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효령대군

색인 효령대군

효령대군(孝寧大君, 1396년 1월 6일 (음력 1395년 12월 11일) ~ 1486년 6월 12일(음력 5월 11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왕자, 왕족, 서예가, 정치가이.

139 처지: 덕안대군, 문화유산, 묘법연화경 (보물 제961-2호), 민무구, 민무회, 민무질, 민무휼, 민변 (고려), 민제 (조선), 개명, 경기도, 경선공주, 경신공주, 법명, 보성군, 보성군 (1416년), 과천시, 계유정난, 관악산, 권우 (1363년), 불교, 김인태 (배우), 대한민국, 대왕 세종, 남곤, 나는 왕이로소이다, 효령로, 효령대군 영정, 용의 눈물, 용주사, 회안대군, 자 (이름), 장성원, 임영대군, 임사홍, 임원준 (1423년), 이량 (1519년), 이명, 이기붕, 이정빈, 이충, 이수 (1374년), 인순왕후, 음력 12월 11일, 음력 5월 11일, 의정부, 의성군 (왕족), 익안대군, 전주 이씨, 전성군 (1488년), ..., 정종 (영양위), 정치인, 정역, 조계종, 조선, 조선 명종, 조선 문종, 조선 광해군, 조선 단종, 조선 정조, 조선 정종, 조선 태조, 조선 태종, 조선 예종, 조선 연산군, 조선 선조, 조선 성종, 조선 세조, 조선 세종,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의 역사, 중국, 진안대군, 지덕사, 참판, 청권사, 천안 광덕사 조선사경, 추증, 판서, 유교, 유태웅, 유형문화재, 율원군, 휘숙옹주, 태음력, 영의정, 호 (이름), 호조, 현숙공주, 옛 보신각 동종, 양녕대군, 연주대, 성리학, 성녕대군, 세조찬위,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서울특별시, 서인, 서초구, 서예, 서산군 (왕족), 해주 정씨, 한명회 (드라마), 한국방송공사, 한산 이씨, 한성부, 안신우, 심강, 심의겸, 심충겸, 심온, 심연원, 시호, 원경왕후, 왕과 비, 왕자, 왕족, 11월 7일, 12월 11일, 1395년, 1396년, 1405년, 1407년, 1411년, 1412년, 1417년, 1459년, 1486년, 1736년, 1972년, 1984년, 1985년, 1994년, 1996년, 1998년, 1월 6일, 2000년, 2008년, 6월 12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89 더) »

덕안대군

덕안대군(德安大君, 생몰년 미상)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 초기의 왕자로, 성은 이(李), 이름은 방연(芳衍)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덕안대군 · 더보기 »

문화유산

문화유산(文化遺産)은 장래의 문화적 발전을 위하여 다음 세대 또는 젊은 세대에게 계승·상속할 만한 가치를 지닌 사회의 문화적 소산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문화유산 · 더보기 »

묘법연화경 (보물 제961-2호)

묘법연화경 권4~7(妙法蓮華經 卷四~七)은 불교의 대표적인 대승경전으로 조선 태종 5년(1405)에 전라도 도솔산 안심사(安心社)에서 성달생(成達生, 1376~1444년)과 성개(成槪, ?~1440) 형제가 필사한 것을 새긴 목판본 전 7권 가운데 권4~7의 1책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묘법연화경 (보물 제961-2호) · 더보기 »

민무구

민무구(閔無咎, ? ~ 1410년)는 조선시대 초기의 무신이자 외척으로 민변의 손자이고 민제의 아들이며 원경왕후의 동생이자 민무질·민무회·민무휼의 형이며 본관은 여흥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민무구 · 더보기 »

민무회

민무회(閔無悔, ? ~ 1416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여흥(驪興)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민무회 · 더보기 »

민무질

민무질(閔無疾, ? ~ 1410년)은 조선시대 초기의 무신이자 외척으로 민변의 손자이고 민제의 아들이며 원경왕후와 민무구의 동생이자 민무회·민무휼의 형이며 본관은 여흥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민무질 · 더보기 »

민무휼

민무휼(閔無恤, ? ~ 141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여흥(驪興)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민무휼 · 더보기 »

민변 (고려)

민변(閔抃, ? ~ 1377년 5월)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호는 서한당(棲閒堂)『고려열조등과록』, 본관은 여흥(驪興)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민변 (고려) · 더보기 »

민제 (조선)

민제(閔霽, 1339년 ~ 1408년)는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민변의 아들이며 태종의 비 원경왕후와 민무구·민무질·민무회·민무휼의 아버.

