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우금

색인 우금

우금(于禁, ? ~ 221년)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문칙(文則)이며 연주 태산군 거평현(鉅平縣) 사람이.

210 처지: 덩저우 시, 동해군, 루안 시, 말 (동물), 매복, 마초 (촉한), 머리, 모개, , 방덕, 배송지, 백마 전투, , 박망파 전투, 건안, 번성 전투, , 고소, 보아이 현, 복양 전투, 관도 대전, 관우, , 북적, , 부상 (몸), 기도위, , 비 (날씨), 대장군, 눈물, 누선, 교유, 군대, 둥핑 현, 나체, 낙랑후 (왕침), 딩타오 구, , , 우번, 회계군, 회화, 자 (이름), 자치통감, 자사 (관직), 장료, 장막 (후한), 장초 (삼국지), 장윤 (후한), ..., 장패, 장수 (후한), 장양 (치숙), 장성급 장교, 장합, 장안, 작가, 작전 중 사망, 임금, 포로, 포신, 포훈, 이각 (후한), 이감 (삼국지), 이전 (후한), 이풍 (후한), 일기토, 음악, 음식, 적벽 대전, 제방, 제갈량, 제북군, 제국, 전쟁, 전위, 전한 고제, 조비, 조인, 조조, 조조의 서주 침공, 주령, , 중무 현, 중국, 중화인민공화국, 질병, 진 (희성), 진 (영성), 진란, 진군 (행정 구역), 진수 (서진), 징저우 구, 참수, 창희, 채모, 채찍, 청주 (중국), 초평, 치 현 (카이펑 시), 판청 구, 유벽, 유비, 유종 (후한), 유표, , 위 (삼국), 위안양 현 (신샹 시), , 생명, 태평어람, 태음력, 태수, 태산군, 타이안 시, , 순림보, 순욱, 수고, 수군, 수염, 수해, 영릉군, 영천군, 오 (삼국), 오자양장, , 예 현, 형제, 형주, 형주 공방전, 어머니, 언어, 양강 (후한), 여 (시호), 여몽, 여포, 역사, 연강, 연주 (중국), 허난성, 업 (지명), 푸양 현, 사람, 사마 (벼슬), 사마광, 사방장군, 사형, 사환, 산둥성, 삼국 시대 (중국), 삼국지, 삼국지연의, 선박, 성하 (후한), 서주 (중국), 서융, 서황, 손권, 소리, 소설, 항복, 해자, 약탈, 한강 (한수이), 한수 (후한), 한신 (전한), 안개, 하비, 하비 전투, 하후돈, 하후연, 아들, 악진, 악취 (후한), 퉁관 현, 쉰 현, 식읍, 시호, 원담, 원상 (후한), 원술, 원소 (후한), 후베이성, 후한, 후한 광무제, 후한 영제, 후한 헌제, 황건적, 황초 (위), 황소 (후한), 황하, , 화살, 완성 전투, , 왕랑, 192년, 196년, 197년, 198년, 199년, 200년, 201년, 202년, 206년, 209년, 219년, 220년, 221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60 더) »

덩저우 시

덩저우 시() 는 중화 인민 공화국 허난 성 난양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우금와 덩저우 시 · 더보기 »

동해군

동해군(東海郡)은 중국의 옛 군이.

새로운!!: 우금와 동해군 · 더보기 »

루안 시

안 시(육안시) 은 안후이 성 서쪽에 위치한 지급시이.

새로운!!: 우금와 루안 시 · 더보기 »

말 (동물)

말은 스포츠에 사용된다. 말()은 말목 말과의 동물이.

새로운!!: 우금와 말 (동물) · 더보기 »

매복

1월 봉기 당시 매복하고 있는 폴란드 파르티잔. 매복(埋伏, Ambush)은 전통적인 군사 전술 중 하나로, 전투원들이 언덕이나 하층 식생 등에 은폐한 뒤 적이 방심한 틈을 타 순간적으로 공격하는 전술이.

새로운!!: 우금와 매복 · 더보기 »

마초 (촉한)

마초(馬超, 176년 ~ 222년)는 후한, 촉한의 장군으로 자는 맹기(孟起)이며 사례 우부풍 무릉현(茂陵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마초 (촉한) · 더보기 »

머리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린 인간의 머리 머리는 사람이나 동물의 목 위의 부분을 가리.

새로운!!: 우금와 머리 · 더보기 »

모개

모개(毛玠, ? ~ ?)는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효선(孝先)이며 진류군 평구현(平丘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모개 · 더보기 »

물()은 산소와 수소가 결합된 것으로, 생명을 유지하는 데에 없어서는 안 되는 화학 물질이.

새로운!!: 우금와 물 · 더보기 »

방덕

방덕(龐德, ? ~ 219년)은 중국 후한 말 마등, 조조 휘하의 장군으로 자는 영명(令明)이며 양주 남안군 환도현(豲道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방덕 · 더보기 »

배송지

배송지(裴松之, 372년 ~ 451년)는 동진(東晉) 말 ~ 송(宋) 초의 정치가로, 자(字)는 세기(世期)이며 사례(司隷) 하동군(河東郡) 문희현(聞喜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배송지 · 더보기 »

백마 전투

백마 전투(白馬之戰)는 후한말 군벌인 조조와 원소가 격돌한 관도 전역의 첫 전면전이.

새로운!!: 우금와 백마 전투 · 더보기 »

리 오데르 강, 해양 박물관 슈체친, 폴란드 강(江)은 물이 흐르는 길이.

새로운!!: 우금와 강 · 더보기 »

박망파 전투

박망파 전투(博望坡 戰鬪)는 후한 말기 형주 신야 부근 박망파에서 유비와 조조가 싸운 전투로 이 전투에서 유비의 참모 제갈량이 처음으로 참전.

새로운!!: 우금와 박망파 전투 · 더보기 »

건안

안(建安)은 중국 후한 헌제의 세 번째 연호이.

