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1 처지: 라그랑지언, 르장드르 변환, 미분, 경로 적분 공식화, 범함수, 고전역학, 병진, 운동 방정식, 자유 에너지, 작용 (물리학), 퍼텐셜, 진공 기댓값, 유효 이론, 상관 함수 (양자장론), 생성함수 (수학), 양자장론, 양자역학, 섭동 이론, 통계역학, 해밀턴의 원리, 테일러 급수.
라그랑지언
랑주 역학에서, 라그랑지언(Lagrangian)이란 계의 동역학을 나타내는 함수.
보다 유효 작용와 라그랑지언
르장드르 변환
르장드르 변환(Legendre變換)은 볼록함수를 다른 볼록함수로 변환하는 연산이.
미분
함수의 그래프와 그 접선. 함수의 점에서의 미분은 그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와 같다. 수학에서, 미분(微分) 또는 도함수(導函數)는 어떤 함수의 정의역 속 각 점에서의 함숫값의 변화량과 독립 변숫값의 변화량의 비의 극한 혹은 극한들로 치역이 구성되는 새로운 함수이.
보다 유효 작용와 미분
경로 적분 공식화
양자역학에서 경로 적분(經路積分, path integral)은 해밀턴의 원리를 일반화하여 양자론을 기술하는 방법이.
범함수
수학에서 범함수(functional)는 함수들의 집합을 정의역으로 갖는 함수이.
보다 유효 작용와 범함수
고전역학
전역학(古典力學)은 물체에 작용하는 힘과 운동의 관계를 설명하는 물리학이.
보다 유효 작용와 고전역학
병진
병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유효 작용와 병진
운동 방정식
운동 방정식(運動方程式)은 물리계에서 물체의 운동을 기술하는 방정식이.
자유 에너지
자유 에너지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작용 (물리학)
작용(作用)은 계의 시간에 따른 경로를 나타내는 물리량이.
퍼텐셜
셜(Potential)은 "잠재력"을 뜻하는 물리학 용어이.
보다 유효 작용와 퍼텐셜
진공 기댓값
양자장론에서, 연산자의 진공 기댓값(眞空期待値)은 위치 에너지의 최소점에서 양자장 진공(바닥 상태)에 대해 가지는 기댓값을 말. 스칼라장뿐만 아니라, 스핀을 가지고 있는 입자도 로런츠 대칭을 깨지 않는 조합으로 0이 아닌 기댓값을 가질 수 있.
유효 이론
물리학에서 유효 이론(有效理論, effective theory)은 주어진 에너지 눈금 (scale) 이하에서 유효한 근사 이론이.
보다 유효 작용와 유효 이론
상관 함수 (양자장론)
양자장론에서, 상관 함수(相關函數, correlation function)란 진공 초기상태(켓)와 진공 나중상태(브라) 사이에 어떤 주어진 과정이 일어날 확률 진폭을 나타내는 함수.
생성함수 (수학)
수학에서 어떤 수열 an (n은 자연수)에 대하여, 와 같이 미지수의 계수가 수열의 각 항으로 되어 있는 멱급수 형태의 함수를 생성함수(generating function).
양자장론
물리학에서, 양자장론(量子場論) 혹은 양자 마당 이론은 장을 기술하는 양자 이론이.
보다 유효 작용와 양자장론
양자역학
양자역학(量子力學)은 분자, 원자, 전자, 소립자와 미시적인 계의 현상을 다루는 즉, 작은 크기를 갖는 계의 현상을 연구하는 물리학의 분야이.
보다 유효 작용와 양자역학
섭동 이론
수학과 물리학에서, 섭동 이론(perturbation theory, 攝動理論) 또는 미동 이론(微動理論)은 해석적으로 풀 수 없는 문제의 해를 매우 작다고 여길 수 있는 매개변수들의 테일러 급수로 나타내는 이론이.
보다 유효 작용와 섭동 이론
통계역학
통계역학(統計力學) 또는 통계물리학(統計物理學)은 통계학의 방법을 이용하여 역학의 문제를 푸는 물리학의 기초 이론 중. 통계역학은 입자가 무척 많거나, 대상의 운동이 무척 복잡하여 확률적 해석이 중요해지는 현상을 주로 다루며, 핵반응 현상이나 생물학, 화학 등 여러 분야에 적용.
보다 유효 작용와 통계역학
해밀턴의 원리
밀턴의 원리(Hamilton's principle)란 미분방정식을 사용한 고전역학의 기술방식과는 달리 변분법을 사용해 적분방정식으로 고전역학을 기술하는 원리이.
테일러 급수
사인 함수의 테일러 급수의 수렴. 검은 선은 사인 함수의 그래프이며, 색이 있는 선들은 테일러 급수를 각각 1차(빨강), 3차(주황), 5차(노랑), 7차(초록), 9차(파랑), 11차(남색), 13차(보라) 항까지 합한 것이다. 미적분학에서, 테일러 급수(Taylor級數)는 도함수들의 한 점에서의 값으로 계산된 항의 무한합으로 해석함수를 나타내는 방법이.
또한 유효작용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