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심연원

색인 심연원

심연원(沈連源, 1491년 ~ 1558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외척이.

68 처지: 돈녕부, 갑자사화, 경상도, 공신, 병조, 관찰사, 김안국, 군기시, 우의정, 우찬성, 인문 계열, 인종실록, 인순왕후, 의금부, 의정부, 의주군, 을묘왜변, 을사사화, 제주, 조선, 조선 명종, 조선 중종, 조선 연산군, 조선 선조, 조선 세조, 좌의정, 좌찬성, 좌참찬, 종묘, 종묘배향공신, 중종실록, 청송 심씨, 춘추관, 영돈녕부사, 영의정, 영중추부사, 호조, 예조, 사간원, 사복시, 사역원, 사헌부, 성균관, 서인, 소헌왕후, 한성부, 심덕부, 심강, 심달원, 심회, ..., 심의겸, 심충겸, 심온, 심통원, 시호, 1491년, 1516년, 1522년, 1526년, 1542년, 1545년, 1548년, 1549년, 1550년, 1551년, 1555년, 1557년, 1558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8 더) »

돈녕부

녕부(敦寧府)는 조선 시대의 왕과 왕비의 친인척을 관리하던 관청이.

새로운!!: 심연원와 돈녕부 · 더보기 »

갑자사화

갑자사화 (甲子士禍)는 1504년(연산군 10년)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 윤씨의 복위 문제로 인하여 일어난 사화이.

새로운!!: 심연원와 갑자사화 · 더보기 »

경상도

경상도 경상도(慶尙道)는 경상남도, 경상북도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영남 지방(嶺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심연원와 경상도 · 더보기 »

공신

공신은 나라에 공이 있는 자에게 군주가 등수를 내려 매기는 작호이.

새로운!!: 심연원와 공신 · 더보기 »

병조

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심연원와 병조 · 더보기 »

관찰사

사(觀察使)는, 중국 당대(唐代)에서 비롯하여 훗날 한국의 조선(朝鮮), 나아가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초기 일본에도 설치되었던 지방행정 감찰을 맡은 관직이.

새로운!!: 심연원와 관찰사 · 더보기 »

김안국

안국(金安國, 1478년 (성종 9년) 9월 2일 (음력 8월 6일) ~ 1543년 (중종 38년) 2월 7일 (음력 1월 4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심연원와 김안국 · 더보기 »

군기시

시(軍器寺)는 고려, 조선 시대에, 병기, 기치, 융장, 집물 따위의 제조를 맡아보던 관아로, 방위사업청과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오늘날의 서울시청 자리에 있었.

새로운!!: 심연원와 군기시 · 더보기 »

우의정

우의정(右議政)은 의정부 3의정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이.

새로운!!: 심연원와 우의정 · 더보기 »

우찬성

우찬성(右贊成)은 종1품 숭정대부와 숭록대부에 해당되는 조선 시대의 관직이.

새로운!!: 심연원와 우찬성 · 더보기 »

인문 계열

인문 계열은 인문과학, 사회과학을 필두로 하여 인간 사회의 문화와 사회 질서 및 역사와 그 문화에 따른 언어학(영어, 한글)을 탐구 및 연구하는 교육 과정을 의미.

새로운!!: 심연원와 인문 계열 · 더보기 »

인종실록

《인종영정헌문의무장숙흠효대왕실록》(仁宗榮靖獻文懿武章肅欽孝大王實錄)은 조선왕조실록의 한 부분으로, 인종 연간의 역사를 기록한 책이.

새로운!!: 심연원와 인종실록 · 더보기 »

인순왕후

인순왕후 심씨(仁順王后 沈氏, 1532년 6월 27일/음력 5월 25일 ~ 1575년 2월 12일/음력 1월 2일)는 조선의 제13대 국왕인 명종의 정비(正妃)이.

새로운!!: 심연원와 인순왕후 · 더보기 »

의금부

의금부 터 의금부(義禁府)는 고려와 조선의 수사기관이.

새로운!!: 심연원와 의금부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심연원와 의정부 · 더보기 »

의주군

의주군(義州郡)은 평안북도 북서쪽의 압록강에 접한 행정구역이.

새로운!!: 심연원와 의주군 · 더보기 »

을묘왜변

을묘왜변(乙卯倭變)은 1555년(조선 명종 10년) 조선 명종 때 일어난 왜구의 습격이.

새로운!!: 심연원와 을묘왜변 · 더보기 »

을사사화

을사사화(乙巳士禍)는 1545년(명종 즉위년) 조선 왕실의 외척인 대윤(大尹)·소윤(小尹)의 반목으로 일어난 사림(士林)의 화옥(禍獄)으로 소윤이 대윤을 몰아낸 사건이.

새로운!!: 심연원와 을사사화 · 더보기 »

제주

제주는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심연원와 제주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심연원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명종

명종(明宗, 1534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1567년 8월 2일 (음력 6월 28일))은 조선의 제13대 임금이.

새로운!!: 심연원와 조선 명종 · 더보기 »

조선 중종

중종(中宗, 1488년 4월 16일 (음력 3월 5일) ~ 1544년 11월 29일 (음력 11월 15일), 재위: 1506년~1544년)은 조선의 제11대 왕이.

새로운!!: 심연원와 조선 중종 · 더보기 »

조선 연산군

연산군(燕山君, 1476년 11월 23일 (음력 11월 7일) ~ 1506년 11월 20일 (음력 11월 6일), 재위 1494년 ~ 1506년)은 조선의 제10대 왕이.