새로운!!: 우금와 건안 · 더보기 »

번성 전투

번성 전투(樊城 戰鬪)는 기원후 219년, 한중왕 유비의 측근 관우가 조조가 점유 중이던 형주 북부를 침공한 사건이.

새로운!!: 우금와 번성 전투 · 더보기 »

정의의 의인화 유스티티아. 법(法)은 질서를 유지하고 사회가 유지되기 위해 정의를 실현함을 직접 목적으로 하는 국가의 강제력을 수반하는 사회적 규범 또는 관습을 말. 넓은 뜻으로는 자연법(自然法), 헌법(憲法), 관습법(慣習法), 명령, 규칙, 판례까지를 포함하지만 좁은 뜻에서는 일정한 조직과 절차 밑에서 제정된 법률을 가리.

새로운!!: 우금와 법 · 더보기 »

고소

소(告訴)는 범죄의 피해자, 법정대리인 또는 그와 일정한 관계에 있는 고소권자가 수사기관에 범죄사실을 신고하여 신고 및 범인의 소추를 요구하는 것을 말.

새로운!!: 우금와 고소 · 더보기 »

보아이 현

보아이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허난 성 자오쭤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우금와 보아이 현 · 더보기 »

복양 전투

복양 전투(濮陽戰鬪)는 194년~195년에 두 차례에 걸쳐 연주와 복양을 두고 조조와 여포가 싸운 전투로 조조가 이 전투에서 승리해 다시 연주를 되찾고 여포는 서주의 유비에게로 가 의탁.

새로운!!: 우금와 복양 전투 · 더보기 »

관도 대전

전(官渡大戰)은 중국 후한 말 시기에 관도(官渡: 현재의 허난 성 중무 현 근처)에서 조조(曹操)와 원소(袁紹)가 벌인 큰 전투이.

새로운!!: 우금와 관도 대전 · 더보기 »

관우

우(? ~ 219년 음력 12월)는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자는 운장(雲長)이며 사례 하동군 해현(解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관우 · 더보기 »

한국의 북 북은 타악기 중 하나로 동물의 피막을 씌워 그 부분을 치면서 연주하는 악기이.

새로운!!: 우금와 북 · 더보기 »

북적

사이의 명칭 북적(北狄)은 원래 고대 몽골민족인 적(狄)을 의미하는 용어였.

새로운!!: 우금와 북적 · 더보기 »

230px 불은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여 연소하면서 에너지를 빛과 열의 형태로 방출하는 산화 과정이.

새로운!!: 우금와 불 · 더보기 »

부상 (몸)

부상(負傷)은 몸에 상처를 입는 일, 곧 피부가 찢기거나 떨어져나가거나 구멍이 나면서 일어나는 상해의 하나이.

새로운!!: 우금와 부상 (몸) · 더보기 »

기도위

위(騎都尉)는 전한 이후 중국에 생긴 관직이.

새로운!!: 우금와 기도위 · 더보기 »

폼페이의 길 길은 서로 다른 장소를 연결해 주는 통로를 말. 평평하게 정리된 길은 도로라고 부른.

새로운!!: 우금와 길 · 더보기 »

비 (날씨)

땅 위에 떨어지고 있는 빗방울들의 모습 비는 대기권의 수증기가 응축되어 물방울의 형태로 지상에 떨어지는 기상 현상을 일컬으며, 대기권에 있는 수증기가 충분히 무거워지면 중력에 의해 지상으로 떨어지는데 이는 지구에서 일어나는 물의 순환의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이.

새로운!!: 우금와 비 (날씨) · 더보기 »

대장군

장군(大將軍)은 동아시아 국가들의 역사상 자주 나타나는 무관 관직이.

새로운!!: 우금와 대장군 · 더보기 »

눈물

물을 흘리고 있는 모습 '''눈물과 관련된 기관'''a) 눈물샘b) 윗눈물점c) 윗눈물길d) 눈물주머니e) 아랫눈물점f) 아랫눈물길g) 코눈물관 눈물은 체액의 한 종류로서, 눈을 보호하고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눈물샘에서 분비되는 물질이.

새로운!!: 우금와 눈물 · 더보기 »

누선

《무경총요》(武經總要)에 그려진 송대(宋代)의 누선(樓船) 누선(樓船)은, 고대 중국의 전함으로 그 크기와 구조가 밖에서 보면 마치 누각과 같다 해서 붙은 이름이.

새로운!!: 우금와 누선 · 더보기 »

교유

유(橋蕤, ? ~ 197년)는 중국 후한 말 원술 휘하의 무장이.

새로운!!: 우금와 교유 · 더보기 »

군대

(軍隊)는 한 국가의 방어를 책임지며, 다른 나라와 전쟁 및 전투를 담당하는 정부 기관이며, 통상 활동 영역에 따라 육군과 해군과 공군과 해병대 등으.

새로운!!: 우금와 군대 · 더보기 »

둥핑 현

둥핑현 둥핑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산둥 성 타이안 시의 남서쪽에 위치한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우금와 둥핑 현 · 더보기 »

나체

의 여자나체(裸體)는 아무런 옷을 입지 않은 상태를 말. 나신(裸身)이라고도 하지만 해당 단어는 사용되지 않. 인간의 자연상태의 육체를 나체, 누드라고 하나 종교적 이유에 의해서 나체가 금기시되는 사회, 국가도 있. 이때 옷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인간의 신체가 거의 다 보이는 것을 반라(半裸)라 하고, 인간의 신체가 전체적으로 보이는 것을 전라(全裸).

새로운!!: 우금와 나체 · 더보기 »

낙랑후 (왕침)

낙랑후 왕침(樂浪侯 王忱, ? ~ 1083년 음력 4월 20일)은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우금와 낙랑후 (왕침) · 더보기 »

딩타오 구

딩타오 구() 는 중화 인민 공화국 산둥 성 허쩌 시의 행정구역이.

