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최씨정권

색인 최씨정권

씨정권(崔氏政權)은 명종 26년인 1196년에 최씨정변으로 생긴 정권이.

118 처지: 랴오둥반도, 류경 (고려), 말 (동물), 만적, 마차, 몽골, 몽골족, 무신, 문신, , 백존유, 백성, 개성특급시, 박서, 강화도, 강화천도, 가을, 거란, 경전, 경주 황룡사지, 경주시, 고려, 고려 명종, 고려 강종, 고려 고종, 고려 희종, 고려 신종, 고려 원종, 고려-몽골 전쟁, 병사, 관노, 궁전, 부처, 금나라, 비둘기, 김경손, 김준 (고려 후기), 김취려, 김윤후, 김약진, 대장군, 대포, 교정도감, 구이저우성, 국보, 군부 독재, 내시, 나무, 노비, , ..., 다루가치, 용인시, 우봉 최씨, 우승경, 임연, 이의민, 이의방, 이주, 이지순, 이지영, 의주군, 정권, 저고여, 조공, 조정, 조충, 죽음, 중세 한국어, 충주 남산성, 칭기즈 칸, 파주시, 상장군, 순정, 옥새, 최우, 최의, 최충수, 최충헌, 최씨정변, 최항, 최항 (1209년), 여진, 사신, 삭주, 살리타이, 터널, 성 (건축), 서경 (고려),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합천군, 암석, 압록강, 신분, 시위, 후요, 홍적, 황태자, 외교, , 화척, , 왕족, 왕준 (고려 왕족), 1196년, 1209년, 1219년, 1232년, 1235년, 1236년, 1239년, 1249년, 1251년, 1253년, 1254년, 1257년, 1258년, 1259년, 12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68 더) »

랴오둥반도

오둥 반도의 위치 랴오둥 반도() 또는 요동 반도(문화어,: 료동 반도)는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 성(遼寧省) 남부의 반도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랴오둥반도 · 더보기 »

류경 (고려)

경(柳璥, 1211년 ~ 1289년)은 고려 중기,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천년(天年) 혹은 장지(藏之)이며,시호는 문정이.본관은 문화(文化)이.1259년 최씨무신정권 62년을 종식시키고 고려왕권을 고종에게 회복시킨 인물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류경 (고려) · 더보기 »

말 (동물)

말은 스포츠에 사용된다. 말()은 말목 말과의 동물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말 (동물) · 더보기 »

만적

만적(萬積, ? ~1198년)은 고려 신종 때 사람으로 사노비였.

새로운!!: 최씨정권와 만적 · 더보기 »

마차

마차 마차(馬車)는 말이 끄는 수레로, 사람이나 짐을 나르는 데 사용.

새로운!!: 최씨정권와 마차 · 더보기 »

몽골

몽골국(음차: 몽고(蒙古))), 약칭 몽골은 동아시아의 내륙국이다. 가장 큰 도시는 수도인 울란바토르고, 정치 체제는 의회 공화국이다. 1992년 민주주의 체제로 변경되었다. 1,564,116km2의 넓은 영토를 가진 몽골은 카자흐스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내륙국이나, 인구는 약 300만 명 으로 적다. 13세기 칭기즈 칸이 몽골 제국을 건국했으며, 칭기즈 칸의 손자이자 몽골 제국의 제5대 칸인 쿠빌라이 칸 시절에는 국호를 원으로 개칭하고, 이후 명나라가 중원을 탈환하게 되어서 몽골 초원지대로 물러났다. 이후 1688년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에 복속하여 외몽골로 불렸다. 1911년 제1차 혁명을 일으켰으나 1920년 철폐되었고, 러시아의 10월 혁명에 영향을 받아 1921년 제2차 혁명을 일으켜 현재의 형태로 독립하였다. 북쪽으로 러시아, 남쪽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접하여 있다.

새로운!!: 최씨정권와 몽골 · 더보기 »

몽골족

몽골족()은 몽골, 러시아, 중국(주로 내몽골 자치구)에 거주하는 민족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몽골족 · 더보기 »

무신

무신은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최씨정권와 무신 · 더보기 »

문신

문신은 다음을 뜻.

