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울산광역시의 역사

색인 울산광역시의 역사

반구대암각화 울산광역시의 역사는 선사시대 무렵부터 시작하여 반구대암각화라는 역사적 증거물을 남겼고, 이후에도 한강 이남의 지정학적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

247 처지: , 돌무지무덤, 도요토미 히데요시, 동 (행정 구역), 동래, 동래군, 동래성 전투, 동구 (울산광역시), 동학, 동학 농민 운동, 만주, 명나라, 박제상, 박정희, 밀양시, 가토 기요마사, 가야, 경기도, 경인, 경주시, 경상남도, 범서읍, 고려, 고려 우왕, 고려 인종, 고려 충정왕, 고려 태조, 고려 성종, 고구려, 고니시 유키나가, 보은군, 병영초등학교 (울산), 광복절, 광역시, 관문성, 북구 (울산광역시), 북위 (북조), 북위 38도, 불교,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의 지방조직 변천, 부산진 전투, 부산항, 규슈, 기미, 기장군, 김부식, 김해시, 대구광역시, 대한민국, ...,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제국, 구 (행정 구역), 국가재건최고회의, 군 (행정 구역), 뗀석기, 남구 (울산광역시), 낙동강, 효공왕, 우산과 양산,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울주 언양읍성, 울주군, 울산공업센터 건립 기념탑, 울산읍성, 울산초등학교, 울산성 전투, 울산왜성, 자치구, 자유, 임진왜란, 임술민란, 포경, 포상팔국, 포항시, 이덕형, 이두, 이승만, 이십삼부, 인도, 인천광역시, 일본, 일제 강점기, 정유재란, 조선, 조선 중종, 조선 태조, 조선 태종, 조선 성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구 (울산광역시), 중국, 진위대, 진한, 지방 자치, 창원시, 칠천량 해전, 위관, 태평양 전쟁, 태화강, 탈해 이사금, 수원시, 최제우, 향·소·부곡, 언양군, 양산시, 염포 (포구), 삼도수군통제사, 삼국 시대, 삼국사기, 삼포 개항, 삼포왜란, 삼정의 문란, 삼한, 삽량주, 선무공신, 선생, 세도정치, 세종실록 지리지, 서라벌, 서력기원, 서울특별시, 서생포왜성, 소련, 합포, 한반도, 한국 전쟁, 한국의 구석기 시대, 한국의 신석기 시대, 한국어, 한일 병합 조약, 암행어사, 신라, 신라의 삼국통일, 신의주시, 시 (행정 구역), 원균, 원종공신, 후쿠오카, 웅촌면, 웅상, , 왜구, 환곡, 1018년, 10월 1일, 10월 20일, 10월 31일, 1143년, 11월, 11월 1일, 12월, 12월 22일, 12월 2일, 12월 31일, 1413년, 1417년, 1426년, 1436년, 1437년, 1459년, 1592년, 1593년, 1598년, 1612년, 1617년, 1860년, 1861년, 1862년, 1895년, 1896년, 1897년, 1902년, 1903년, 1905년, 1906년, 1907년, 1908년, 1910년, 1911년, 1914년, 1917년, 1920년, 1928년, 1930년, 1931년, 1932년, 1933년, 1936년, 1937년, 1941년, 1945년, 1946년, 1950년, 1962년, 1963년, 1972년, 1976년, 1980년대, 1985년, 1987년, 1988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월 1일, 1월 27일, 1월 28일, 1월 9일, 2001년, 2018년, 2월 3일, 2월 6일, 3월 14일, 3월 1일, 4.19 혁명, 400년, 4월, 4월 14일, 4월 19일, 4월 1일, 4월 20일, 4월 21일, 4월 25일, 4월 5일, 5월, 5월 5일, 5월 7일, 6월, 6월 1일, 6월 25일, 722년, 757년, 7월, 7월 15일, 7월 1일, 7월 26일, 8월, 8월 10일, 8월 17일, 8월 24일, 930년, 997년, 9월 10일, 9월 1일, 9월 8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97 더) »

ㄹ(리을)은 한글의 닿소리 중 넷째 글자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ㄹ · 더보기 »

돌무지무덤

무지무덤은 시신 또는 석곽 위에 돌을 쌓아 만든 무덤으로 청동기 시대부터 삼국 시대까지 만들어졌.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돌무지무덤 · 더보기 »

도요토미 히데요시

요토미 히데요시(1537년 3월 17일 ~ 1598년 9월 18일)는 센고쿠 시대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활약했던 무장, 정치가이며 다이묘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 더보기 »

동 (행정 구역)

동주민센터(경남 통영시 봉평동) 동(洞)은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의 하나로 구 또는 시의 하부 행정 구역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동 (행정 구역) · 더보기 »

