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조일동맹조약

색인 조일동맹조약

조일동맹조약(朝日同盟條約)또는 조일동맹(朝日同盟), 한일동맹(韓日同盟)은 청일전쟁이 한창이던 1894년 7월 22일 조선국과 일본 제국이 체결한 방수동맹조약이.

28 처지: 동학 농민 운동, 메이지, 명성황후, 개국, 갑오개혁, 경복궁, 경성, 김윤식, 특명전권공사, 흥선대원군, 이노우에 가오루, 이토 히로부미, 일본 제국, 정부, 조선, 조약, 청나라, 청일 전쟁, 오토리 게이스케, 풍도 해전, 성환 전투, 성환읍, 톈진 조약 (1885년), 한성부, 시모노세키 조약, 외무대신, 1894년, 7월.

동학 농민 운동

동학 농민 혁명(東學農民革命), 동학 혁명(東學革命), 동학 농민 운동(東學農民運動) 또는 동학 농민 전쟁(東學農民戰爭)은 1894년 동학 지도자들과 동학 교도 및 농민들에 의해 일어난 민중의 무장 봉기를 가리.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동학 농민 운동 · 더보기 »

메이지

메이지()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메이지 · 더보기 »

명성황후

쪽.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명성황후 · 더보기 »

개국

국(開國)에는 다음 뜻이 있.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개국 · 더보기 »

갑오개혁

군국기무처 갑오개혁(甲午改革)은 1894년 7월 27일(음력 6월 25일)부터 1895년 7월 6일(음력 윤5월 14일)까지 조선 정부에서 전개한 제도 개혁을 말. 10년 전 갑신정변의 실패 후 망명했던 개화파들이 청일전쟁에 승리한 일본의 위세를 업고 돌아와 추진한 일본식 개혁으로서 갑오경장(甲午更張)이라고도 불. 내각의 변화에 따라 제1차 갑오개혁과 제2차 갑오개혁으로 세분하며, 이후 을미개혁(제3차 갑오개혁)으로 이어.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갑오개혁 · 더보기 »

경복궁

경복궁(景福宮)은 대한민국 서울 세종로에 있는 조선 왕조의 법궁(法宮, 정궁)이.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경복궁 · 더보기 »

경성

경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경성 · 더보기 »

김윤식

윤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김윤식 · 더보기 »

특명전권공사

특명전권공사(特命全權公使, envoy)는 1815년 빈 회의에서 만들어진 직책으로, 서열상 특명전권대사와 변리공사의 중간에 있는 직위인 즉 서열 2위의 외교관 직책이.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특명전권공사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노우에 가오루

이노우에 가오루(1836년 1월 16일 ~ 1915년 9월 1일) 는 일본 메이지 유신의 활동가로 근대 일본의 교육자, 정치가, 외교관, 사상가, 기업인이.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이노우에 가오루 · 더보기 »

이토 히로부미

이토 히로부미(1841년 10월 16일 ~ 1909년 10월 26일)는 에도 시대 후기의 무사(조슈 번사)이자 일본 제국의 헌법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이토 히로부미 · 더보기 »

일본 제국

일본 제국(日本 帝國)은 1868년 1월 3일부터 1947년 5월 3일 사이의 일본의 입헌 군주제를 기반으로 한 특수한 정치 체제(국가 체제), 혹은 일본 제국주의 시기를 의미.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정부

정부(政府, Government)는 어느 지역 또는 국가를 통치하는 단체나 기관을 말. 넓은 의미로는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를 모두 포함하며, 좁게는 행정부만을 의미.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정부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조선 · 더보기 »

조약

조약(條約)이란 나라와 나라 사이에 맺은 법적 구속력을 가지는 약속이.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조약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청나라 · 더보기 »

청일 전쟁

청일 전쟁(淸日戰爭)은 청나라와 일본 제국이 조선의 지배권을 놓고 1894년 7월 25일부터 1895년 4월까지 벌인 전쟁이.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청일 전쟁 · 더보기 »

오토리 게이스케

오토리 게이스케 오토리 게이스케(1833년 4월 14일 ~ 1911년 6월 15일)는 일본의 서양 군사학자, 막부 대신, 군인, 관료, 외교관이.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오토리 게이스케 · 더보기 »

풍도 해전

풍도 해전()은 1894년 조선 충청도 아산만 입구의 풍도 앞바다에서 일본군 함대가 청군 함대를 공격하면서 일으킨 사건으로 이 전투를 시발점으로 청일 전쟁이 발발.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풍도 해전 · 더보기 »

성환 전투

성환 전투(成歡戰鬪)는 청일 전쟁 초기 풍도 해전과 함께 일본군이 벌인 첫 전투로 1894년 7월 28일에 충남 천안 외곽의 성환읍에 주둔한 청군을 공격하면서 시작했으며 아산 전투라고도 불린.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성환 전투 · 더보기 »

성환읍

성환읍(成歡邑)은 천안시 서북구의 읍으로, 천안시 북부의 교통 요지이.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성환읍 · 더보기 »

톈진 조약 (1885년)

조약(天津條約)은 갑신정변 실패의 결과로 1885년(고종 22년) 4월 18일(음력 3월 4일) 청나라 전권 대신 이홍장(리훙장)과 일본 제국 전권 대신 이토 히로부미가 동북아시아 세력 균형을 위해 맺은 조약이.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톈진 조약 (1885년)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한성부 · 더보기 »

시모노세키 조약

《시모노세키 조약》 일본과 청국의 협정 조인식 장면 시모노세키 조약()은1895년 3월 20일부터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 시에서 열린 청일전쟁의 강화회의로 체결된 조약으로서 정식명칭은 일청강화조약()이.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시모노세키 조약 · 더보기 »

외무대신

외무대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외무대신 · 더보기 »

1894년

189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1894년 · 더보기 »

7월

7월(七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일곱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4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윤년인 경우 그 해의 1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 400년 동안 이 달은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에 58번, 월요일과 화요일에 57번,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56번 시작.

새로운!!: 조일동맹조약와 7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조일 동맹, 조일 동맹 조약, 조일동맹, 한일 동맹, 한일동맹.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