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조선 중종

색인 조선 중종

중종(中宗, 1488년 4월 16일 (음력 3월 5일) ~ 1544년 11월 29일 (음력 11월 15일), 재위: 1506년~1544년)은 조선의 제11대 왕이.

193 처지: 덕흥대원군, 덕양군, 류순, 류순정, 명나라, 문정왕후 (조선), 백승도 (배우), 갑자사화, 간도, 간신, 강남구, 박찬환, 박원종, 경기도, 경빈 박씨 (중종), 경상도, 경현공주, 고려대학교, 고경표, 고양시, 복성군, 봉성군, 권서안남국사, 귀인 한씨, 기묘사화, 금원군, 비변사, 김법래, 김근사, 김규철, 김구 (1488년), 김전, 김수동, 김안로, 김식, 대리청정, 대장금, 대윤 소윤, 대한민국, 남곤, 노영학, 단경왕후, 효정옹주, 효순공주, 효혜공주, 자 (이름), 장경왕후 (조선), 장금이의 꿈, 장녹수 (드라마), 장순손, ..., 임꺽정, 임호 (배우), 폐비 윤씨, 평안도, 희빈 홍씨, 이 (성씨), 이름, 이경영 (1960년), 이진우 (배우), 이지방, 인조반정, 인종, 인순공주, 인순왕후, 인수대비 (드라마), 인성왕후, 음력 11월 15일, 음력 3월 5일, 음력 9월 2일, 의혜공주, 전주 이씨, 정광필, 정순옹주 (중종), 정현왕후, 정신옹주 (중종), 조광조, 조광조 (드라마), 조선, 조선 덕종, 조선 명종, 조선 인종, 조선 중종, 조선 연산군, 조선 성종,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왕조실록, 중종, 중종반정, 창경궁, 창빈 안씨, 천명: 조선판 도망자 이야기, 춘추관, 유교, 윤임, 윤은보, 윤지임, 윤여필, 윤원로, 윤원형, 숙의 김씨 (중종), 숙의 나씨 (중종), 숙의 이씨 (중종), 숙의 홍씨 (중종), 숙정옹주 (중종), 숙원 이씨 (중종), 혁명, 영의정, 영양군 (왕족), 옥중화, 혜정옹주, 혜순옹주, 예조, 현량과, 최우혁 (1985년), 최일화, 최종환, 최상훈, 최한, 여인천하 (드라마), 여진, 연우진, 연산일기, 풍란 (드라마), 풍수, 사림파, 사간원, 사가독서, 사임당, 빛의 일기, 사헌부, 삼포왜란, 삼성동 (강남구), 선릉, 선정릉, 섭정, 성리학, 성희안, 세조찬위, 서울특별시, 송질, 소윤, 소혜왕후, 함경도, 해안군, 한국방송공사, 한효원, 한성부, 신승선, 신수근, 심정 (1471년), 홍문관, 홍경주, 홍길동 (드라마), 황진이 (2006년 드라마), 왜구, , 왕과 비, 왕과 나 (드라마), JTBC, KBS 2TV, MBC TV, SBS TV, 11월 29일, 1488년, 1506년, 1507년, 1544년, 1985년, 1988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8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5년, 2016년, 2017년, 2월 18일, 4월 16일, 5월 21일, 7일의 왕비, 8월 22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43 더) »

덕흥대원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1530년 4월 2일 ~ 1559년 6월 14일)은 조선 중기의 왕자이며 조선 최초의 대원군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덕흥대원군 · 더보기 »

덕양군

덕양군(德陽君, 1524년 음력 9월 ~ 1581년 음력 6월 22일)은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덕양군 · 더보기 »

류순

순(柳洵, 1441년 ~ 1517년)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희명(希明), 호는 노포(老圃), 본관은 문화(文化)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류순 · 더보기 »

류순정

순정 영정 류순정 (柳順汀, 1459년 ~ 151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성리학자이자 사림파 정치인의 한사람으로 1506년의 중종 반정에 참여하였.

새로운!!: 조선 중종와 류순정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명나라 · 더보기 »

문정왕후 (조선)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년 12월 2일(음력 10월 22일) ~ 1565년 5월 5일(음력 4월 6일))는 조선 중기의 왕후이자 섭정으로 중종(中宗)의 제2계비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문정왕후 (조선) · 더보기 »

백승도 (배우)

백승도(1995년 5월 16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백승도 (배우) · 더보기 »

갑자사화

갑자사화 (甲子士禍)는 1504년(연산군 10년)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 윤씨의 복위 문제로 인하여 일어난 사화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갑자사화 · 더보기 »

간도

(間島)는 압록강 상류와 두만강 북쪽의 조선인 거주 지역을 일컫는 말로, 간도의 범위에 관하여는 여러 이견이 있. 일반적으로 간도라 하면 현재의 연변 조선족 자치주 지역을 가리키며, 두만강 북쪽인 연변 지역을 '북간도'(또는 '동간도'), 그 서쪽인 압록강 북쪽 지역을 '서간도'라 부르.