새로운!!: 최씨정권와 문신 · 더보기 »

텃밭 밭(field)은 논처럼 물을 채우지 않고 필요한 때에만 물을 대어서 작물을 심어 농사를 짓는 농경지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밭 · 더보기 »

백존유

백존유(白存儒, ? ~ ?)는 고려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백존유 · 더보기 »

백성

백성(百姓)은 중국 문화권에서 처음으로 나타난 용어이며, 나라의 체계, 근본을 이루는 '대중'을 높여 부르는 호칭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백성 · 더보기 »

개성특급시

성특급시(開城特級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의 남부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개성특급시 · 더보기 »

박서

박서(朴犀, 생몰년 미상)는 고려 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죽산(竹山)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박서 · 더보기 »

강화도

강화도(江華島)는 대한민국 경기만에 있는 섬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강화도 · 더보기 »

강화천도

강화천도(江華遷都)는 고려-몽골 전쟁 때 장기간 항전하기 위해 고려 고종이 1232년 도읍을 개경에서 강화도로 옮긴 일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강화천도 · 더보기 »

가을

을은 온대 지방의 네 계절 중 하나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가을 · 더보기 »

거란

1000년경 거란의 영향권. 유목민의 생활 거란(契丹(글안▽)) 또는 키탄(Khitan)은 4세기 중엽부터 내몽골의 시라무렌 강 유역에 나타나 거주하던 몽골계와 퉁구스계의 혼혈족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거란 · 더보기 »

경전

경전(經典)은 종교의 믿음 또는 교리의 근간을 이루는 문서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경전 · 더보기 »

경주 황룡사지

황룡사(皇龍寺)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었던 사찰로서, 경주에서 가장 컸던 사찰로 알려져 있으나,한국사 > 고대사회의 발전 > 삼국의 성립과 발전 > 고대문화의 발전 > 황룡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현재는 터만 남아 있. 황룡사는 9층 목탑과 장륙상(丈六像)과 더불어 신라 삼보(三寶)의 하나로 유명하였.

새로운!!: 최씨정권와 경주 황룡사지 · 더보기 »

경주시

경주시(慶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경주시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명종

명종(明宗, 1131년 11월 8일 (음력 10월 17일) ~ 1202년 12월 3일 (음력 11월 17일)은 고려 제19대 국왕(재위: 1170년 ~ 1197년)이다. 휘는 호(晧), 자는 지단(之旦), 묘호는 명종, 시호는 황명광효대왕(皇明光孝大王)이다. 인종과 공예태후 임씨(任氏)의 셋째 아들이며 의종의 동생이다.

새로운!!: 최씨정권와 고려 명종 · 더보기 »

고려 강종

강종(康宗, 1152년 5월 10일 (음력 4월 5일) ~ 1213년 8월 26일 (음력 8월 9일)은 고려의 제22대 국왕(재위: 1211년 ~ 1213년)이다. 휘는 오(祦), 자는 대화(大華), 묘호는 강종(康宗), 시호는 명헌원효대왕(明憲元孝大王)이다. 명종과 광정왕후 김씨(金氏)의 맏아들이다. 부왕 명종이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폐위될 때 태자에서 폐위되었다가 1211년(희종 6년) 최충헌에 의해 옹립된다. 그의 서녀 정화택주(靜和宅主)는 최충헌(崔忠獻)의 첩이 되었다.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박영규, 웅진씽크빅, 2004) 387페이지 1211년부터 1213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최충헌(崔忠獻)이 실권을 맡았다.

새로운!!: 최씨정권와 고려 강종 · 더보기 »

고려 고종

종(高宗, 1192년 2월 3일 (음력 1월 18일) ~ 1259년 7월 21일 (음력 6월 30일)은 고려 제23대 국왕(재위: 1213년 ~ 1259년)이다. 휘는 철(皞), 자는 천우(天祐), 묘호는 고종(高宗),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헌왕(忠憲王)이며 고려에서 올린 시호는 안효대왕(安孝大王)이다. 강종과 원덕태후(元德太后) 문화 류씨(柳氏)의 맏아들이다. 비(妃)는 희종의 딸 안혜태후(安惠太后) 류씨(柳氏)이다.