새로운!!: 심연원와 조선 연산군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심연원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심연원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심연원와 좌의정 · 더보기 »

좌찬성

좌찬성(左贊成)은 의정부 2찬성 가운데 하나로 종1품에 해당되는 조선조 의정부의 관직이었.

새로운!!: 심연원와 좌찬성 · 더보기 »

좌참찬

좌참찬(左參贊)은 조선시대 의정부에 소속된 정2품 관직이고, 정원은 1명이.

새로운!!: 심연원와 좌참찬 · 더보기 »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새로운!!: 심연원와 종묘 · 더보기 »

종묘배향공신

종묘종사공신은 조선시대 종묘에 종사된 공신들을 말. 왕통(王通)을 상징하는 종묘에는 국왕의 신주와 함께 생전의 최고의 공로 내지는 최고 권세가를 택하여 묘정에 종사하고 부제(祔祭)를.

새로운!!: 심연원와 종묘배향공신 · 더보기 »

중종실록

《중종공희휘문소무흠인성효대왕실록》(中宗恭僖徽文昭武欽仁誠孝大王實錄) 또는 《중종실록》(中宗實錄)은 1506년 음력 9월부터 1544년 음력 12월까지 조선 중종 시대의 사실을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심연원와 중종실록 · 더보기 »

청송 심씨

청송 심씨(靑松 沈氏)는 경상북도 청송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심연원와 청송 심씨 · 더보기 »

춘추관

(春秋館)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관청이.

새로운!!: 심연원와 춘추관 · 더보기 »

영돈녕부사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는 조선 시대 돈녕부의 장관이었.

새로운!!: 심연원와 영돈녕부사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심연원와 영의정 · 더보기 »

영중추부사

영중추부사는 조선시대 중추부에 두었던 정1품 관직이.

새로운!!: 심연원와 영중추부사 · 더보기 »

호조

호조(戶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심연원와 호조 · 더보기 »

예조

예조(禮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심연원와 예조 · 더보기 »

사간원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

새로운!!: 심연원와 사간원 · 더보기 »

사복시

사복시(司僕寺)는 조선시대 왕이 타는 말, 수레 및 마구와 목축에 관한 일을 맡던 관청이.

새로운!!: 심연원와 사복시 · 더보기 »

사역원

사역원(司譯院)은 조선 태조 2년(1393년)에 설립된 외국어 교육 기관이자 통·번역 사무와 실무를 맡던 관청이.

새로운!!: 심연원와 사역원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새로운!!: 심연원와 사헌부 · 더보기 »

성균관

성균관(成均館)은 한국의 옛 대학(大學)으로 그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 국학(國學)을 성균관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

새로운!!: 심연원와 성균관 · 더보기 »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새로운!!: 심연원와 서인 · 더보기 »

소헌왕후

소헌왕후 심씨(昭憲王后 沈氏, 1395년 10월 12일 (음력 9월 28일) ~ 1446년 4월 19일 (음력 3월 24일))는 조선 세종의 왕비이.

새로운!!: 심연원와 소헌왕후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심연원와 한성부 · 더보기 »

심덕부

심덕부(沈德符, 1328년 ~ 1401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무신, 공신이.

새로운!!: 심연원와 심덕부 · 더보기 »

심강

심강(沈鋼, 1514년 ~ 156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명종의 국구(장인)로, 인순왕후의 아버지이.

새로운!!: 심연원와 심강 · 더보기 »

심달원

심달원(沈達源, 1494년 ~ 1535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자용(子容)이.

새로운!!: 심연원와 심달원 · 더보기 »

심회

심회(沈澮, 1418년 ~ 1493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심연원와 심회 · 더보기 »

심의겸

심의겸(沈義謙, 1535년 ~ 158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척신이.

새로운!!: 심연원와 심의겸 · 더보기 »

심충겸

심충겸(沈忠謙, 1545년 ∼ 159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인순왕후의 동생이.

새로운!!: 심연원와 심충겸 · 더보기 »

심온

심온(沈溫, 1375년 ~ 1419년 1월 18일 (1418년 음력 12월 23일))은 고려 시대 말기와 조선 시대 초기의 문신이자, 세종의 국구이.

새로운!!: 심연원와 심온 · 더보기 »

심통원

심통원(沈通源, 1499년 ~ 1572년 7월 8일)은 조선 중기의 권신, 척신이.

새로운!!: 심연원와 심통원 · 더보기 »

시호

시호(諡號)는 죽은 인물에게 국가에서 내려주거나 죽은 군주에게 다음 군주가 올리는 특별한 이름으로, 동양의 군주제 국가에서 시행되었.

새로운!!: 심연원와 시호 · 더보기 »

149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연원와 1491년 · 더보기 »

151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연원와 1516년 · 더보기 »

152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연원와 1522년 · 더보기 »

152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연원와 1526년 · 더보기 »

154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연원와 1542년 · 더보기 »

154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연원와 1545년 · 더보기 »

154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연원와 1548년 · 더보기 »

154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연원와 1549년 · 더보기 »

155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연원와 1550년 · 더보기 »

155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연원와 1551년 · 더보기 »

155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연원와 1555년 · 더보기 »

155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연원와 1557년 · 더보기 »

155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연원와 1558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보암 심연원, 충혜공 심연원.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