동래

동래(東萊, Dongnae)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동래 · 더보기 »

동래군

동래군(東萊郡)은 현재의 부산광역시 전역과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일부를 차지하던 옛 행정 구역이었.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동래군 · 더보기 »

동래성 전투

동래성 전투(東萊城戰鬪)는 1592년 5월 25일(음력 4월 15일) 부산진 전투에 이어 일어난 임진왜란 두 번째 전투로 동래 부사 송상현이 2시간을 버티며 왜군을 끝까지 막아냈으나 결국 전사하고 동래성은 함락되었.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동래성 전투 · 더보기 »

동구 (울산광역시)

동구(東區)는 대한민국 울산광역시의 동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동구 (울산광역시) · 더보기 »

동학

동학(東學)은 1860년(철종 11) 최제우가 창건한 신흥 종교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동학 · 더보기 »

동학 농민 운동

동학 농민 혁명(東學農民革命), 동학 혁명(東學革命), 동학 농민 운동(東學農民運動) 또는 동학 농민 전쟁(東學農民戰爭)은 1894년 동학 지도자들과 동학 교도 및 농민들에 의해 일어난 민중의 무장 봉기를 가리.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동학 농민 운동 · 더보기 »

만주

붉은색은 둥베이(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 지방이고, 조금 연한 부분은 내몽골 자치구 동부 지역, 가장 연한 부분은 외만주이다. 만주()는 동북아시아 압록강 북쪽의 광활한 지역을 일컫.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만주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명나라 · 더보기 »

박제상

박제상(朴堤上, 363년 ~ 418년 추정)은 신라의 충신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박제상 · 더보기 »

박정희

박정희(朴正熙, 1917년 11월 14일 ~ 1979년 10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박정희 · 더보기 »

밀양시

밀양시(密陽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밀양시 · 더보기 »

가토 기요마사

요마사(1562년 7월 25일 ~ 1611년 8월 2일)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전기까지의 무장, 다이묘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가토 기요마사 · 더보기 »

가야

야(伽倻, 加耶, 伽耶)는 낙동강 하류 지역에 존재했던 한국의 고대 국가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가야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경기도 · 더보기 »

경인

경인(庚寅)은 육십간지 중 27번째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경인 · 더보기 »

경주시

경주시(慶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경주시 · 더보기 »

경상남도

경상남도(慶尙南道)는 대한민국 남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경상남도 · 더보기 »

범서읍

범서읍(凡西邑)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북동부에 위치한 읍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범서읍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우왕

우왕(禑王, 1365년 7월 25일 (음력 7월 7일) ~ 1389년 12월 31일 (음력 12월 14일))은 고려 제32대 국왕(재위: 1374년 ~ 1388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고려 우왕 · 더보기 »

고려 인종

인종(仁宗, 1109년 10월 29일 (음력 10월 4일) ~ 1146년 4월 10일 (음력 2월 28일)은 고려 제17대 국왕(재위: 1122년 ~ 1146년)이다. 휘는 해(楷), 자는 인표(仁表), 묘호는 인종(仁宗), 시호는 극안공효대왕(克安恭孝大王). 예종과 순덕왕후(順德王后) 이씨(李氏)의 맏아들이다. 1122년부터 1146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1122년부터 1126년까지 외조부 이자겸(李資謙)이 섭정(攝政)을 하였고 이자겸을 축출한 1126년부터 1146년 붕어할 때까지 친정(親政)을 하였다.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고려 인종 · 더보기 »

고려 충정왕

충정왕(忠定王, 1338년 1월 ~ 1352년 3월 23일 (음력 3월 7일))은 고려 제30대 국왕(재위: 1348년 ~ 1351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고려 충정왕 · 더보기 »

고려 태조

조(高麗 太祖, 877년 1월 31일 (음력 1월 14일)《고려사절요》 제1권 태조 신성대왕〈고려사절요/제1권/태조 신성대왕〉"신라 헌강왕(憲康王) 3년 정유(877) 정월 14일 병술에 태조를 송악 남쪽 사제(私第)에서 낳으니" ~ 943년 7월 4일 (음력 5월 29일))는 후삼국 시대(後三國 時代)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장군(將軍)이자 고려(高麗)의 초대 황제(재위:918년 7월 25일~943년 7월 4일)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고려 태조 · 더보기 »

고려 성종

성종(成宗, 961년 1월 15일 (960년 음력 12월 26일) ~ 997년 11월 29일 (음력 10월 27일))은 고려 제6대 국왕(재위: 981년 ~ 997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고려 성종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고구려 · 더보기 »

고니시 유키나가

시 유키나가(세례명: 아우구스티노, 1555년 ~ 1600년 음력 10월 1일) 는 일본 상인(商人) 출신의 무장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고니시 유키나가 · 더보기 »

