 삼국 말기의 고구려, 백제의 영웅들의 일대기를 재조명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대왕의 꿈 · 더보기 »

구당서

당서(舊唐書)는 당나라(唐)의 정사(正史)로 이십사사(二十四史)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구당서 · 더보기 »

국자감 (중국)

국자감(國子監)이란 중국 수(隋)대 이후의 중앙관학으로서 중국의 고대 교육 체계 최고 학부였.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국자감 (중국) · 더보기 »

군주

주(君主)는 군주제 국가의 국가원수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군주 · 더보기 »

두만강

만강의 위치 두만강 图们江 두만강(豆滿江)은 백두산의 동쪽 기슭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유입되는 강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 국경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러시아 국경 (ru:Российско-северокорейская граница)을 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두만강 · 더보기 »

남북국 시대

북국 시대(南北國時代)는 698년는 1784년에 유득공에 의해 창조된 북부의 만주와 연해주를 중심으로 한 발해의 건국 이후 남부의 한반도에 있는 신라와 공존하던 시대를 일컫는 역사 용어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남북국 시대 · 더보기 »

나제 동맹

제동맹(羅濟同盟)은 백제와 신라의 동맹을 뜻하는 말로서, 신라의 ‘라’와 백제의 ‘제’를 따서 붙인 이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나제 동맹 · 더보기 »

노 (춘추 전국)

원전 5세기의 중국: 노(魯)나라는 지도에서 Lu로 표시되어 있다 노나라(魯, 기원전 1046년 ~ 기원전 256년)는 지금의 취푸시에 위치한 나라로, 주나라 무왕이 아우인 주공 단에게 내린 봉토를 그의 아들인 백금에게 다스리게 하던 제후국으로 주나라의 혈족국가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노 (춘추 전국) · 더보기 »

다이카

이카()는 일본의 연호 중 하나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다이카 · 더보기 »

단군

(檀君 또는 壇君) 또는 단군왕검(檀君王儉)은 한민족의 신화적인 시조이자 고조선의 국조(國祖)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단군 · 더보기 »

당 고종

당 고종(唐 高宗, 628년 7월 21일 ~ 683년 12월 27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3대 황제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당 고종 · 더보기 »

당 중종

당 중종 이현(唐中宗 李顯, 656년: 현경(顯慶) 원년 11월 26일 ~ 710년: 경룡(景龍) 4년 7월 3일)은 당의 제4대 황제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당 중종 · 더보기 »

당 태종

당 태종 이세민(唐 太宗 李世民, 598년: 개황(開皇) 19년 1월 23일 ~ 649년: 정관(貞觀) 23년 7월 10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2대 황제이며 당 고조 이연의 두 번째 아들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당 태종 · 더보기 »

당나라

당(唐, 618년 ~ 907년)은 수나라 멸망 뒤 건국된 중국의 정통왕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당나라 · 더보기 »

요석공주

요석공주(瑤石公主)는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과 보희부인(寶姬夫人)의 딸로 김흠운(金歆運)과 원효(元曉)의 아내이자 설총(薛聰)의 어머니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요석공주 · 더보기 »

자의왕후

자의왕후 김씨(慈儀王后 金氏, ? ~ 681년)는 신라의 제30대 왕인 문무왕의 왕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자의왕후 · 더보기 »

장지연

장지연(張志淵, 1864년 11월 30일 ~ 1921년 10월 2일)은 대한제국의 애국 계몽 운동가 겸 언론인이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장지연 · 더보기 »

장안

장안중심고루유적 장안의 위치 장안에서 발굴된 한나라 시기의 유물 주대부터 청대까지의 시안. 회색은 주의 풍경과 호경, 파란색은 진의 함양과 아방궁, 분홍색은 한대 장안, 빨간색은 당대 장안, 보라색은 송대 경조부, 노란색은 명대 이후의 시안이다. 장안()은 중국의 고도(古都)로 현재 산시 성(陝西省)의 성도(省都) 시안 시(西安市)에 해당.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장안 · 더보기 »

임금

임금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임금 · 더보기 »

평양직할시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평양직할시 · 더보기 »

이덕일

이덕일(李德一, 1961년 10월 7일 ~)은 대한민국의 작가, 언론인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이덕일 · 더보기 »