새로운!!: 조선 중종와 간도 · 더보기 »

간신

《간신》은 2015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간신 · 더보기 »

강남구

강남구(江南區)는 서울특별시의 남동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강남구 · 더보기 »

박찬환

박찬환(朴贊煥, 1957년 7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박찬환 · 더보기 »

박원종

박원종(朴元宗, 1467년 ~ 1510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武臣) 겸 정치가(政治家)로 자는 백윤, 시호는 무열로 본관은 순천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박원종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경기도 · 더보기 »

경빈 박씨 (중종)

경빈 박씨(敬嬪 朴氏, 1492년? ~ 1533년)는 조선 왕조 제11대 임금 중종의 빈어(嬪御)로, 중종의 장자인 복성군을 낳아 중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작서의 변에 연루되어 누명을 쓴 채 유배되었고, 결국에는 사약을 받고 죽었.

새로운!!: 조선 중종와 경빈 박씨 (중종) · 더보기 »

경상도

경상도 경상도(慶尙道)는 경상남도, 경상북도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영남 지방(嶺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조선 중종와 경상도 · 더보기 »

경현공주

경현공주(敬顯公主, 1530년 ~ 1584년)는 중종(中宗, 1488~1544, 재위 1506~1544)의 4녀이자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1565) 소생으로, 명종의 친누나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경현공주 · 더보기 »

고려대학교

학교(高麗大學校, Korea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고려대학교 · 더보기 »

고경표

경표(高庚杓, 1990년 6월 11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고경표 · 더보기 »

고양시

양시청 고양시(高陽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북서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고양시 · 더보기 »

복성군

복성군 이미(福城君 李嵋, 1509년 9월 28일(음력 9월 15일) ~ 1533년 6월 18일(음력 5월 26일))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복성군 · 더보기 »

봉성군

봉성군(鳳城君, 1528년 ~ 1547년 음력 윤9월)은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봉성군 · 더보기 »

권서안남국사

서안남국사(權署安南國事)는 후 레 왕조의 군주가 명나라로부터 외교상 봉해진 칭호였.

새로운!!: 조선 중종와 권서안남국사 · 더보기 »

귀인 한씨

인 한씨(貴人 韓氏, 1500년 ~ 1575년 음력 3월)는 조선 중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귀인 한씨 · 더보기 »

기묘사화

묘사화(己卯士禍)는 1519년(중종 14) 음력 11월에 조선에서 남곤(南袞), 심정(沈貞), 홍경주(洪景舟), 김전(金詮), 중종(中宗) 등이 조광조(趙光祖), 김식 등 신진사림의 핵심인물들을 몰아내어 죽이거나 혹은 귀양보낸 사건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기묘사화 · 더보기 »

금원군

원군(錦原君, 1513년 음력 6월 9일 ~ 1562년 음력 4월 7일)은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금원군 · 더보기 »

비변사

비변사(備邊司)는 조선 중기 이후의 행정 관청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비변사 · 더보기 »

김법래

법래(1970년 7월 24일 ~)은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새로운!!: 조선 중종와 김법래 · 더보기 »

김근사

사(金謹思, 1466년 ~ 1539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김근사 · 더보기 »

김규철

(金圭哲, 1960년 4월 6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김규철 · 더보기 »

김구 (1488년)

(金絿, 1488년 ~ 1534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대유, 호는 자암(自庵)과 삼일재, 시호는 문의, 본관은 광산(光山)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김구 (1488년) · 더보기 »

김전

전(金詮, 1458년 ~ 1523년)은 조선 전기, 중기의 문신, 학자로 자는 중륜(仲倫), 호는 나헌(懶軒)·능인(能人), 시호는 충정공(忠貞公)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김전 · 더보기 »

김수동

수동(金壽童, 1457년 ~ 1512년)은 조선의 문신으로 성종 때, 영의정을.

새로운!!: 조선 중종와 김수동 · 더보기 »

김안로

안로(金安老, 1481년 ~ 1537년 10월 27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외척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김안로 · 더보기 »

김식

식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조선 중종와 김식 · 더보기 »

대리청정

리청정(代理聽政)은 동아시아의 전제군주제 국가, 특히 중국, 조선, 일본에서 임금의 재가(허락)를 받아 임금의 정치 등 여러 일을 대신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섭정).

