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양심적 병역 거부

색인 양심적 병역 거부

양심적 병역 거부자(良心的兵役拒否者), 혹은 전투행위만 거부하는 양심적 집총 거부자(良心的執銃拒否者)는 병역의 의무가 부과된 시민이 폭력과 살인에 반대하는 평화주의신념에 따라 병역 또는 그보다 국한된 집총(執銃)을 거부하는 사람을 말. 양심에 따른 병역 거부 혹은 신념에 따른 병역 거부.

180 처지: 러시아, 러시아 제국, 독일, 로마 가톨릭교회, 로마 황제, 로이터, 마산시, 메노 시몬스, 메노파, 모병제, 목사, 미국, 미국 독립 전쟁, 미국 국방부, 미국 육군사관학교, 미군, 개신교, 반전, 강요된 행위, 강의석, 베니스 위원회, 결핵, 경상남도, 벌금, , 고문, 보수주의, 공주시, 병력에 따른 나라 목록, 병역, 병원, 권리, 불교, 부처, 그리스, 그리스도, 기독교, 기독교인, 비폭력, 대법원, 대체복무제, 대천덕, 대위,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 대한민국 정부, 대한민국 예비군,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 교도소, 교부, ..., 국민의 권리와 의무, 국방의 의무, 국제법, 군대가 없는 나라 목록, 군인, 나주시, 네덜란드, 노회찬, 노인, 스위스, 요양, 장애인, 재세례파, 임종인, 폭력, 폭행죄, 평화, 평화주의, 이라크 전쟁, 이명박, 이등병, 이스라엘, 인민, 인민군, 인권, 일본 제국,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전라남도, 전쟁, 정신병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의 사회제도, 존 스토트, 종교, 주교, 중화민국, 진보, 징병검사, 징병제, 징역형, 참배, 청사진, 초기 기독교, 춘천시, 유럽, 유럽 평의회, 유럽 인권 재판소, 유대인, 유엔, 유엔 자유권 규약 위원회, 육군보병학교, 육군훈련소, 팔레스타인, 생태주의, 순교, 예비군 반대 운동, 예비역, 예수, 현역, 양심, 양심의 자유, 양심적 병역 거부, 여호와의 증인, 역사, 역사학, 헌법, 헌법재판소, 사회복무제도, 사제, 사상, 살인, 삼육대학교, 피복, 프랑스, 터키, 성경, 성공회, 성공회대학교, 서독, 서울남부지방법원, 서울특별시, 소록도, 소수 집단, 야훼, 한국 전쟁, 한센, 한홍구, 아르메니아, 아미시파, 아나키즘, 아우구스티누스, 테르툴리아누스, 신약성경, 시민, 훈련소, 퀘이커, , 12월, 12월 10일, 12월 16일, 174년, 1881년, 1939년, 1942년, 1945년, 1950년, 1959년, 1960년, 1961년, 1963년, 1970년, 1970년대, 1975년, 1987년, 1998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6년, 2007년, 2011년, 257년, 3월, 5·16 군사 정변, 8월, 9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30 더) »

러시아

시아 연방() 또는 러시아()는 동유럽과 북아시아에 걸쳐 있는 연방제 국가로, 세계에서 가장 영토가 넓은 국가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러시아 · 더보기 »

러시아 제국

시아 제국의 국가 깃발 러시아 제국(문자 개혁 이전: Pоссiйская Имперiя) 혹은 제정 러시아(帝政 러시아)는 표트르 대제가 1721년에 세운 군주제 국가였.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러시아 제국 · 더보기 »

독일

독일 연방공화국(), 줄여서 독일()은 중앙유럽에 있는 나라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독일 · 더보기 »

로마 가톨릭교회

마 가톨릭교회(), 천주교(天主敎) 또는 가톨릭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명의 신자를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기독교 교파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로마 황제

마 황제는 아우구스투스를 시초로 하는 로마 제국의 황제들을 총칭하는 단어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로마 황제 · 더보기 »

로이터

이터 통신 본사 로이터(Reuters)는 통신사의.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로이터 · 더보기 »

마산시

마산항의 공중 전망 2010년 7월 1일 통합 이전의 마산시 마산시(馬山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중남부에 1949년부터 2010년까지 존재했던 시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마산시 · 더보기 »

메노 시몬스

메노 시몬스(Menno Simons 1496 – 1561년 1월 31일)는 급진 종교 개혁가로 1496년 네덜란드 비트마르숨에서 출생하였. 원래 프리스랜드 지역의 로마 가톨릭 사제였.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메노 시몬스 · 더보기 »

메노파

Menno Simons 메노파(Mennonites)는 기독교에서, 종교 개혁 시기에 등장한 개신교 교단으로 유아세례를 인정하지 않는 재세례파의 일. 메노파란 메노 시몬스의 신학을 따르는 자들이라는 뜻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메노파 · 더보기 »

모병제

없음 국가별 상비군 병력 군대가 없는 나라, 보라색 표시 모병제(募兵制)는 강제 징병하지 않고, 본인의 지원에 의한 직업군인들을 모병하여 군대를 유지하는 병역 제도를 말. 이와 반대되는 제도는 징병제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모병제 · 더보기 »