새로운!!: 효령대군와 민제 (조선) · 더보기 »

개명

명(改名)은 가족관계등록부상에 기재되어 있는 이름을 변경하는 행위를 의미.

새로운!!: 효령대군와 개명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경기도 · 더보기 »

경선공주

경선공주(慶善公主, 생몰년 미상)는 조선의 공주로, 태조(太祖, 1335~1408, 재위: 1392~1398)와 신의왕후 한씨(神懿王后 韓氏, 1337~1391) 사이에서 태어난 차녀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경선공주 · 더보기 »

경신공주

경신공주(慶愼公主, ? ~ 1426년 4월 29일/음력 3월 22일)는 조선의 공주로, 태조와 신의왕후 한씨 사이에서 태어난 장녀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경신공주 · 더보기 »

법명

법명(法名)은 불교에서 불교 승려가 되는 이에게 종파에서 지어 주는 이름인데 참고로 여담이지만 불교 승려의 출가 이전 속가 이름, 즉 불교 승려의 본명을 속명(俗名)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법명 · 더보기 »

보성군

보성군청 보성군(寶城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중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보성군 · 더보기 »

보성군 (1416년)

보성군(寶城君, 1416년 ~ 1499년 음력 9월 1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왕족, 무신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보성군 (1416년) · 더보기 »

과천시

시(果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과천시 · 더보기 »

계유정난

유정난(癸酉靖難)은 1453년(단종 1) 11월 10일 (음력 10월 10일) 수양대군이 김종서와 황보인과 세종의 여러 대군들을 귀양보내거나 제가하며 마지막으로 단종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을 말. 이 정변이 계유년에 일어났으므로 계유정난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계유정난 · 더보기 »

관악산

악산(冠岳山)《글로벌 세계대백과》〈관악산〉 은 서울특별시 관악구와 금천구, 경기도 안양시와 과천시에 걸쳐 있는 높이 632m 의 산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관악산 · 더보기 »

권우 (1363년)

우(權遇, 1363년 - 1419년)는 고려 말기·조선 초기의 학자이며, 포은 정몽주의 제자이자 세종대왕, 학역재 정인지의 스승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권우 (1363년)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불교 · 더보기 »

김인태 (배우)

인태(金仁泰, 1930년 2월 12일 ~)는 대한민국의 남성 원로 연기자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김인태 (배우)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왕 세종

《대왕 세종》(大王世宗)은 한국방송공사의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대왕 세종 · 더보기 »

남곤

(南袞, 1471년 ~ 1527년 3월 10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유학자이며 정치인, 교육자, 작가, 시인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남곤 · 더보기 »

나는 왕이로소이다

《나는 왕이로소이다》는 2012년 개봉한 한국의 영화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나는 왕이로소이다 · 더보기 »

효령로

효령로(孝寧路)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서울메트로 삼거리에서 서초동 뱅뱅사거리 사이를 잇는 왕복 6~8차선 도로인데 원래는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339-9번지의 강남대로에서 서울고등학교를 거쳐 서초구 방배동 479-9번지의 남부순환로에 이르는 길이 4,340m, 너비 30m의 6차선 도로였.

새로운!!: 효령대군와 효령로 · 더보기 »

효령대군 영정

효령대군 영정(孝寧大君 影幀)은 경기도 과천시, 연주암 경내 효령각에 소장되어 있는 효령대군의 초상화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효령대군 영정 · 더보기 »

용의 눈물

《용의 눈물》은 1996년 11월 24일부터 1998년 5월 31일까지 방송된 KBS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용의 눈물 · 더보기 »

용주사

용주사(龍珠寺)는 조계종의 절로 경기도 화성시 송산동 화산에 위치해 있. 이 절은 신라 말기인 854년에 廉巨和尙(염거화상)이 지었고, 원래 이름은 갈양사(葛陽寺)였.

새로운!!: 효령대군와 용주사 · 더보기 »

회안대군

회안대군(懷安大君, 1364년 7월 2일 ~ 1421년 4월 10일(음력 3월 9일)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 초기의 왕자이다. 본관은 전주 이씨이며, 이름은 방간(芳幹), 시호(諡號)는 양희(良僖), 호(號)는 망우당(忘牛堂)이다.

