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신채호

색인 신채호

신채호(申采浩, 1880년 12월 8일 ~ 1936년 2월 21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사회주의적 아나키스트, 사학자이.

191 처지: 러시아 제국, 랴오닝성, 데라우치 마사타케, 독립운동, 독립협회, 동상, 동아일보, 로마 제국 쇠망사, 뤼순 감옥, 뤼순커우 구, 만주국, 묘청의 난, 미산 시, 민족주의, 민족사학, 갑신정변, 박용만, 박자혜, 박은식, 가명, 밀양 박씨, 거제도, 건국훈장,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목록, 베이징 시, 고령 신씨, 고구려, 과거제, 권업회, 블라디보스토크, 김부식, 김규식, 김원봉, 대덕군, 대승기신론, 대전광역시, 대한매일신보,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 정부, 국민대표회의, 국적, 둥베이, 낭성면, 뇌졸중, 다롄 시, 단둥 시, 용과 용의 대격전, 우유, 회덕군, ..., 자치통감, 자유시 참변, 장도빈, 장지연, 폭력, 평안북도, 이광수, 이승만, 이회영, 이순신, 일제 강점기, 의열단, 흑룡강신문, 을지문덕, 을사조약, 정주, 조선, 조선 세조, 조선일보, 조선총독부, 조선상고사, 조선혁명선언, 조선사론, 조선사연구초, 조소앙, 중구 (대전광역시), 중앙인민방송국, 중화인민공화국, 진관사, 청주시, 청원군, 충청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추증, 칭다오 시, 치안유지법, 유교, 유자명, 윤세복, 상당구, 상해임시정부, 상하이 시, 타이완, 영어, 영양실조, 오산학교, 호 (이름), 최영, 에드워드 기번, 여운형, 풍양 조씨, 사간원, 사고전서, 사회적 아나키즘, 사헌부, 사서오경, 산성동 (대전), 삼국사기, 성리학, 성균관, 서울가정법원, 토머스 칼라일, 소련, 한문, 안재홍, 안창호, 필명, 아나키즘, 테러, 식민사관, 신민회, 신간회, 신규식, 신기선 (1851년), 신숙주, 신한청년당, 시대일보, 시일야방성대곡, 홍명희, 황성신문, 10월 16일, 12월 11일, 12월 8일, 1829년, 1843년, 1849년, 1867년, 1872년, 1880년, 1887년, 1888년, 1893년, 1895년, 1897년, 1898년, 1899년, 1904년, 1905년, 1907년, 1908년, 1909년, 1910년, 1911년, 1912년, 1913년, 1914년, 1915년, 1916년, 1919년, 1920년, 1921년, 1922년, 1923년, 1924년, 1925년, 1927년, 1928년, 1929년, 1930년, 1931년, 1935년, 1936년, 1941년, 1942년, 1944년, 1945년, 1950년, 1953년, 1962년, 1991년, 1월 15일, 2008년, 2009년, 2월 18일, 2월 21일, 3·1 운동, 3월, 4월 11일, 5월 10일, 6월 7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41 더) »

러시아 제국

시아 제국의 국가 깃발 러시아 제국(문자 개혁 이전: Pоссiйская Имперiя) 혹은 제정 러시아(帝政 러시아)는 표트르 대제가 1721년에 세운 군주제 국가였.

새로운!!: 신채호와 러시아 제국 · 더보기 »

랴오닝성

오닝 성(요녕성,, 문화어·조선말: 료녕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북부의 성이다.

새로운!!: 신채호와 랴오닝성 · 더보기 »

데라우치 마사타케

우치 마사타케(가에이 5년 음력 2월 5일(1852년 2월 24일) ~ 다이쇼 8년(1919년) 11월 3일)는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 정치가, 외교관이.

새로운!!: 신채호와 데라우치 마사타케 · 더보기 »

독립운동

독립운동(獨立運動,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또는 해방운동(解放運動)은 어떤 국가 또는 세력의 직·간접적인 지배를 받는 지역에서 자치권 등의 권한을 얻거나, 스스로의 국가 또는 세력을 세우기 위해 벌이는 모든 행위를 말. 그러므로 국가의 독립은 기존 국가에 속한 일부 지역이나 타국의 지배하에 있던 영역이, 그 지배를 벗어나 새로운 국가로 성립하는 것을 의미.

새로운!!: 신채호와 독립운동 · 더보기 »

독립협회

독립협회에 모인 민중들 독립협회(獨立協會)는 1896년 7월 2일 설립된 조선과 대한제국의 시민사회단체이.

새로운!!: 신채호와 독립협회 · 더보기 »

동상

동상(凍傷, frostbite)은 피부와 다른 조직들이 극심한 추위로 인해 일부 부위에 상해를 입는 일을 가리.

새로운!!: 신채호와 동상 · 더보기 »

동아일보

《동아일보》(東亞日報, Dong-A Ilbo)는 신문 발행 업체인 동아일보사가 서울에서 발행하는 대한민국의 일간 신문이.

새로운!!: 신채호와 동아일보 · 더보기 »

로마 제국 쇠망사

《로마 제국 쇠망사》(로마帝國衰亡史)(The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는 영국의 역사가 에드워드 기번이 쓴 역사책이.

새로운!!: 신채호와 로마 제국 쇠망사 · 더보기 »

뤼순 감옥

순감옥() 또는 뤼순형무소는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 성 뤼순 시 뤼순커우 구에 있었던 감옥이.