목사

목사(牧師)는 개신교의 성직자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목사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미국 · 더보기 »

미국 독립 전쟁

미국 독립 전쟁(American War of Independence, 1775년 ~ 1783년) 또는 미국 혁명 전쟁(American Revolutionary War) 은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의 북아메리카 식민지 중에서 동부 해안 13개주가 영국의 조세정책 등에 반발하여 식민지 독립을 위해 일으킨 전쟁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미국 독립 전쟁 · 더보기 »

미국 국방부

미국 국방부 건물. 단일건물로는 세계 최대. 미국 국방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 DoD)는 미국의 방위를 담당하는 정부 기관으로, 이전의 육군부및 해군부가 있었으나 공군부가 설치되면서 이를 통솔할 국방부가 설치되었고 육, 해, 공군부 장관은 국방부 산하부서로 배치 되었.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미국 국방부 · 더보기 »

미국 육군사관학교

웨스트포인트 캠퍼스 미국 육군사관학교(美國 陸軍士官學校) 또는 별칭인 웨스트 포인트(West Point)는 미국 육군의 장교 양성 기관으로 뉴욕 주 웨스트포인트 시에 위치해 있. 웨스트 포인트는 1802년 당시 신생 미국의 군대를 이끌어가기 위한 사관학교로 설립되었.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미국 육군사관학교 · 더보기 »

미군

주한 미군의 기계화 보병. 공군의 기초군사훈련 모습. 1991년 사막의 폭풍 작전에 참가한 미군 F-15E. 일본에 배치된 F-22. 미합중국 군대() 또는 미국군(美國軍) 혹은 단순히 미군(美軍)은 미국의 군대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미군 · 더보기 »

개신교

신교(改新敎) 또는 프로테스탄트(Protestantism)는 16세기 교회의 개혁가들의 종교개혁을 통해 생겨난 기독교의 한 전통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개신교 · 더보기 »

반전

반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반전 · 더보기 »

강요된 행위

강요된 행위(強要- 行爲, Nötigungsnotstand)는 저항할 수 없는 폭력이나 자기 또는 친족의 생명, 신체에 대한 위해를 방어할 방법이 없는 협박에 의하여 할 수 없이 위법한 행위를 저지르는 경우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강요된 행위 · 더보기 »

강의석

강의석(姜義錫, 1986년 8월 25일~)은 대한민국의 학생 운동가 출신 인권 운동가, 시민운동가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강의석 · 더보기 »

베니스 위원회

베니스 위원회는 세계 헌법재판기관협의체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베니스 위원회 · 더보기 »

결핵

핵 (結核)은 여러 종류의 미코박테륨, 특히 결핵균에 감염되어 발병하는 흔하고 치명적인 전염병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결핵 · 더보기 »

경상남도

경상남도(慶尙南道)는 대한민국 남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경상남도 · 더보기 »

벌금

벌금(罰金)은 재산형 중 하나로, 일정 금액을 국가에 납부하는 형벌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벌금 · 더보기 »

정의의 의인화 유스티티아. 법(法)은 질서를 유지하고 사회가 유지되기 위해 정의를 실현함을 직접 목적으로 하는 국가의 강제력을 수반하는 사회적 규범 또는 관습을 말. 넓은 뜻으로는 자연법(自然法), 헌법(憲法), 관습법(慣習法), 명령, 규칙, 판례까지를 포함하지만 좁은 뜻에서는 일정한 조직과 절차 밑에서 제정된 법률을 가리.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법 · 더보기 »

고문

양한 고문 도구. 고문(拷問)은 광의로는 피의자에게 정신적 압박이나 육체적 고통을 주어 자백을 얻어내는 행위를 말하고, 협의로는 유형력을 사용하여 육체적 고통을 주어 자백하게 하는 행위를 말. 고문방지운동을 하고 있는 앰네스티에서는 고문을 ' 당사자 또는 제3자로부터 정보나 자백을 얻거나 협박할 목적으로 신체적이든 정신적이든 심대한 고통이나 괴로움을 가한 행위'로 규정.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고문 · 더보기 »

보수주의

보수주의(保守主義, Conservatism)는 관습적인 전통 가치를 옹호하고, 기존 사회 체제의 유지와 안정적인 발전을 추구하는 정치이념을 말. 상대적으로 급격한 사회 변혁을 추구하는 진보주의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가치로서의 보수는 현상 유지(status quo)를 하거나, 점진적이고 안정적인 발전을 추구하는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 보수주의는 보수적 가치를 추구하는 수많은 방법 중의 하나일 뿐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보수주의 · 더보기 »

공주시

공주시(公州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앙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공주시 · 더보기 »

병력에 따른 나라 목록

없음 국가별 상비군 병력 군대가 없는 나라, 보라색 표시.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병력에 따른 나라 목록 · 더보기 »

병역

병역(兵役) 또는 군역(軍役)은 정부의 군대에서 일정한 기간 동안 복무하는 일을 가리.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병역 · 더보기 »