새로운!!: 효령대군와 회안대군 · 더보기 »

자 (이름)

자(字)는 한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 일본에서 성년이 되는 관례 때 받는 이름인 관명과 함께 스스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짓는 새로운 이름을 말. 이는 이름이 부모가 주신 것으로서 부모님이나 스승, 왕(혹은 황제)외에는 함부로 부르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던 데에 기인.

새로운!!: 효령대군와 자 (이름) · 더보기 »

장성원

장성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효령대군와 장성원 · 더보기 »

임영대군

임영대군 이구(臨瀛大君 李璆, 1420년 1월 6일 ~ 1469년 1월 21일)은 조선시대 초기의 왕족, 정치인으로, 조선의 제4대 왕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넷째 아들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임영대군 · 더보기 »

임사홍

임사홍(任士洪, 1445년 ~ 1506년 음력 9월 2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 사상가, 성리학자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임사홍 · 더보기 »

임원준 (1423년)

임원준(任元濬, 1423년 ~ 1500년)은 조선시대 전기, 중기의 문신으로 효령대군의 사돈이며, 임사홍의 아버지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임원준 (1423년) · 더보기 »

이량 (1519년)

이량(李樑, 1519년 11월 17일 ~ 1563년 3월 8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자 문신, 외척이었.

새로운!!: 효령대군와 이량 (1519년) · 더보기 »

이명

이명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효령대군와 이명 · 더보기 »

이기붕

이기붕(李起鵬, 1896년 12월 20일 ~ 1960년 4월 28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이기붕 · 더보기 »

이정빈

이정빈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효령대군와 이정빈 · 더보기 »

이충

이충(李忠)은 중국의 사대기서(四大奇書) 중 하나인 《수호전》(水滸傳))의 등장하는 인물로, 108성 중 86위이자 지살성(地煞星)의 지벽성(地僻星)에 해당한다. 호랑이도 때려 죽일 정도의 봉술(杖術) 솜씨를 지녔다 하여 타호장(打虎將)이라는 별호로 불린다. 약장수로 전국을 방랑하며 사진(史進)에게 봉술을 가르친 적도 있으며, 이러한 생활을 한 덕분에 금전과 관련해 인색한 성격을 갖게 되었다.

새로운!!: 효령대군와 이충 · 더보기 »

이수 (1374년)

이수(李隨, 1374년 ~ 1430년)는 조선의 초기의 문신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이수 (1374년) · 더보기 »

인순왕후

인순왕후 심씨(仁順王后 沈氏, 1532년 6월 27일/음력 5월 25일 ~ 1575년 2월 12일/음력 1월 2일)는 조선의 제13대 국왕인 명종의 정비(正妃)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인순왕후 · 더보기 »

음력 12월 11일

음력 12월 11일은 음력 12월의 11번째 날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음력 12월 11일 · 더보기 »

음력 5월 11일

음력 5월 11일은 음력 5월의 11번째 날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음력 5월 11일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의정부 · 더보기 »

의성군 (왕족)

의성군 이채 (1411 태종 11년~1493 24년) 생애 그는 태종의 손자로 태종의 둘째아들 효령대군의 장남이.1414년 아버지 효령대군은 양녕대군이 폐세자 될 운명을 알고 절에 들어.그 뒤 1418년 백부 양녕대군이 폐위되고 숙부 충녕대군 (훗날 세종) 이 세자로 책봉 되고 할아버지 태종이 2달 만에 선위하고 상왕으로 물. 가족관계 조부:조선의제3대왕 태종 (1367~1422) 조모:원경왕후 민씨 (1365~1420) 백부:양녕대군 이제(1394~1462) 부친:태종의 차남 효령대군 (1396~1486) 생모:효령대군부인 정씨 (1394~1470) 숙부:조선의제4대왕 세종 (1397~1450) 숙모:소헌왕후 심씨 (1395~1446) 사촌동생:조선의제5대왕 문종 (1414~1452) 사촌동생:조선의제7대왕 세조 (1417~1468) 사촌동생:안평대군 (1418~1453) 사촌동생:임영대군 (1420~1468) 사촌동생:광평대군 (1425~1444) 사촌동생:금성대군 (1426~1457) 사촌동생:평원대군 (1427~1445) 사촌동생:영응대군 (1434~1467) 친동생:서원군 이친 (1413~1475) 친동생:보성군 이갑(1416~1499) 친동생:낙안군 이밀(1417~1474) 친동생:영천군 이정(1422~?) 친동생:원천군 이의(1423~1476)-숙부 성녕대군에게 출계 이복동생:안강도정 이강(1430~?) 분류:조선의 왕족.