새로운!!: 최씨정권와 고려 고종 · 더보기 »

고려 희종

희종(熙宗, 1181년 6월 21일 (음력 5월 8일) ~ 1237년 8월 31일 (음력 8월 10일)은 고려 제21대 국왕(재위: 1204년 ~ 1211년)이다. 휘는 영(韺), 자는 불피(不陂), 묘호는 희종(熙宗), 본래 묘호는 정종(貞宗)이며 시호는 인목성효대왕(仁穆成孝大王)이다. 신종과 선정왕후의 맏아들이다. 1204년부터 1211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최충헌(崔忠獻)이 실권을 맡았다.

새로운!!: 최씨정권와 고려 희종 · 더보기 »

고려 신종

신종(神宗, 1144년 8월 11일 (음력 7월 11일) ~ 1204년 2월 15일 (음력 1월 13일)은 고려 제20대 국왕(재위: 1197년 ~ 1204년)이다. 휘는 탁(晫), 자는 지화(至華), 묘호는 신종(神宗), 시호는 경공정효대왕(敬恭靖孝大王)이다. 인종과 공예태후 임씨(恭睿太后 任氏)의 다섯째 아들이자 의종과 명종의 막내동생이다. 1197년부터 1204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최충헌(崔忠獻)이 실권을 맡았다.

새로운!!: 최씨정권와 고려 신종 · 더보기 »

고려 원종

원종(元宗, 1219년 4월 5일 (음력 3월 19일) ~ 1274년 7월 23일 (음력 6월 18일)은 고려 제24대 국왕(재위: 1259년~1274년)이다. 초명은 전(倎), 나중에 식(植)으로 개명하였고, 휘는 정(禎), 자는 일신(日新), 원나라에서 내린 시호는 충경왕(忠敬王)이며, 고려에서 올린 시호는 순효대왕(順孝大王)이다. 고종과 안혜태후(安惠太后) 유씨(柳氏)의 맏아들이다. 비는 김약선(金若先)의 딸인 정순왕후(靜順王后)인데, 이후 충렬왕이 순경태후(順敬太后)로 추존했다. 능은 소릉(韶陵)이다. 고려에서 마지막으로 묘호를 사용한 왕이며, 이후에는 원나라의 간섭으로 쓰지 못하였다. 그리고 왕의 시호 앞에 글자는 원나라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는 증거인 "충(忠)"자를 넣어야 했다. 그리고 이때 이후로 "짐"은 "고" 또는 "과인"으로, "폐하"는 "전하"로, "태자"는 "세자"로, "선지"는 "왕지"로 명칭이 격하되었을 뿐만 아니라, 각종 관직 용어들의 명칭들도 모두 격하되었다.

새로운!!: 최씨정권와 고려 원종 · 더보기 »

고려-몽골 전쟁

씨의 무단정치(武斷政治) 하에 있는 동안 중앙아시아 대륙에서는 테무친이 등장하여 몽골족을 통일하고, 1206년(희종 2년)에는 칭기즈 칸이라 칭하고 강대한 제국(帝國)으로 군림하였.

새로운!!: 최씨정권와 고려-몽골 전쟁 · 더보기 »

병사

병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최씨정권와 병사 · 더보기 »

관노

(官奴)는 관아(官衙) 소유의 노비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관노 · 더보기 »

궁전

궁전(宮殿)는 왕이나 왕족이 일을 보고 생활하던 건축물을 말. 궁궐(宮闕), 궁실, 대궐, 어궐, 왕궁 등의 이름으로 불리.

새로운!!: 최씨정권와 궁전 · 더보기 »

부처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부처 또는 여래(如來), 세존(世尊), 붓다()는 인도 불교에서 "깨달은 자", "눈을 뜬 자"라는 뜻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부처 · 더보기 »

금나라

(大金, 1115년~1234년) 또는 암반 안취운 구룬(여진어: Amban Anʧu-un Gurun)은 여진족이 중국 동북지방, 몽골, 화베이 일대에 세운 왕조이자 동진국, 청나라와 더불어 만주의 제족 중 대표적인 퉁구스계 국가였.