병원

병원 - 브라질 병원()은 질병이나 질환에 대해 의료를 제공하고 환자가 입원하는 시설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병원 · 더보기 »

권리

리(權利)는 인간과 집단이 국가, 사회, 단체 활동을 함에 있어 정당하게 행사할 수 있는 힘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권리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불교 · 더보기 »

부처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부처 또는 여래(如來), 세존(世尊), 붓다()는 인도 불교에서 "깨달은 자", "눈을 뜬 자"라는 뜻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부처 · 더보기 »

그리스

리스()는 남유럽 발칸 반도 남쪽 끝에 있는 나라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그리스 · 더보기 »

그리스도

리스도, 크리스트, 크라이스트 또는 기독(基督)은 에서 온 말로 70인역에서 히브리어의 메시아()를 옮기는 데 처음 사용되었.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그리스도 · 더보기 »

기독교

독교(基督敎)From Ancient Greek Khristós (Latinized as Christus), translating Hebrew מָשִׁיחַ, Māšîăḥ, meaning "the anointed one", with the Latin suffixes -ian and -itas.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기독교 · 더보기 »

기독교인

독교인(基督敎人), 기독교도(基督敎徒), 기독인(基督人) 또는 그리스도인()은 기독교를 믿는 사람, 다시 말해 성경에서 메시아로 예언된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가르침을 중심으로 하는 종교를 믿는 사람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기독교인 · 더보기 »

비폭력

비폭력(非暴力)은 체제 변혁 이념 중 하나이며, 온건파에서 억압받고 있는 민중들이 정치 체제의 변혁을 추구함에 있어서 혁명에 의해 폭력으로 통치자를 이길 것이 아니라, 탄압되어도 결코 굴하지 않고 비폭력으로 변화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것을 말.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비폭력 · 더보기 »

대법원

법원(大法院)은 사법부의 최고 기관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대법원 · 더보기 »

대체복무제

없음 국가별 상비군 병력 군대가 없는 나라, 보라색 표시 대체복무제(代替服務制)는 종교적 혹은 개인적 이유의 비폭력주의 신념에 따라 신념에 따른 병역 거부를 하는 사람들을 위해 국방의 의무를 직접 군대나 관련 기관에서 복무하는 대신에 그에 준하는 어려움을 가진 사회적 활동에 참가함으로써 대체하는 제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대체복무제 · 더보기 »

대천덕

덕(Rev. 루번 아처 토리 3세,1918년 ~ 2002년) 신부는 성공회 사제이자, 성공회 수도원인 예수원의 설립자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대천덕 · 더보기 »

대위

위(大尉)는 군대 계급 중 하나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대위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國家人權委員會,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약칭: 인권위, NHRC)는 인권의 보호와 향상을 위한 업무를 수행하는 대한민국의 국가기관으로 독립적 지위를 가지는 합의제 행정기관으로서 입법·행정·사법 3부 어디에도 속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업무를 수행.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 · 더보기 »

대한민국 정부

정부서울청사 대한민국 정부(大韓民國 政府)는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의 헌법기관으로 구성되어 있. 넓은 의미로는 이 3부 기관을 통틀어 일컫는 개념이지만, 좁은 의미로는 행정부만을 일컫.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대한민국 정부 · 더보기 »

대한민국 예비군

예비군 훈련장의 사격장 제66동원보병사단 소속) 대한민국 예비군(大韓民國 豫備軍, Republic of Korea Reserve Forces, ROK Reserve Forces, ROKRF)은 평상시에는 사회 생활을 하다가 유사시(有事時)에 소집되는 대한민국 국군의 예비 전력으로, 향토예비군(鄕土豫備軍)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대한민국 예비군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

민국의 병역 제도는 '국민개병제'를 원칙으로 한 징병제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 · 더보기 »

교도소

소(矯導所, (敎化所))는 범죄를 저지른 사람이 징역형이나 금고형 등을 선고받아 복역을 하는 장소를 말. 감옥(監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교도소 · 더보기 »

교부

부(敎父)는 2세기 이후부터 기독교 신학의 주춧돌을 놓은 이들을 일컫.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교부 · 더보기 »

국민의 권리와 의무

국가에는 국민(인간,인민)으로서 누릴 수 있는 권리와 행해야 할 의무를 헌법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는 나라별로 대동소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국민의 권리와 의무 · 더보기 »

국방의 의무

국방의 의무는 공법상의 의무 중 하나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국방의 의무 · 더보기 »

국제법

국제법(國際法)은 국가와 국제기구, 특별한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회사나 개인의 행동을 국제적으로 규율하는 법률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국제법 · 더보기 »

군대가 없는 나라 목록

* 다음의 국가들은 군대를 보유하고 있지 않. 여기서 나라는 독립국 외 다른 나라가 방위를 책임지는 보호국(신탁통치.괌 등)이나 속령(collectivity).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군대가 없는 나라 목록 · 더보기 »

군인

인(軍人)은 군대의 구성원으로, 전투에 필요한 장비와 기본 기술을 갖추어 전쟁 또는 유사시에 대비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으로서 전환복무 중인 병을 제외한 현역에 복무하는 장교, 준사관, 부사관 및 병을 말.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군인 · 더보기 »