새로운!!: 우금와 딩타오 구 · 더보기 »

의 땅을 보여주는 지도. 녹색과 노란색의 음영을 참고할 것. 땅 또는 육지(陸地)은 강이나 바다와 같이 물이 있는 곳을 제외한 지구의 표면을 말. 땅은 뭍이라고도 하는데, 뭍은 땅 중에서도 섬이 아닌 본토(本土)를 주로 가리.

새로운!!: 우금와 땅 · 더보기 »

자의 년 년(연)(年)은 시간을 재는 단위로, 순한국어로 해라고 부른.

새로운!!: 우금와 년 · 더보기 »

우번

우번(虞翻, ? ~ ?)은 중국 후한 말기 ~ 동오의 관료로, 자는 중상(仲翔)이며 양주 회계군 여요현(餘姚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우번 · 더보기 »

회계군

회계군(會稽郡)은 진한시대에 설치한 중국의 옛 군이.

새로운!!: 우금와 회계군 · 더보기 »

회화

모나리자는 서양의 가장 널리 알려진 회화이다. 강가에서 그림 그리는 사람 회화(繪畵)는 캔버스, 종이, 나무, 유리, 비단, 콘크리트 등의 표면에 색을 이용하여 그린 그림을 말. 특히 미술에서 회화는 작업자의 미적 감각에 의해 구상되어 제작된 구도와 데셍을 포함한 풍부한 표현력이 깃든 평면상의 그림을 뜻. 회화는 오랫동안 대표적인 미술의 한 장르로 존재하여 왔. 회화의 주제는 종교, 신화와 같은 정신적인 주제에서부터 초상화, 풍경화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이르기까지 넓은 영역에 걸쳐 있.

새로운!!: 우금와 회화 · 더보기 »

자 (이름)

자(字)는 한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 일본에서 성년이 되는 관례 때 받는 이름인 관명과 함께 스스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짓는 새로운 이름을 말. 이는 이름이 부모가 주신 것으로서 부모님이나 스승, 왕(혹은 황제)외에는 함부로 부르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던 데에 기인.

새로운!!: 우금와 자 (이름) · 더보기 »

자치통감

《자치통감》(資治通鑑) 《자치통감》(資治通鑑)은 북송의 사마광이 지은 중국의 역사책이.

새로운!!: 우금와 자치통감 · 더보기 »

자사 (관직)

자사(刺史) 혹은 주목(州牧)은 중국의 두 번째 통일왕조인 한나라의 조정에서 상설한 벼슬로 각 주 안에 있는 군(郡) 태수들을 감찰하는 직위였.

새로운!!: 우금와 자사 (관직) · 더보기 »

장료

장료(張遼, 169년? ~ 222년)는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문원(文遠)이며 병주 안문군 마읍현(馬邑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장료 · 더보기 »

장막 (후한)

장막(張邈, ? ~ 195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맹탁(孟卓)이며 연주 동평국 수장현(壽張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장막 (후한) · 더보기 »

장초 (삼국지)

장초(張超, ? ~ 195년)는 후한 말기의 관료로, 연주 동평국 수장현(壽張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장초 (삼국지) · 더보기 »

장윤 (후한)

장윤(張允, ? ~ ?)은 유표(劉表)의 장수이.

새로운!!: 우금와 장윤 (후한) · 더보기 »

장패

장패(臧覇, ? ~ ?)는 중국 후한 말기 ~ 조위의 관료로, 자는 선고(宣高)이며, 연주 태산군 화현(華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장패 · 더보기 »

장수 (후한)

장수(張繡, ? ~ 207년)는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장군으로 양주 무위군 조려현(祖厲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장수 (후한) · 더보기 »

장양 (치숙)

장양(張楊, ? ~ 198년)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치숙(稚叔) 또는 아숙(雅淑)이며 병주(幷州) 운중군(雲中郡)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장양 (치숙) · 더보기 »

장성급 장교

장성급 장교(將星級 將軍)는 군대를 지휘, 통솔하는 우두머리의 장교 계급이.

새로운!!: 우금와 장성급 장교 · 더보기 »

장합

장합 장합(張郃, ? ~ 231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준예(儁乂)이며 기주 하간국 막현(鄚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장합 · 더보기 »

장안

장안중심고루유적 장안의 위치 장안에서 발굴된 한나라 시기의 유물 주대부터 청대까지의 시안. 회색은 주의 풍경과 호경, 파란색은 진의 함양과 아방궁, 분홍색은 한대 장안, 빨간색은 당대 장안, 보라색은 송대 경조부, 노란색은 명대 이후의 시안이다. 장안()은 중국의 고도(古都)로 현재 산시 성(陝西省)의 성도(省都) 시안 시(西安市)에 해당.

새로운!!: 우금와 장안 · 더보기 »

작가

안톤 체호프의 사진이 실린 우표 작가(作家) 혹은 지은이는 예술과 취미의 분야에서 작품을 창작하는 사람을 말. 이때 작품이 반드시 문학 작품일 필요는 없으며, 문학 작품인 경우에는 저술가라고 불리지만, 일반적으로 작가라고도 하는 경우가 많.

새로운!!: 우금와 작가 · 더보기 »

작전 중 사망

노르망디 상륙작전 중. 작전 중 사망(作戰中死亡) 혹은 전사(戰死)는 군대와 시민 수비대 혹은 게릴라 같은 구성원들이 전투에 참가하여, 그 활동 중 사망하는 것을 말. 보통 전몰은 전쟁으로 사망하는 것을 공통적으로 지칭하지만, 전투에 휘말린 민간인 희생자와 출정 중인, 직접 전투에 상관없는 병사자.

새로운!!: 우금와 작전 중 사망 · 더보기 »

임금

임금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우금와 임금 · 더보기 »

포로

(捕虜, Prisoner of War, POW)는 무력분쟁(전쟁, 내전)에서 교전국에 억류된 적대국의 국민이.