새로운!!: 신채호와 뤼순 감옥 · 더보기 »

뤼순커우 구

청대의 해방 포대 뤼순의 진주 양식 해변 근처의 뤼순 시가지 옛 관동군 사령부 뤼순커우 구(여순구,) 는 중화 인민 공화국 랴오닝 성 다롄 시의 행정구역이.

새로운!!: 신채호와 뤼순커우 구 · 더보기 »

만주국

만주국의 영역 만주국()은 일본 제국이 만주 사변 직후부터 만주 지역에 세운 괴뢰국가였.

새로운!!: 신채호와 만주국 · 더보기 »

묘청의 난

묘청의 난(妙淸-亂, 1135년 1월 19일(음력 1월 4일) ~ 1136년)은 고려 인종 때 승려 묘청 등이 금국정벌론과 서경천도론이 개경 귀족들의 방해로 무산되자 서경(西京)에서 국호를 대위(大爲), 연호를 천개(天開), 군호(軍號)를 천견충의군(天遣忠義軍)이라 하여 대위국(大爲國)을 선언하고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신채호와 묘청의 난 · 더보기 »

미산 시

미산 시() 는 중화 인민 공화국 헤이룽장 성 지시 시의 행정구역이.

새로운!!: 신채호와 미산 시 · 더보기 »

민족주의

민족주의(民族主義) 또는 혈통적 국민주의()는 민족(ethnic group)에 대해 가지는 소속감이나 애착심, 그리고 그것을 강조하려는 생각이나 정치적 운동을 말. 대표적인 예로 1992년 독립을 선포한 압하스인들의 자신들의 민족만의 나라를 건설하고 이민족의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한 압하지야 공화국이나 근대 이탈리아와 독일에서 일어난 통일 국가 수립 운동이 있.

새로운!!: 신채호와 민족주의 · 더보기 »

민족사학

민족사학(民族史學)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 첫째, 일제강점기 한민족의 우수성과 자율 주체적인 발전을 강조하고 민족사의 기원을 밝힌 국사학의 한 이념을 말. 역사관으로서의 성격과 함께 재야사학과 연결되는 경향이 있. 이는 근대적인 국민(nation) 개념에 입각한 역사관으로 단재 신채호 이래 독립운동기의 학자들과 20세기 중반 군사정권의 조국근대화 시기에 국민만들기(nation-building)에 동원된 학자들로 양분할 수 있. 두 번째로는 ethnohistory에 대한 번역술어로서 이는 독일 민족학(ethnology)과 독일 역사학이 결합하여 탄생한 분야로 미국의 역사인류학과 유사.

새로운!!: 신채호와 민족사학 · 더보기 »

갑신정변

김옥균 홍영식 갑신정변(甲申政變) 또는 갑신혁명(甲申革命)은 1884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쿠데타)이.

새로운!!: 신채호와 갑신정변 · 더보기 »

박용만

박용만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신채호와 박용만 · 더보기 »

박자혜

박자혜(朴慈惠, 1895년 12월 11일 ~ 1943년 10월 16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신채호와 박자혜 · 더보기 »

박은식

박은식(朴殷植, 1859년 10월 25일(음력 9월 30일) ~ 1925년 11월 1일)은 일제 강점기의 학자, 언론인, 독립운동가, 교육자, 애국계몽운동가, 정치가이.

새로운!!: 신채호와 박은식 · 더보기 »

가명

명(假名)은 본명 대신 특별한 목적으로 사용된 이름이.

새로운!!: 신채호와 가명 · 더보기 »

밀양 박씨

밀양 박씨(密陽 朴氏)는 경상남도 밀양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신채호와 밀양 박씨 · 더보기 »

거제도

제도(巨濟島)는 경상남도 거제시의 주도(主島)로, 대한민국에서 2번째로 큰 섬이.

새로운!!: 신채호와 거제도 · 더보기 »

건국훈장

여운형의 건국훈장 훈장증 건국훈장(建國勳章)은 〈상훈법〉 제11조에 따라 대한민국의 건국에 공로가 뚜렷하거나, 국가의 기초를 공고히 하는 데에 이바지한 공적이 뚜렷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대한민국의 훈장이.

새로운!!: 신채호와 건국훈장 · 더보기 »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목록

민국의 독립에 끼친 공로를 인정받아 건국훈장 중 대통령장(大統領章)을 받은 독립유공자를 다룬 문서이.

새로운!!: 신채호와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목록 · 더보기 »

베이징 시

베이징(북경)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이.

새로운!!: 신채호와 베이징 시 · 더보기 »

고령 신씨

령 신씨(高靈 申氏)는 경상북도 고령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신채호와 고령 신씨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신채호와 고구려 · 더보기 »

과거제

북송의 과거 과거(科擧)는 중국과 한국 등에서 시험을 치러서 관리를 뽑는 제도이.

새로운!!: 신채호와 과거제 · 더보기 »

권업회

업회(勸業會)는 연해주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항일독립운동 단체이.

새로운!!: 신채호와 권업회 · 더보기 »

블라디보스토크

블라디보스토크(중국조선말: 블라지보스또크)는 러시아의 도시이.

새로운!!: 신채호와 블라디보스토크 · 더보기 »

김부식

부식(金富軾, 1075년 ~ 1151년)은 《삼국사기》를 쓴 고려 시대 학자·문신·역사가이.

새로운!!: 신채호와 김부식 · 더보기 »

김규식

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

새로운!!: 신채호와 김규식 · 더보기 »

김원봉

원봉(金元鳳, 1898년 9월 28일 (음력 8월 13일) ~ 1958년)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신채호와 김원봉 · 더보기 »

대덕군

덕군(大德郡)은 1935년 10월 1일부터 1988년 12월 31일까지 존속하였던 충청남도의 행정 구역이었.