나주시

주시(羅州市)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나주시 · 더보기 »

네덜란드

()는 서유럽과 카리브 제도에 걸쳐 있는 네덜란드 왕국의 구성국으로 수도는 암스테르담이나, 정부 및 각종 행정기관이 밀집한 도시는 헤이그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네덜란드 · 더보기 »

노회찬

회찬(魯會燦, 1956년 8월 31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노회찬 · 더보기 »

노인

인(老人)은 인간의 마지막 과정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노인 · 더보기 »

스위스

스위스()는 중앙유럽에 있는 연방 공화국이며, 내륙국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스위스 · 더보기 »

요양

요양(姚襄, 331년 ~ 357년)은 중국 오호십육국 시대 강족(羌族)의 수장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요양 · 더보기 »

장애인

장애인을 뜻하는 픽토그램 장애인(障礙人)은 신체 장애와 정신 장애로 인해 장기간에 걸쳐 직업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사람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장애인 · 더보기 »

재세례파

재세례파(再洗禮派) 또는 재침례파(再浸禮派, Anabaptist)는 16세기 종교개혁 당시 급진적 개혁을 따른 기독교 종파를 가리.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재세례파 · 더보기 »

임종인

임종인(林鍾仁, 1956년 8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임종인 · 더보기 »

폭력

학살은 극악의 폭력이다.나치에 의해 부헨발트 집단수용소에 갇힌 수감인들. 폭력(暴力)은 신체적인 손상을 가져오고, 정신적·심리적인 압박을 가하는 물리적인 강제력을 말. 법에서는 다른 사람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협박하거나 하는 등의 행위 와 함께 다른 사람을 감금하는 행위, 주거에 침입하는 행위, 기물의 파손 등에 대해서도 폭력이라 표현.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폭력 · 더보기 »

폭행죄

폭행죄(暴行罪)는 사람의 신체에 대한 유형력의 행사로 성립하는 범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폭행죄 · 더보기 »

평화

올리브 가지를 문 비둘기는 평화의 상징이다. 평화(平和)는 좁은 의미로는 '전쟁을 하지 않는 상태'이지만 현대 평화학에서는 평화를 '분쟁과 다툼이 없이 서로 이해하고, 우호적이며, 조화를 이루는 상태'로 이. 인류가 목표로 하는 가장 완전(完全)한 상태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평화 · 더보기 »

평화주의

평화주의(平和主義)는 종교적인 사랑이나 자비의 입장 또는 인문주의의 입장에서 전쟁과 폭력에 반대하고, 세계에 평화를 가져오려는 입장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평화주의 · 더보기 »

이라크 전쟁

이라크 전쟁 또는 제2차 걸프 전쟁 또는 이라크 자유 작전()은 2003년 3월 20일 미군의 이라크 침공으로 시작되어, 2011년 12월 15일 종전되었.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이라크 전쟁 · 더보기 »

이명박

이명박(李明博, 1941년 12월 19일 ~)은 대한민국의 제17대 대통령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이명박 · 더보기 »

이등병

이등병(二等兵)은 군대 계급 중 하나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이등병 · 더보기 »

이스라엘

이스라엘국()은 서부 아시아의 남쪽, 이집트의 동쪽에 있는 중동 국가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이스라엘 · 더보기 »

인민

인민(人民, people)은 법학, 정치학 용어로 특정 영역에서 특별한 정치적 권한이 없는 사람을 말. 국민이랑 비슷한 요소가 많으나, '인민'과 '국민'은 서로 구별.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인민 · 더보기 »

인민군

인민군(人民軍, People's Army)은 인민의 군대라는 뜻으로, 일부 국가에서 군대의 이름으로 쓰고 있.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인민군 · 더보기 »

인권

세계 최초의 인권 원형통인 'Cyrus the great cylinder' 인권(人權, human rights)은 인간이 인간답게 존재하기 위한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인간의 권리 및 지위와 자격을 의미하는 개념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인권 · 더보기 »

일본 제국

일본 제국(日本 帝國)은 1868년 1월 3일부터 1947년 5월 3일 사이의 일본의 입헌 군주제를 기반으로 한 특수한 정치 체제(국가 체제), 혹은 일본 제국주의 시기를 의미.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World War I, WWI 또는 WW1)은 1914년 7월 28일부터 1918년 11월 11일까지 일어난 유럽을 중심으로 한 세계 대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제1차 세계 대전 · 더보기 »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또는 World War II)은 1939년 9월 1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치러진,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남긴 가장 파괴적인 전쟁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제2차 세계 대전 · 더보기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第七日安息日예수再臨敎會)는 미국에서 창립된 기독교 근본주의 성격을 갗춘 기독교 개신교회이.(전세계에서 4번째로 규모가 큰 개신교단이다.) 제임스 화이트, 엘런 화이트, 조지프 베이츠, J. N. 앤드루스 등에 의해 창립되었.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 더보기 »

전라남도

전라남도(全羅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전라남도 · 더보기 »