새로운!!: 조선 중종와 대리청정 · 더보기 »

대장금

《대장금》(大長今)은 장금의 생애를 조명한 2003년 9월 15일 ~ 2004년 3월 23일까지 방송된 문화방송의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대장금 · 더보기 »

대윤 소윤

윤(大尹)과 소윤(小尹)은 조선 중기 중종의 친인척을 가리키는 용어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대윤 소윤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남곤

(南袞, 1471년 ~ 1527년 3월 10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유학자이며 정치인, 교육자, 작가, 시인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남곤 · 더보기 »

노영학

영학(~)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노영학 · 더보기 »

단경왕후

경왕후 신씨(端敬王后 愼氏, 1487년 2월 7일 (음력 1월 4일)~1557년 12월 27일(음력 12월 7일)는 조선 중종의 정비(正妃)이다. 시호는 공소순열단경왕후(恭昭順烈端敬王后)이다. 익창부원군 신도공 신수근(愼守勤)과 청원부부인 한씨(淸原府夫人 韓氏)의 딸로, 본관은 거창(居昌)이다. 조선의 역대 왕비 중 제일 짧은 7일의 재위 기간을 보유하고 있으며, 역적의 딸로 연좌되어 폐출된 후 영조 때에 부모와 함께 복위되었다. 능은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에 위치한 온릉이다.

새로운!!: 조선 중종와 단경왕후 · 더보기 »

효정옹주

효정옹주(孝靜翁主, 1520년 ~ 1544년 2월)는 조선 제11대 임금 중종과 숙원 이씨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효정옹주 · 더보기 »

효순공주

효순공주(孝順公主, 1522년 ~ 1538년)는 제11대 왕 중종(中宗, 1488~1544, 재위 1506~1544)의 3녀이자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1565) 소생으로, 명종의 친누나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효순공주 · 더보기 »

효혜공주

효혜공주(孝惠公主, 1511년 6월 13일(음력 5월 18일) ~ 1531년 5월 6일(음력 4월 20일))는 조선 중기의 공주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효혜공주 · 더보기 »

자 (이름)

자(字)는 한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 일본에서 성년이 되는 관례 때 받는 이름인 관명과 함께 스스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짓는 새로운 이름을 말. 이는 이름이 부모가 주신 것으로서 부모님이나 스승, 왕(혹은 황제)외에는 함부로 부르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던 데에 기인.

새로운!!: 조선 중종와 자 (이름) · 더보기 »

장경왕후 (조선)

장경왕후 윤씨(章敬王后 尹氏, 1491년 8월 10일(음력 7월 6일) ~ 1515년 3월 16일(음력 3월 2일))는 조선 중종의 계비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장경왕후 (조선) · 더보기 »

장금이의 꿈

《장금이의 꿈》은 문화방송의 드라마 《대장금》을 원작으로 한 대한민국의 TV 애니메이션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장금이의 꿈 · 더보기 »

장녹수 (드라마)

《장녹수》는 1995년 1월 2일부터 1995년 6월 27일까지 방영된 사극으로 한국방송공사 월화드라마인데 월~목 4회 편성된 SBS 미니시리즈 모래시계와 경쟁할 당시 초반에는 24~28%의 시청률을 올리며 이 작품을 바짝 뒤쫓았으나 모래시계가 극의 몰입도를 높여가면서 50% 후반대의 시청률로 치솟자 한때 10%대로 추락하기도 했고 1995년 2월 13일 방영분에서 장녹수(박지영 분)가 저고리를 벗은 채 목욕하는 선정적인 장면을 내보냈지만 이 방송분에서는 시청률이 14%에.

새로운!!: 조선 중종와 장녹수 (드라마) · 더보기 »

장순손

장순손(張順孫, 1453년『연려실기술』 ~ 1534년 9월 11일)은 조선의 문신으로, 자는 자활(自活), 본관은 인동(仁同)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장순손 · 더보기 »

임꺽정

임꺽정(林巪正, 1504년 ~ 1562년 음력 1월 3일)은 조선 명종 때의 황해도 지방의 백정 출신 도적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임꺽정 · 더보기 »

임호 (배우)

임호(1970년 1월 27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임호 (배우) · 더보기 »

폐비 윤씨

비 윤씨(廢妃 尹氏, 1455년 7월 15일 (음력 윤 6월 1일)폐비 윤씨 태실의 태지에 기록된 내용이다. 현재 폐비 윤씨 태실 등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며, 관련 내용을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시 자료 에서 일부 확인 가능하다. ~ 1482년 8월 29일 (음력 8월 16일))는 봉상시 판사(奉常寺 判事) 윤기견(尹起畎, 또는 윤기무, 尹起畝) 와 고령 신씨(申氏)의 딸로 조선의 제9대 임금 성종의 계비이자 둘째부인으로 투기와 남편인 성종의 용안에 상처를 내어 폐위되었.

새로운!!: 조선 중종와 폐비 윤씨 · 더보기 »

평안도

조선후기 평안도 평안도(平安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평안도 · 더보기 »

희빈 홍씨

희빈 홍씨(熙嬪 洪氏, 1494년 ~ 1581년)는 중종의 후궁으로, 본관은 남양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희빈 홍씨 · 더보기 »

이 (성씨)

외 이(李, 異, 伊)씨는 동아시아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이 (성씨) · 더보기 »

이름

왕족 이름을 뜻한다. 이름은 "이르다"의 명사형으로, 물건, 사람, 장소, 생각, 개념 등을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해 부르는 말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이름 · 더보기 »

이경영 (1960년)

이경영(李璟榮, 1960년 12월 12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영화감독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이경영 (1960년) · 더보기 »

이진우 (배우)

이진우(李珍雨, 1969년 1월 23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 겸 목회자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이진우 (배우) · 더보기 »

이지방

이지방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중종와 이지방 · 더보기 »

인조반정

인조반정(仁祖反正)은 1623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 서인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을 몰아내고 능양군 이종을 옹립한 사건을 말.