이동규

이동규(李東珪, 1911년 9월 8일 ~ 1952년)는 일제 강점기 및 해방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활동한 소설가, 극작가, 아동문학가, 평론가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이동규 · 더보기 »

이름

왕족 이름을 뜻한다. 이름은 "이르다"의 명사형으로, 물건, 사람, 장소, 생각, 개념 등을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해 부르는 말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이름 · 더보기 »

이찬 (신라 관직)

이찬(伊湌)은 법흥왕 7년(520년) 에 시행한 신라 17관등(官等)의 제2등으로 잡찬의 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이찬 (신라 관직) · 더보기 »

이천시

200px 이천시(利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이천시 · 더보기 »

이호성 (배우)

이호성(1953년 ~ 현재)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이호성 (배우) · 더보기 »

일길찬

일길찬(一吉飡)은 520년(법흥왕 7년)에 시행한 신라의 관등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일길찬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일연

일연(一然, 속명(본명) 전견명(全見明), 1206년 7월 18일(음력 6월 11일) ~ 1289년 7월 26일(음력 7월 8일))은 고려 충렬왕 때의 승려로, 보각국사(普覺國師).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일연 · 더보기 »

음력 6월

음력 6월(陰曆六月)은 음력에서 여섯 번째 달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음력 6월 · 더보기 »

의자왕

의자왕(義慈王, ?자식 중 하나인 부여융은 615년생이다. 이것으로 보아 595년경에 태어났을 것이다. ~ 660년, 재위: 641년 ~ 660년)은 백제의 마지막 국왕(혹은 31대 국왕)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의자왕 · 더보기 »

을사조약

중명전에 전시된 을사조약 문서 을사조약(乙巳條約) 혹은 제2차 한일 협약(第二次韓日協約)은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의 외부대신 박제순과 일본 제국의 주한 공사 하야시 곤스케에 의해 체결된 불평등 조약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을사조약 · 더보기 »

정명진

정명진(程名振, ? ~ 662년)은 당나라의 장군으로 명주(洺州) 평은현(平恩縣) 사람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정명진 · 더보기 »

정윤석

정윤석(2003년 4월 30일 ~)은 대한민국의 아역 배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정윤석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좌평

좌평(佐平)은 백제의 최고위 관직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좌평 · 더보기 »

죽령

죽령(竹嶺)은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과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경계에 위치한 고개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죽령 · 더보기 »

중화

중화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중화 · 더보기 »

진덕여왕

경주 진덕여왕릉 (사적 24호)진덕여왕(眞德女王, ? ~ 654년, 재위: 647년 ~ 654년) 또는 진덕왕(眞德王) 은 신라 제28대 왕이며 두번째 여왕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진덕여왕 · 더보기 »

진평왕

평왕(眞平王, ? ~ 632년, 재위 579년 ~ 632년)은 신라의 제26대 왕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진평왕 · 더보기 »

진흥왕

흥왕(眞興王, 526년~576년, 재위: 540년~576년)은 신라의 제24대 임금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진흥왕 · 더보기 »

진지왕

왕(眞智王, ? ~ 579년 8월 24일 (음력 7월 17일), 재위: 576년~579년)은 신라의 제25대 임금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진지왕 · 더보기 »

진성여왕

성여왕(眞聖女王, ? ~ 897년 12월 31일 (음력 12월 4일), 재위:887년 ~ 897년 음력 6월 1일)은 신라의 제51대 여왕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진성여왕 · 더보기 »

진서

서(晉書)는 중국 진나라(晉)의 기록을 담은 역사서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진서 · 더보기 »

진한

(辰韓)은 한반도 남부에 있던 삼한(三韓)의 하나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진한 · 더보기 »

지도부인

부인 박씨(知道夫人 朴氏)는 진지왕(眞智王)의 왕후였.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지도부인 · 더보기 »

지소부인

소부인(智炤夫人)은 태종무열왕과 문명왕후의 딸로 김유신의 두 번째 정실 부인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지소부인 · 더보기 »

채상우

상우(蔡相宇, 1999년 3월 31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채상우 · 더보기 »

천리장성

thumb 천리장성(千里長城)은 고구려 또는 고려가 북방 세력이나 중국 세력의 침입을 막기 위해서 지은 것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천리장성 · 더보기 »

천명공주

명공주(天明公主)는 신라 상대(上代)시기의 왕족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천명공주 · 더보기 »