새로운!!: 신채호와 대덕군 · 더보기 »

대승기신론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은 대승불교의 논서이.

새로운!!: 신채호와 대승기신론 · 더보기 »

대전광역시

전광역시(大田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신채호와 대전광역시 · 더보기 »

대한매일신보

매일신보 창간호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는 1904년 2월에 일어난 러일 전쟁을 취재하기 위해 대한제국에 왔던 영국인 어니스트 베델이 양기탁을 비롯해 민족 진영 인사들에게 도움받아 1904년 7월 18일에 창간한 신문으로서 일제시대의 매일신보와 현재 서울신문의 전신이.

새로운!!: 신채호와 대한매일신보 · 더보기 »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國家報勳處,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약칭: 보훈처, MPVA)는 국가유공자 및 그 유족에 대한 보훈, 제대군인의 보상·보호 및 보훈선양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신채호와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 더보기 »

대한민국 임시 정부

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1919년 ~ 1948년)는 1919년 3월 1일 경성(京城)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1919년 4월 11일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정부이.

새로운!!: 신채호와 대한민국 임시 정부 · 더보기 »

대한민국 정부

정부서울청사 대한민국 정부(大韓民國 政府)는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의 헌법기관으로 구성되어 있. 넓은 의미로는 이 3부 기관을 통틀어 일컫는 개념이지만, 좁은 의미로는 행정부만을 일컫.

새로운!!: 신채호와 대한민국 정부 · 더보기 »

국민대표회의

국민대표회의는 1923년 중국 상하이 인민정부대례당에서 개최된 한국의 독립운동 계파간의 회의를 말. 이 회의에 모인 국내외 단체의 대표들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진로를 비롯한 독립운동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

새로운!!: 신채호와 국민대표회의 · 더보기 »

국적

국적(國籍, Nationality)은 국가의 구성원이 되는 자격을 말. 국가를 구성하는 3대 요소(국토, 주권, 국민) 중 하나인 국민은 일정한 자격을 갖춘 사람에게 국적을 부여함으로써 만들어.

새로운!!: 신채호와 국적 · 더보기 »

둥베이

둥베이(东北) 지방 둥베이(동북.) 또는 둥베이 3성(동북三省)은 중국의 6대 중국지리대구(中國地理大區)의 하나로서 동북부 지역을 말. 과거에는 만주()로 불렸던 지역이.

새로운!!: 신채호와 둥베이 · 더보기 »

낭성면

낭성면(琅城面)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의 면이.

새로운!!: 신채호와 낭성면 · 더보기 »

뇌졸중

졸중(腦卒中, stroke, apoplexy),, 腦卒症)은 뇌혈류 이상으로 인해 갑작스레 유발된 국소적인 신경학적 결손 증상을 통칭하는 말이다. 뇌졸중은 증상에 대한 용어로서, 의학적인 질병으로 칭할 때에는 뇌혈관 질환(腦血管疾患, cerebrovascular accident, 줄여서 CVA)이라고 한다. 미국에서는 cerebrovascular stroke이라고 한다. 한의학적인 표현을 빌려, 흔히 중풍(中風)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중풍이라는 말은 좀 더 광의의 표현이다. 뇌졸중은 크게 뇌경색과 뇌출혈로 분류된다. 뇌는 몸 전체에서 무게로는 체중의 2%만 차지하지만, 뇌로 가는 혈류량은 심박출량의 15%나 되고, 산소 소모량은 몸 전체 산소 소모량의 20%나 된다. 게다가 뇌는 에너지원으로 포도당만을 사용하므로 에너지 공급이 잠시만 중단되어도 쉽게 괴사가 일어난다. 따라서 뇌혈류의 이상은 뇌손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환자의 98%가 편측마비(hemiplegia), 언어장애, 시각장애, 어지럼증, 심한 두통 때문에 병원을 찾는다고 밝혔다. 또한, 3시간 이내에 병원을 찾아야 막힌 혈관을 뚫거나 뇌경색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혈전용해제는 뇌졸중 증상이 최초 발생한 이후 3시간 이내에 인체에 투여될 때, 뇌세포의 괴사를 최소한으로 막을 수 있고, 뇌출혈 등의 부작용을 줄이면서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골든타임'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CT, MRI 촬영과 진단에 걸리는 시간 등을 고려하여, 60분 이내에 종합병원 응급실에 가급적 도착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그래야지 적절한 혈전용해제 치료를 기대 할 수 있다.

새로운!!: 신채호와 뇌졸중 · 더보기 »

다롄 시

(대련,, 영어: Dalniy/Dairen/Dalian)은 랴오닝 성의 도시로, 랴오둥 반도 끝에 자리잡은 부동항이.

새로운!!: 신채호와 다롄 시 · 더보기 »

단둥 시

둥 시()은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 성에 있는 도시로, 면적 1만 5030km2이.

새로운!!: 신채호와 단둥 시 · 더보기 »

용과 용의 대격전

용과 용의 대격전(龍─龍─大激戰)은 일제강점기 단재 신채호가 지은 장편소설이.

새로운!!: 신채호와 용과 용의 대격전 · 더보기 »

우유

컵에 담긴 우유 우유(牛乳)는 소의 젖을 말. 소에서 바로 얻은 "생유" 외에도 지방을 제거하거나 유당을 분해한 제품을.