새로운!!: 조선 중종와 인조반정 · 더보기 »

인종

인종(人種)은 사회적 또는 생물적으로 구분되는 인간의 무리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인종 · 더보기 »

인순공주

인순공주(仁順公主, 1542년 ~ 1545년)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인순공주 · 더보기 »

인순왕후

인순왕후 심씨(仁順王后 沈氏, 1532년 6월 27일/음력 5월 25일 ~ 1575년 2월 12일/음력 1월 2일)는 조선의 제13대 국왕인 명종의 정비(正妃)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인순왕후 · 더보기 »

인수대비 (드라마)

《인수대비》는 JTBC의 텔레비전 드라마로, 조선 문종 시대부터 연산군 시대까지의 인물인 소혜왕후의 삶을 다루었.

새로운!!: 조선 중종와 인수대비 (드라마) · 더보기 »

인성왕후

인성왕후 박씨(仁聖王后 朴氏, 1514년 10월 7일/음력 9월 20일 ~ 1578년 1월 6일/1577년 음력 11월 29일)는 조선 인종의 왕비이며 정식시호는 효순공의인성왕후(孝順恭懿仁聖王后)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인성왕후 · 더보기 »

음력 11월 15일

음력 11월 15일은 음력 11월의 15번째 날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음력 11월 15일 · 더보기 »

음력 3월 5일

음력 3월 5일은 음력 3월의 5번째 날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음력 3월 5일 · 더보기 »

음력 9월 2일

음력 9월 2일은 음력 9월의 2번째 날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음력 9월 2일 · 더보기 »

의혜공주

의혜공주(懿惠公主, 1521년 ~ 1564년)은 조선중기의 공주로 제11대 왕 중종(中宗, 1488~1544, 재위 1506~1544)의 차녀이자 문정왕후 윤씨의 소생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의혜공주 · 더보기 »

전주 이씨

전주 이씨(全州 李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전주 이씨 · 더보기 »

정광필

정광필(鄭光弼, 1462년 ~ 153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정광필 · 더보기 »

정순옹주 (중종)

정순옹주(貞順翁主, 1517년 12월 18일(음력 12월 6일) ~ 1581년 9월 22일(음력 8월 25일))는 조선의 왕족으로, 중종의 서녀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정순옹주 (중종) · 더보기 »

정현왕후

정현왕후 윤씨(貞顯王后 尹氏, 1462년 7월 21일 (음력 6월 25일)~1530년 9월 13일 (음력 8월 22일)는 조선 성종(成宗)의 둘째계비이다. 시호는 자순화혜소의흠숙정현왕후(慈順和惠昭懿欽淑貞顯王后)이다. 자순대비(慈順大妃)로도 잘 알려져 있다. 영원부원군 평정공 윤호(鈴原府院君 平靖公 尹壕)와 연안부부인 전씨(延安府夫人 田氏)의 딸로,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중종반정 시 중종을 왕으로 세우는 것을 승낙한 인물로 유명하다. 능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선정릉 내에 위치한 선릉(宣陵)으로, 남편 성종과 동원이강의 형태로 같이 묻혀 있다.

새로운!!: 조선 중종와 정현왕후 · 더보기 »

정신옹주 (중종)

정신옹주(靜愼翁主, 1526년 음력 10월 5일 ~ 1552년 음력 4월 16일)은 조선의 옹주로 이름은 선환(善環)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정신옹주 (중종) · 더보기 »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조광조 · 더보기 »

조광조 (드라마)

《조광조》는 KBS2TV에서 1996년 1월 1일부터 1996년 6월 25일까지 방영되었던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조광조 (드라마)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덕종

덕종(德宗, 1438년 ~ 1457년 9월 20일 (음력 9월 2일)은 조선 초기의 왕족이자 왕세자(王世子), 작가이다. 세종의 첫 손자이자 세조의 장자이며 예종의 형이다. 월산대군, 성종 형제의 아버지이다. 어머니는 정희왕후 윤씨이다. 1455년 세자(世子)에 책봉되었으나 2년 만에 20세의 나이에 요절한다. 사후 차자 성종이 즉위하면서 왕(王)으로 추존되었다. 바로 의경왕(懿敬王)에 추존되었다가 회간왕(懷簡王)으로 추존되고 뒤에 덕종(德宗)의 묘호가 올려졌다. 정식 시호는 덕종회간선숙공현온문의경대왕(德宗懷簡宣肅恭顯溫文懿敬大王)이며 왕에 추존되기 전에는 의경세자(懿敬世子)로 불렸다. 성은 이(李), 휘는 장(暲), 초명은 숭(崇), 현동(賢同), 자는 원명(原明),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새로운!!: 조선 중종와 조선 덕종 · 더보기 »

