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송창 (1633년)

색인 송창 (1633년)

송창(宋昌, 1633년 ~ 1706년 7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관료이.

65 처지: 도승지, 민종도, 강원도, 과거제, 공조, 공조 (행정기관), 병조, 관찰사, 김만중, 김제시, 남인, 효종실록, 우의정, 승정원, 평안도, 의정부, 은언군, 전라도, 전라북도, 전주시, 조선, 조선 숙종, 조선 현종, 좌참찬, 진천군, 지사, 참판, 청나라, 춘추관, 판서, 유학, 윤휴, 상계군, 상산군부인 송씨, 예문관, 예조, 연경, 사간원, 사헌부, 서인, 한성부판윤, 황해도, 10월, 1633년, 1648년, 1657년, 1660년, 1663년, 1672년, 1674년, ..., 1675년, 1682년, 1689년, 1702년, 1703년, 1706년, 1719년, 1월, 1월 26일, 1월 4일, 2월, 5월 13일, 7월, 7월 5일, 9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5 더) »

도승지

승지(都承旨)는 조선의 정3품 당상관직으로 도령(都令)으로도 불리었.

새로운!!: 송창 (1633년)와 도승지 · 더보기 »

민종도

민종도(1633 ~ 1693)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민종도 · 더보기 »

강원도

조선 후기 강원도 강원도(江原道)는 관동 지방(關東地方)에 해당하는 지역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강원도 · 더보기 »

과거제

북송의 과거 과거(科擧)는 중국과 한국 등에서 시험을 치러서 관리를 뽑는 제도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과거제 · 더보기 »

공조

공조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송창 (1633년)와 공조 · 더보기 »

공조 (행정기관)

공조(工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공조 (행정기관) · 더보기 »

병조

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병조 · 더보기 »

관찰사

사(觀察使)는, 중국 당대(唐代)에서 비롯하여 훗날 한국의 조선(朝鮮), 나아가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초기 일본에도 설치되었던 지방행정 감찰을 맡은 관직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관찰사 · 더보기 »

김만중

만중(金萬重, 1637년 ~ 1692년)은 조선 문신이자, 소설가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김만중 · 더보기 »

김제시

제시(金堤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김제시 · 더보기 »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송창 (1633년)와 남인 · 더보기 »

효종실록

《효종대왕실록》(孝宗大王實錄) 또는 《효종실록》(孝宗實錄)은 1649년 음력 5월부터 1659년 음력 5월까지 조선 효종 시대의 사실을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효종실록 · 더보기 »

우의정

우의정(右議政)은 의정부 3의정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우의정 · 더보기 »

승정원

승정원(承政院)은 정삼품아문으로, 조선과 대한제국(승선원으로 개칭)에서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던 행정기관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승정원 · 더보기 »

평안도

조선후기 평안도 평안도(平安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평안도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의정부 · 더보기 »

은언군

은언군 이인(恩彦君 李䄄, 1754년 5월 29일 ~ 1801년 6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조선 영조의 손자이자 장조의 서장자이며 정조의 이복동생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은언군 · 더보기 »

전라도

전라도(全羅道)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남 지방(湖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전라도 · 더보기 »

전라북도

전라북도(全羅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전라북도 · 더보기 »

전주시

전주시(全州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의 중앙부에 위치한 시이자 전라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전주시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조선 현종

현종(顯宗, 1641년 3월 14일 (음력 2월 4일) ~ 1674년 9월 17일 (음력 8월 18일), 재위: 1659년 ~ 1674년)은 조선의 제18대 임금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조선 현종 · 더보기 »

좌참찬

좌참찬(左參贊)은 조선시대 의정부에 소속된 정2품 관직이고, 정원은 1명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좌참찬 · 더보기 »

진천군

(鎭川郡)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서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진천군 · 더보기 »

지사

사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지사 · 더보기 »