새로운!!: 최씨정권와 금나라 · 더보기 »

비둘기

비둘기는 비둘기과를 이루는 308종의 새들의 총칭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비둘기 · 더보기 »

김경손

경손은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최씨정권와 김경손 · 더보기 »

김준 (고려 후기)

준(金俊, ? ~ 1268년 12월)은 고려 고종 때의 무신(武臣) 권신(權臣) 정치가(政治家)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김준 (고려 후기) · 더보기 »

김취려

(金就礪, 1172년 ~ 1234년 3월 22일(음력 2월 21일))는 고려중기의 무신, 장군으로, 고려의 서북면을 침략한 거란족을 격퇴하였으며 관직은 판병부사 시중에 이르.

새로운!!: 최씨정권와 김취려 · 더보기 »

김윤후

윤후(金允侯, 생몰년 미상)는 고려 고종 때의 승장(僧將)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김윤후 · 더보기 »

김약진

약진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최씨정권와 김약진 · 더보기 »

대장군

장군(大將軍)은 동아시아 국가들의 역사상 자주 나타나는 무관 관직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대장군 · 더보기 »

대포

19세기 말에 쓰인 프랑스의 해군 대포 대포(大砲)는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해 물체를 발사하는 병기의 총칭이었으며, 현재는 구경 20mm 이상의 화약식 발사 병기를 가리.

새로운!!: 최씨정권와 대포 · 더보기 »

교정도감

정도감(敎定都監)은 최충헌이 설치한 무신정권의 최고 정치 기구로 교정소(敎定所).

새로운!!: 최씨정권와 교정도감 · 더보기 »

구이저우성

이저우 성(귀주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남서부에 있는 성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구이저우성 · 더보기 »

국보

국보(國寶)는 나라에서 지정하여 법률로 보호하는 문화유산을 일컫는 말로, 18세기 혹은 19세기에 들어서 생겨나기 시작하였.

새로운!!: 최씨정권와 국보 · 더보기 »

군부 독재

부 독재(軍部獨裁)는 한 나라나 지방의 군사력을 통솔하는 군부 출신 지도자 또는 군부 출신 인사가 주도권을 쥐고 있는 독재 정치를 시행하는 형태의 정권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군부 독재 · 더보기 »

내시

시(內侍)는 고려 때와 조선 때 궁궐 안에서의 잡무를 보는 관직 또는 임금을 옆에서 모시는 중요한 관직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내시 · 더보기 »

나무

소나무 지구에서 가장 큰 나무 종 침엽수 세쿼이아. 나무는 나무질로 된 줄기를 가지고 있는 여러해살이 식물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나무 · 더보기 »

노비

비(奴婢)는 한국의 과거 신분제 사회에서 다른 사람에게 예속되어 있던 천민 사회 계급을 가리.

새로운!!: 최씨정권와 노비 · 더보기 »

방글라데시의 모내기 위안양 현에 위치한 계단식 논 논(Paddy field, "패디"는 "벼"를 뜻하는 말레이어 단어인 "파디"에서 유래)은 물에 잠긴 채로 있는 농경지로, 벼와 수생식물의 재배에 사용.

새로운!!: 최씨정권와 논 · 더보기 »

다루가치

()는 원(元)의 행정·군사면에 있어서의 중요한 관직명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다루가치 · 더보기 »

용인시

용인시(龍仁市)는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용인시 · 더보기 »

우봉 최씨

우봉 최씨(牛峰崔氏)는 황해도 금천군 우봉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우봉 최씨 · 더보기 »

우승경

우승경(于承慶)은 고려의 무신, 장군, 재상(宰相)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우승경 · 더보기 »

임연

임연(林衍, 1220년?~1270년)은 고려 고종·원종 때의 무신(武臣), 권신(權臣), 정치가(政治家)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임연 · 더보기 »

이의민

이의민(李義旼, ? ~ 1196년 5월 7일 (음력 4월 8일))은 고려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가이자 무신정권의 지도자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이의민 · 더보기 »

이의방

이의방(李義方, 1121년 ~ 1175년 1월 12일(1174년 음력 12월 18일))은 고려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이의방 · 더보기 »

이주

이주(移住)는 거주지를 옮기는 것으로 다음의 뜻이 있.