새로운!!: 효령대군와 의성군 (왕족) · 더보기 »

익안대군

익안대군(益安大君, 1360년 ~ 1404년 9월 26일)은 고려 말기 사람이자 조선 전기의 왕족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익안대군 · 더보기 »

전주 이씨

전주 이씨(全州 李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전주 이씨 · 더보기 »

전성군 (1488년)

전성군(全城君) 이대(李對, 1488년 ∼ 1543년 10월 19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왕족으로 본관은 전주, 자(字)는 성중(盛仲)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전성군 (1488년) · 더보기 »

정종 (영양위)

정종(鄭悰, ? ~ 1461년)은 조선의 문신이며, 문종의 부마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정종 (영양위) · 더보기 »

정치인

G20 정상회담 정치인(政治人)은 정치에 활발히 참여하거나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갖는 직업을 가진 사람을 말. 정치가(政治家).

새로운!!: 효령대군와 정치인 · 더보기 »

정역

환대수학에서, 정역(整域)은 영인자가 존재하지 않는, 자명환이 아닌 가환환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정역 · 더보기 »

조계종

조계종(曹溪宗)은 한국 불교의 한 종파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조계종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명종

명종(明宗, 1534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1567년 8월 2일 (음력 6월 28일))은 조선의 제13대 임금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조선 명종 · 더보기 »

조선 문종

문종(文宗, 1414년 11월 15일 (음력 10월 3일) ~ 1452년 6월 1일 (음력 5월 14일), 재위 1450년 ~ 1452년)은 조선의 제5대 임금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조선 문종 · 더보기 »

조선 광해군

광해군(光海君, 1575년 6월 4일 (음력 4월 26일) ~ 1641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조선 광해군 · 더보기 »

조선 단종

종(端宗, 1441년 8월 9일 (음력 7월 23일) ~ 1457년 11월 7일 (음력 10월 21일), 재위 1452년~1455년)은 조선의 제6대 왕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조선 단종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조선 정조 · 더보기 »

조선 정종

정종(定宗, 1357년 7월 18일 (음력 7월 1일) ~ 1419년 10월 15일 (음력 9월 26일), 재위: 1398년 ~ 1400년)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2대 임금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조선 정종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조선 태조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조선 태종 · 더보기 »

조선 예종

예종(睿宗, 1450년 1월 14일(음력 1월 1일) ~ 1469년 12월 31일(음력 11월 28일), 재위 1468년~1469년)은 조선의 제8대 임금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조선 예종 · 더보기 »

조선 연산군

연산군(燕山君, 1476년 11월 23일 (음력 11월 7일) ~ 1506년 11월 20일 (음력 11월 6일), 재위 1494년 ~ 1506년)은 조선의 제10대 왕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조선 연산군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의 임금들은 전주 이씨의 조선 태조의 후손들로 1392년부터 1897년까지 혈통이 이어졌.

새로운!!: 효령대군와 조선 왕 가계도 · 더보기 »

조선의 역사

조선의 역사는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뉘며, 전기를 다시 둘로 나눠 전기와 중기로 보아 전기-중기-후기로 보. 이때 전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임진왜란이며, 전기-중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전기와 중기는 중종반정, 중기와 후기는 임진왜란 또는 병자호란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조선의 역사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중국 · 더보기 »

진안대군

안대군(鎭安大君, 1354년 ~ 1394년 1월 15일(1393년 음력 12월 13일))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 초기의 왕자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진안대군 · 더보기 »

지덕사

덕사(至德祠)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4동에 있는 조선 태종의 장남이자 세종의 큰형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제(禔)의 사당과 묘소로 정식 명칭은 지덕사부묘소(至德祠附墓所)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지덕사 · 더보기 »

참판

(參判)은 조선의 종2품 당상관직으로 각 조의 수장인 판서를 보좌하는 역할을 하였.

