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백고좌

색인 백고좌

백고좌(百高座), 백고좌법회(百高座法會) 또는 인왕백고좌도장(仁王百高座道場)은 신라 때의 국가적인 불교 행사의 하나이.

30 처지: 밀교 (불교), 경주 황룡사지, 고려의 불교, 고구려, 불교,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득도, 승관 제도, 인왕경, 진흥왕, 진호, 칠부중, 쿠마라지바, 팔관회, 태현, 수나라, 호국 불교 사상, 혜량, 예원, 헌강왕, 선덕여왕, 소의경전, 신라, 신라의 불교, 원광, 원측, 511년, 613년, 636년, 877년.

밀교 (불교)

밀교(密敎)는 비밀의 가르침이란 뜻으로 문자 언어로 표현된 현교(顯敎)를 초월한 최고심원(最高深遠)한 가르침을 말.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밀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일본에서는 진언종의 구카이(空海)가 불교를 현밀이교(顯密二敎)로 판별하여 금강승, 즉 밀교의 우위를 주장.

새로운!!: 백고좌와 밀교 (불교) · 더보기 »

경주 황룡사지

황룡사(皇龍寺)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었던 사찰로서, 경주에서 가장 컸던 사찰로 알려져 있으나,한국사 > 고대사회의 발전 > 삼국의 성립과 발전 > 고대문화의 발전 > 황룡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현재는 터만 남아 있. 황룡사는 9층 목탑과 장륙상(丈六像)과 더불어 신라 삼보(三寶)의 하나로 유명하였.

새로운!!: 백고좌와 경주 황룡사지 · 더보기 »

고려의 불교

불화 미륵하생경변상도 이 문서는 고려 시대의 불교를 설명.

새로운!!: 백고좌와 고려의 불교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백고좌와 고구려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백고좌와 불교 · 더보기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世界大百科事典)은 2004년 도서출판 범한에서 출판한 백과사전으로, 다음(지금의 카카오)이 라이선스를 사들여 2008년 11월 한국어 위키백과에 기증.

새로운!!: 백고좌와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더보기 »

득도

득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백고좌와 득도 · 더보기 »

승관 제도

승관 제도(僧官制度) 또는 승관제(僧官制)는 신라 불교의 승직제도(僧職制度)로 불교 사원(寺院) 및 교단(敎團)을 통괄하기 위한 제도이.

새로운!!: 백고좌와 승관 제도 · 더보기 »

인왕경

《인왕경(仁王經)》은 동일한 원본의 두 가지 한역 경전인 《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佛說仁王般若波羅蜜經)》(K.19, T.245)와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K.1340, T.246)의 약칭이.

새로운!!: 백고좌와 인왕경 · 더보기 »

진흥왕

흥왕(眞興王, 526년~576년, 재위: 540년~576년)은 신라의 제24대 임금이.

새로운!!: 백고좌와 진흥왕 · 더보기 »

진호

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백고좌와 진호 · 더보기 »

칠부중

7부중(七部衆)은 모든 불제자(佛弟子)들, 즉 불교의 출가자와 비출가자(재가신자)를 망라하는 모든 불자들을 비구비구니사미사미니식차마나우바새우바이의 일곱 대중으로 분류하는 것을 말.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의례와 수행·교단조직 > 교단조직 > 칠중,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칠중: 七衆 도속칠중(道俗七衆)이라고도 하며, 모든 불제자를 7종으로 분류한 것이.

새로운!!: 백고좌와 칠부중 · 더보기 »

쿠마라지바

마라지바() 구마라습, 구마라십, 구마라집,: 344~413)은, 구자국(龜玆國: 현재의 신장 쿠차에 속함) 출신의 불교 사상가이다. 한자로 이름을 적을 때는 구마라시바(鳩摩羅時婆), 구마라기바(拘摩羅耆婆)라고 적기도 하며, 줄여서 나습(羅什), 습(什), 의역하여 동수(童壽)라고도 한다. 중국 후진(後秦) 시대의 장안(長安)에 와서 약 300권의 불교 경전을 한자로 번역한 것으로 유명하며, 그의 불경 번역은 불교 보급에 공헌했을 뿐 아니라 삼론종(三論宗)・성실종(成実宗)의 기초가 되었다. 최초의 삼장법사(三蔵法師)로 불리며, 훗날의 현장(玄奘) 등 많은 삼장이 등장하였다. 쿠마라지바는 현장과 함께 2대 대역성(大訳聖)으로 불리며, 또한 진제(真諦), 불공금강(不空金剛)와 함께 4대 역경가(訳経家)로 꼽기도 한다.