보은군

보은군(報恩郡)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중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보은군 · 더보기 »

병영초등학교 (울산)

병영초등학교는 울산광역시 중구 서동에 있는 공립초등학교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병영초등학교 (울산) · 더보기 »

광복절

광복절(光復節)은 한반도가 일본 제국으로부터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날로, 대한민국에서는 이를 국경일로 법제화함으로써 매년 양력 8월 15일에 기념하고 있. '광복'은“빛(光)을 되찾음(復)”, 즉, 주권을 되찾았다는 뜻으로 쓰인.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광복절 · 더보기 »

광역시

광역시(廣域市)는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광역시 · 더보기 »

관문성

문성(關門城)은 경상북도 경주시와 울산광역시 북구에 있는 통일신라의 성곽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관문성 · 더보기 »

북구 (울산광역시)

북구(北區)는 울산광역시의 구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북구 (울산광역시) · 더보기 »

북위 (북조)

위진 남북조 왕조들의 계통도 479년 당시의 북위. 북위(北魏, 386년~534년)는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에 선비족 탁발부에 의해 화북에 건국되어 남북조 시대까지 이어진 왕조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북위 (북조) · 더보기 »

북위 38도

북위 38도(北緯三十八度)는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으로 38도를 지나는 위선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북위 38도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불교 · 더보기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동남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부산광역시 · 더보기 »

부산광역시의 지방조직 변천

부산광역시의 지방조직은 현재 부산광역시 일원을 포함하는 지역의 지방 행정조직 체계를 말. 여기서 기술하는 영역은 부산광역시의 시역으로 한정하며, 시간상 삼한시대에서 현재에 이르는 시.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부산광역시의 지방조직 변천 · 더보기 »

부산진 전투

부산진 전투(釜山鎭戰鬪)는 1592년 임진왜란 당시 두 번째로 벌어진 전투로 병력, 식량, 무기 등 모든 것이 부족했던 조선군이 완패하고 부산진성은 함락되었.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부산진 전투 · 더보기 »

부산항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19세기의 부산항 부산항(釜山港, Port of Busan)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대한민국 최대의 무역항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부산항 · 더보기 »

규슈

슈()는 일본에서 세 번째로 큰 섬이며 세계의 섬 가운데 36번.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규슈 · 더보기 »

기미

미(己未)는 육십간지 중 56번째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기미 · 더보기 »

기장군

장군청사 기장군(機張郡)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동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기장군 · 더보기 »

김부식

부식(金富軾, 1075년 ~ 1151년)은 《삼국사기》를 쓴 고려 시대 학자·문신·역사가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김부식 · 더보기 »

김해시

시청 청사 김해시(金海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김해시 · 더보기 »

대구광역시

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대구광역시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국방부

국방부(國防部,, 약칭: MND)는 국방에 관련된 군정 및 군령과 그 밖에 군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대한민국 국방부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대한제국 · 더보기 »

구 (행정 구역)

(區)는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시의 하위 행정 구역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구 (행정 구역) · 더보기 »

국가재건최고회의

5월 20일, 중앙청 광장에서 포고하는 장도영과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國家再建最高會議)는 대한민국에서 5·16 군사 정변 이후 정변 주도세력이 5월 18일에 '군사혁명위원회'에서 이름을 바꾸어 발족시킨 입법·행정·사법의 3권을 행사했던 통치기구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국가재건최고회의 · 더보기 »

군 (행정 구역)

군(郡)은 행정 구역의 하나로, 대한민국의 군은 도 및 광역시의 하부 행정 구역이자 기초지방자치단체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군 (행정 구역) · 더보기 »

뗀석기

석기 뗀석기 또는 타제석기(打製石器)는 돌을 깨서 만든 석기로 구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유물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뗀석기 · 더보기 »

남구 (울산광역시)

(南區)는 대한민국 울산광역시의 자치구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남구 (울산광역시) · 더보기 »

낙동강

낙동강의 모습(안동 월영교) 낙동강(洛東江)은 대한민국 강원도 태백시에서 시작되어 영남 지방을 통해 남해로 흐르는 강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낙동강 · 더보기 »

효공왕

효공왕(孝恭王, ? ~ 912년 4월, 재위: 897년 음력 6월 1일 ~ 912년 4월)은 신라의 제52대 왕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효공왕 · 더보기 »

우산과 양산

우산의 구조http://www.umbrellaman.co.uk/page/parts-umbrella.htm "Parts of an Umbrella", Carver Umbrellas, February 28, 2007 우산(雨傘)은 비, 눈, 우박이 내리고 있을 때에 스스로의 몸이나 소지품을 적시지 않기 위해 쓰이는 물건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우산과 양산 · 더보기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蔚州 大谷里 盤龜臺 岩刻畫 2010년 12월 27일. 291-318쪽. 304쪽. 문화재청고시제2010-133호(국가지정문화재 지정명칭 변경). 문화재청장. 2016년 5월 10일 확인함.)는 울산광역시 태화강 상류의 지류 하천인 대곡천의 절벽에 새겨진 그림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 더보기 »