천화공주

화공주(天花公主, ? ~ ?)는 진평왕과 마야부인의 딸로, 등장이 화랑세기(花郞世記)에 제. 처음에 김용수(金龍樹)에게 시집갔으나 그가 천명공주를 아내로 맞게 되어 다시 김용춘에게 시집갔다고 전. 그러나 다시 김용춘이 선덕여왕을 모시게 되자 그녀를 백룡공에게 맡겼다고 전. 김용춘과의 사이에서 아들이 있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천화공주 · 더보기 »

충주시

충주시(忠州市)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충주시 · 더보기 »

충청북도

충청북도(忠淸北道)는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충청북도 · 더보기 »

유승호

유승호(兪承豪 1993년 8월 17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유승호 · 더보기 »

파주 칠중성

중성(七重城)은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구읍리에 위치한 산성(山城)으로, 2002년 1월 29일에 사적 제437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파주 칠중성 · 더보기 »

파진찬

(波珍飡)은 신라의 17관등에서 4등에 해당하는 관등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파진찬 · 더보기 »

벼알 볍쌀() 또는 쌀은 벼의 씨앗에서 껍질을 벗겨 낸 식량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쌀 · 더보기 »

상대등

상대등(上大等)은 신라의 중앙 관제에서 최고위 관직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상대등 · 더보기 »

태조대왕

조대왕(太祖大王, 47년 ~ 165년)은 고구려의 제6대 국왕(재위 53년 ~ 146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태조대왕 · 더보기 »

태종무열왕

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3년~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661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태종무열왕 · 더보기 »

술(酒)은 에탄올을 1% 이상 함유한 음료의 총칭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술 · 더보기 »

혁거세 거서간

혁거세 거서간(赫(爀)居世 居西干, 기원전 69년~기원후 4년, 재위: 기원전 57년~기원후 4년)은 신라의 초대 국왕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혁거세 거서간 · 더보기 »

영남 지방

영남 지방(嶺南地方)은 소백산맥 동남부에 위치한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영남 지방 · 더보기 »

영창부인

보희(金寶姬)는 김유신의 누이이자, 아명은 아해(阿海), 본관은 김해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영창부인 · 더보기 »

영휘

영휘(永徽)는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영휘 · 더보기 »

영화

영화(映畵, film)는 순간을 기록한 장면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기록한 동영상을 같이 기록한 음성과 함께 편집하여 어떤 내용을 전달하게끔 꾸며서 만든 영상물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영화 · 더보기 »

혜공왕

혜공왕(惠恭王, 758년 8월 31일(음력 7월 23일) ~ 780년, 재위: 765년 ~ 780년)은 신라의 제36대 국왕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혜공왕 · 더보기 »

예맥

예맥(濊貊)은 고대 한민족의 종족명으로, 한반도 북부와 중국의 동북부에 살던 한민족(韓民族)의 근간이 되는 민족 중 하나로 보는 게 일반적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예맥 · 더보기 »

최치원

원(崔致遠, 857년 ~ 908년 이후)은 신라 말기의 문신, 유학자, 문장가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최치원 · 더보기 »

최수종

수종(崔秀宗, 1962년 12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최수종 · 더보기 »

역사

역사(歷史)는 오랜 역사, 지난 시대에 남긴 기록물, 이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 등을 가리.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역사 · 더보기 »

연개소문

연개소문(淵蓋蘇文, 617년 ~ 666년 5월)은 고구려 말기의 장군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연개소문 · 더보기 »

연개소문 (드라마)

《연개소문》(淵蓋蘇文)은 2006년 7월 8일 ~ 2007년 6월 17일까지 SBS에서 방영된 대하사극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연개소문 (드라마) · 더보기 »

염장 (586년)

염장(廉長, 586년 ~ 648년)은 신라 진덕여왕 재위 시절의 진골 귀족, 무관, 정치가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염장 (586년) · 더보기 »

풍월주

풍월주(風月主)는 필사본 《화랑세기》에 기록된 화랑도의 수장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풍월주 · 더보기 »

풍왕

풍왕 부여풍(豊王 扶餘豊, 623년?~668년?)은 백제(百濟)의 제32대 국왕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풍왕 · 더보기 »

사도왕후

사도왕후 박씨(思道王后 朴氏, ? ~ 614년 2월)는 신라 진흥왕의 왕후로, 동륜태자와 진지왕의 어머니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사도왕후 · 더보기 »