조선 명종

명종(明宗, 1534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1567년 8월 2일 (음력 6월 28일))은 조선의 제13대 임금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조선 명종 · 더보기 »

조선 인종

인종(仁宗, 1515년 3월 10일 (음력 2월 25일) ~ 1545년 8월 7일(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2대 임금(재위 1544년 ~ 1545년)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조선 인종 · 더보기 »

조선 중종

중종(中宗, 1488년 4월 16일 (음력 3월 5일) ~ 1544년 11월 29일 (음력 11월 15일), 재위: 1506년~1544년)은 조선의 제11대 왕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조선 중종 · 더보기 »

조선 연산군

연산군(燕山君, 1476년 11월 23일 (음력 11월 7일) ~ 1506년 11월 20일 (음력 11월 6일), 재위 1494년 ~ 1506년)은 조선의 제10대 왕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조선 연산군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의 임금들은 전주 이씨의 조선 태조의 후손들로 1392년부터 1897년까지 혈통이 이어졌.

새로운!!: 조선 중종와 조선 왕 가계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의 국왕의 칭호는 대개 묘호로 불린.

새로운!!: 조선 중종와 조선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태조(1392년)부터 철종(1863년)까지 25대에 걸친 472년간 조선 왕조의 역사적 사실을 연월일순(年月日順)에 따라 편년체로 기술한 역사서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조선왕조실록 · 더보기 »

중종

중종(中宗)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로, 흔히 국가적 위기에서 나라를 바로 세운 제왕이나 이미 망한 나라를 다시 중흥한 제왕에게 쓰인.

새로운!!: 조선 중종와 중종 · 더보기 »

중종반정

중종반정(中宗反正)은 1506년 9월 18일(음력 9월 2일) 연산군이 폐위되고 진성대군 이역(李懌)이 옹립된 사건을 말.

새로운!!: 조선 중종와 중종반정 · 더보기 »

창경궁

창경궁(昌慶宮)은 서울시에 있는 조선 성종 때에 건축한 궁궐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창경궁 · 더보기 »

창빈 안씨

창빈 안씨(昌嬪 安氏, 1499년 ~ 1549년)는 중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창빈 안씨 · 더보기 »

천명: 조선판 도망자 이야기

《천명: 조선판 도망자 이야기》는 2013년 4월 24일부터 2013년 6월 27일까지 KBS 2TV에서 방영된 수목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천명: 조선판 도망자 이야기 · 더보기 »

춘추관

(春秋館)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관청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춘추관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유교 · 더보기 »

윤임

윤임(尹任, 1487년 ~ 1545년 8월 30일)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이자 인척.

새로운!!: 조선 중종와 윤임 · 더보기 »

윤은보

윤은보(尹殷輔, 1468년 ~ 1544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윤은보 · 더보기 »

윤지임

윤지임(尹之任, 1475년? - 1534년 4월 14일)은 조선 시대 외척인 인물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윤지임 · 더보기 »

윤여필

윤여필(尹汝弼, 1466년 ~ 1555년)은 조선 중기의 외척으로 중종의 두 번째 비 장경왕후와 윤임의 아버지이며 인종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윤여필 · 더보기 »

윤원로

윤원로(尹元老, ? ~ 1547년)는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이자 척신으로 본관은 파평(坡平)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윤원로 · 더보기 »

윤원형

윤원형(尹元衡, 1503년 ∼ 1565년 11월 18일)은 조선 중기의 외척이자 문신으로, 파산부원군 윤지임과 전성부대부인 전의 이씨(全城府夫人 全義李氏)의 넷째 아들이자 문정왕후의 남동생이며, 윤원량·윤원로의 동생이며 소윤(小尹)의 영수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윤원형 · 더보기 »

숙의 김씨 (중종)

숙의 김씨(淑儀 金氏, ? ~ 1562년 이전)는 조선 중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숙의 김씨 (중종) · 더보기 »

숙의 나씨 (중종)

숙의 나씨(淑儀 羅氏, 1489년 ~ 1514년 음력 10월 5일)는 조선 중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숙의 나씨 (중종) · 더보기 »

숙의 이씨 (중종)

숙의 이씨(淑儀 李氏, ? ~ 1524년)는 조선 중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숙의 이씨 (중종) · 더보기 »

숙의 홍씨 (중종)

숙의 홍씨(淑儀 洪氏, ? ~ ?)는 조선 중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숙의 홍씨 (중종) · 더보기 »

숙정옹주 (중종)

숙정옹주(淑靜翁主, 1525년 ~ 1564년)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숙정옹주 (중종) · 더보기 »

숙원 이씨 (중종)

숙원 이씨(? ~ 1520년)는 조선 중종의 후궁으로 이백선의 딸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숙원 이씨 (중종) · 더보기 »

혁명

혁명(革命)은 권력이나 조직 구조의 갑작스런 변화를 의미.