새로운!!: 최씨정권와 이주 · 더보기 »

이지순

이지순(李至純, ? ~1196년)은 고려의 무신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이지순 · 더보기 »

이지영

이지영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최씨정권와 이지영 · 더보기 »

의주군

의주군(義州郡)은 평안북도 북서쪽의 압록강에 접한 행정구역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의주군 · 더보기 »

정권

정권(政權)은 일국의 군주가 행사하는 권력의 시대 또는 일국의 군주가 행사하는 정치적 권력을 의미.

새로운!!: 최씨정권와 정권 · 더보기 »

저고여

저고여(著古與, ? ~ 1225년)는 몽골 제국의 장군으로 고려에 사신으로 파견된 사람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저고여 · 더보기 »

조공

조공(朝貢)은 한 집단이 다른 집단에게 예물을 바치는 행위를 말하며 역사적으로 국력이 약한 나라가 강한 나라에게 군사적,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예물을 바친 행위를 일컫.

새로운!!: 최씨정권와 조공 · 더보기 »

조정

조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최씨정권와 조정 · 더보기 »

조충

조충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최씨정권와 조충 · 더보기 »

죽음

사람의 두개골은 죽음의 상징으로 널리 쓰인다 죽음 혹은 사망(死亡)은 생명체의 삶이 끝나는 것을 말. 대부분의 생명체는 자연적인 원인으로 죽음을 맞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죽음 · 더보기 »

중세 한국어

중세 한국어(中世韓國語, Middle Korean)는 고대 한국어 이후 중앙어가 경주말에서 개성말로 옮겨간 10세기에서 16세기 사이 한반도에서 쓰였던 한국어를 말.

새로운!!: 최씨정권와 중세 한국어 · 더보기 »

충주 남산성

충주 남산성(忠州 南山城)은 충청북도 충주시 직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성곽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충주 남산성 · 더보기 »

칭기즈 칸

칭기즈 칸(1155/62/67년? 4월 16일-1227년 8월 25일)은 몽골 제국의 창업자이자 초대 카간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칭기즈 칸 · 더보기 »

파주시

주시(坡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서북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파주시 · 더보기 »

상장군

상장군(上將軍)은 동아시아 국가들의 역사상 자주 나타나는 무관 관직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상장군 · 더보기 »

순정

순정(純情)은 순수한 감정 또는 애정을 뜻.

새로운!!: 최씨정권와 순정 · 더보기 »

옥새

옥새(玉璽)은 넓은 의미에서는 황제가 이용하는 인장(印章)을 가리키지만 좁은 의미에서는 중국의 전국새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 새(璽)는 원래 일반적인 인장을 가리키는 말이었지만 진의 시황제가 황제의 인장에만 사용하도록 정. 인장의 형식에 대해서는 세세한 규정이 있으며, 인장의 이름은 높은 것부터 새, 장(章), 인(印)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옥새 · 더보기 »

최우

우(崔瑀, 1166년 ~ 1249년 12월 10일 (음력 11월 5일))는 고려 중기, 후기의 무신(武臣), 권신(權臣), 정치가(政治家)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최우 · 더보기 »

최의

의(崔竩, 1233년 ~ 1258년)는 고려 시대 후기의 무신, 권신 겸 정치가이자 최항(崔沆)의 서자(庶子)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최의 · 더보기 »

최충수

충수(崔忠粹, 1152년 ~ 1197년)는 고려시대 중기 ~ 후기의 무신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최충수 · 더보기 »

최충헌

충헌(崔忠獻, 1149년~1219년 10월 29일 (음력 9월 20일))은 고려 시대의 무신이자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최충헌 · 더보기 »

최씨정변

씨정변(崔氏政變)은 최충헌(崔忠獻)이 아우 최충수(崔忠粹)와 같이 일으킨 난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최씨정변 · 더보기 »

최항

항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최씨정권와 최항 · 더보기 »

최항 (1209년)

항(崔沆, 1209년 ~ 1257년 5월 17일(윤 4월 2일))은 고려 시대 후기의 무신, 권신, 정치가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최항 (1209년) · 더보기 »

여진

여진()은 중국의 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과 한반도의 함경도, 러시아의 연해주, 하바롭스크 지방, 아무르 주에서 거주했던 퉁구스계 민족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여진 · 더보기 »

사신

사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최씨정권와 사신 · 더보기 »