새로운!!: 백고좌와 쿠마라지바 · 더보기 »

팔관회

회(八關會)는 신라 때 시작되어 고려 때까지 이어진 불교 의식(儀式)이.

새로운!!: 백고좌와 팔관회 · 더보기 »

태현

현(太賢)은 일명 대현(大賢)이라고도 하며, 8세기 중엽 신라 경덕왕 때의 승려로, 유가종(瑜伽宗)의 조사이.

새로운!!: 백고좌와 태현 · 더보기 »

수나라

수나라와 그 외 국가 형세 수(隋, 581년 3월 4일 ~ 619년 5월 23일)는 중국 남북조 시대의 혼란을 진정시키고, 서진이 멸망한 후 분열되었던 중국을 약 300년 만에 재통일한 국. 그러나 제2대 황제인 양제 때 폭정으로 인해 약간의 혼란기를 거친 후 멸망하였고, 그 후 당나라가 중국을 재통일하였.

새로운!!: 백고좌와 수나라 · 더보기 »

호국 불교 사상

호국 불교 사상(護國佛敎思想) 또는 호국 사상(護國思想)은 진호국가(鎭護國家), 즉 불교의 교법(敎法)으로 난리와 외세를 진압하고 나라를 지킨다는 불교 사상으로 다른 불교 국가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은 한국 특유의 불교 사상이.

새로운!!: 백고좌와 호국 불교 사상 · 더보기 »

혜량

혜량(惠亮: fl. 551)은 6세기 경의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백고좌와 혜량 · 더보기 »

예원

예원의 후신팅 예원()은 상하이 구시가지 푸시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명청시대의 양식을 가지고 있는 정원이.

새로운!!: 백고좌와 예원 · 더보기 »

헌강왕

경주 남산 기슭의 헌강왕릉 (사적 187호) 헌강왕(憲康王, ? ~ 886년, 재위: 875년 ~ 886년)은 신라의 제49대 왕이.

새로운!!: 백고좌와 헌강왕 · 더보기 »

선덕여왕

선덕여왕(善德女王, ? ~ 647년 2월 17일(음력 1월 8일), 재위: 632년 ~ 647년) 또는 선덕왕(善德王) 은 신라의 제27대 왕이며 한국사 최초의 여왕이.

새로운!!: 백고좌와 선덕여왕 · 더보기 »

소의경전

소의경전(所依經典)이란 불교 경전으로서 신행(信行)을 비롯하여 교의적(敎義的)으로 의거하는 근본 경전이.

새로운!!: 백고좌와 소의경전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백고좌와 신라 · 더보기 »

신라의 불교

신라의 불교에 대한 전래 기록으로는, 제13대 미추왕(味鄒王) 2년(263)에 고구려의 승려아도(阿道)가 와서 불교를 전했다는 설, 19대 눌지왕(訥祗王: 재위 417∼458) 때 고구려의 승려 묵호자(墨胡子)가 모례(毛禮)의 집에 머물러 불교를 선양했다는 설, 21대 소지왕(炤知王: 재위 479∼500) 때 승려 아도(我道)가 시자(侍者) 3인과 같이 모례(毛禮)의 집에 있다가 아도는 먼저 가고 시자들은 포교했다는 설 등이 있으나 어느 것이 맞는지 알 수 없. 이와 같이 불교의 전래에 대한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민승(民僧)이 들어와 공식외교를 통하지 않고 포교를 한 것이 고구려와 백제의 불교 와의 차이점이.

새로운!!: 백고좌와 신라의 불교 · 더보기 »

원광

원광(圓光, 542년 ~ 640년)은 신라 진평왕 시대의 유명한 승려이자 학자이.

새로운!!: 백고좌와 원광 · 더보기 »

원측

원측(圓測, 613년~696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백고좌와 원측 · 더보기 »

51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백고좌와 511년 · 더보기 »

61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백고좌와 613년 · 더보기 »

63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백고좌와 636년 · 더보기 »

87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백고좌와 877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백고강좌, 백고강좌회, 백고좌 강회, 백고좌도장, 백고좌법회, 백고좌인왕도장, 백고좌회, 백좌강회, 백좌도장, 백좌법석, 백좌인왕경도장, 백좌인왕도장, 백좌인왕회, 백좌회, 인왕경도장, 인왕도장, 인왕백고좌도장, 인왕백고좌법회, 인왕백좌도장.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