새로운!!: 효령대군와 참판 · 더보기 »

청권사

청권사(淸權祠)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에 있는 조선 태종의 둘째 아들이자 세종의 형인 효령대군(孝寧大君) 보(補)의 사당과 묘소로 정식 명칭은 청권사부묘소(淸權祠附墓所)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청권사 · 더보기 »

천안 광덕사 조선사경

안 광덕사 조선사경(天安 廣德寺 朝鮮寫經)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경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천안 광덕사 조선사경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새로운!!: 효령대군와 추증 · 더보기 »

판서

서(判書)는 조선의 정 2품 당상관직이며, 행정을 맡아보는 주요 관서인 육조의 우두머리 관직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판서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유교 · 더보기 »

유태웅

유태웅(兪泰雄, 1972년 6월 5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유태웅 · 더보기 »

유형문화재

유형문화재(有形文化財)는 형태가 없는 무형문화재와는 달리 건조물·회화·조각·공예품·서적·서예 등 일정한 형태를 갖춘 것으로,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높은 것을 말. 유형문화재 가운데 중요한 것은 보물로 지정하며, 보물 가운데 더욱 높은 가치를 지닌 것을 국보로 지정.

새로운!!: 효령대군와 유형문화재 · 더보기 »

율원군

율원군 이종(栗元君 李倧, 1433년 ~ 1476년)은 조선 중기의 왕족, 문신으로 효령대군의 손자이자 보성군(효령대군의 3남)의 다섯째 아들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율원군 · 더보기 »

휘숙옹주

휘숙옹주(徽淑翁主, 생몰년 미상)는 조선의 옹주로 조선 제9대 임금 성종의 서차녀이며, 어머니는 명빈 김씨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휘숙옹주 · 더보기 »

태음력

음력(太陰曆)은 달의 차고 기욺을 기준으로 한 달을 정하는 역법을 말. 계절의 변화(즉, 태양의 일주)까지 고려한 달력은 태음태양력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태음력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효령대군와 영의정 · 더보기 »

호 (이름)

호(號)는 유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에서 본명이나 자 이외에 따로 지어 부르는 이름으로, 사람의 별칭이나 필명 또는 별호(別號)나 아호(雅號) 등을 가리.

새로운!!: 효령대군와 호 (이름) · 더보기 »

호조

호조(戶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호조 · 더보기 »

현숙공주

현숙공주(顯肅公主, 1464년 ~ 1502년 5월)는 예종과 안순왕후 한씨 사이에서 태어난 조선의 공주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현숙공주 · 더보기 »

옛 보신각 동종

옛 보신각 동종(舊普信閣 銅鍾)은 조선시대 만들어진 종으로, 1985년까지 서울 종로 보신각에서 제야(除夜)의 종을 칠 때 사용되었.

새로운!!: 효령대군와 옛 보신각 동종 · 더보기 »

양녕대군

양녕대군(讓寧大君, 1394년 ~ 1462년 9월 7일)은 조선 시대 초기의 왕세자이자 왕족, 정치인, 화가, 시인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양녕대군 · 더보기 »

연주대

연주대(戀主臺)는 관악산 연주암 북쪽 꼭대기 절벽에 위치한 경기도 기념물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연주대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성리학 · 더보기 »

성녕대군

성녕대군 이종(誠寧大君 李褈, 1405년 8월 3일(음력 7월 9일) ~ 1418년 3월 11일(음력 2월 4일))은 조선 태종 임금의 제4적자로 이름은 이종(李褈), 본관은 전주(全州)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성녕대군 · 더보기 »

세조찬위

세조찬위(世祖簒位) 또는 세조반정(世祖反正)은 조선의 첫 번째 반정으로 1455년(단종 3) 수양대군이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를 빼앗은 일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세조찬위 · 더보기 »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首爾 圓覺寺址 十層石塔)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탑골 공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석탑으로 대한민국의 국보 제2호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서인 · 더보기 »

서초구

서초구(瑞草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남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서초구 · 더보기 »

서예

서예(書藝)란 붓으로 글씨를 쓰는 예술을 말. 중국에서 발생한 예술형식의 하나로서 한국 및 일본에 전래되어 한자뿐만 아니라 해당 나라의 글씨체 (한글, 가나)를 예술적으로 종이 위에 표현하는 기술적 측면을 넘어서, 정신수양의 수단으로 (예컨대 문인화) 인정받고 있. 이런 측면에서 서도(書道).