사대주의

사대주의(事大主義; 영어: flunkyism)는 자율적이지 못하고 자국보다 강한 국가, 세력에 복종하거나 맹목적으로 받아들이려는 주의를 말. 사대주의는 20세기 초반에 국수주의자들이 크고 강한 국가에게만 지나친 관심을 보이는 당시의 지배층들을 비판하기 위해 만든 말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사대주의 · 더보기 »

사찬

사찬(師纂, ? ~ 264년)은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수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사찬 · 더보기 »

삼국기

《삼국기》(三國記)는 대하드라마로 1992년 4월 12일부터 1993년 4월 17일까지 KBS 1TV에서 방영된 50부작 사극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삼국기 · 더보기 »

삼국유사

《삼국유사》(三國遺事)는 고려의 승려인 일연(一然)이 고려 충렬왕 7년(1281년) 에 인각사(麟角寺)에서 편찬한 삼국 시대의 역사서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삼국유사 · 더보기 »

삼국사기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金富軾)이 1145년(인종 23)에 완성한 삼국시대사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삼국사기 · 더보기 »

삼한

3세기 초 삼한의 형세 삼한(三韓)은 삼국 시대 이전 한반도 중남부에 자리 잡고 있던 연맹왕국인 마한(馬韓), 변한(弁韓), 진한(辰韓)을 통칭하는 말로, 청동기 시대에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 성립하였던 진국에 기원을 둔 것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삼한 · 더보기 »

석전대제

석전(釋奠)이란 문묘(文廟)에서 공자(孔子)를 비롯한 선성선현(先聖先賢)에게 제사지내는 의식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석전대제 · 더보기 »

선덕여왕

선덕여왕(善德女王, ? ~ 647년 2월 17일(음력 1월 8일), 재위: 632년 ~ 647년) 또는 선덕왕(善德王) 은 신라의 제27대 왕이며 한국사 최초의 여왕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선덕여왕 · 더보기 »

선덕여왕 (드라마)

《선덕여왕(善德女王)》은 2009년 5월 25일부터 2009년 12월 22일까지 방영된, 한민족 최초의 여왕인 신라 선덕여왕의 일대기를 소재로 한 문화방송의 월화드라마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선덕여왕 (드라마) · 더보기 »

선품공

선품공(善品公, 607년~643년)은 신라의 제21대 풍월주였.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선품공 · 더보기 »

선화공주

선화공주(善花公主)는 삼국유사 기록에 따르면 진평왕의 셋째 딸이자, 무왕의 왕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선화공주 · 더보기 »

설총

설총(薛聰, 658년? ~ ?)은 신라 시대의 대표적인 학자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설총 · 더보기 »

성덕왕

성덕왕(聖德王, ? ~ 737년)은 신라의 제33대 왕(재위: 702년 ~ 737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성덕왕 · 더보기 »

성골과 진골

성골과 진골(聖骨—眞骨)은 신라시대의 신분제인 골품 제도(骨品制度)의 등급으로, 신라 사회의 최고 신분층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성골과 진골 · 더보기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 Sungkyunkwan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 대학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성균관대학교 · 더보기 »

성한 (신라)

성한(星漢, 생몰년 미상) 또는 김성한(金星漢)은 신라 김씨 왕조의 시조로 추정되는 인물로, 성한왕(星漢王), 또는 태조 성한왕(太祖 星漢王)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성한 (신라) · 더보기 »

성왕

성왕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성왕 · 더보기 »

서라벌

서라벌(徐羅伐)은 신라의 수도로, 지금의 경상북도 경주 자리에 있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서라벌 · 더보기 »

손진태

손진태(孫晉泰, 1900년 12월 28일 - ?)는 일제 강점기의 사학자, 민속학자로 호는 남창(南滄), 본관은 밀양이며 경상남도 동래군(현재의 부산광역시) 출신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손진태 · 더보기 »

송영창

송영창(宋永彰, 1958년 4월 2일 ~)은 대한민국의 탤런트 겸 영화 배우, 방송인, 연극배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송영창 · 더보기 »

소정방

소정방(蘇定方, 592년 ~ 667년)은 당나라의 장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소정방 · 더보기 »

애장왕

애장왕(哀莊王, 788년 ~ 809년, 재위: 800년 ~ 809년)은 신라의 제40대 왕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애장왕 · 더보기 »