새로운!!: 우금와 포로 · 더보기 »

포신

신(鮑信, 152년 ~ 192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태산군 평양현(平陽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포신 · 더보기 »

포훈

훈(鮑勛 또는 鮑勳, ? ~ 226년)은 후한 말기 ~ 조위 초기의 관료로, 자는 숙업(叔業)이며, 태산군 평양현(平陽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포훈 · 더보기 »

이각 (후한)

이각과 곽사 이각(李傕, ? ~ 198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군인으로, 자는 치연(稚然) 이며 북지군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이각 (후한) · 더보기 »

이감 (삼국지)

이감(李堪, ? ~ 211년)은 중국 후한 말 관중 일대의 세력가로 하동군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이감 (삼국지) · 더보기 »

이전 (후한)

이전(李典, ? ~ ?)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자는 만성(曼成)이며, 연주(兗州) 산양군(山陽郡) 거야현(鋸野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이전 (후한) · 더보기 »

이풍 (후한)

이풍(李豊, ? ~ 197년)은 중국 후한 말 원술 휘하의 무장이.

새로운!!: 우금와 이풍 (후한) · 더보기 »

일기토

일기토()는 말을 탄 무사가 일대일로 싸우는 것을 뜻하는 일본어식 표현이.

새로운!!: 우금와 일기토 · 더보기 »

음악

음악(音樂)은 소리를 재료로 하는 시간예술이.

새로운!!: 우금와 음악 · 더보기 »

음식

양한 음식들 음식(飮食) 또는 먹을거리는 먹거나 마실 수 있는 모든 것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우금와 음식 · 더보기 »

적벽 대전

적벽대전(赤壁大戰 / 赤壁大戦)은 중국의 삼국 시대, 통일을 목표로 세력을 계속 팽창하던 조조에, 손권과 유비가 연합해 대항하여 양자강에서 벌어진 큰 전투이.

새로운!!: 우금와 적벽 대전 · 더보기 »

제방

제방 위로 벚꽃이 만발했다. 제방(堤防) 또는 둑은 하천이나 호수, 바닷물이 넘쳐 흐르는 것을 막거나 물을 저장하기 위하여 흙이나 돌, 콘크리트 등으로 쌓은 구축물을 말.

새로운!!: 우금와 제방 · 더보기 »

제갈량

제갈 량(諸葛亮, 181년 ~ 234년)은 중국 삼국시대 촉나라의 모신으로 자는 공명(孔明)이며 서주 낭야국 양도현(陽都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제갈량 · 더보기 »

제북군

제북군(濟北郡)은 중국의 옛 군급 행정 구역이.

새로운!!: 우금와 제북군 · 더보기 »

제국

1900년대의 제국주의와 식민화 제국(帝國)은 다른 민족을 통치ㆍ통제하는 정치체계이.

새로운!!: 우금와 제국 · 더보기 »

전쟁

전쟁(戰爭)이란 국가 또는 정치 집단 사이의 폭력이나 무력을 사용하는 상태 또는 행동을 말. 특별히 둘 이상의 국가 간에 어떤 목적을 두고 수행되는 싸움이.

새로운!!: 우금와 전쟁 · 더보기 »

전위

전위(電位, electric potential) 또는 전기 퍼텐셜은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전기장에서 단위 전하가 가지게 되는 전기적 위치 에. 국제단위계에서 단위는 볼.

새로운!!: 우금와 전위 · 더보기 »

전한 고제

조 고황제 유방(漢 太祖 高皇帝 劉邦, 기원전 247년 ~ 기원전 195년)은 한나라(漢)의 초대 황제(재위: 기원전 202년 ~ 기원전 195년)이.

새로운!!: 우금와 전한 고제 · 더보기 »

조비

위 고조 문황제 조비(魏 高祖 文皇帝 曹丕, 187년 ~ 226년 6월 29일(음력 5월 17일))는 조위의 초대 황제로, 자는 자환(子桓)이.

새로운!!: 우금와 조비 · 더보기 »

조인

조인(曹仁, 168년 ~ 223년)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자효(子孝)이며 예주 패국 초현(譙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조인 · 더보기 »

조조

조위 태조 무황제 조조(曹魏 太祖 武皇帝 曹操, 155년 음력 6월 3일 ~ 220년 음력 1월 23일)는 중국 후한 말기의 정치가이자, 군인이며 시인이.

새로운!!: 우금와 조조 · 더보기 »

조조의 서주 침공

서주 침공(徐州侵攻)은 후한말의 군벌 조조가 서주자사 도겸이 자기 아버지 조숭을 죽인 것을 빌미로 서기 193년에서 194년에 걸쳐 서주에 대한 토벌을 행한 사건이.

새로운!!: 우금와 조조의 서주 침공 · 더보기 »

주령

주령(朱靈, ? ~ ?)은 중국 후한 말 ~ 조위의 무장으로, 자는 문박(文博)이며, 기주 청하국 수현(鄃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주령 · 더보기 »

죄(罪)는 규범이나 윤리에 어긋나거나 반하는 행위를 말. 일반 사전에서는 죄(罪)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 이 정의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종교에서는 대체로 '하나님의 계명' 또는 '도리'와 같은 어떤 불변의 법칙, 이치 또는 명령(즉 천명)에 근거하여 그것과 어긋나는 것을 죄로 설정하고, 법률에서는 미리 정해진 조목에 근거하여 그것과 어긋나는 것을 죄로 설정.

새로운!!: 우금와 죄 · 더보기 »

중무 현

중무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허난 성 정저우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우금와 중무 현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우금와 중국 · 더보기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은 동아시아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우금와 중화인민공화국 · 더보기 »

질병

병(疾病)이란 유기체의 신체적 기능이 비정상적으로 된 상태를 일컫.

새로운!!: 우금와 질병 · 더보기 »

진 (희성)

(晉, 기원전 1042년 ~ 기원전 376년)은 주나라 무왕의 둘째 아들 당숙 우(唐叔虞)가 형인 성왕에게 삼감의 난이 평정된 이후 그 땅을 봉받아 세운 나라이.