전쟁

전쟁(戰爭)이란 국가 또는 정치 집단 사이의 폭력이나 무력을 사용하는 상태 또는 행동을 말. 특별히 둘 이상의 국가 간에 어떤 목적을 두고 수행되는 싸움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전쟁 · 더보기 »

정신병원

미시간 주에 위치한 정신병원 정신병원(精神病院)은 의료 기관 중 정신 질환을 주요 진료 대상으로 하는 병원이다.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정신병원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조선의 사회제도

조선의 사회제도는 크게 토지 제도, 납세 제도, 가족 제도, 신분 제도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 조선왕조 건국 주체세력이 추구하던 경제구조는 민생안정과 더불어 국가수입을 증대시켜 부강한 재무국가(財務國家)를 만드는 것이었.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조선의 사회제도 · 더보기 »

존 스토트

존 스토트 존 로버트 웜즐리 스토트(Rev. John Robert Walmsley Stott, 1921년 ~2011년 7월 28일 오후 3시 15분 경)는 성공회 사제로서 세계적으로 알려진 기독교 복음주의 운동의 거장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존 스토트 · 더보기 »

종교

슬라브 신이교의 상징. 종교(宗敎)란 규정된 믿음을 공유하는 이들로 이루어진 신앙 공동체와 그들이 가진 신앙 체계나 문화적 체계(cultural system)를 말. 종교는 인간과 관련된 존재의 우주적 질서(a cosmic order of existence)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종교 · 더보기 »

주교

카를로 세레사. 주교(主敎)는 교구나 관구의 사목 책임을 지고 감독하는 기독교의 성직자를 말. 사교(司敎)라고도 하며, 영어로는 Bishop, Right Rev..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주교 · 더보기 »

중화민국

중화민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공화국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중화민국 · 더보기 »

진보

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진보 · 더보기 »

징병검사

징병검사(徵兵檢査)는 징병제를 실시하고 있는 나라에 살고 있는 모든 국민(주로 성인 남성)들이 군대에 복무하기 전에 군 복무에 적합인지 부적합인지를 선별받는 절차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징병검사 · 더보기 »

징병제

없음 국가별 상비군 병력 군대가 없는 나라, 보라색 표시 징병제(徵兵制)는, 국가가 국민을 대상으로, 해당 국가를 방위할 병역 의무를 강제로 부여하는 제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징병제 · 더보기 »

징역형

징역형(懲役刑, (勞動敎化刑))은 형법에 규정된 형벌의 한 종류로서, 자유형 중 가장 대표적인 형벌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징역형 · 더보기 »

참배

신사에서 참배하는 노인 참배(參拜)는 신사, 사원 등의 종교 시설을 방문하여 신불과 죽음에 경배, 기도하는 행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참배 · 더보기 »

청사진

랑스 galleon La Belle의 현대판 청사진. 청사진(靑寫眞) 또는 블루프린트()는 아키텍처 또는 공학 설계를 문서화한 기술 도면을 인화로 복사하거나 복사한 도면을 말. 은유적으로 "청사진"이라는 용어는 어떠한 자세한 계획을 일컫는 데에 쓰인.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청사진 · 더보기 »

초기 기독교

독교(Early Christianity), 또는 초대교회는 기원후 약 30년경 예수 승천 이후 유대교에서 분리된 초기 기독교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초기 기독교 · 더보기 »

춘천시

시(春川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자, 강원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춘천시 · 더보기 »

유럽

리 받아들여지는 '''유럽'''의 정의:- 녹색은 지리적 유럽- 진한 파랑색은 문화적 유럽 (옅은 파랑색은 유럽 국가의 아시아 부분) 유럽() 또는 구주(한자: 歐洲), 구라파(한자: 歐羅巴)는 대륙 중 하나로, 우랄 산맥과 캅카스 산맥, 우랄 강, 카스피 해, 흑해와 에게 해의 물길을 분수령으로 하여 아시아와 구분한 지역을 일컫.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유럽 · 더보기 »

유럽 평의회

유럽 평의회를 상징하는 기인 유럽기 유럽 평의회(-評議會,, CoE)는 1949년에 설립된 유럽의 국제 기구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유럽 평의회 · 더보기 »

유럽 인권 재판소

유럽 인권 재판소 주 건물. 유럽 인권 재판소 법정. 유럽 인권 재판소(ECtHR)는 유럽인권조약에 의해 설립된 초국가적 또는 국제 재판소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유럽 인권 재판소 · 더보기 »

유대인

유대인(Yehudim) 또는 유태인(猶太人), 유다인은 고대 근동의 이스라엘 민족에게서 기원한 민족적, 종교적, 문화적 집단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유대인 · 더보기 »

유엔

유엔() 또는 국제 연합(國際 聯合)은 세계 거의 모든 나라를 아우르는 국제 기구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유엔 · 더보기 »

유엔 자유권 규약 위원회

유엔 자유권 규약 위원회(UNHRC,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mmittee)는 자유권 규약에 의해 설립된 기관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유엔 자유권 규약 위원회 · 더보기 »