합천군

합천군(陜川郡)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서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합천군 · 더보기 »

한민족

민족(韓民族)은 한반도와 그 주변의 만주, 연해주 등지에 살면서 공동 문화권을 형성하고 한국어를 사용하는 아시아계 민족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한민족 · 더보기 »

한반도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모양 한반도(韓半島)는 정치지리학적으로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지형학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한반도 · 더보기 »

한강

강(漢江)은 대한민국 강원도 태백시에서 시작하여 한반도 중부를 동에서 서로 관통해 경기도 김포시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개풍군의 경계에서 황해로 유입되는 한국의 주요 하천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한강 · 더보기 »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한국 · 더보기 »

한국방송공사

서울에 있는 KBS 사옥 KBS 업무용차량 KBS 전용차 한국방송공사(韓國放送公社,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공영 방송을 운영하는 기업이며, 대한민국의 재난방송 및 민방위방송 주관방송사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한국방송공사 · 더보기 »

한국인

국인(韓國人)은 대한민국 국적자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적을 가진 사람을 말하며, 정식 국적이 아닌 조선적(朝鮮籍)재일 한국인 가운데 대한민국으로 국적을 변경하지 않은 사람을 말. 연합뉴스, 2014.12.29.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한국인 · 더보기 »

알천

알천(閼川) 활동연대: 636년~654년)은 신라 중기의 문신, 군인, 화랑이다. 신라 선덕여왕·진덕여왕, 태종무열왕 때의 진골 귀족으로 화백회의 의장인 상대등(上大等)을 역임하였다. 진덕여왕 사후에는 대리청정(섭정)으로 추대되었으나 태종 무열왕 김춘추(金春秋)에게 양보하였다. 진주 소씨는 알천을 자신들의 조상으로 보고 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알천 · 더보기 »

안재홍

안재홍(安在鴻, 1891년 12월 30일 ~ 1965년 3월 1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이며 언론인, 역사가, 언어학자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안재홍 · 더보기 »

압록강

'''압록강'''(鴨綠江) 압록강(鴨綠江)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경을 이루는 한반도 북서부의 강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압록강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신라 · 더보기 »

신라 집사부

집사부(執事部)는 651년(진덕 여왕 5년) 신라에서 설치된 국왕 직속의 최고 행정 기관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신라 집사부 · 더보기 »

신라의 역대 국왕

아래는 신라를 다스린 역대 군주의 목록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신라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신라의 삼국통일

신라의 삼국통일(新羅-三國統一)은 한민족의 역사에서 최초의 민족 통일로 간주되는 사건으로, 676년 신라가 한반도의 제국가(諸國家)를 통일한 것을 말. 신라는 가야, 백제, 고구려 등 한반도에 있던 나라들을 차례로 멸망시켜 병합하였고, 676년에 당나라 군대를 대동강 북쪽으로 축출하여 통일을 달성하였.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신라의 삼국통일 · 더보기 »

신문왕

신문왕(神文王, ? ~ 692년, 재위: 681년 ~ 692년)은 신라의 제31대 왕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신문왕 · 더보기 »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신증동국여지승람 · 더보기 »

신채호

신채호(申采浩, 1880년 12월 8일 ~ 1936년 2월 21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사회주의적 아나키스트, 사학자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신채호 · 더보기 »

시일야방성대곡

1905년 11월 20일. 황성신문 2면 사설란에 실린 '시일야방성대곡'.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은 《황성신문》의 주필인 장지연이 1905년 11월 20일 《황성신문》에 올린 글의 제목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시일야방성대곡 · 더보기 »

원효

원효(元曉, 617년 ~ 686년 4월 28일(음력 3월 30일), 경상북도 경산시)는 삼국시대와 신라의 고승이자 철학자, 작가, 시인, 정치가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원효 · 더보기 »

웅진도독부

웅진도독부(熊津都督府)는 660년(의자왕 20년) 백제가 멸망한 뒤 당나라가 그 고지(故地)에 설치한 행정 관청으로, 5도독부의 하나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웅진도독부 · 더보기 »

황산벌

황산벌(黃山벌)은 오늘날의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신양리 및 신암리 일대에 위치해 있던 벌판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황산벌 · 더보기 »

황산벌 전투

황산벌 전투(黃山벌 戰鬪)는 660년 8월 20일 (음력 7월 9일) 황산벌(오늘날의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신양리 및 신암리 일대)에서 백제군과 신라군 사이에 일어났던 전투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황산벌 전투 · 더보기 »