새로운!!: 신채호와 우유 · 더보기 »

회덕군

에 나타난 회덕현 회덕군은 고려와 조선시대 현재의 대전광역시 중구, 동구, 대덕구 일대를 관할했던 군으로 관아는 현재의 대덕구 읍내동에 설치되었.

새로운!!: 신채호와 회덕군 · 더보기 »

자치통감

《자치통감》(資治通鑑) 《자치통감》(資治通鑑)은 북송의 사마광이 지은 중국의 역사책이.

새로운!!: 신채호와 자치통감 · 더보기 »

자유시 참변

자유시 참변(自由市慘變)은 1921년 6월 28일 러시아 스보보드니(알렉세예프스크, 자유시)에서 소련군이 대한독립군단 소속 독립군들을 포위, 사살한 사건이.

새로운!!: 신채호와 자유시 참변 · 더보기 »

장도빈

장도빈(張道斌, 1888년 10월 22일 ~ 1963년 9월 12일)은 한민족의 독립운동가이자 국학자이.

새로운!!: 신채호와 장도빈 · 더보기 »

장지연

장지연(張志淵, 1864년 11월 30일 ~ 1921년 10월 2일)은 대한제국의 애국 계몽 운동가 겸 언론인이었.

새로운!!: 신채호와 장지연 · 더보기 »

폭력

학살은 극악의 폭력이다.나치에 의해 부헨발트 집단수용소에 갇힌 수감인들. 폭력(暴力)은 신체적인 손상을 가져오고, 정신적·심리적인 압박을 가하는 물리적인 강제력을 말. 법에서는 다른 사람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협박하거나 하는 등의 행위 와 함께 다른 사람을 감금하는 행위, 주거에 침입하는 행위, 기물의 파손 등에 대해서도 폭력이라 표현.

새로운!!: 신채호와 폭력 · 더보기 »

평안북도

평안북도(平安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신채호와 평안북도 · 더보기 »

이광수

이광수(李光洙), 1892년 3월 4일 평안북도 정주군 ~ 1950년 10월 25일)는 조선,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소설가, 언론인, 시인, 문학평론가, 작가, 반민족행위자이다. 본관은 전주이며, 조선 목조의 장남 안원대군의 후손이다. 사상가, 기자, 번역가, 자유주의 운동가이기도 했다. 일제 강점기에 한민족 독립 운동에 참여, 신한청년당,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였고, 임정 사료편찬위원회 그리고 신한청년당의 독립운동지 신한청년(新韓靑年)에도 주필로서 참여하였다. 그는 아시아 근대 문학과 지성의 태동기에서 대한의 재생과 광복을 꿈꾸고 기획하였으며, 여성 해방과 자유 연애론을 주장하기도 했다. 언론인 활동으로 일제 강점기에서 동아일보 편집국장과 조선일보 부사장을 지냈고 또한 문학 번역가로도 활동하며 영미권의 작품을 한글로 번안하여 국내에 소개하기도 했다. 1909년 첫 작품 사랑인가를 발표한 이후 일본 유학 중에 소설과 시, 논설 등을 발표하였고, 귀국 후 오산학교에서 교편을 잡다가 망명, 1919년 도쿄(東京)의 조선인 유학생의 2·8 독립 선언을 주도했으며, 2·8 독립 선언서를 기초한 후 3·1 운동 전후 상하이로 건너가 상하이 임시정부에 참가하고 그후 독립운동지 신한청년 등에서 주필을 역임하였다. 또한 임시정부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대한제국의 독립의 정당성과 의지를 세계에 알리는데 노력했다. 또한 임시정부에서 발간하는 기관지인 《독립신문사》 사장을 맡아 활동했다. 하지만 허영숙이 상하이로 찾아와 귀국을 종용하자 상하이에서 독립운동을 접고 1921년 3월 귀국하여 허영숙과 결혼하였다. 종학원에서 철학, 윤리, 심리, 종교 등을 강의했고 경성학교와 경신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쳤다. 잡지《개벽》에 《소년에게》를 발표하여 출판법위반으로 입건되었다가 석방되었으며 1922년 5월 개벽지(誌)에 《민족개조론》을 발표하여 우리민족이 쇠퇴한 것은 도덕적 타락 때문이라고 했다. 1923년 《동아일보》에 입사하여 편집국장을 지내고, 1933년 《조선일보》 부사장을 거치는 등 언론계에서 활약하면서 《재생(再生)》, 《마의태자(麻衣太子)》, 《단종애사(端宗哀史)》, 《흙》 등 많은 작품을 쓰는 등 독립운동을 계속해서 전개하였다. 1937년 수양동우회(修養同友會) 사건으로 투옥되었다가 반 년 만에 병보석되었는데, 이때부터 본격적인 친일 행위로 기울어져 1939년에는 친일어용단체인 조선문인협회(朝鮮文人協會) 회장이 되었으며 같은 달 20일 조선문인협회 회장으로 협회 주체 전선(戰線) 병사 위문대·위문문 보내기 행사를 주도하였다. 1940년 2월 15일자 『매일신보』에 「국민문학의 의의」를 게재하고 황민화운동을 지지하였으며, 2월 20일자 『매일신보』의 「창씨(創氏)와 나」에서는 자신의 이름을 향산광랑(香山光郞)으로 바꾼 이유를 밝히고, 일제의 창씨개명 정책을 지지하기도 하였다. 3월부터 7월까지 『녹기(綠旗)』에 「진정 마음이 만나서야말로」를 연재하였으며, 9월 직접 작사한 노래 「지원병 장행가(壯行歌)」가 경성중앙방송국 제2방송에서 방송되었다. 12월에는 『국민총력』에 지원병훈련소 참관기인 「지원병훈련소의 하루」를 발표하였고, 황도학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1941년 일본어 산문집 『동포에 부침』이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간행되었다. 8월 임전대책협의회의 발기인으로 참여하였고, 1941년 9월 3∼5일자 『매일신보』에 「반도민중의 애국운동」을 게재해 일본의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을 지지하였다. 12월 조선임전보국단 전시생활부장으로, 영미타도대강연회에서 ‘사상 함께 영미를 격멸하라’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기도 하였다. 1942년 5월 조선임전보국단이 주최한 징병제도 연설회에서는 ‘획기적 대선물’이라는 제목으로 연설하였으며, 『신시대』 1942년 4월호 「징병과 여성」을 게재해 징병제 실시를 환영하는 입장을 보였다. 6월 조선문인협회 주최의 ‘일본 군인이 되는 마음가짐’을 듣는 좌담회, 11월 도쿄에서 열린 제1회 대동아문학자대회에 참가하였다. 1943년 4월 조선문인보국회 이사로 선출되었고, 11월 임시특별지원병제도 경성익찬회 종로위원회 실행위원과 연사로 활동하였다. 같은 달 최남선 등과 함께 일본 내 한국인 유학생들의 입대를 권유하는 ‘선배 격려대’에 참여하였다. 1944년 6월 조선문인보국회 평의원, 결전태세즉응(決戰態勢卽應) 재선(在鮮) 문학자 총궐기대회 의장을 맡았다. 8월 적국항복 문인대강연회에서 ‘전쟁과 문학’이란 제목으로 강연을하였으며, 11월 제3회 대동아문학자대회에 참석하였다. 1945년 2월 대화동맹 준비위원 겸 이사, 6월 조선언론보국회 명예회원과 대의당(大義黨) 위원이 되었다. 해방 이후로 백범일지의 교정, 윤문과 안창호의 일대기 집필을 직접 맡아 주관하기도 했다. 1949년 반민특위에 기소가 제기됐으나 석방되었고, 1950년 6월 한국 전쟁때는 서울에 있다가 북한 인민군에게 납북되었다. 그간 생사불명이다가 1950년 만포(滿浦)에서 병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순한글체 소설을 쓰는 등 소설 문학의 새로운 역사를 개척하기도 하였다. 소설가로는 구한 말과 일제 강점기 시대 동안 '만인의 연인'이라는 별명과 함께 청소년 남녀 문인들의 우상이었고, 최남선, 홍명희와 더불어 조선의 3대 천재로 대표되었던 인물이었다. 자는 보경(寶鏡), 호는 춘원(春園)·고주(孤舟)·외배·올보리·장백산인(長白山人)이며, 필명으로 춘원생, 경서학인(京西學人), 노아자닷뫼당백, Y생, 장백, 장백산인 등을 썼다.