새로운!!: 우금와 진 (희성) · 더보기 »

진 (영성)

기원전 300년의 진나라 진 시황제 통일 후의 진의 영토. 진(秦, 기원전 900년경 ~ 기원전 221년/기원전 206년)은 중국의 왕조이.

새로운!!: 우금와 진 (영성) · 더보기 »

진란

(陳蘭) 혹은 진간(陳簡, ? ~ 209년)은 중국 후한 말 원술 휘하의 무장으로 양주 여강군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진란 · 더보기 »

진군 (행정 구역)

(陳郡), 회양군(淮陽郡)은 중국의 옛 군이.

새로운!!: 우금와 진군 (행정 구역) · 더보기 »

진수 (서진)

수(陳壽, 233년 ~ 297년)는 중국 삼국시대 촉한 ~ 서진의 관료로, 자는 승조(承祚)이며 익주(益州) 파서군(巴西郡) 안한현(安漢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진수 (서진) · 더보기 »

징저우 구

징저우 구()는 중화 인민 공화국 후베이 성 징저우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우금와 징저우 구 · 더보기 »

참수

2차 세계 대전 당시 호주군 포로 레나드 시플릿 병장을 참수하고 있는 일본군. 참수(斬首)란 살아있는 생명체의 목을 절단하여 동체와 두부를 분리시켜, 죽음에 이르게 하는 것을 말. 엄밀히 말해 법률로 규정된 형벌인 참수형과는 다르.

새로운!!: 우금와 참수 · 더보기 »

창희

창희(昌豨, ?~206년)는 후한 말기 태산의 산적들을 이끌던 장수 중 하나이.

새로운!!: 우금와 창희 · 더보기 »

채모

모(蔡瑁, ? ~ ?)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덕규(德珪)습착치(習鑿齒), 《양양기구기(襄陽耆舊記)》 이며, 형주(荊州) 양양군(襄陽郡)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채모 · 더보기 »

채찍

찍의 예 채찍은 사람이나 동물을 치기 위하여 길쭉한 대나무 지팡이, 혹은 막대 모양의 무늬에 가죽끈이나 체인 등을 설치한 기구이.

새로운!!: 우금와 채찍 · 더보기 »

청주 (중국)

청주(靑州)는 동남부를 제외한 현재의 산둥 성 일대에 존재한 중국 역사상의 옛 행정 구역이며, 구주(九州) 중 한 곳으로 전해 내려오는 지역이.

새로운!!: 우금와 청주 (중국) · 더보기 »

초평

평(初平)은 중국 후한(後漢) 헌제(獻帝)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우금와 초평 · 더보기 »

치 현 (카이펑 시)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허난 성 카이펑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우금와 치 현 (카이펑 시) · 더보기 »

판청 구

청 구() 는 중화 인민 공화국 후베이 성 샹양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우금와 판청 구 · 더보기 »

유벽

유벽(劉辟, ? ~ ?)은 중국 후한 말의 황건적이.

새로운!!: 우금와 유벽 · 더보기 »

유비

소열황제 유비(漢昭烈皇帝劉備, 161년 ~ 223년 6월 10일(음력 4월 24일))는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초대 황제(재위: 221년 5월 15일(음력 4월 6일) ~ 223년 6월 10일(음력 4월 24일))이.

새로운!!: 우금와 유비 · 더보기 »

유종 (후한)

유종(劉琮, ? ~ ?)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산양군 고평현(高平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유종 (후한) · 더보기 »

유표

유표(劉表, 142년 ~ 208년 음력 8월)는 중국의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경승(景升)이며 연주 산양군 고평현(高平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유표 · 더보기 »

(Arm)은 인체의 부위 중 하나로, 어깨와 손목 사이를 말. 팔꿈치로 나눠서 어깨 쪽을 위팔(upper arm) 또는 상완(上腕), 손목 쪽을 아래팔 또는 전완(前腕)으로 부른.

새로운!!: 우금와 팔 · 더보기 »

위 (삼국)

위(魏, 220년 ~ 265년)는 후한이 멸망한 후 삼국 중 하나로 삼국 중 가장 강대했던 나라였.

새로운!!: 우금와 위 (삼국) · 더보기 »

위안양 현 (신샹 시)

위안양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허난 성 신샹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우금와 위안양 현 (신샹 시) · 더보기 »

벼알 볍쌀() 또는 쌀은 벼의 씨앗에서 껍질을 벗겨 낸 식량이.

새로운!!: 우금와 쌀 · 더보기 »

생명

생명(生命) 또는 삶은 생물이 태어나서 죽기 전까지의 과정 및 상태를 말하나 학술적으로 생과 사의 경계는 확실치 않아 계속 논쟁중이.

새로운!!: 우금와 생명 · 더보기 »

태평어람

《태평어람》 한태화(韓泰華) 교정본 《태평어람》(太平御覽)은 중국 북송 초기의 학자 이방(李昉) 등이 태평흥국 2년 ~ 8년(977년 ~ 983년) 사이에 편찬한 유서(類書)의 일종으로, 본래 이름은 《태평총류》(太平總類)였으나 태종이 매일 밤마다 3권씩 읽은 사실에 유래하여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

새로운!!: 우금와 태평어람 · 더보기 »

태음력

음력(太陰曆)은 달의 차고 기욺을 기준으로 한 달을 정하는 역법을 말. 계절의 변화(즉, 태양의 일주)까지 고려한 달력은 태음태양력이.

새로운!!: 우금와 태음력 · 더보기 »

태수

수(太守) 또는 군수(郡守)는 군현제에서 군(郡)의 장관을 일컫는 칭호이.

새로운!!: 우금와 태수 · 더보기 »

태산군

산군(泰山郡)은 중국의 옛 군이.

새로운!!: 우금와 태산군 · 더보기 »

타이안 시

이안(태안)은 중화인민공화국 산둥 성의 서쪽에 있는 지급시이.

새로운!!: 우금와 타이안 시 · 더보기 »

술(酒)은 에탄올을 1% 이상 함유한 음료의 총칭이.