새로운!!: 효령대군와 서예 · 더보기 »

서산군 (왕족)

서산군 이혜 묘소 (왼쪽이 서산군, 오른쪽은 군부인 김씨 묘소) 서산군 이혜(瑞山君 李譿, ? - 1451년 4월 10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왕족으로 태종의 손자이며,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적 3남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서산군 (왕족) · 더보기 »

해주 정씨

주 정씨(海州 鄭氏)는 황해도 해주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해주 정씨 · 더보기 »

한명회 (드라마)

명회 (韓明澮)는 1994년에 KBS2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한명회 (드라마) · 더보기 »

한국방송공사

서울에 있는 KBS 사옥 KBS 업무용차량 KBS 전용차 한국방송공사(韓國放送公社,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공영 방송을 운영하는 기업이며, 대한민국의 재난방송 및 민방위방송 주관방송사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한국방송공사 · 더보기 »

한산 이씨

산 이씨(韓山 李氏)는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한산 이씨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효령대군와 한성부 · 더보기 »

안신우

안신우(본명: 안성민, 1969년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안신우 · 더보기 »

심강

심강(沈鋼, 1514년 ~ 156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명종의 국구(장인)로, 인순왕후의 아버지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심강 · 더보기 »

심의겸

심의겸(沈義謙, 1535년 ~ 158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척신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심의겸 · 더보기 »

심충겸

심충겸(沈忠謙, 1545년 ∼ 159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인순왕후의 동생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심충겸 · 더보기 »

심온

심온(沈溫, 1375년 ~ 1419년 1월 18일 (1418년 음력 12월 23일))은 고려 시대 말기와 조선 시대 초기의 문신이자, 세종의 국구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심온 · 더보기 »

심연원

심연원(沈連源, 1491년 ~ 1558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외척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심연원 · 더보기 »

시호

시호(諡號)는 죽은 인물에게 국가에서 내려주거나 죽은 군주에게 다음 군주가 올리는 특별한 이름으로, 동양의 군주제 국가에서 시행되었.

새로운!!: 효령대군와 시호 · 더보기 »

원경왕후

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 閔氏, 1365년 7월 29일 (음력 7월 11일) ~ 1420년 8월 18일 (음력 7월 10일))는 조선 태종(太宗)의 왕비이자 조선 세종대왕(世宗大王)의 모후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원경왕후 · 더보기 »

왕과 비

《왕과 비(王과 妃)》는 한국방송공사에서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왕과 비 · 더보기 »

왕자

왕자(王子, 프린스)는 서양에서 황족이나 왕족의 남자나 특정의 영역을 지배하는 귀족의 칭호로서 사용되는 영어 단어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왕자 · 더보기 »

왕족

왕족(王族)은 임금을 중심으로한 국왕의 일족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왕족 · 더보기 »

11월 7일

11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1번째(윤년일 경우 31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효령대군와 11월 7일 · 더보기 »

12월 11일

12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5번째(윤년일 경우 34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효령대군와 12월 11일 · 더보기 »

139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효령대군와 1395년 · 더보기 »

139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효령대군와 1396년 · 더보기 »

140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효령대군와 1405년 · 더보기 »

140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효령대군와 1407년 · 더보기 »

141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효령대군와 1411년 · 더보기 »

141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효령대군와 1412년 · 더보기 »

141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효령대군와 1417년 · 더보기 »

145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효령대군와 1459년 · 더보기 »

148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효령대군와 1486년 · 더보기 »

1736년

173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1736년 · 더보기 »

1972년

1972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1972년 · 더보기 »

1984년

1984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1984년 · 더보기 »

1985년

198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1985년 · 더보기 »

1994년

199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1994년 · 더보기 »

1996년

199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1996년 · 더보기 »

1998년

19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1998년 · 더보기 »

1월 6일

1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효령대군와 1월 6일 · 더보기 »

2000년

200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세기와 제2천년기의 마지막 해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2000년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효령대군와 2008년 · 더보기 »

6월 12일

6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3번째(윤년일 경우 1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효령대군와 6월 12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연강선사, 효령 대군, 효령군, 효령대군 보, 효령대군 이보, 효령대군 이호, 효녕군, 효녕군 이보, 효녕군 이호, 효녕대군.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