울주 언양읍성

울주 언양읍성(蔚州 彦陽邑城)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읍성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울주 언양읍성 · 더보기 »

울주군

울주군(蔚州郡)은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서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울주군 · 더보기 »

울산공업센터 건립 기념탑

울산공업센터 건립 기념탑 (蔚山工業Center建立記念塔)은 울산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조형물로, 흔히 공업탑(工業塔)으로 불린.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울산공업센터 건립 기념탑 · 더보기 »

울산읍성

울산읍성(蔚山邑城)은 1597년 정유재란 때 소실된 울산읍을 둘러싼 성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울산읍성 · 더보기 »

울산초등학교

울산초등학교는 울산광역시 중구 유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울산초등학교 · 더보기 »

울산성 전투

울산성 전투(蔚山城戰鬪)는 정유재란에 조명 연합군과 일본군이 벌인 전투로 흔히 한국에서 알려진 울산성 전투는 제1차 전투이고 제2차 전투는 울산왜성에서 벌어진 전투로 조명 연합군은 많은 사상자를 낸 채 패배했고 왜군은 주위 성으로 후.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울산성 전투 · 더보기 »

울산왜성

울산왜성(蔚山倭城)은 울산광역시 중구 학성동에 남아있는 일본식 성곽(왜성)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울산왜성 · 더보기 »

자치구

자치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자치구 · 더보기 »

자유

자유(自由)는 일반적으로 어떤 존재가 내부나 외부로부터 구속이나 지배를 받지 않고 하고자 하는 것을 하거나 있는 그대로 존재할 수 있는 상태를 말. 서구 학술사의 맥락에서는 영어 리버티(liberty)와 프리덤(freedom)의 번역어로 사용되고 있. 단정할 수는 없으나 일반적으로 liberty는 freedom과 뚜렷한 차이를 갖. freedom은 주로 누군가가 의지한 대로 할 수 있는 능력이며, 누군가가 행위 할 수 있는 힘을 가짐을 말. 반면 liberty는 원칙 혹은 법이 아닌 자의적인 의지로 행해지는 억압을 봉쇄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며 연루된 모든 이의 권리를.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자유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임진왜란 · 더보기 »

임술민란

임술민란(壬戌民亂), 또는 임술농민항쟁(壬戌農民抗爭)은 1862년, 조선 각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난 농민 봉기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임술민란 · 더보기 »

포경

18세기에 네덜란드 포경업자들이 북극에서 북극고래를 포획하는 장면 포경(捕鯨, whaling)는 대형 고래를 잡는 작업을 말하며 기원전 6000년까지 거슬러 올.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포경 · 더보기 »

포상팔국

상팔국(浦上八國)이 가야 시대에 가락국의.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포상팔국 · 더보기 »

포항시

항시(浦項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해안에 있는 시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포항시 · 더보기 »

이덕형

이덕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이덕형 · 더보기 »

이두

이두 개설서인 《유서필지》 이두(吏讀)는 한자에 의한 한국어 표기법의 한 가지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이두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이승만 · 더보기 »

이십삼부

23부제 이십삼부제(二十三府制, 23부제)는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최상위 행정 구역을 부(府)로 개편하고 그 하위 행정 구역을 군(郡) 으로 명칭을 통일하여 부군제(府郡制)라고도 부른.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이십삼부 · 더보기 »

인도

인도 공화국()은 남아시아에 있는 나라로, 인도 아대륙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 국가 면적은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넓으며, 인구는 약 13억 명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 북쪽과, 북동쪽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 북쪽으로는 네팔, 부탄, 서쪽에는 파키스탄, 동쪽으로는 미얀마와 방글라데시, 남동쪽에는 벵골 만, 남서쪽으로는 아라비아 해, 남쪽으로는 인도양와 맞닿아 있으며 스리랑카, 몰디브가 있으며,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의 해상경계는 태국, 인도네시아와 접해 있. 수도는 뉴델리이.주요 도시로는 뉴델리, 뭄바이, 첸나이, 벵갈루루, 하이데라바드, 콜카타등이 있. 고대 인더스 문명의 발상지이자 역사적인 무역로였으며 거대한 제국이 있었던 인도 아대륙은 오랫동안 그 지정학적 지위와 경제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왔.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인도 · 더보기 »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서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인천광역시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일본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정유재란