새로운!!: 우금와 술 · 더보기 »

순림보

순림보(荀林父, ?-기원전 593년)는 춘추 시대 진나라의 정치가며, 6경(卿)의 일원으로 관위는 중군원수에 이르.

새로운!!: 우금와 순림보 · 더보기 »

순욱

순욱(荀彧, 163년 ~ 212년)은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정치가로 자는 문약(文若)이며 예주 영천군 영음현(穎陰縣) - 지금의 허난 성 쉬창 시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순욱 · 더보기 »

수고

수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우금와 수고 · 더보기 »

수군

수군(水軍)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 전통적으로 수상(水上) 무장력을 가리키던 단어이.

새로운!!: 우금와 수군 · 더보기 »

수염

수염(facial hair, 鬚髥)은 성숙한 남자의 얼굴 하반부에 나는 털이며, 성인 남성의 제2차 성징이.

새로운!!: 우금와 수염 · 더보기 »

수해

허리케인 카트리나로 인한 수해 수해(水害)는 물에 의한 재해를 말. 홍수, 집중호우, 태풍, 해일 등으로 인한 피해가 여기에 속. 수재(水災)라고도 하며, 수해로 인해 피해를 입은 사람들을 수재민(水災民)이.

새로운!!: 우금와 수해 · 더보기 »

영릉군

영릉군(零陵郡)은 중국의 옛 군현제의 군이.

새로운!!: 우금와 영릉군 · 더보기 »

영천군

영천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우금와 영천군 · 더보기 »

오 (삼국)

오(吳, 229년 ~ 280년) 또는 동오(東吳), 손오(孫吳)는 후한이 멸망한 후, 삼국 중의 하나로 친자 3대에 걸쳐 구축되었.

새로운!!: 우금와 오 (삼국) · 더보기 »

오자양장

오자양장(五子良將)은 위(魏)의 다섯명의 대장을 뜻하는 것으로, 촉한(蜀漢)의 오호대장군(五虎大將軍)과 동오(東吳)의 강동십이호신(江東十二虎臣)과 대비되는 것이.

새로운!!: 우금와 오자양장 · 더보기 »

옷 옷 또는 의복(衣服), 의상(衣裳)은 사람이 몸 위에 입는, 천이나 가죽 등으로 된 물건이.

새로운!!: 우금와 옷 · 더보기 »

예 현

예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허난 성 핑딩산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우금와 예 현 · 더보기 »

형제

형제(兄弟)는 본인으로부터 방계 2촌 남성을 가리.

새로운!!: 우금와 형제 · 더보기 »

형주

형주(荊州)는 중국 역사상의 옛 행정 구역이며, 구주 중 한 곳으로 전해 내려오는 지역이.

새로운!!: 우금와 형주 · 더보기 »

형주 공방전

형주 공방전은 후한말의 군벌 유비 세력의 형주 방면 사령관 관우가 조조를 치기 위해 번성 전투를 원정했으나 실패한 뒤, 유비와 동맹 관계이던 군벌 손권이 그 동맹을 파기하고 형주를 공격하여 형주를 탈취하고 관우를 죽인 사건이.육손과 여몽이 살아있을때 제갈근을 사자로 보내 관우에게 손권의 아들과 관우의 딸을 혼사시키려 했으나 관우가 이를 거절하자 빌미로 삼아 형주를 공격.

새로운!!: 우금와 형주 공방전 · 더보기 »

어머니

보디아의 어머니와 자식, 2009년 촬영. 한자의 어머니 모 어머니는 자식의 여성 부모이.

새로운!!: 우금와 어머니 · 더보기 »

언어

언어(言語)에 대한 정의는 여러가지 시도가 있었.

새로운!!: 우금와 언어 · 더보기 »

양강 (후한)

양강(梁綱, ? ~ 197년)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우금와 양강 (후한) · 더보기 »

여 (시호)

여(厲)는 동아시아 군주의 시호.

새로운!!: 우금와 여 (시호) · 더보기 »

여몽

여몽(呂蒙, 178년 ~ 219년)은 중국 후한 말 손권 휘하의 장군으로 자는 자명(子明)이며 예주 여남군 부피현(富陂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여몽 · 더보기 »

여포

여포(呂布, ? ~ 198년 음력 12월)는 중국 후한 말의 장군으로 자는 봉선(奉先)이며 병주 오원군 구원현(九原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여포 · 더보기 »

역사

역사(歷史)는 오랜 역사, 지난 시대에 남긴 기록물, 이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 등을 가리.

새로운!!: 우금와 역사 · 더보기 »

연강

연강(延康)은 중국 후한(後漢) 헌제(獻帝)의 네 번째 연호이자 후한의 마지막 연호이.

새로운!!: 우금와 연강 · 더보기 »

연주 (중국)

연주(兗州)는 현재의 산둥 성 서남부와 허난 성 동부에 존재한 중국 역사상의 옛 행정 구역이며, 구주 중 한 곳으로 전해 내려오는 지역이.

새로운!!: 우금와 연주 (중국) · 더보기 »

허난성

성()은 중화인민공화국 중앙부의 성이.

새로운!!: 우금와 허난성 · 더보기 »

업 (지명)

양 업(鄴)은 중국의 옛 도시로, 후조·염위·전연·동위·북제의 도읍지였.

새로운!!: 우금와 업 (지명) · 더보기 »

푸양 현

양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허난 성 푸양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우금와 푸양 현 · 더보기 »

사람

사람 또는 호모 사피엔스()는 두 발로 서서 걸어 다니는 사람과의 영장류 동물이.

새로운!!: 우금와 사람 · 더보기 »

사마 (벼슬)

사마(司馬)는 주(周) 이후의 관직 중 하나로 육경(六卿)에 속해 군정을 관리.

새로운!!: 우금와 사마 (벼슬) · 더보기 »

사마광

사마온공(司馬溫公). (晩笑堂竹莊書傳)에서 사마광(司馬光, 1019년 ~ 1086년)은 중국 북송의 유학자, 역사가, 정치가이.

