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정창순

색인 정창순

정창순(鄭昌順, 1727년 ~?)은 조선의 문신이.

20 처지: 도승지, 공조 (행정기관), 병조, 대사헌, 우참찬, 이조, 의금부, 의정부, 제학, 판윤, 온양 정씨, 예문관, 예조, 형조, 사간원, 사헌부, 한성부, 한성부판윤, 홍문관, 1727년.

도승지

승지(都承旨)는 조선의 정3품 당상관직으로 도령(都令)으로도 불리었.

새로운!!: 정창순와 도승지 · 더보기 »

공조 (행정기관)

공조(工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정창순와 공조 (행정기관) · 더보기 »

병조

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정창순와 병조 · 더보기 »

대사헌

사헌(大司憲)은 도헌(都憲) 또는 대헌(大憲)이.

새로운!!: 정창순와 대사헌 · 더보기 »

우참찬

우참찬(右參贊)은 조선시대 의정부에 소속된 정2품 정헌대부 또는 자헌대부로 정원은 1명이.

새로운!!: 정창순와 우참찬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정창순와 이조 · 더보기 »

의금부

의금부 터 의금부(義禁府)는 고려와 조선의 수사기관이.

새로운!!: 정창순와 의금부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정창순와 의정부 · 더보기 »

제학

제학(提學)은 고려시대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 ·예문관(藝文館) ·보문관(寶文館) ·우문관(右文館) ·진현관(進賢館)의 대제학(大提學) 아래 정3품 벼슬로, 1311년(충선왕 복위 3년) 사백(詞伯)을 고친 이름이.

새로운!!: 정창순와 제학 · 더보기 »

판윤

윤(判尹)은 조선의 정2품 관직으로 도읍 한성부(漢城府)의 기관장이.

새로운!!: 정창순와 판윤 · 더보기 »

온양 정씨

온양 정씨(溫陽 鄭氏)는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동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정창순와 온양 정씨 · 더보기 »

예문관

예문관(藝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정창순와 예문관 · 더보기 »

예조

예조(禮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정창순와 예조 · 더보기 »

형조

형조(刑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정창순와 형조 · 더보기 »

사간원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

새로운!!: 정창순와 사간원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새로운!!: 정창순와 사헌부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정창순와 한성부 · 더보기 »

한성부판윤

성부판윤(漢城府判尹)은 조선 시대 한성부를 다스리던 정2품의 관직으로서, 품계는 자헌대부 이상의 품계에 해당되었.

새로운!!: 정창순와 한성부판윤 · 더보기 »

홍문관

홍문관(弘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정창순와 홍문관 · 더보기 »

1727년

172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창순와 1727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