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최소 다항식 (선형대수학)

색인 최소 다항식 (선형대수학)

선형대수학에서, 정사각행렬의 최소다항식(最小多項式, minimal polynomial)은, 그 행렬을 영행렬로 소멸하는 일계수 다항식 중, 차수가 가장 낮은 하나이.

11 처지: 고윳값, 근 (수학), 대각화 가능 행렬, 대수적으로 닫힌 체, 다항식, 슈어 분해, 일차독립, 케일리-해밀턴 정리, 선형 변환, 선형대수학, 아이디얼.

고윳값

위 두 장의 그림은 원래 이미지가 옆으로 기울어진 모양으로 변하는 선형 변환을 보여주고 있다. 이 선형 변환에서 수평 축은 그대로 수평 축으로 남기 때문에 푸른색 화살표는 방향이 변하지 않지만 붉은색 화살표는 방향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푸른색 화살표는 이 변환의 '''고유 벡터'''가 되고 붉은색 화살표는 고유 벡터가 아니다. 또한 푸른색 화살표의 크기가 변하지 않았으므로 이 벡터의 '''고윳값'''은 1이다. 선형대수학에서, 선형 변환의 고유 벡터(固有vector)는 그 선형 변환이 일어난 후에도 방향이 변하지 않는, 영벡터가 아닌 벡터이.

새로운!!: 최소 다항식 (선형대수학)와 고윳값 · 더보기 »

근 (수학)

(根)은 등식의 일종인 방정식에서 쓰이는 용어로, 특정한 문자에 대한 방정식에서 “특정한 문자”가 ‘어떤 값’으로 변하여 참을 만족했을 때, 그 ‘어떤 값’이 바로 방정식의 근이.

새로운!!: 최소 다항식 (선형대수학)와 근 (수학) · 더보기 »

대각화 가능 행렬

선형대수학에서, 대각화 가능 행렬(對角化可能行列)은 적절한 가역 행렬로의 켤레를 취하여 대각 행렬로 만들 수 있는 정사각 행렬이.

새로운!!: 최소 다항식 (선형대수학)와 대각화 가능 행렬 · 더보기 »

대수적으로 닫힌 체

상대수학에서, 대수적으로 닫힌 체(代數的으로 닫힌 體)는 모든 다항식을 1차 다항식으로 인수 분해할 수 있는 체이.

새로운!!: 최소 다항식 (선형대수학)와 대수적으로 닫힌 체 · 더보기 »

다항식

수학에서, 다항식(多項式)은 문자의 거듭제곱의 상수 배 여럿의 합을 표현하는 수식이.

새로운!!: 최소 다항식 (선형대수학)와 다항식 · 더보기 »

슈어 분해

슈어 분해(Schur decomposition, -分解)는 선형대수학에서 사용되는 행렬 분해의 일종으로, 유대계 독일인 수학자 이사이 슈어(Issai Schur)의 이름이 붙여졌.

새로운!!: 최소 다항식 (선형대수학)와 슈어 분해 · 더보기 »

일차독립

선형대수학에서, 선형독립(線型獨立, linear independence) 또는 일차독립(一次獨立)은 남은 벡터들의 선형결합인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벡터 집합에 대한 성질이.

새로운!!: 최소 다항식 (선형대수학)와 일차독립 · 더보기 »

케일리-해밀턴 정리

선형대수학에서, 케일리-해밀턴 정리()는 정사각 행렬이 자기 자신의 특성 방정식을 만족시킨다는 정리이.

새로운!!: 최소 다항식 (선형대수학)와 케일리-해밀턴 정리 · 더보기 »

선형 변환

선형대수학에서, 선형 변환(線型變換) 또는 선형 사상(線型寫像) 또는 선형 연산자(線型演算子) 또는 선형 작용소(線型作用素)는 선형 결합을 보존하는, 두 벡터 공간 사이의 함수이.

새로운!!: 최소 다항식 (선형대수학)와 선형 변환 · 더보기 »

선형대수학

3차원 유클리드 공간 R³은 벡터 공간이고, 원점을 지나가는 직선과 평면들은 R³의 부분공간이다. 선형대수학(線型代數學)은 벡터 공간, 벡터, 선형 변환, 행렬, 연립 선형 방정식 등을 연구하는 대수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최소 다항식 (선형대수학)와 선형대수학 · 더보기 »

아이디얼

환론에서, 아이디얼() 또는 이데알()은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환의 부분집합이.

새로운!!: 최소 다항식 (선형대수학)와 아이디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소멸 다항식, 소멸다항식.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