새로운!!: 우금와 사마광 · 더보기 »

사방장군

사방장군(四方將軍)은 대장군 밑의 전장군과 후장군, 좌장군, 우장군 4종류의 장군들을 일컫.

새로운!!: 우금와 사방장군 · 더보기 »

사형

Cesare Beccaria, ''Dei delitti e delle pene'' 사형(死刑)은 사람의 생명을 박탈하는 형벌로, 생명형(生命刑) 또는 극형(極刑)이.

새로운!!: 우금와 사형 · 더보기 »

사환

사환(史渙, ? ~ 209년)은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장군으로 자는 공유(公劉)이며 예주 패국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사환 · 더보기 »

산둥성

산둥 성(산동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부의 성이.

새로운!!: 우금와 산둥성 · 더보기 »

삼국 시대 (중국)

삼국 시대(三國時代)는 후한이 몰락하기 시작했던 2세기 말부터 위, 촉, 오가 세워져 서로 다투다가 서진이 중국을 통일하는 3세기 후반까지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우금와 삼국 시대 (중국) · 더보기 »

삼국지

《삼국지》(三國志)는 서진의 진수가 쓰고 송나라의 배송지가 내용을 보충한 중국 삼국시대의 사찬(私撰) 역사서이.

새로운!!: 우금와 삼국지 · 더보기 »

삼국지연의

삼국지연의 삽화. 조조가 유비를 초대해 매실을 안주로 천하에 영웅이라 할 만한 사람이 누가 있는지 대화하는 장면.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는 서기 184년 황건적의 난부터 서기 280년까지 중국 대륙에서 벌어진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집필한 중국의 대표적 연의(고전역사소설)로, 명나라 때 나관중이 쓴 책이.

새로운!!: 우금와 삼국지연의 · 더보기 »

선박

선. 선박(船舶) 또는 배는 사람이나 물건 등을 물 위 또는 물 속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물 위의 교통수단을 말. 잠수함도 배에.

새로운!!: 우금와 선박 · 더보기 »

성하 (후한)

성하(成何, ? ~ 219년)는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우금와 성하 (후한) · 더보기 »

서주 (중국)

서주(徐州)는 현재의 산둥 성 동남부와 창 강 북부의 장쑤 성 일대에 존재한 중국 역사상의 옛 행정 구역이며, 구주 중 한 곳으로 전해 내려오는 지역이.

새로운!!: 우금와 서주 (중국) · 더보기 »

서융

사이의 명칭 서융(西戎)은 중국 역사에서 서쪽에 사는 이민족(한족 이외의 민족)을 일컬어 부르는 말이.

새로운!!: 우금와 서융 · 더보기 »

서황

서황(徐晃, ? ~ 227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공명(公明)이며 사례 하동군 양현(楊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서황 · 더보기 »

손권

오 태조 대황제 손권(吳 太祖 大皇帝 孫權, 182년 음력 5월 18일 ~ 252년 음력 4월 16일)은 중국 삼국시대 오나라의 초대 황제로 자는 중모(仲謀)이며 양주(揚州) 오군(吳郡) 부춘현(富春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손권 · 더보기 »

소리

은 진동막을 통해 소리를 낸다. 소리 또는 음(音)은 사람의 청각기관을 자극하여 뇌에서 해석되는 매질의 움직임이.

새로운!!: 우금와 소리 · 더보기 »

소설

에밀리 브론테의 폭풍의 언덕 초판 표지 소설(小說)은 사건을 미적으로 질서화하여 통일적인 의미가 구현될 수 있도록 산문으로 서술한 서사 문예이.

새로운!!: 우금와 소설 · 더보기 »

항복

항복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우금와 항복 · 더보기 »

해자

자(垓字/垓子)란 동물이나 외부인, 특히 외적으로부터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 고대부터 근세에 이르기까지 성(城)의 주위를 파 경계로 삼은 구덩이를 말. 방어의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 해자에 물을 채워 넣어 못으로 만든 경우가 많았.

새로운!!: 우금와 해자 · 더보기 »

약탈

약탈(掠奪)은 전쟁이 벌어지는 지역, 또는 점령한 지역에서 개개의 병사나 군대가 다른 군인, 점령지 또는 전쟁 지역의 주민, 부상자들로부터 재산을 빼앗는 것을 가리.

새로운!!: 우금와 약탈 · 더보기 »

한강 (한수이)

강() 또는 한수이강()은 장강의 지류로 총 길이는 1532km이.

새로운!!: 우금와 한강 (한수이) · 더보기 »

한수 (후한)

수(韓遂, 145년 이전 ~ 215년)는 중국 후한 말 관서 일대의 세력가로 자는 문약(文約)이며 양주 금성군(金城郡)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한수 (후한) · 더보기 »

한신 (전한)

신(韓信, ? ~ 기원전 196년)은 전한의 장군이자 제후이.

새로운!!: 우금와 한신 (전한) · 더보기 »

안개

샌프란시스코에 낀 안개. 안개는 수증기를 포함한 대기의 온도가 어떤 이유로 내려가 이슬점 온도에 도달할 때 포함된 수증기가 작은 물입자가 되어 공중에 뜬 상태를 말. 대기에 떠다니는 작은 물방울의 모임 중에서 지표면과 접촉하며 가시거리가 1,000m 이하가 되게 만드는 것이며, 구름과 비슷한 현상이고 일종의 저지대 구름으로 간주될 수 있으나 구름에 포함되지는 않. 인근의 물, 지형 및 바람 상태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안개는 습도가 높고, 기온이 이슬점 이하일 때 형성되며, 흡습성의 작은 입자인 응결핵이 있으면 잘 형성.

새로운!!: 우금와 안개 · 더보기 »

하비

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우금와 하비 · 더보기 »

하비 전투

비 전투(下邳 戰鬪)는 198년 서주의 하비를 목표로 조조와 여포가 싸운 전투로, 조조는 이 전투에서 승리하여 서주를 되찾고 여포는 처형.