정유재란(丁酉再亂)은 1597년 8월 도요토미 정권 일본군이 임진왜란의 정전회담이 결렬됨에 따라 재차 조선을 침공하여 이듬해인 1598년 12월까지 지속된 전쟁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정유재란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중종

중종(中宗, 1488년 4월 16일 (음력 3월 5일) ~ 1544년 11월 29일 (음력 11월 15일), 재위: 1506년~1544년)은 조선의 제11대 왕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조선 중종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조선 태조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조선 태종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중구 (울산광역시)

중구(中區)는 울산광역시의 구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중구 (울산광역시)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중국 · 더보기 »

진위대

위대(鎭衛隊)는 1895년(고종 32)에 설치한 한국 최초의 근대식 지방 군대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진위대 · 더보기 »

진한

(辰韓)은 한반도 남부에 있던 삼한(三韓)의 하나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진한 · 더보기 »

지방 자치

방 자치(地方自治)는 민주주의와 지방 분권을 기반으로 하는 행정 형태로, 일정한 지역을 기초로 하는 단체나 일정한 지역의 주민 자신이 선출한 기관을 통해서 그 지방의 행정을 처리하는 제도를 말. 지방 자치는 국가와 지방 단체와의 관계에서 단체 자치의 요소를, 지방 단체와 주민과의 관계에서 주민 자치의 요소를 아울러 가지고 있. 풀뿌리 민주 정치를 실현하고 권력 통제를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해 헌법이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있. 자치 단체는 행정 조직에서 지방 분권적 조직에 속. 국가의 행정은 국가 기관 그 자체에 의하여 처리되는 것도 있고 독립된 지방 자치 단체를 만들어 지방 자치 단체로 하여금 그것을 처리하게 하는 것도 있. 따라서 국가 기관 그 자체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행정을 ‘관치행정’(官治行政)이라 하고, 지방 자치 단체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행정을 ‘지방 자치’.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지방 자치 · 더보기 »

창원시

창원시청사 창원시(昌原市)는 대한민국의 경상남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자 경상남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창원시 · 더보기 »

칠천량 해전

량 해전(漆川梁海戰) 또는 칠천 해전은 1597년(선조 30년) 8월 27일(음력 7월 15일) 칠천도 부근에서 벌어진 해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칠천량 해전 · 더보기 »

위관

위관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위관 · 더보기 »

태평양 전쟁

평양 전쟁, 또는 때때로 아시아-태평양 전쟁,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역 중 하나로 태평양과 동아시아에서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태평양 전쟁 · 더보기 »

태화강

화강(太和江)은 울산광역시를 횡으로 가로질러 흐르는 대한민국의 강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태화강 · 더보기 »

탈해 이사금

이사금 (脫解尼師今, 기원전 19년?~80년, 재위: 57년~80년)은 신라의 제4대 국왕으로, 성(姓)은 석(昔)이고, 휘는 탈해(脫解)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탈해 이사금 · 더보기 »

수원시

수원시(水原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자 경기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수원시 · 더보기 »

최제우

제우(崔濟愚, 1824년 12월 18일(음력 10월 28일) ~ 1864년 4월 15일(음력 3월 10일))는 조선 말기 동학의 창시자이며 천도교의 창시자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최제우 · 더보기 »

향·소·부곡

향·소·부곡(鄕·所·部曲)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 초기까지 있었던 특수한 지방의 하급 행정 구획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향·소·부곡 · 더보기 »

언양군

언양군(彦陽郡)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부지역에 있던 옛 행정구역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언양군 · 더보기 »

양산시

양산시청 양산시(梁山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양산시 · 더보기 »

염포 (포구)

염포(鹽浦)는 조선 시대 일본인에게 개방한 삼포의 하나로, 현재의 울산광역시 북구 염포동에 있는 지역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염포 (포구) · 더보기 »

삼도수군통제사

삼도 수군 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는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의 수군(水軍)을 총지휘하는 조선시대의 관직으로 종2품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삼도수군통제사 · 더보기 »

삼국 시대

삼국 시대(三國時代)는 기원전 1세기부터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과 그 판도에 영향을 끼친 가야 연맹을 포함한 4개 국가가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 세워지면서부터 7세기에 신라에 의해 통일되기까지의 시대를 가리.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삼국 시대 · 더보기 »

삼국사기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金富軾)이 1145년(인종 23)에 완성한 삼국시대사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삼국사기 · 더보기 »

삼포 개항

삼포 개항(三浦開港)은 1426년(세종 8년) 대마도주 소 사다모리()의 청에 따라 기존에 개방하였던, 웅천(진해)의 내이포(乃而浦), 부산포 이외에도 울산의 염포(鹽浦)를 추가로 개항하고 일본인에게 교역을 허락한 일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삼포 개항 · 더보기 »

