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오차

색인 오차

오차(誤差)란 참값과 근삿값의 차이로, 근삿값에서 참값을 뺀 값이.

11 처지: 관측, 관측값, 근삿값, 비선형, 절댓값, 정확도와 정밀도, 측량, 측정, 선형성, 테일러 급수, 원주율.

관측

측(觀測), 관찰(觀察)은 감각을 통해 세상 밖 지식을 습득하는 사람과 같은 생물의 활동, 또는 과학 기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행위를 가리.

새로운!!: 오차와 관측 · 더보기 »

관측값

측값(observed value)은 측정값과 비슷한 의미로 쓰이며, 관측값은 항상 오차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관측값에 대한 품질 평가를 하여 신뢰성을 검증하여야.

새로운!!: 오차와 관측값 · 더보기 »

근삿값

삿값() 또는 근사치(近似値)는 어림수와 같이 참값에 가까운 값을 뜻. 근삿값의 대표적인 예로 측정값이 있. 조금 더 쉽게 설명하자면 근삿값을 쓸 때 또는 양쪽 값이 거의 비슷할 때 사용한다고 할 수 있.

새로운!!: 오차와 근삿값 · 더보기 »

비선형

, 변환 등이 비선형이라는 것은 그 구성요소의 합이나 곱 등 선형 결합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뜻.

새로운!!: 오차와 비선형 · 더보기 »

절댓값

수학에서, 절댓값(絶對-)은 실수가 실수선의 원점과, 복소수가 복소평면의 원점과 떨어진 거리를 나타내는 음이 아닌 실수이.

새로운!!: 오차와 절댓값 · 더보기 »

정확도와 정밀도

정확도(正確度, accuracy)는 과학, 산업, 공업, 통계학 분야에서 재거나 계산된 양이 실제값과 얼만큼 가까운지를 나타내는 기준이며, 관측의 정교성이나 균질성과는 무. 그러나 착오와 정오차가 제거된 경우, 정밀도를 정확도의 척도로 사용할 수 있. 왜냐하면 현실적으로는 실제값을 정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이.

새로운!!: 오차와 정확도와 정밀도 · 더보기 »

측량

측량(測量)은 지표면에 있는 모든 점의 관계 위치를 결정하고, 어떤 부분의 위치, 형상, 면적을 측정하여 이것을 도시하는 기술을 말. 측량술은 고대 문명의 발달에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했으며, 5000년 이상의 매우 오랜 역사를 갖고 있으며, 주로 토지의 면적을 재거나, 강물의 범람을 예측하고, 건축물의 건축을 위해 발달해 왔고 이는 곧 기하학, 천문학의 발전에 공헌하였.

새로운!!: 오차와 측량 · 더보기 »

측정

측정에 쓰이는 줄자. 측정(測定)은 일정한 기준을 가지고 물건의 양을 수치화하는 작업을 말. 측정은 단위를 정하여 비. 측정은 주로 자나 저울 같은 측정 장비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들 장비에는 도량형의 기준과 비교하도록 눈금이 매겨져 있. 정확한 측정이 필요한 과학에서는, 측정값을 측정값과 오차 범위, 신뢰도를 사용하여 표현.

새로운!!: 오차와 측정 · 더보기 »

선형성

선형성(線型性, linearity) 또는 선형(線型, linear)은, 직선처럼 똑바른 도형, 또는 그와 비슷한 성질을 갖는 대상이라는 뜻으로, 이러한 성질을 갖고 있는 변환 등에 대하여 쓰는 용어이.

새로운!!: 오차와 선형성 · 더보기 »

테일러 급수

사인 함수의 테일러 급수의 수렴. 검은 선은 사인 함수의 그래프이며, 색이 있는 선들은 테일러 급수를 각각 1차(빨강), 3차(주황), 5차(노랑), 7차(초록), 9차(파랑), 11차(남색), 13차(보라) 항까지 합한 것이다. 미적분학에서, 테일러 급수(Taylor級數)는 도함수들의 한 점에서의 값으로 계산된 항의 무한합으로 해석함수를 나타내는 방법이.

새로운!!: 오차와 테일러 급수 · 더보기 »

원주율

원주율(圓周率)은 원둘레와 지름의 비 즉, 원의 지름에 대한 둘레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학 상수이.

새로운!!: 오차와 원주율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정오차, 우연 오차, 우연오차, 오차 전파, 오차 전파 법칙, 오차 전파법칙, 오차전파, 오차전파 법칙, 오차전파법칙.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