황해

반도 주변 바다의 이름 황해(黃海) 또는 서해(西海))는 태평양의 일부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연안의 바다이다. 황하의 토사가 유입되어 바다의 색깔이 누런 빛을 띠기 때문에 황해(서해)라는 이름이 붙었다. 대한민국에서는 한반도 서쪽에 있는 바다라고 해서 서해라고도 부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서해(朝鮮西海)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프랑스 지도 제작자 당빌이 만든 신중국지도첩(1737년)에 표기된 황해()가 국제 표준으로 쓰인다. 대한민국에서도 교과서나 지도 등에 황해라고 기술하는 경우가 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황해 · 더보기 »

황해도

조선후기 황해도 황해도(黃海道)는 1417년부터 1954년까지 존속한 한반도의 중서부에 있는 도(道)로, 1954년 이후로는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되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황해도 · 더보기 »

16세기 중국에서 작성된 세계지도. 왜(倭)는 일본국(日本國)의 아래에 표기되어있다. 왜(倭) 또는 왜국(倭國, 왜나라)은 중국 등지에서 일본 열도 남서부에 위치했던 고대의 부족국가들을 일컫던 말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왜 · 더보기 »

화랑세기

《화랑세기》(花郞世記)는 김대문에 의해 저술된 신라시대 화랑도의 우두머리인 풍월주의 역사를 기록한 책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화랑세기 · 더보기 »

화백

화백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화백 · 더보기 »

SBS

SBS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방송.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SBS · 더보기 »

1906년

190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1906년 · 더보기 »

1963년

196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1963년 · 더보기 »

1972년

1972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1972년 · 더보기 »

1973년

197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1973년 · 더보기 »

1992년

보스니아 내전으로 파괴된 도서관에서 한 첼리스트가 연주를 하고 있다. 199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1992년 · 더보기 »

1993년

8월 7일 ~ 11월 7일 동안 열린 '''대전엑스포'''를 기념하기 위해 건립된 상징 조형물인 '''한빛탑'''. 199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1993년 · 더보기 »

19세기

세실 존 로드의 케이프-카이로 철도 계획을 풍자한 그림. 영국의 아프리카 남북 분할의 상징이다. 제1차 아편 전쟁의 전투기록화 19세기(- 世紀)는 1801년부터 1900년까지의 기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19세기 · 더보기 »

2003년

200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2003년 · 더보기 »

2006년

200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2006년 · 더보기 »

2007년

20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2007년 · 더보기 »

2009년

20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2009년 · 더보기 »

2011년

201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2011년 · 더보기 »

2012년

201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02년 이후 10년만에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2012년 · 더보기 »

2013년

201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2013년 · 더보기 »

55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554년 · 더보기 »

5월 26일

5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6번째(윤년일 경우 14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5월 26일 · 더보기 »

60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03년 · 더보기 »

64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41년 · 더보기 »

64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42년 · 더보기 »

64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45년 · 더보기 »

64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47년 · 더보기 »

64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48년 · 더보기 »

64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49년 · 더보기 »

65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50년 · 더보기 »

65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51년 · 더보기 »

65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54년 · 더보기 »

65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55년 · 더보기 »

65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56년 · 더보기 »

65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58년 · 더보기 »

65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59년 · 더보기 »

66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60년 · 더보기 »

66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61년 · 더보기 »

66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63년 · 더보기 »

66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68년 · 더보기 »

68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83년 · 더보기 »

6월 18일

6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9번째(윤년일 경우 17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월 18일 · 더보기 »

7월 10일

7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1번째(윤년일 경우 19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7월 10일 · 더보기 »

7월 13일

7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4번째(윤년일 경우 19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7월 13일 · 더보기 »

7월 18일

7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9번째(윤년일 경우 20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7월 18일 · 더보기 »

7월 9일

7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0번째(윤년일 경우 19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7월 9일 · 더보기 »

80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801년 · 더보기 »

89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890년 · 더보기 »

89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893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김인태 (신라), 김인태 (왕족), 김춘추, 무열대왕, 무열왕, 춘추공, 춘추랑, 신라 무열왕, 신라 태종, 신라 태종 무열왕, 신라 태종무열왕, 신라 태종왕, 태종 무열왕.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