새로운!!: 신채호와 이광수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새로운!!: 신채호와 이승만 · 더보기 »

이회영

이회영(李會榮, 1867년 4월 21일 (음력 3월 17일) ~ 1932년 11월 17일)은 대한제국의 교육인, 사상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한국의 아나키스트 계열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신채호와 이회영 · 더보기 »

이순신

광화문 광장의 이순신 동상 이순신(李舜臣, 1545년 4월 28일 ~ 1598년 12월 16일 (음력 11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신채호와 이순신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신채호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의열단

의열단(義烈團)은 약산 김원봉을 단장으로 하는 아나키스트 성격의 무장독립운동단체로 1919년 11월 9일 설립.

새로운!!: 신채호와 의열단 · 더보기 »

흑룡강신문

흑룡강신문(黑龍江新聞)은 중화인민공화국의 흑룡강성에서 발행되는 조선족을 대상으로한 조선어 신문이.

새로운!!: 신채호와 흑룡강신문 · 더보기 »

을지문덕

을지문덕(乙支文德, ? ~ ?)은 고구려 영양왕(재위: 590년 ~ 618년) 때의 장군이.

새로운!!: 신채호와 을지문덕 · 더보기 »

을사조약

중명전에 전시된 을사조약 문서 을사조약(乙巳條約) 혹은 제2차 한일 협약(第二次韓日協約)은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의 외부대신 박제순과 일본 제국의 주한 공사 하야시 곤스케에 의해 체결된 불평등 조약이.

새로운!!: 신채호와 을사조약 · 더보기 »

정주

정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종.

새로운!!: 신채호와 정주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신채호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신채호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일보

2000년 이후의 조선일보 메인타이틀 《조선일보》(朝鮮日報,)는 대한민국의 신문 출판 기업인 조선일보사(朝鮮日報社,)가 대한민국 서울에서 발행하는 조간 일간지이.

새로운!!: 신채호와 조선일보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의 휘장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거버먼트 제네럴 오브 코리아)는 일본 제국이 1910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이었.

새로운!!: 신채호와 조선총독부 · 더보기 »

조선상고사

《조선상고사》(朝鮮上古史)는 신채호가 저술한 한국 상고사에 관한 책이.

새로운!!: 신채호와 조선상고사 · 더보기 »

조선혁명선언

조선혁명선언 조선혁명선언(朝鮮革命宣言)은 1923년 중국 북경에 망명중이던 신채호(申采浩)가 비밀 항일결사 단체인 의열단(義烈團)의 선언문으로 작성한 글이.

새로운!!: 신채호와 조선혁명선언 · 더보기 »

조선사론

조선사론(朝鮮史論)은 단재 신채호의 유고(遺稿)이.