참판

(參判)은 조선의 종2품 당상관직으로 각 조의 수장인 판서를 보좌하는 역할을 하였.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참판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청나라 · 더보기 »

춘추관

(春秋館)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관청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춘추관 · 더보기 »

판서

서(判書)는 조선의 정 2품 당상관직이며, 행정을 맡아보는 주요 관서인 육조의 우두머리 관직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판서 · 더보기 »

유학

유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유학 · 더보기 »

윤휴

윤휴(尹鑴, 1617년 10월 14일 ~ 1680년 5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윤휴 · 더보기 »

상계군

상계군 이담(常溪君 李湛, 1769년 1월 21일 ~ 1786년 11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초명(初名)은 이준(李濬)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상계군 · 더보기 »

상산군부인 송씨

은언군과 상산군부인의 묘비 상산군부인 송씨(常山郡夫人 宋氏, 1753년 10월 15일 ~ 1801년 4월 4일)은 조선후기의 왕족이자 천주교 순교자로, 사도세자의 서자 은언군 이인(恩彦君 李姻)의 정실 부인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상산군부인 송씨 · 더보기 »

예문관

예문관(藝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예문관 · 더보기 »

예조

예조(禮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예조 · 더보기 »

연경

연경(燕京)은 중국의 옛 지명이며, 춘추 전국 시대 당시 연나라의 수도였.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연경 · 더보기 »

사간원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사간원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사헌부 · 더보기 »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서인 · 더보기 »

한성부판윤

성부판윤(漢城府判尹)은 조선 시대 한성부를 다스리던 정2품의 관직으로서, 품계는 자헌대부 이상의 품계에 해당되었.

새로운!!: 송창 (1633년)와 한성부판윤 · 더보기 »

황해도

조선후기 황해도 황해도(黃海道)는 1417년부터 1954년까지 존속한 한반도의 중서부에 있는 도(道)로, 1954년 이후로는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되었.

새로운!!: 송창 (1633년)와 황해도 · 더보기 »

10월

10월(十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평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1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나고 2월하고도 항상 같은 요일로 끝. 그 다음 해가 윤년일 경우에는 그 다음해 9월과 12월과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송창 (1633년)와 10월 · 더보기 »

1633년

163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1633년 · 더보기 »

1648년

164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1648년 · 더보기 »

1657년

165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1657년 · 더보기 »

1660년

166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1660년 · 더보기 »

1663년

166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1663년 · 더보기 »

1672년

167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1672년 · 더보기 »

1674년

167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1674년 · 더보기 »

1675년

167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1675년 · 더보기 »

1682년

1682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1682년 · 더보기 »

1689년

168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1689년 · 더보기 »

1702년

170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1702년 · 더보기 »

1703년

170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1703년 · 더보기 »

1706년

170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1706년 · 더보기 »

1719년

171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1719년 · 더보기 »

1월

1월(一月)은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첫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1월 · 더보기 »

1월 26일

1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번째(윤년일 경우도 2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송창 (1633년)와 1월 26일 · 더보기 »

1월 4일

1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송창 (1633년)와 1월 4일 · 더보기 »

2월

2월(二月, February)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두 번째 달이며, 평년일 때에는 28일, 윤년일 때에는 29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0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며, 이 달과 작년의 6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송창 (1633년)와 2월 · 더보기 »

5월 13일

5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3번째(윤년일 경우 13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송창 (1633년)와 5월 13일 · 더보기 »

7월

7월(七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일곱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4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윤년인 경우 그 해의 1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 400년 동안 이 달은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에 58번, 월요일과 화요일에 57번,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56번 시작.

새로운!!: 송창 (1633년)와 7월 · 더보기 »

7월 5일

7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6번째(윤년일 경우 18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송창 (1633년)와 7월 5일 · 더보기 »

9월

9월(九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아홉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한국,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북반구에는 가을이 되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과 같은 남반구에는 봄이.

새로운!!: 송창 (1633년)와 9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우곡 송창, 한경 송창.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