새로운!!: 조선 중종와 혁명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조선 중종와 영의정 · 더보기 »

영양군 (왕족)

영양군 이거(永陽君 李岠, 1521년 4월 24일 ~ 1561년 7월 27일)은 조선 중기의 왕자로, 중종의 네번째 서자(庶子)이자 창빈 안씨 소생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영양군 (왕족) · 더보기 »

옥중화

《옥중화》는 2016년 4월 30일부터 2016년 11월 6일까지 방영된 창사 55주년 특별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옥중화 · 더보기 »

혜정옹주

혜정옹주(惠靜翁主, 1514년 10월 27일(음력 10월 10일) ~ 1580년)는 조선 제11대 중종(中宗, 1488~1544, 재위 1506~1544)의 서차녀이며, 어머니는 경빈 박씨(敬嬪 朴氏, ? ~1533)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혜정옹주 · 더보기 »

혜순옹주

혜순옹주(惠順翁主, 1512년 2월 12일 ~ 1583년)은 조선 중기의 옹주로, 제11대 중종(中宗, 1488~1544, 재위 1506~1544)의 서장녀이며, 어머니는 경빈 박씨(敬嬪 朴氏, ? ~1533)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혜순옹주 · 더보기 »

예조

예조(禮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예조 · 더보기 »

현량과

현량과(賢良科)는 조선시대 중종 때 조광조가 건의하여 실시한 천거시취제(薦擧試取制)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현량과 · 더보기 »

최우혁 (1985년)

우혁(1985년 10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최우혁 (1985년) · 더보기 »

최일화

일화에는 다음의 동명이인이 있.

새로운!!: 조선 중종와 최일화 · 더보기 »

최종환

종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중종와 최종환 · 더보기 »

최상훈

상훈(崔尙勲, 1954년 9월 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최상훈 · 더보기 »

최한

(1976년 8월 8일 ~)은 한국의 남자 성우.

새로운!!: 조선 중종와 최한 · 더보기 »

여인천하 (드라마)

《여인천하》(女人天下)는 월탄 박종화의 역사소설 《여인천하》를 원작으로 삼아 SBS에서 방영한 대하사극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여인천하 (드라마) · 더보기 »

여진

여진()은 중국의 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과 한반도의 함경도, 러시아의 연해주, 하바롭스크 지방, 아무르 주에서 거주했던 퉁구스계 민족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여진 · 더보기 »

연우진

연우진(1984년 7월 5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연우진 · 더보기 »

연산일기

《연산일기》(燕山日記)는 1988년 2월 18일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연산일기 · 더보기 »

풍란 (드라마)

《풍란》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네 번째 작품으로, 1985년 3월 11일부터 10월 8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조선 중종와 풍란 (드라마) · 더보기 »

풍수

풍수지리(風水地理) 한자어의 뜻을 풀이한 그림 '''자연(風水)이 땅(地)의 모든 기운을 다스림(理)''' 한양의 명당 입지 풍수(風水)는 땅과 공간의 해석과 활용에 대한 동아시아의 고유 사상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풍수 · 더보기 »

사림파

사림파(士林派) 또는 사림(士林)은 전원의 산림(山林)에서 유학을 공부하던 문인·학자로서 15세기 이후 조선 중기 중앙 정계를 주도한 정치집단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사림파 · 더보기 »

사간원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사간원 · 더보기 »

사가독서

사가독서(賜暇讀書)는 조선 시대 젊은 문신들이 임금의 명으로 직무를 쉬면서 글을 읽고 학문을 닦던 제도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사가독서 · 더보기 »

사임당, 빛의 일기

《사임당, 빛의 일기》는 2017년 1월 26일부터 2017년 5월 4일까지 방송된 SBS 드라마 스페셜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사임당, 빛의 일기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사헌부 · 더보기 »

삼포왜란

삼포왜란(三浦倭亂, 1510년 4월 4일 ~ 4월 19일) 또는 경오왜변(庚午倭變)은 1510년(중종 5년) 4월 4일에 제포(내이포), 부산포, 염포의 삼포에 거주하고 있던 왜인들이 대마도주 종성친의 지원을 받아 일으킨 왜변을 말.

새로운!!: 조선 중종와 삼포왜란 · 더보기 »

삼성동 (강남구)

삼성동(三成洞)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삼성동 (강남구) · 더보기 »

선릉

선릉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중종와 선릉 · 더보기 »

선정릉

선정릉(宣靖陵, 사적 199호)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조선 왕릉으로 세 개의 능이 있다고 하여 삼릉공원이라고도 불린.