삼포왜란

삼포왜란(三浦倭亂, 1510년 4월 4일 ~ 4월 19일) 또는 경오왜변(庚午倭變)은 1510년(중종 5년) 4월 4일에 제포(내이포), 부산포, 염포의 삼포에 거주하고 있던 왜인들이 대마도주 종성친의 지원을 받아 일으킨 왜변을 말.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삼포왜란 · 더보기 »

삼정의 문란

삼정의 문란(三政-紊亂)이란 조선시대 국가 재정의 3대 요소인 전정(田政)·군정(軍政)·환정(還政: 정부 보유 미곡의 대여 제도)이 문란해졌음을 말.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삼정의 문란 · 더보기 »

삼한

3세기 초 삼한의 형세 삼한(三韓)은 삼국 시대 이전 한반도 중남부에 자리 잡고 있던 연맹왕국인 마한(馬韓), 변한(弁韓), 진한(辰韓)을 통칭하는 말로, 청동기 시대에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 성립하였던 진국에 기원을 둔 것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삼한 · 더보기 »

삽량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삽량주(歃良州) 또는 양주(良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삽량주 · 더보기 »

선무공신

선무공신(宣武功臣)은 1592년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웠거나 후방에서 지원한 공로에 대한 공신록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선무공신 · 더보기 »

선생

선생(先生)이란 학문적으로나 덕망이 높은 사람, 혹은 사회적으로 존경받을 만한 위치의 사람,학예가 뛰어난 사람, 각 관청과 관아(官衙)의 전임자를 가리키던 일종의 존칭 또는 경칭으로 고대사회부터 근대사회의 호칭이었.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선생 · 더보기 »

세도정치

세도 정치(勢道政治)는 조선시대 왕의 신임과 직접적인 위임(委任)을 받는 형식으로 정권을 잡고 나라를 다스리던 일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세도정치 · 더보기 »

세종실록 지리지

《세종실록 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는 《세종실록》에 실린 지리지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세종실록 지리지 · 더보기 »

서라벌

서라벌(徐羅伐)은 신라의 수도로, 지금의 경상북도 경주 자리에 있었.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서라벌 · 더보기 »

서력기원

서력기원(西曆紀元), 약칭 서기(西紀)는 예수 탄생을 기원(紀元)으로 한 서양 기독교 문화권에서 사용해 온 기년법의 책력으로, 현재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 서기는 일반적인 다른 역법·연호 체계와 마찬가지로 0년이 존재하지 않으며, 그레고리력의 1년을 기원, 곧 ‘시작하는 해’로 삼. 로마자 약어로 기원후는 AD(‘주의 해(年)에’)로, 기원전은 BC(‘예수 이전에’)를 주로 써왔.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서력기원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서생포왜성

서생포왜성(西生浦倭城)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서생리에 있는 일본식 성곽(왜성)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서생포왜성 · 더보기 »

소련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약칭 소비에트 연방()또는 소련(蘇聯) 은 1922년 12월 30일부터 1991년 12월 26일까지 유라시아 북부에 존재하였던 세계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였.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소련 · 더보기 »

합포

합포(合浦)는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옛 마산시) 일대의 옛 지명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합포 · 더보기 »

한반도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모양 한반도(韓半島)는 정치지리학적으로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지형학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한반도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한국의 구석기 시대

국의 구석기 시대 유적은 산악지대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서 현재까지 약 90여 군데가 발굴되었.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한국의 구석기 시대 · 더보기 »

한국의 신석기 시대

국의 신석기 시대는 한반도, 만주 일대에서 고대 한국인이 활동한 시기인 기원전 8000년~기원전 2333년 까지의 시기를 의미.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한국의 신석기 시대 · 더보기 »

한국어

국어의 세계 분포를 나타낸 그림. 한국어(韓國語) 또는 조선말(朝鮮말)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라고 부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말,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에서는 조선어(朝鮮語)라고 부르며,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는 고려말(高麗말)이라고 부른.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한국어 · 더보기 »

한일 병합 조약

일 병합 조약() 또는 한국 병합에 관한 조약()은 1910년 8월 22일에 조인되어 8월 29일 발효된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일방적인 위력에 의해 이루어진 합병조약(合倂條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한일 병합 조약 · 더보기 »

암행어사

암행어사는 조선 시대에 지방에 파견되어 지방관의 감찰과 백성의 사정을 조사하는 일을 비밀리에 수행했던 국왕 직속의 임시 관리로 부사의 일종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암행어사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신라 · 더보기 »

신라의 삼국통일

신라의 삼국통일(新羅-三國統一)은 한민족의 역사에서 최초의 민족 통일로 간주되는 사건으로, 676년 신라가 한반도의 제국가(諸國家)를 통일한 것을 말. 신라는 가야, 백제, 고구려 등 한반도에 있던 나라들을 차례로 멸망시켜 병합하였고, 676년에 당나라 군대를 대동강 북쪽으로 축출하여 통일을 달성하였.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신라의 삼국통일 · 더보기 »