새로운!!: 신채호와 조선사론 · 더보기 »

조선사연구초

《조선사연구초》(朝鮮史硏究草)는 신채호가 저술한 역사책이.

새로운!!: 신채호와 조선사연구초 · 더보기 »

조소앙

조소앙(趙素昻, 1887년 4월 30일 ~ 1958년 9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교육자이.

새로운!!: 신채호와 조소앙 · 더보기 »

중구 (대전광역시)

중구(中區)는 대전광역시의 구이.

새로운!!: 신채호와 중구 (대전광역시) · 더보기 »

중앙인민방송국

중앙인민방송국의 로고 중앙인민방송국(중앙인민광파전대;; China National Radio; 약칭: CNR)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국영 라디오 방송국이.

새로운!!: 신채호와 중앙인민방송국 · 더보기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은 동아시아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신채호와 중화인민공화국 · 더보기 »

진관사

사(津寬寺)는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에 소재한 사찰이.

새로운!!: 신채호와 진관사 · 더보기 »

청주시

청주시(淸州市)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자 충청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신채호와 청주시 · 더보기 »

청원군

옛 청원군의 지도 청원군(淸原郡)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중서부에 있었던 군이.

새로운!!: 신채호와 청원군 · 더보기 »

충청도

조선후기 충청도 충청도(忠淸道)는 충청남도, 충청북도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서 지방(湖西地方)에 해당.

새로운!!: 신채호와 충청도 · 더보기 »

충청북도

충청북도(忠淸北道)는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도이.

새로운!!: 신채호와 충청북도 · 더보기 »

충청남도

충청남도(忠淸南道)는 대한민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신채호와 충청남도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새로운!!: 신채호와 추증 · 더보기 »

칭다오 시

칭다오()는 중화인민공화국 산둥 성의 부성급시이.

새로운!!: 신채호와 칭다오 시 · 더보기 »

치안유지법

《치안유지법》()은 일본 제국 말기에 천황 통치 체제를 부정하는 운동을 단속하는 법률이.

새로운!!: 신채호와 치안유지법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신채호와 유교 · 더보기 »

유자명

유자명(柳子明, 류자명, 1894년 1월 13일 ~ 1985년 4월 17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아나키스트이.

새로운!!: 신채호와 유자명 · 더보기 »

윤세복

윤세복(尹世復, 본명: 윤세린, 尹世麟, 1881년 ~ 1960년)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의 대종교의 제3세 도사교이며 초대 총전교(總典敎)이.

새로운!!: 신채호와 윤세복 · 더보기 »

상당구

상당구(上黨區)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 동남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신채호와 상당구 · 더보기 »

상해임시정부

상하이 임시정부(上海臨時政府)는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 설립된 임시정부로 대한민국의 망명정수의 하나였.

새로운!!: 신채호와 상해임시정부 · 더보기 »

상하이 시

상하이()는 중국 본토 동부의 창강() 하구에 있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직할시이.

새로운!!: 신채호와 상하이 시 · 더보기 »

타이완

이완 또는 대만()은 동아시아에 있는 섬이.

새로운!!: 신채호와 타이완 · 더보기 »

영어

영어(英語)는 영국의 잉글랜드에서 기원한 서게르만어군 언어이.

새로운!!: 신채호와 영어 · 더보기 »

영양실조

영양실조(營養失調, malnutrition)는 일반적으로 영양이 부족하여 생기는 이상 상태를 말. 영양실조는 몸과 정신을 모두 쇠약하게 하여 어른은 번듯한 직장을 구하지 못해 빈곤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어린이는 장애인이 될 위험이 심각.

새로운!!: 신채호와 영양실조 · 더보기 »

오산학교

오산학교(五山學校)는 1907년 12월 남강(南崗) 이승훈(李昇薰)이 민족운동의 인재와 국민교육의 사표(師表)를 양성할 목적으로 정주에 세운 학교이.

새로운!!: 신채호와 오산학교 · 더보기 »

호 (이름)

호(號)는 유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에서 본명이나 자 이외에 따로 지어 부르는 이름으로, 사람의 별칭이나 필명 또는 별호(別號)나 아호(雅號) 등을 가리.

새로운!!: 신채호와 호 (이름) · 더보기 »

최영

영(崔瑩, 1316년 ~ 1388년)은 고려 말기의 장군 겸 정치가이다. 본관은 동주(東州)이다. 아버지는 최원직(崔元直)이고, 어머니는 봉산 지씨(鳳山智氏)이다. 시호는 무민(武愍)이다. 우왕의 왕비인 영비 최씨는 그의 서녀였다. 군관으로 출사하여 우달치에 임명된 뒤 관직은 육도 도순찰사, 양광, 전라도 왜적 체복사 등을 거쳐 문하시중에 이르렀다. 1374년에는 제주도에서 일어난 목호(牧胡)의 난을 진압했고, 1376년(우왕 2)에는 왜구의 침략 때, 육군을 이끌고 논산군 연산의 개태사(開泰寺)로 올라오는 왜구를 홍산(鴻山)에서 크게 무찔러 철원 부원군(鐵原府院君)에 봉작되었으며, 여러 번 왜구와 홍건적을 격퇴하고 안사공신(安社功臣)에 책록되었다. 이인임 등을 멀리하였고 1388년 이인임, 염흥방을 제거하였다. 유교 사대부와 동맹을 맺은 이성계와 대립하다가 명나라가 서북면을 요구하자 요동정벌을 주장하여 요동정벌군 총사령관 겸 팔도도통사에 임명되었으나 위화도 회군 이후 이성계의 반군에 의해 피살되었다. 우왕은 그의 서녀 영비 최씨를 자신의 후궁으로 삼았고, 이후 우왕의 정치적 후견인이 되었다. 평소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는 아버지 최원직의 유언을 받들어 평생 여색과 재물을 멀리하였다. 사위는 사공민(司空敏)이고, 손녀 사위는 조선 초기에 좌의정을 역임한 재상 맹사성이다.