새로운!!: 조선 중종와 선정릉 · 더보기 »

섭정

섭정(攝政)은 군주(군왕)가 통치하는 국가(군주국)에서 군주가 아직 어려서 정무를 수행할 능력이 없거나 병으로 정사를 돌보지 못할 때 국왕을 대신해서 통치권을 받아 국가를 다스리던 사람이나 그 일을 가리.

새로운!!: 조선 중종와 섭정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성리학 · 더보기 »

성희안

성희안(成希顔, 1461년 1월 ~ 1513년 7월)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작가, 외교관으로 자는 우옹(愚翁), 호는 인재(仁齋), 시호는 충정, 본관은 창녕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성희안 · 더보기 »

세조찬위

세조찬위(世祖簒位) 또는 세조반정(世祖反正)은 조선의 첫 번째 반정으로 1455년(단종 3) 수양대군이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를 빼앗은 일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세조찬위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송질

송질(宋軼, 1464년 ~ 152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송질 · 더보기 »

소윤

소윤(少尹)은 고려와 조선시대 전중시, 위위시, 예빈시, 대부시, 소부시, 사재시 등에 두었던 정4품 관직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소윤 · 더보기 »

소혜왕후

소혜왕후 한씨(昭惠王后 韓氏, 1437년 10월 7일(음력 9월 8일) ~ 1504년 5월 11일(음력 4월 27일)는 조선 초기의 세자빈이자 덕종(德宗, 추존왕)의 왕비이며 시호는 인수자숙휘숙명의소혜왕후(仁粹慈淑徽肅明懿昭惠王后)이다. 1450년(문종 즉위년)에 수양대군의 큰아들인 도원군(의경세자, 덕종)과 혼인하여 군부인에 봉작되었으며, 1455년(세조 즉위년)에 시아버지 수양대군이 왕위로 즉위하여 자신은 맏며느리로서 세자빈이 되어 궁궐에 들어갔으나, 1457년(세조 3년)에 남편 의경세자가 20세의 나이로 갑자기 죽어 사가로 물러났다. 그러나 1469년에 자신의 둘째 아들인 자을산군(성종)이 왕위에 등극하고, 자신도 궁궐에 다시 들어가 곧 왕비로 진봉되었다가 1475년(성종 6년) 왕대비에 올라 인수대비(仁粹大妃)가 되었다. 의정부좌의정을 지낸 서원부원군 양절공 한확(西城府院君 襄節公 韓確)과 남양부부인 홍씨(南陽府夫人 洪氏) 여섯째 딸로,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당시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한문과 유교 경전에 능통하여 《열녀》,《여교》,《명감》,《소학》등에서 발췌하여 엮어 《내훈》(內訓)을 편찬하였다. 내훈은 조선시대 사대부 여인들의 수신서이자 당시 여성교육의 기본서가 되었다. 또한 그녀는 불교 옹호론자로 불교 억압 정책에 강력히 반발하였으며, 이 때문에 당시 조정의 신하들과 4차례의 격한 논쟁을 벌였는데 대표적인 것이 금승법(禁僧法) 과 그녀가 추진한 봉선사 금자경 간행 작업이다. 그녀는 연산군의 할머니로도 유명한데, 며느리이자 연산군의 생모가 되는 윤씨가 왕비 시절 성종의 얼굴을 할퀴는 사건으로 내쫓기고 사사되는 데에는 거의 전적으로 그녀의 의지로 단행되었기 때문이다. 1504년(연산군 10년) 봄에 연산군은 생모인 폐비 윤씨를 제헌왕후(齊獻王后)로 추숭했다. 이 과정에서 윤씨를 폐비하고 사사하는 데 개입한 수많은 사람들을 죽이고 추방했는데, 인수대비는 당사자가 되므로 손자인 연산군과 갈등을 빚었다. 능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에 위치한 경릉(敬陵)이다.

새로운!!: 조선 중종와 소혜왕후 · 더보기 »

함경도

조선후기 함경도 함경도(咸鏡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함경도 · 더보기 »

해안군

안군(海安君, 1511년 음력 6월 15일 ~ 1573년 음력 8월 4일)은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해안군 · 더보기 »

한국방송공사

서울에 있는 KBS 사옥 KBS 업무용차량 KBS 전용차 한국방송공사(韓國放送公社,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공영 방송을 운영하는 기업이며, 대한민국의 재난방송 및 민방위방송 주관방송사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한국방송공사 · 더보기 »

한효원

효원(韓效元, 1468년 ~ 1534년 12월 29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한효원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조선 중종와 한성부 · 더보기 »

신승선

신승선(愼承善, 1436년 ~ 150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연산군의 장인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신승선 · 더보기 »

신수근

신수근(愼守勤, 1450년 ~ 150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신수근 · 더보기 »

심정 (1471년)

심정(沈貞, 1471년 양력 11월 7일(음력 윤 9월 25일) ~ 1531년 12월 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공신으로, 자는 정지(貞之), 호는 소요정(逍遙亭), 시호는 문정(文靖)이고, 봉군호(封君號)는 화천군(花川君)에 봉군되었다가 부원군으로 진봉되어 화천부원군(花川府院君)이 되었.

