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심순경

색인 심순경

심순경(沈順徑, 1462년 ~ 1542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이자 공신이.

51 처지: 돈녕부, 류순정, 명나라, 박원종, 강화, 베이징 시, 경상도, 경연, 병마절도사, 병조, 길주군, 교동도, 내자시, 전라도, 정국공신, 조선, 조선 중종, 조선 연산군, 조선 성종, 조선 세조, 조선 세종, 좌의정, 중종반정, 청송 심씨, 충청도, 수군절도사, 영의정, 성희안, 함경도, 한성부, 심덕부, 심달원, 심회, 심정 (1471년), 심온, 심연원, 심통원, 1462년, 1492년, 1506년, 1508년, 1512년, 1514년, 1520년, 1521년, 1525년, 1526년, 1527년, 1528년, 1534년, ..., 1542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 더) »

돈녕부

녕부(敦寧府)는 조선 시대의 왕과 왕비의 친인척을 관리하던 관청이.

새로운!!: 심순경와 돈녕부 · 더보기 »

류순정

순정 영정 류순정 (柳順汀, 1459년 ~ 151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성리학자이자 사림파 정치인의 한사람으로 1506년의 중종 반정에 참여하였.

새로운!!: 심순경와 류순정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심순경와 명나라 · 더보기 »

박원종

박원종(朴元宗, 1467년 ~ 1510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武臣) 겸 정치가(政治家)로 자는 백윤, 시호는 무열로 본관은 순천이.

새로운!!: 심순경와 박원종 · 더보기 »

강화

강화는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심순경와 강화 · 더보기 »

베이징 시

베이징(북경)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이.

새로운!!: 심순경와 베이징 시 · 더보기 »

경상도

경상도 경상도(慶尙道)는 경상남도, 경상북도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영남 지방(嶺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심순경와 경상도 · 더보기 »

경연

명 신종 경연 경연(經筵)은 왕에게 유학의 경서(經書)와 사서(史書)를 진강(進講)해 드리고 논의(論議)를 받는 학술제도이.

새로운!!: 심순경와 경연 · 더보기 »

병마절도사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는 조선시대 각도의 육군을 지휘하는 책임을 맡은 종2품 무관직으로 병사.

새로운!!: 심순경와 병마절도사 · 더보기 »

병조

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심순경와 병조 · 더보기 »

길주군

주군(吉州郡)은 함경북도에 있는 군이.

새로운!!: 심순경와 길주군 · 더보기 »

교동도

동도(喬桐島)는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의 북서쪽, 38선 근처 황해상에 있는 섬으로 강화도보다 서쪽에 있. 행정구역상으로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에 속해 있. 2014년 완공된 교동대교를 통해 강화도와 연결되어 있으며, 민간인출입통제구역 이기는 하나 누구나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

새로운!!: 심순경와 교동도 · 더보기 »

내자시

자시(內資寺)는 호조에 속한 관서였.

새로운!!: 심순경와 내자시 · 더보기 »

전라도

전라도(全羅道)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남 지방(湖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심순경와 전라도 · 더보기 »

정국공신

정국공신(靖國功臣)은 조선 중종 때인 1506년 중종 반정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작위이.

새로운!!: 심순경와 정국공신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심순경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중종

중종(中宗, 1488년 4월 16일 (음력 3월 5일) ~ 1544년 11월 29일 (음력 11월 15일), 재위: 1506년~1544년)은 조선의 제11대 왕이.

새로운!!: 심순경와 조선 중종 · 더보기 »

조선 연산군

연산군(燕山君, 1476년 11월 23일 (음력 11월 7일) ~ 1506년 11월 20일 (음력 11월 6일), 재위 1494년 ~ 1506년)은 조선의 제10대 왕이.

새로운!!: 심순경와 조선 연산군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심순경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심순경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심순경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심순경와 좌의정 · 더보기 »

중종반정

중종반정(中宗反正)은 1506년 9월 18일(음력 9월 2일) 연산군이 폐위되고 진성대군 이역(李懌)이 옹립된 사건을 말.

새로운!!: 심순경와 중종반정 · 더보기 »

청송 심씨

청송 심씨(靑松 沈氏)는 경상북도 청송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심순경와 청송 심씨 · 더보기 »

충청도

조선후기 충청도 충청도(忠淸道)는 충청남도, 충청북도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서 지방(湖西地方)에 해당.

새로운!!: 심순경와 충청도 · 더보기 »

수군절도사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는 조선시대의 정3품 당상관으로 수군(水軍)을 통제하였.

새로운!!: 심순경와 수군절도사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심순경와 영의정 · 더보기 »

성희안

성희안(成希顔, 1461년 1월 ~ 1513년 7월)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작가, 외교관으로 자는 우옹(愚翁), 호는 인재(仁齋), 시호는 충정, 본관은 창녕이.

새로운!!: 심순경와 성희안 · 더보기 »

함경도

조선후기 함경도 함경도(咸鏡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심순경와 함경도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심순경와 한성부 · 더보기 »

심덕부

심덕부(沈德符, 1328년 ~ 1401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무신, 공신이.

새로운!!: 심순경와 심덕부 · 더보기 »

심달원

심달원(沈達源, 1494년 ~ 1535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자용(子容)이.

새로운!!: 심순경와 심달원 · 더보기 »

심회

심회(沈澮, 1418년 ~ 1493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심순경와 심회 · 더보기 »

심정 (1471년)

심정(沈貞, 1471년 양력 11월 7일(음력 윤 9월 25일) ~ 1531년 12월 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공신으로, 자는 정지(貞之), 호는 소요정(逍遙亭), 시호는 문정(文靖)이고, 봉군호(封君號)는 화천군(花川君)에 봉군되었다가 부원군으로 진봉되어 화천부원군(花川府院君)이 되었.

새로운!!: 심순경와 심정 (1471년) · 더보기 »

심온

심온(沈溫, 1375년 ~ 1419년 1월 18일 (1418년 음력 12월 23일))은 고려 시대 말기와 조선 시대 초기의 문신이자, 세종의 국구이.

새로운!!: 심순경와 심온 · 더보기 »

심연원

심연원(沈連源, 1491년 ~ 1558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외척이.

새로운!!: 심순경와 심연원 · 더보기 »

심통원

심통원(沈通源, 1499년 ~ 1572년 7월 8일)은 조선 중기의 권신, 척신이.

새로운!!: 심순경와 심통원 · 더보기 »

146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순경와 1462년 · 더보기 »

149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순경와 1492년 · 더보기 »

150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순경와 1506년 · 더보기 »

150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순경와 1508년 · 더보기 »

151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순경와 1512년 · 더보기 »

151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순경와 1514년 · 더보기 »

152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순경와 1520년 · 더보기 »

152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순경와 1521년 · 더보기 »

152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순경와 1525년 · 더보기 »

152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순경와 1526년 · 더보기 »

152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순경와 1527년 · 더보기 »

152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순경와 1528년 · 더보기 »

153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순경와 1534년 · 더보기 »

154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순경와 1542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