육군보병학교

육군보병학교는 각 나라의 지상군의 전력중 하나인 보병을 육성하는 군사 학교로서 목록은 다음과 같다.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육군보병학교 · 더보기 »

육군훈련소

호국연무사 연무대성당(김대건성당) 육군훈련소(陸軍訓練所)는 대한민국 국군의 가장 큰 교육 부대 이.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에 있는 이 부대는 대한민국 육군의 기초군사교육을 실시하는 교육 부대로서 1951년 11월 '육군 제2훈련소'라는 이름으로 창설되었.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육군훈련소 · 더보기 »

팔레스타인

스타인국()은 팔레스타인 지역 중 팔레스타인 영토 지역(요르단 강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 동예루살렘을 가리키며 제1차 중동 전쟁 이후의 국경이자 제3차 중동 전쟁 이전의 국경을 가리킴)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는 국가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팔레스타인 · 더보기 »

생태주의

생태주의(ecologism)는 전통적인 환경주의보다 더 근본적이고 급진적인 방법으로 환경 문제를 바라보는 사상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생태주의 · 더보기 »

순교

순교(殉敎)는 어느 종교에서 자신이 믿는 신앙을 지키기 위해서 죽음을 선택하는 것을 말하며, 순교한 사람을 순교자(殉敎者).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순교 · 더보기 »

예비군 반대 운동

예비군 반대 운동은 대한민국의 양심적 병역 거부의 일종으로 1968년 예비군 창설 직후부터 여호와의 증인 등의 양심적 병역 거부 운동과 동시에 예비군 불참으로 시작되었.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예비군 반대 운동 · 더보기 »

예비역

예비역(豫備役)은 현역으로 복무를 마치고 예비역으로 전역한 자 및 상근예비역(육, 해, 해병)과 승선근무예비역(해군)을 말. 기초군사교육을 받은 보충역의 병은 그대로 보충역 예비군(육군)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예비역 · 더보기 »

예수

예수(기원전 약 4년 ~ 기원후 약 30) 또는 나사렛 예수는 유대교, 기독교, 그리고 이슬람교 등 여러 종교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인물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예수 · 더보기 »

현역

현역(現役)은 입대 직후부터 상시 근무하는 군인을 가리.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현역 · 더보기 »

양심

양심(良心)은 선악을 판단하고 선을 명령하며 악을 물리치는 도덕 의식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양심 · 더보기 »

양심의 자유

양심의 자유(良心- 自由)란 인간의 존엄과 가치의 내면적 기초가 되는 각자의 윤리의식과 사상을 자유로이 형성하고 또 그것을 외부에 표명하도록 강제당하지 아니할 자유와 더불어 그 윤리의식이나 사상에 반하는 행위를 강요당하지 아니할 자유를 말. 양심의 자유는 성격상 자연인만이 그 주체가 될 수 있.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양심의 자유 · 더보기 »

양심적 병역 거부

양심적 병역 거부자(良心的兵役拒否者), 혹은 전투행위만 거부하는 양심적 집총 거부자(良心的執銃拒否者)는 병역의 의무가 부과된 시민이 폭력과 살인에 반대하는 평화주의신념에 따라 병역 또는 그보다 국한된 집총(執銃)을 거부하는 사람을 말. 양심에 따른 병역 거부 혹은 신념에 따른 병역 거부.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양심적 병역 거부 · 더보기 »

여호와의 증인

여호와의 증인()은 19세기 미국의 재야 성서학자 찰스 테이즈 러셀을 중심으로 독자적으로 설립된, 회복주의를 표방하는 기독교 교파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여호와의 증인 · 더보기 »

역사

역사(歷史)는 오랜 역사, 지난 시대에 남긴 기록물, 이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 등을 가리.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역사 · 더보기 »

역사학

역사학(歷史學) 또는 사학(史學)은 선사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인간 활동에 관한 제반(諸般) 조사,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과거의 사료를 평가,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역사적 진실 규명을 추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역사학 · 더보기 »

헌법

함무라비 법전이 새겨진 돌기둥 헌법(憲法)은 국가의 기본 법칙으로서, 국민의 기본적 인권을 보장하고 국가의 정치 조직 구성과 정치 작용 원칙을 세우며 시민과 국가의 관계를 규정하거나 형성하는 최고의 규범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헌법 · 더보기 »

헌법재판소

법재판소(憲法裁判所)는 헌법에 관한 분쟁을 담당하는 독립된 헌법 기관으로 제4부로 불리.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헌법재판소 · 더보기 »

사회복무제도

사회복무제도는 대한민국에서 2007년 국군 병력 규모 및 병역 복무기간 감축과 함께 공평한 병역 부과를 목적으로, 2008년부터 시행된 대체복무제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사회복무제도 · 더보기 »

사제

신부(神父) 또는 사제(司祭)는 흔히 로마 카톨릭교회의 성직자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사제 · 더보기 »

사상

사상은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사상 · 더보기 »

살인

살인(殺人)은 다른 사람을 살해하는 전반적인 행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살인 · 더보기 »