새로운!!: 우금와 하비 전투 · 더보기 »

하후돈

후돈(夏侯惇, ? ~ 220년 6월 13일)은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장군 겸 정치가이.

새로운!!: 우금와 하후돈 · 더보기 »

하후연

후연(夏侯淵, ? ~ 219년)은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장군으로 자는 묘재(妙才)이며 예주 패국 초현(譙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하후연 · 더보기 »

아들

자의 아들 자 아들은 남성이 자신의 부모로부터 불리는 호칭이.

새로운!!: 우금와 아들 · 더보기 »

악진

악진(樂進, ? ~ 218년)은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장군으로 자는 문겸(文謙)이며 동군 위현(衛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악진 · 더보기 »

악취 (후한)

악취(樂就, ? ~ 197년)는 중국 후한 말기 남양 태수 원술(袁術)을 섬긴 무장이.

새로운!!: 우금와 악취 (후한) · 더보기 »

퉁관 현

퉁관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산시 성 웨이난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우금와 퉁관 현 · 더보기 »

쉰 현

쉰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허난 성 허비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우금와 쉰 현 · 더보기 »

식읍

식읍(食邑) 또는 식봉(食封), 봉읍(封邑)은 동아시아에서 나라에서 공신이나 왕족에게 내리던 토지와 가호이.

새로운!!: 우금와 식읍 · 더보기 »

시호

시호(諡號)는 죽은 인물에게 국가에서 내려주거나 죽은 군주에게 다음 군주가 올리는 특별한 이름으로, 동양의 군주제 국가에서 시행되었.

새로운!!: 우금와 시호 · 더보기 »

원담

원담(袁譚, ? ~ 205년)은 후한 말의 세력가 원소의 장남으로 자는 현사(顯思)이며 예주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원담 · 더보기 »

원상 (후한)

원상(袁尙, ? ~ 207년)은 후한 말의 군웅 원소의 아들로 자는 현보(顯甫)이며 예주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원상 (후한) · 더보기 »

원술

원술(袁術, ? ~ 199년)은 중국 후한 말의 장군으로 자는 공로(公路)이며 예주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원술 · 더보기 »

원소 (후한)

원소(袁紹, 미상 ~ 202년 6월 28일(음력 5월 21일))는 후한 말기의 군인으로, 자는 본초(本初)이며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원소 (후한) · 더보기 »

후베이성

후베이 성(호북성)은 중화인민공화국 중부의 성이.

새로운!!: 우금와 후베이성 · 더보기 »

후한

후한(後漢, 25년~220년)은 전한이 신나라의 왕망에 의하여 멸망한 이후, 한 왕조의 일족인 광무제 유수가 한 왕조를 부흥시킨 나라이.

새로운!!: 우금와 후한 · 더보기 »

후한 광무제

세조 광무황제 유수(漢 世祖 光武皇帝 劉秀, 기원전 6년 ~ 57년)는 중국 후한 황조의 초대 황제로, 아명은 호(呼)며 자는 문숙(文叔)이며 남양군 채양현(蔡陽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후한 광무제 · 더보기 »

후한 영제

효령황제 유굉(漢 孝靈皇帝 劉宏, 156년 ~ 189년, 재위 168년 ~ 189년)은 중국 후한의 제12대 황제로, 장제(章帝)의 고손자이.

새로운!!: 우금와 후한 영제 · 더보기 »

후한 헌제

효헌황제 유협(漢 孝獻皇帝 劉協, 181년 ~ 234년)은 후한(後漢)의 제14대이자 마지막 황제로 자는 백화(伯和)이.

새로운!!: 우금와 후한 헌제 · 더보기 »

황건적

황건적(黃巾賊)은 중국 후한(後漢) 말기에 장각(張角)을 우두머리로 하여 봉기해 184년 황건의 난을 일으킨 유적(流賊)이.

새로운!!: 우금와 황건적 · 더보기 »

황초 (위)

황초(黃初)는 중국 조위(曹魏) 문제(文帝)의 연호이.

새로운!!: 우금와 황초 (위) · 더보기 »

황소 (후한)

황소(黃邵, ? ~ 196년)는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우금와 황소 (후한) · 더보기 »

황하

황하(황허 강)는 중국에서 장강 다음으로 긴 강이.

새로운!!: 우금와 황하 · 더보기 »

양궁 대회 활은 인류의 가장 오래된 무기 중의 하나이.

새로운!!: 우금와 활 · 더보기 »

화살

화살 현대에 쓰이는 다양한 화살촉. 화살은 활로 쏘는 뾰족한 비행 구조체이.

새로운!!: 우금와 화살 · 더보기 »

완성 전투

완성 전투(宛城戰鬪)는 197년 조조와 장수가 싸운 전투로 조조는 장수에 맞서 완성과 남양성에서 대공격을 감행했으나 끝내 장수를 무찌르지 못하고 최초로 패배.

새로운!!: 우금와 완성 전투 · 더보기 »

국왕(國王) 또는 왕(王) (영어;king)은 군주 칭호의 일종이.

새로운!!: 우금와 왕 · 더보기 »

왕랑

왕랑(王朗, ? ~ 228년)은 중국 후한 말기 ~ 조위의 정치가로, 자는 경흥(景興)이며 서주 동해국 담현(淡縣) 사람이.

새로운!!: 우금와 왕랑 · 더보기 »

19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우금와 192년 · 더보기 »

19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우금와 196년 · 더보기 »

19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우금와 197년 · 더보기 »

19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우금와 198년 · 더보기 »

19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우금와 199년 · 더보기 »

20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우금와 200년 · 더보기 »

20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우금와 201년 · 더보기 »

20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우금와 202년 · 더보기 »

20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우금와 206년 · 더보기 »

20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우금와 209년 · 더보기 »

21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우금와 219년 · 더보기 »

22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우금와 220년 · 더보기 »

22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우금와 221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우금 문칙, 우문칙.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