새로운!!: 신채호와 최영 · 더보기 »

에드워드 기번

에드워드 기번(Edward Gibbon, 1737년 ~ 1794년)은 영국의 역사가이.

새로운!!: 신채호와 에드워드 기번 · 더보기 »

여운형

여운형(呂運亨, 1886년 5월 25일 ~ 1947년 7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저술가이.

새로운!!: 신채호와 여운형 · 더보기 »

풍양 조씨

풍양 조씨(豐壤 趙氏)는 경기도 남양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신채호와 풍양 조씨 · 더보기 »

사간원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

새로운!!: 신채호와 사간원 · 더보기 »

사고전서

《사고전서》(四庫全書)는 1773년 (건륭 38년) 중국 청나라 건륭제의 명으로 1781년 (건륭 46년)에 편찬 및 완성된 중국 최대의 총서이.

새로운!!: 신채호와 사고전서 · 더보기 »

사회적 아나키즘

사회아나키즘(social anarchism) (혹은 사회주의적 아나키즘 socialist anarchism)는 개인의 자유는 사회적 연대와 상호 부조를 통해 꽃피울 수 있다고 생각하는 고전적 아나키즘의 흐름을 총칭하는 말이.

새로운!!: 신채호와 사회적 아나키즘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새로운!!: 신채호와 사헌부 · 더보기 »

사서오경

사서오경(四書五經) 또는 사서삼경(四書三經)은 유교의 교육 및 교양 서적으로, 유교 교육의 가장 핵심적인 책이.

새로운!!: 신채호와 사서오경 · 더보기 »

산성동 (대전)

산성동(山城洞)은 대전광역시 중구에 속한 행정동 및 법정동이.

새로운!!: 신채호와 산성동 (대전) · 더보기 »

삼국사기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金富軾)이 1145년(인종 23)에 완성한 삼국시대사이.

새로운!!: 신채호와 삼국사기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신채호와 성리학 · 더보기 »

성균관

성균관(成均館)은 한국의 옛 대학(大學)으로 그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 국학(國學)을 성균관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

새로운!!: 신채호와 성균관 · 더보기 »

서울가정법원

서울가정법원(서울家庭法院)은 가사심판법 제2조에서 정하는 혼인, 이혼, 상속, 양자 등 가사에 관한 사건과 소년에 관한 사건을 전문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설치된 대한민국의 가정법원이.

새로운!!: 신채호와 서울가정법원 · 더보기 »

토머스 칼라일

머스 칼라일의 모습. 1870년대의 작품. 토머스 칼라일(Thomas Carlyle, 1795년 ~ 1881년)은 영국의 평론가·역사가이.

새로운!!: 신채호와 토머스 칼라일 · 더보기 »

소련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약칭 소비에트 연방()또는 소련(蘇聯) 은 1922년 12월 30일부터 1991년 12월 26일까지 유라시아 북부에 존재하였던 세계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였.

새로운!!: 신채호와 소련 · 더보기 »

한문

문(漢文)은 고전 문어체 중국어를 말. 한자로 쓴.

새로운!!: 신채호와 한문 · 더보기 »

안재홍

안재홍(安在鴻, 1891년 12월 30일 ~ 1965년 3월 1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이며 언론인, 역사가, 언어학자이.

새로운!!: 신채호와 안재홍 · 더보기 »

안창호

안창호(安昌浩, 1878년 11월 9일 ~ 1938년 3월 10일)는 대한제국의 교육개혁운동가 겸 애국계몽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정치가이.

새로운!!: 신채호와 안창호 · 더보기 »

필명

명(筆名)은 작가가 작품을 발표할 때 쓰는 가명이.

새로운!!: 신채호와 필명 · 더보기 »

아나키즘

아나키즘()은 사회를 아나키의 상태로 만들려는 정치적 철학적 사상이며, 이러한 사상가는 아나키스.

새로운!!: 신채호와 아나키즘 · 더보기 »

테러

()는 프랑스어 terreur가 어원이며, 이것은 "거대한 공포"를 의미하는 라틴어 terror에 다시 기원을.

새로운!!: 신채호와 테러 · 더보기 »

식민사관

식민사관(植民史觀)은 일제강점기 일제의 한국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고 한국인에 대한 통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제에 의해 정책적 · 조직적으로 조작된 역사관을 말. 대체로, 한민족을 역사적으로 다른 나라에 지배되어 왔고 자립 능력이 없는 정체된 민족으로 부각시켜 일본의 한국 병탄을 정당화하였.

새로운!!: 신채호와 식민사관 · 더보기 »

신민회

신민회(新民會)는 상동감리교회 부설 공옥학교의 교사들과 상동감리교회 담임목사였던 전덕기 목사를 중심으로 기독교 이념을 바탕으로 조직된 민족 운동을 위한 개신교 감리교회 및 장로교회 지원을 받은 항일 비밀결사.

새로운!!: 신채호와 신민회 · 더보기 »

신간회

신간회(新幹會)는 1927년 2월 15일에 사회주의, 민족주의 세력들이 결집해서 창립한 항일단체로, 1931년 5월까지 지속한 한국의 좌우합작 독립운동단체이.