새로운!!: 조선 중종와 심정 (1471년) · 더보기 »

홍문관

홍문관(弘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홍문관 · 더보기 »

홍경주

홍경주(洪景舟, ? ~ 1521년 6월 20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제옹(濟翁), 본관은 남양(南陽)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홍경주 · 더보기 »

홍길동 (드라마)

《홍길동》은 대한민국의 방송국 SBS에서 1998년 7월 22일부터 1998년 9월 10일까지 방영한 액션 드라마이며, 조선시대 배경으로 소설 《홍길동전》을 각색.

새로운!!: 조선 중종와 홍길동 (드라마) · 더보기 »

황진이 (2006년 드라마)

《황진이》는 대한민국의 한국방송공사에서 2006년 10월 11일부터 2006년 12월 28일까지 방영된 드라마로, 조선시대 중종 때 기생이었던 황진이의 삶을 재구성하였.

새로운!!: 조선 중종와 황진이 (2006년 드라마) · 더보기 »

왜구

16세기 왜구들의 활동 범위 왜구들의 약탈을 그린 회화 (16세기) 왜구(倭寇)는 통상적으로 고려와 원나라의 연합군이 일본 열도 침략에 실패한 이후인 13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한반도와 중국 대륙의 연안부나 일부 내륙 지역을 약탈하고 밀무역을 행하던 무리를 가리.

새로운!!: 조선 중종와 왜구 · 더보기 »

국왕(國王) 또는 왕(王) (영어;king)은 군주 칭호의 일종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왕 · 더보기 »

왕과 비

《왕과 비(王과 妃)》는 한국방송공사에서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왕과 비 · 더보기 »

왕과 나 (드라마)

《왕과 나》는 올리브나인과 SBS 프로덕션이 공동 제작하여 2007년 8월 27일부터 2008년 4월 1일까지 SBS에서 방영한 대하사극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왕과 나 (드라마) · 더보기 »

JTBC

JTBC()는 유료 플랫폼으로 방송하는 한국의 종합편성채널 사업자이자, 종합편성채널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JTBC · 더보기 »

KBS 2TV

KBS 2TV(정식명칭: KBS 제2텔레비전)는 한국방송공사에서 운영·방송되는 텔레비전 채널로서 KBS 1TV와 달리 엔터테인먼트·드라마·어린이 프로그램 등을 주로 방송.

새로운!!: 조선 중종와 KBS 2TV · 더보기 »

MBC TV

MBC TV는 대한민국 수도권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사인 문화방송이 운영하는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국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MBC TV · 더보기 »

SBS TV

SBS TV는 대한민국 수도권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민영방송 SBS에서 운영하는 텔레비전 방송 채널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SBS TV · 더보기 »

11월 29일

11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3번째(윤년일 경우 33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중종와 11월 29일 · 더보기 »

148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중종와 1488년 · 더보기 »

150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중종와 1506년 · 더보기 »

150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중종와 1507년 · 더보기 »

154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중종와 1544년 · 더보기 »

1985년

198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1985년 · 더보기 »

1988년

198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1988년 · 더보기 »

1994년

199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1994년 · 더보기 »

1995년

19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1995년 · 더보기 »

1996년

199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1996년 · 더보기 »

1998년

19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1998년 · 더보기 »

2000년

200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세기와 제2천년기의 마지막 해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2000년 · 더보기 »

2001년

9·11 테러로 세계무역센터가 불타는 장면 200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와 제3천년기의 첫 번째 해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2001년 · 더보기 »

2002년

200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의 첫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2002년 · 더보기 »

2003년

200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2003년 · 더보기 »

2004년

20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2004년 · 더보기 »

2005년

200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2005년 · 더보기 »

2006년

200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2006년 · 더보기 »

2007년

20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2007년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2008년 · 더보기 »

2011년

201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2011년 · 더보기 »

2012년

201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02년 이후 10년만에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2012년 · 더보기 »

2013년

201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2013년 · 더보기 »

2015년

201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2015년 · 더보기 »

2016년

201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2016년 · 더보기 »

2017년

201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2017년 · 더보기 »

2월 18일

2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9번째(윤년일 경우도 4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중종와 2월 18일 · 더보기 »

4월 16일

4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6번째(윤년일 경우 10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중종와 4월 16일 · 더보기 »

5월 21일

5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1번째(윤년일 경우 14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중종와 5월 21일 · 더보기 »

7일의 왕비

《7일의 왕비》는 2017년 5월 31일부터 2017년 8월 3일까지 KBS 2TV에서 방영된 KBS 수목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중종와 7일의 왕비 · 더보기 »

8월 22일

8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4번째(윤년일 경우 23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중종와 8월 22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이역, 조선조 중종, 중종공희휘문소무흠인성효대왕, 진성대군.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