삼육대학교

삼육대학교(三育大學校, Sahmyook University)는 1906년 10월 10일에 평안남도 순안(順安)에서 시작된 의명학교(義明學校)와 그것을 계승한 조선합회 사역자 양성소, 그리고 삼육신학원(三育神學院) 및 삼육신학대학을 모체로 하여 발전된 사립 대학교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삼육대학교 · 더보기 »

피복

복은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피복 · 더보기 »

프랑스

랑스 공화국() 또는 프랑스()는 서유럽의 본토와 남아메리카의 프랑스령 기아나를 비롯해 여러 대륙에 걸쳐 있는 해외 레지옹과 해외 영토로 이루어진 국가로서, 유럽 연합 소속 국가 중 가장 영토가 넓. 수도는 파리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프랑스 · 더보기 »

터키

공화국() 또는 단순히 터키()는 서남아시아의 아나톨리아와 유럽 남동부 발칸 반도의 동부 트라키아에 걸친 나라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터키 · 더보기 »

성경

성경 또는 성서 (聖經, 聖書, Bible)은 유대교 및 기독교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성경 · 더보기 »

성공회

성공회(聖公會,,Episcopal Church) 또는 세계성공회공동체(Anglican Communion)는 전 세계 165여 개국, 38개의 독립적이고 자치적인 성공회(관구)로 이루어진 기독교 교파이며, 신자는 약 1억명으로 추산.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성공회 · 더보기 »

성공회대학교

성공회대학교(聖公會大學校, Sungkonghoe University)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구로구 항동에 위치한 기독교계 사립 종합대학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성공회대학교 · 더보기 »

서독

서독()은 1949년에서 1990년 사이, 독일의 재통일이 이루어지기 전의 분단국가인 독일연방공화국(Bundesrepublik Deutschland)을 독일민주공화국(Deutsche Demokratische Republik)에 대해 구분하여 가리키는 비공식 이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서독 · 더보기 »

서울남부지방법원

서울남부지방법원(서울南部地方法院)은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구, 영등포구, 구로구, 금천구를 관할하는 대한민국의 제1심 법원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서울남부지방법원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소록도

소록도에서 바라본 녹동 소록도(Sorokdo, 小鹿島)는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에 속하는 섬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소록도 · 더보기 »

소수 집단

소수집단(少數集團)은 그 사회의 권력 관계에서 그 특성이 소수에 위치하는 사람의 입장이나 집단을 가리.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소수 집단 · 더보기 »

야훼

야훼, 또는 야웨()는 유대교의 유일신의 고유한 이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야훼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한센

센은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한센 · 더보기 »

한홍구

홍구(韓洪九, 1959년 7월 16일 ~)는 대한민국의 역사학자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한홍구 · 더보기 »

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 공화국(), 줄여서 아르메니아()는 캅카스 지방에 있는 내륙국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아르메니아 · 더보기 »

아미시파

오하이오주의 시골 홈즈 지역에서 마차를 타고 가는 아미쉬파 부부. 이 지역은 아미쉬파들이 밀집한 지역중 하나이다. 아미쉬파(Amish)는 기독교에서, 재세례파 계통의 개신교 종파를 말. 주로 17세기 이후 탄압을 피해 유럽에서 이주한 스위스-독일계 이민들이 많. 창시자는 스위스의 종교개혁자 야곱 아망으로 알려져 있.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아미시파 · 더보기 »

아나키즘

아나키즘()은 사회를 아나키의 상태로 만들려는 정치적 철학적 사상이며, 이러한 사상가는 아나키스.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아나키즘 · 더보기 »

아우구스티누스

성 아우렐리우스 아우구스티누스 히포넨시스(354년 11월 13일 ~ 430년 8월 28일)는 4세기 북아프리카인 알제리 및 이탈리아에서 활동한 기독교 신학자이자 주교로, 개신교, 로마 가톨릭교회 등 서방 기독교에서 교부로 존경하는 사람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아우구스티누스 · 더보기 »

테르툴리아누스

스 셉티미우스 플로렌스 테르툴리아누스(Quintus Septimius Florens Tertullianus, 약 155년~ 240년 경) 또는 터툴리안(Tertulian)은 기독교의 교부이자, 평신도 신학자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테르툴리아누스 · 더보기 »

신약성경

신약성경(新約聖經) 또는 신약성서(新約聖書)는 기독교의 경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신약성경 · 더보기 »

시민

시민(市民, citizen)은 도시 지역 및 국가 구성원으로서 정치적인 권리를 갖고 있는 주체를 말하거나 민주주의 사회의 백성을 뜻하는 용어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시민 · 더보기 »

훈련소

훈련소(訓鍊所)는 각종 훈련 · 연수를 실시하는 시설로, 그 시설 이름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 명칭에 대해 훈련소 외에도 훈련 센터, 연수소, 교육 센터 등의 명칭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 덧붙여 소방학교와 같이 학교의 명칭을 쓰. 시설에 대해서는 각각의 직무와 직업적인 기술의 습득 및 향상에 필요한 시설 및 강의를 실시하는 시설이 설치되고, 시설에 따라서는 숙박을 위한 시설도 설치되는 경우도 있. 분류:훈련 분류:유형별 건축물.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훈련소 · 더보기 »