신의주시

신의주시(新義州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서북부에 있는 시이자, 평안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신의주시 · 더보기 »

시 (행정 구역)

시(市)는 행정 구역의 하나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시 (행정 구역) · 더보기 »

원균

원균(元均, 1540년 2월 12일 (음력 1월 5일) ~ 1597년 8월 27일 (음력 7월 15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으로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장수들 중의 한사람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원균 · 더보기 »

원종공신

원종공신(原從功臣, 元從功臣)은 각 공신녹권 중 친공신(직접적인 공신)의 아래로, 보조적인 역할을 한 공신이었.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원종공신 · 더보기 »

후쿠오카

후쿠오카()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후쿠오카 · 더보기 »

웅촌면

웅촌면(熊村面)은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면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웅촌면 · 더보기 »

웅상

웅상(熊上)은 양산시 동부에 위치한 지역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웅상 · 더보기 »

16세기 중국에서 작성된 세계지도. 왜(倭)는 일본국(日本國)의 아래에 표기되어있다. 왜(倭) 또는 왜국(倭國, 왜나라)은 중국 등지에서 일본 열도 남서부에 위치했던 고대의 부족국가들을 일컫던 말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왜 · 더보기 »

왜구

16세기 왜구들의 활동 범위 왜구들의 약탈을 그린 회화 (16세기) 왜구(倭寇)는 통상적으로 고려와 원나라의 연합군이 일본 열도 침략에 실패한 이후인 13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한반도와 중국 대륙의 연안부나 일부 내륙 지역을 약탈하고 밀무역을 행하던 무리를 가리.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왜구 · 더보기 »

환곡

환곡(還穀)은 조선 시대에 있었던 구휼(救恤) 제도 가운데 하나로서, 흉년 또는 춘궁기에 곡식을 빌려 주고 풍년·추수기에 되받는 진휼제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환곡 · 더보기 »

101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018년 · 더보기 »

10월 1일

10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4번째(윤년일 경우 27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0월 1일 · 더보기 »

10월 20일

10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3번째(윤년일 경우 29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0월 20일 · 더보기 »

10월 31일

10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4번째(윤년일 경우 30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0월 31일 · 더보기 »

114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143년 · 더보기 »

11월

11월(十一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한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8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고, 그 다음 해가 윤년인 경우 2월과 마지막 요일이 같. 또한, 이 달과 그 해의 3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평년인 경우 그 해의 2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1월 · 더보기 »

11월 1일

11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5번째(윤년일 경우 30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1월 1일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2월 · 더보기 »

12월 22일

12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6번째(윤년일 경우 35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2월 22일 · 더보기 »

12월 2일

12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6번째(윤년일 경우 33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2월 2일 · 더보기 »

12월 31일

12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5번째(윤년일 경우 366번째) 날에 해당하며, 한 해의 마지막 날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2월 31일 · 더보기 »

141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413년 · 더보기 »

141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417년 · 더보기 »

142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426년 · 더보기 »

143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436년 · 더보기 »

143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437년 · 더보기 »

145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459년 · 더보기 »

1592년

159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592년 · 더보기 »

1593년

159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593년 · 더보기 »

1598년

15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598년 · 더보기 »

1612년

161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612년 · 더보기 »

1617년

161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617년 · 더보기 »

1860년

186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860년 · 더보기 »

1861년

186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861년 · 더보기 »

1862년

186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862년 · 더보기 »

1895년

189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895년 · 더보기 »

1896년

189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896년 · 더보기 »

1897년

189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897년 · 더보기 »

1902년

190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02년 · 더보기 »

1903년

190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03년 · 더보기 »

1905년

190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05년 · 더보기 »

1906년

190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06년 · 더보기 »

1907년

190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07년 · 더보기 »

1908년

190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08년 · 더보기 »

1910년

191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10년 · 더보기 »

1911년

191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11년 · 더보기 »

1914년

191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14년 · 더보기 »

1917년

191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17년 · 더보기 »

1920년

192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20년 · 더보기 »

1928년

192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28년 · 더보기 »

1930년

193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30년 · 더보기 »

1931년

193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31년 · 더보기 »

1932년

193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32년 · 더보기 »

1933년

193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33년 · 더보기 »

1936년

193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36년 · 더보기 »

1937년

193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37년 · 더보기 »

1941년

194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41년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45년 · 더보기 »

1946년

194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46년 · 더보기 »

1950년

한국 전쟁 중 아주머니와 아이가 땔깜용 파편을 구하는 모습. 195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50년 · 더보기 »