새로운!!: 신채호와 신간회 · 더보기 »

신규식

1921년 1월 1일 신년하례회. 두 번째 줄 오른쪽에서 네 번째가 신규식 신규식(申圭植, 1880년 2월 22일(음력 1월 13일) ~ 1922년 양력 9월 25일)은 대한제국의 군인이자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신채호와 신규식 · 더보기 »

신기선 (1851년)

신기선(申箕善, 1851년 ~ 1909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 사상가, 학자이.

새로운!!: 신채호와 신기선 (1851년) · 더보기 »

신숙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 (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 (음력 6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문신·정치가이며 언어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신채호와 신숙주 · 더보기 »

신한청년당

신한청년당(新韓靑年黨)은 1918년 8월 중국 상하이에서 창립 되어 1919년 3.1 운동 전후에 크게 활약한 한인 청년독립운동단체이.

새로운!!: 신채호와 신한청년당 · 더보기 »

시대일보

* 《시대일보》(時代日報)는 일제 강점기인 1924년에 창간된 신문이.

새로운!!: 신채호와 시대일보 · 더보기 »

시일야방성대곡

1905년 11월 20일. 황성신문 2면 사설란에 실린 '시일야방성대곡'.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은 《황성신문》의 주필인 장지연이 1905년 11월 20일 《황성신문》에 올린 글의 제목이.

새로운!!: 신채호와 시일야방성대곡 · 더보기 »

홍명희

홍명희(洪命憙, 1888년 5월 23일 ~ 1968년 3월 5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신채호와 홍명희 · 더보기 »

황성신문

《황성신문》 창간호 황성신문(皇城新聞)은 남궁억, 나수연 등이 중심이 되어 1898년(광무(光武) 2년) 9월 5일 《대한황성신문》의 판권을 인수받아 창간한 일간 신문이.

새로운!!: 신채호와 황성신문 · 더보기 »

10월 16일

10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9번째(윤년일 경우 29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신채호와 10월 16일 · 더보기 »

12월 11일

12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5번째(윤년일 경우 34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신채호와 12월 11일 · 더보기 »

12월 8일

12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2번째(윤년일 경우 34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신채호와 12월 8일 · 더보기 »

1829년

182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829년 · 더보기 »

1843년

184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843년 · 더보기 »

1849년

1849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849년 · 더보기 »

1867년

186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867년 · 더보기 »

1872년

187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872년 · 더보기 »

1880년

188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880년 · 더보기 »

1887년

188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887년 · 더보기 »

1888년

188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888년 · 더보기 »

1893년

189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893년 · 더보기 »

1895년

189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895년 · 더보기 »

1897년

189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897년 · 더보기 »

1898년

189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898년 · 더보기 »

1899년

189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899년 · 더보기 »

1904년

190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04년 · 더보기 »

1905년

190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05년 · 더보기 »

1907년

190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07년 · 더보기 »

1908년

190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08년 · 더보기 »

1909년

190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09년 · 더보기 »

1910년

191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10년 · 더보기 »

1911년

191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11년 · 더보기 »

1912년

191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12년 · 더보기 »

1913년

191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13년 · 더보기 »

1914년

191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14년 · 더보기 »

1915년

191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15년 · 더보기 »

1916년

191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16년 · 더보기 »

1919년

191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19년 · 더보기 »

1920년

192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20년 · 더보기 »

1921년

192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21년 · 더보기 »

1922년

192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22년 · 더보기 »

1923년

192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23년 · 더보기 »

1924년

192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24년 · 더보기 »

1925년

192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25년 · 더보기 »

1927년

192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27년 · 더보기 »

1928년

192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28년 · 더보기 »

1929년

192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29년 · 더보기 »

1930년

193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30년 · 더보기 »

1931년

193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31년 · 더보기 »

1935년

193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35년 · 더보기 »

1936년

193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36년 · 더보기 »

1941년

194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41년 · 더보기 »

1942년

1942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42년 · 더보기 »

1944년

194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44년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45년 · 더보기 »

1950년

한국 전쟁 중 아주머니와 아이가 땔깜용 파편을 구하는 모습. 195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50년 · 더보기 »

1953년

195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53년 · 더보기 »

1962년

196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62년 · 더보기 »

1991년

1991년 9월 17일.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유엔'''에 '''동시 가입'''했다. (사진은 유엔 본사) 199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1991년 · 더보기 »

1월 15일

1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번째(윤년일 경우도 1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신채호와 1월 15일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2008년 · 더보기 »

2009년

20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채호와 2009년 · 더보기 »

2월 18일

2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9번째(윤년일 경우도 4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신채호와 2월 18일 · 더보기 »

2월 21일

2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2번째(윤년일 경우도 5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신채호와 2월 21일 · 더보기 »

3·1 운동

3·1 운동(三一運動) 또는 3·1 만세 운동(三一萬歲運動)은 일제 강점기에 있던 한국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병합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이.

새로운!!: 신채호와 3·1 운동 · 더보기 »

3월

3월(三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세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북반구에서는 3월이 되면서 날씨가 풀리기 때문에, 대체로 이 달을 봄의 시작으로 본. 남반구는 가을이.

새로운!!: 신채호와 3월 · 더보기 »

4월 11일

4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1번째(윤년일 경우 10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신채호와 4월 11일 · 더보기 »

5월 10일

5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0번째(윤년일 경우 13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신채호와 5월 10일 · 더보기 »

6월 7일

6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8번째(윤년일 경우 15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신채호와 6월 7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금협산인, 단재, 단재 신채호, 일편단생, 연시몽인.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