퀘이커

창설자 조지 폭스 종교친우회() 또는 퀘이커()는 17세기에 조지 폭스가 창시한 기독교의 교파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퀘이커 · 더보기 »

국왕(國王) 또는 왕(王) (영어;king)은 군주 칭호의 일종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왕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12월 · 더보기 »

12월 10일

12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4번째(윤년일 경우 34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12월 10일 · 더보기 »

12월 16일

12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0번째(윤년일 경우 35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12월 16일 · 더보기 »

17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174년 · 더보기 »

1881년

188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1881년 · 더보기 »

1939년

193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1939년 · 더보기 »

1942년

1942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1942년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1945년 · 더보기 »

1950년

한국 전쟁 중 아주머니와 아이가 땔깜용 파편을 구하는 모습. 195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1950년 · 더보기 »

1959년

195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1959년 · 더보기 »

1960년

196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1960년 · 더보기 »

1961년

196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1961년 · 더보기 »

1963년

196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1963년 · 더보기 »

1970년

197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1970년 · 더보기 »

1970년대

1970년대는 1970년부터 1979년을 가리.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1970년대 · 더보기 »

1975년

1975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1975년 · 더보기 »

1987년

198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1987년 · 더보기 »

1998년

19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1998년 · 더보기 »

2000년

200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세기와 제2천년기의 마지막 해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2000년 · 더보기 »

2001년

9·11 테러로 세계무역센터가 불타는 장면 200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와 제3천년기의 첫 번째 해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2001년 · 더보기 »

2002년

200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의 첫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2002년 · 더보기 »

2003년

200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2003년 · 더보기 »

2004년

20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2004년 · 더보기 »

2006년

200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2006년 · 더보기 »

2007년

20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2007년 · 더보기 »

2011년

201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2011년 · 더보기 »

25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257년 · 더보기 »

3월

3월(三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세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북반구에서는 3월이 되면서 날씨가 풀리기 때문에, 대체로 이 달을 봄의 시작으로 본. 남반구는 가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3월 · 더보기 »

5·16 군사 정변

5·16 군사 쿠데타(五一六軍事 coup d’État)는 1961년 5월 15일 저녁부터 1961년 5월 18일 정오 무렵까지 서울, 부산, 대전, 광주, 김포, 부평, 수색, 포천 등에서 쿠데타를 목적으로 일어난 유혈 군사반란을 말한다. 주동자는 서울을 관할하는 제6 관구의 전 사령관이었던 박정희로 밝혀졌으며 그는 미국에 의해 지방으로 좌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삼군의 참모총장 몰래 십수명의 장성 및 수십명의 핵심 영관급 장교들과의 사전모의를 통하여 무력으로 정권을 탈취하고자 하였다. 사전에 참여 병력으로는 김포 공수단 10000000여명, 해병 제1여단 1300여명, 6관구 사령부 소속 병력 1700여명, 김형욱 회고록 p.184 "혁명 장교들이 인솔하는 해병대 1300명, 공수단 1000여명 및 6관구 병력 등 도합 4000여명이었다."제6군단 포병단 5개대대 3000여명과 제5사단(사단장 채명신 준장이 이끌고 서울 진주), 제12사단(사단장 박춘신 준장과 부사단장 및 작전참모가 이끌고 춘천 진주), 제30사단(부사단장, 작전참모, 헌병부장이 사단 이끌고 서울 진주), 제33사단(작전참모, 연대장 등이 이끌고 서울 진주), 그리고 2군을 비롯한 지방에 있던 여러 장교들까지 수만명에 이르렀다. 제2공화국은 이를 진압하고자 했으나, 공병대를 제외하고, 서울 인근에 있는 모든 전투 군부대가 이미 반란군에게 장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시작전 통제권을 쥐고 있던 주한미군 총사령관이 불개입 의사를 표시하고 2군단장 등이 사후동조를 하면서 휴전선 인근의 일선부대를 대거 차출해야 했던바 진압을 고의적으로 포기해버렸다. 이 사건의 결과로 한명의 민간인과 십여명 이상의 군인이 죽거나 다쳤으며 제2공화국은 와해되고 군인들이 세운 국가재건최고회의가 삼권을 장악해 3여년간의 군부독재를 실시하였다.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5·16 군사 정변 · 더보기 »

8월

8월(八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여덟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부터 연말까지는 2의 배수가 오는 달마다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1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 또한, 윤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2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되며, 다음 해도 평년인 경우 다음 해 5월과 같은 요일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8월 · 더보기 »

9월

9월(九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아홉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한국,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북반구에는 가을이 되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과 같은 남반구에는 봄이.

새로운!!: 양심적 병역 거부와 9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체 복무제, 양심적 병역 기피, 양심적 병역거부, 양심적 병역거부 사건, 양심적 병역거부자, 양심적 집총 거부, 양심적 집총거부, 양심적 소집 거부, 양심적병역거부,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 신념적 병역 거부, 신념에 따른 병역 거부, 신념에 따른 병역거부, 신념에 의한 병역 거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