1962년

196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62년 · 더보기 »

1963년

196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63년 · 더보기 »

1972년

1972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72년 · 더보기 »

1976년

1976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76년 · 더보기 »

1980년대

1980년대는 1980년부터 198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80년대 · 더보기 »

1985년

198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85년 · 더보기 »

1987년

198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87년 · 더보기 »

1988년

198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88년 · 더보기 »

1994년

199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94년 · 더보기 »

1995년

19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95년 · 더보기 »

1996년

199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96년 · 더보기 »

1997년

199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997년 · 더보기 »

1월 1일

1월 1일은 양력(그레고리력)으로 첫 번째 날을 말.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월 1일 · 더보기 »

1월 27일

1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번째(윤년일 경우도 2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월 27일 · 더보기 »

1월 28일

1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번째(윤년일 경우도 2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월 28일 · 더보기 »

1월 9일

1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번째(윤년일 경우도 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1월 9일 · 더보기 »

2001년

9·11 테러로 세계무역센터가 불타는 장면 200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와 제3천년기의 첫 번째 해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2001년 · 더보기 »

2018년

2018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2018년 · 더보기 »

2월 3일

2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번째(윤년일 경우도 3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2월 3일 · 더보기 »

2월 6일

2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7번째(윤년일 경우도 3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2월 6일 · 더보기 »

3월 14일

3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3번째(윤년일 경우 7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3월 14일 · 더보기 »

3월 1일

3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0번째(윤년일 경우 6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3월 1일 · 더보기 »

4.19 혁명

1960년 3월 15일자 《동아일보》에 게재된 3.15 부정선거 관련 기사 4·19 혁명(四一九革命) 또는 4월 혁명(四月革命)은 1960년 4월 19일 대한민국에서 제1공화국 자유당 정권이 이기붕을 부통령으로 당선시키기 위한 개표조작을 하자, 이에 반발하여 부정선거 무효와 재선거를 주장하는 학생들의 시위에서 비롯된 혁명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4.19 혁명 · 더보기 »

40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400년 · 더보기 »

4월

4월(四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네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대한민국에서는 4월이 과학의 달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4월 · 더보기 »

4월 14일

4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4번째(윤년일 경우 10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4월 14일 · 더보기 »

4월 19일

4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9번째(윤년일 경우 11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4월 19일 · 더보기 »

4월 1일

4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1번째(윤년일 경우 9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4월 1일 · 더보기 »

4월 20일

4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0번째(윤년일 경우 11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4월 20일 · 더보기 »

4월 21일

4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1번째(윤년일 경우 11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4월 21일 · 더보기 »

4월 25일

4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5번째(윤년일 경우 11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4월 25일 · 더보기 »

4월 5일

4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5번째(윤년일 경우 9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4월 5일 · 더보기 »

5월

5월(五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다섯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5월 · 더보기 »

5월 5일

5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5번째(윤년일 경우 126번째), 뒤에서부터는 24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5월 5일 · 더보기 »

5월 7일

5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7번째(윤년일 경우 128번째), 뒤에서부터는 23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5월 7일 · 더보기 »

6월

6월(六月)은 에서 한 해의 여섯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는 네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6월 · 더보기 »

6월 1일

6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2번째(윤년일 경우 15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6월 1일 · 더보기 »

6월 25일

6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6번째(윤년일 경우 17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6월 25일 · 더보기 »

72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722년 · 더보기 »

75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757년 · 더보기 »

7월

7월(七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일곱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4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윤년인 경우 그 해의 1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 400년 동안 이 달은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에 58번, 월요일과 화요일에 57번,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56번 시작.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7월 · 더보기 »

7월 15일

7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6번째(윤년일 경우 19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7월 15일 · 더보기 »

7월 1일

7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2번째(윤년일 경우 18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7월 1일 · 더보기 »

7월 26일

7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7번째(윤년일 경우 20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7월 26일 · 더보기 »

8월

8월(八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여덟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부터 연말까지는 2의 배수가 오는 달마다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1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 또한, 윤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2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되며, 다음 해도 평년인 경우 다음 해 5월과 같은 요일이.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8월 · 더보기 »

8월 10일

8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2번째(윤년일 경우 22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8월 10일 · 더보기 »

8월 17일

8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9번째(윤년일 경우 23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8월 17일 · 더보기 »

8월 24일

8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6번째(윤년일 경우 23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8월 24일 · 더보기 »

93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930년 · 더보기 »

99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997년 · 더보기 »

9월 10일

9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3번째(윤년일 경우 25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9월 10일 · 더보기 »

9월 1일

9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4번째(윤년일 경우 24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9월 1일 · 더보기 »

9월 8일

9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1번째(윤년일 경우 25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산광역시의 역사와 9월 8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