삭주

삭주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최씨정권와 삭주 · 더보기 »

살리타이

살리타이(? ~ 1232년) 는 몽골 제국의 장군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살리타이 · 더보기 »

터널

오른쪽 터널()은 땅 속을 뚫어 만든 통로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터널 · 더보기 »

성 (건축)

성(城)은 적을 방어하기 위한 거점으로 흙이나 돌 등을 높이 쌓아 만든 군사적 구축물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성 (건축) · 더보기 »

서경 (고려)

서경(西京)은 고려삼경(高麗三京)의 하나로서 오늘날의 평양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서경 (고려) · 더보기 »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陜川 海印寺 大藏經板) 또는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트리피타카 코레아나)은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에 있는, 고려가 몽골의 침입을 불력(佛力)으로 막아내고자 1236년(고종 23년) 강화군에서 조판에 착수하여 15년이 지난 1251년(고종 38년)까지 총 16년에 걸쳐 완성한 고려의 대장경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 더보기 »

합천군

합천군(陜川郡)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서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합천군 · 더보기 »

암석

코스타리카 오로시 근처의 산 시내의 바위면 암석(巖石)은 광물이나 조암 광물이 자연적으로 모여 이루어진 고체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암석 · 더보기 »

압록강

'''압록강'''(鴨綠江) 압록강(鴨綠江)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경을 이루는 한반도 북서부의 강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압록강 · 더보기 »

신분

신분 제도(身分制度)는 출신에 따라 계층을 나누는 제도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신분 · 더보기 »

시위

월요 시위는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는 데 일조하였다. 시위(示威), 또는 데모는 사람들이 공동의 목적을 가지고 공공연하게 위력 또는 기세를 보여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행위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시위 · 더보기 »

후요

후요(後遼) 또는 대요수국(大遼收國)은 1216년 거란족 야사불(耶斯不)이 건국한 나라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후요 · 더보기 »

홍적

홍적(洪迪, 1549년 ~ 1591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홍적 · 더보기 »

황태자

황태자(皇太子) 또는 왕태자(王太子)는 제국과 독립 왕국의 제위계승이나 왕위 계승의 제1순위에 있는 황자나 왕자를 가리키는 칭호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황태자 · 더보기 »

외교

Ger van Elk, ''Symmetry of Diplomacy'', 1975, Groninger Museum. 외교(外交)는 일반적으로 한 나라가 외국과 교섭하는 경우의 기술 또는 활동을 말. 그 나라의 정책에 따라서 일국의 원수·외무부 장관·외교 사절 등이 자국의 목적·이익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국의 특정한 대표자와 회담하고 또한 여러 가지 수단을 써서 활동하는 것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외교 · 더보기 »

양궁 대회 활은 인류의 가장 오래된 무기 중의 하나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활 · 더보기 »

화척

화척(禾尺)은 후삼국 시대로부터 고려 시대에 걸쳐 떠돌아다니면서 천업에 종사하던 무리로서, 무자리, 양수척(楊水尺)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화척 · 더보기 »

국왕(國王) 또는 왕(王) (영어;king)은 군주 칭호의 일종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왕 · 더보기 »

왕족

왕족(王族)은 임금을 중심으로한 국왕의 일족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왕족 · 더보기 »

왕준 (고려 왕족)

왕준(王綧, 1223 ~ 1283)은 고려의 왕족으로 본관은 개성왕씨(開城王氏)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왕준 (고려 왕족) · 더보기 »

119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씨정권와 1196년 · 더보기 »

120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씨정권와 1209년 · 더보기 »

121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씨정권와 1219년 · 더보기 »

123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씨정권와 1232년 · 더보기 »

123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씨정권와 1235년 · 더보기 »

123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씨정권와 1236년 · 더보기 »

123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씨정권와 1239년 · 더보기 »

124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씨정권와 1249년 · 더보기 »

125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씨정권와 1251년 · 더보기 »

125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씨정권와 1253년 · 더보기 »

125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씨정권와 1254년 · 더보기 »

125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씨정권와 1257년 · 더보기 »

125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씨정권와 1258년 · 더보기 »

125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씨정권와 1259년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새로운!!: 최씨정권와 12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최씨 무신정권, 최씨 정권, 최씨무신정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