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오음 (음운학)

색인 오음 (음운학)

오음(五音)은 한국이나 중국에서 전통적으로 음절 초의 닿소리를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분류한 것이며, 아음(牙音, 어금닛소리), 설음(舌音, 혓소리), 순음(脣音, 입술소리), 치음(齒音, 잇소리), 후음(喉音, 목구멍소리)을 가리.

61 처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동국정운, 된소리와 예사소리, 마찰음, 무기음, 무성음, 반치음, 반설음, 비강음, 국제 음성 기호, 닿소리, 입술소리, 음절, 음성학, 조음 방법, 조음 위치, 청음과 탁음, 치경음, 치음 (음운학), 유기음, 유음, 유성음, 순경음, 옥편, ..., 양순음, 연구개음, 삼십육자모, 설음, 성문음, 송나라, 한글 낱자, 아음, 훈민정음, 후음, 홀소리.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1 더) »

ㄱ()은 한글의 닿소리 중 첫째 글자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ㄱ · 더보기 »

ㄲ()은 한글 낱자의 ㄱ을 어울러 쓴 것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ㄲ · 더보기 »

ㄴ(니은)은 한글의 닿소리 중 둘째 글자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ㄴ · 더보기 »

ㄷ()은 한글의 닿소리 중 셋째 글자.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ㄷ · 더보기 »

ㄸ()은 한글 낱자의 ㄷ을 어울러 쓴 것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ㄸ · 더보기 »

ㄹ(리을)은 한글의 닿소리 중 넷째 글자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ㄹ · 더보기 »

ㆁ(옛이응, 꼭지이응)은 훈민정음 자모 중 하나로 현대 한국어 표기법에는 쓰이지 않. 17세기에 사라져 현재는 그 자형은 없어지고 끝소리 ㅇ으로 남아 있. 훈몽자회에서는 지금의 이응을 이(伊), 옛이응을 (異凝)으로 불.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ㆁ · 더보기 »

ㆄ(가벼운피읖, 경피읖, 여린피읖, 순경음피읖)은 한글 낱자 ㅍ과 ㅇ을 쌓아 놓은 것이며 ㅍ의 순경음으로, ㅍ보다 가볍게 소리내란 뜻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ㆄ · 더보기 »

ㆆ(여린히읗, 된이응)은 훈민정음의 자모 중 하나로 현대 한국어 표기에는 쓰이지 않. 훈민정음에 따르면 ㆆ은 청탁의 구별에서 전청이고 조음 위치로는 목구멍소리로 설명하고 있어서 성문 파열음 으로 그 음가를 추정하고 있. 주로 중국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글자로 세조 때까지만 쓰였.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ㆆ · 더보기 »

ㆅ(쌍히읗)은 한글 낱자의 ㅎ을 거듭 쓴 것으로, 현재는 쓰이지 않는 옛 한글 초성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ㆅ · 더보기 »

(치읓)은 한글 닿소리 중 열째 글자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ㅊ · 더보기 »

(히읗)은 한글 낱자의 열넷째 글자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ㅎ · 더보기 »

ㅁ(미음)은 한글 닿소리 중 다섯째 글자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ㅁ · 더보기 »

(피읖)은 한글 낱자의 열셋째 글자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ㅍ · 더보기 »

ㅱ(가벼운미음, 경미음, 여린미음, 순경음 미음)은 한글 낱자 ㅁ과 ㅇ을 쌓아 놓은 것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ㅱ · 더보기 »

ㅸ(가벼운비읍, 경비읍, 여린비읍, 순경음 비읍)은 한글 낱자 ㅂ과 ㅇ을 쌓아 놓은 것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ㅸ · 더보기 »

ㅹ(가벼운쌍비읍)은 한글 낱자 ㅂ을 어울러 쓰고, 그 밑에 ㅇ을 쌓아 놓은 것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ㅹ · 더보기 »

ㅿ(반시옷/가벼운시옷/여린시옷)은 훈민정음 자모 중의 하나로 현대 한국어 표기에는 쓰이지 않. 여린시옷, 여린시읏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ㅿ · 더보기 »

읕의 두 가지 모양 ㅌ(티읕)은 한글 낱자의 열두째 글자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ㅌ · 더보기 »

ㅃ()은 한글 낱자의 ㅂ을 어울러 쓴 것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ㅃ · 더보기 »

(지읒)은 한글 닿소리 중 아홉째 글자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ㅈ · 더보기 »

ㅂ(비읍)은 한글 닿소리 중 여섯째 글자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ㅂ · 더보기 »

()은 한글 낱자의 ㅅ을 어울러 쓴 것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ㅆ · 더보기 »

(이응)은 한글 닿소리 중 여덟 번째 글자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ㅇ · 더보기 »

()은 한글 닿소리 중 일곱 번째 글자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ㅅ · 더보기 »

()은 한글 낱자의 ㅈ을 어울러 쓴 것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ㅉ · 더보기 »

(키읔)은 한글 닿소리 중 열한째 글자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ㅋ · 더보기 »

동국정운

《동국정운》(東國正韻)은 1448년(세종 30년)에 반포된 한국 최초의 표준음에 관한 책, 운서(韻書)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동국정운 · 더보기 »

된소리와 예사소리

소리(경음, 硬音, fortis)와 예사소리(例事--, 연음, 軟音, lenis)는 음운의 구분되는 자질의 하나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된소리와 예사소리 · 더보기 »

마찰음

마찰음(摩擦音, Fricative)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공기가 좁은 틈을 통과되면서 발생하는 마찰을 이용해서 내는 소리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마찰음 · 더보기 »

무기음

무기음(無氣音)은 언어음을 발음할 때 수반한 공기가 거세게 나지 않는 닿소리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무기음 · 더보기 »

무성음

무성음(無聲音,, voiceless consonant)은 조음할 때 성대(목청)의 울림을 수반하지 않거나 유성음보다 덜 울리는 소리이며 안울림소리.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무성음 · 더보기 »

반치음

반치음(半齒音) 또는 반잇소리(반니쏘리)는 전통적 음운학에서 치음과 조음 위치나 조음 방법이 비슷하지만 오음(五音) 기준에 속하지 않는 닿소리를 분류한 것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반치음 · 더보기 »

반설음

반설음(半舌音) 또는 반혓소리(반혀쏘리)는 전통적 음운학에서 설음과 조음 위치가 같지만 조음방법이 오음(五音)에 기준이 속하지 않는 닿소리를 분류한 것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반설음 · 더보기 »

비강음

비강음 또는 비음()은 구강 안에서 폐쇄를 만들어 폐로부터 온 공기를 막았다가 연구개를 낮추어 공기의 일부를 코로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를 말. 조음적인 측면에선 폐쇄음이기도 한 이중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비강음 · 더보기 »

국제 음성 기호

국제 음성 기호 (2015년 개정) 국제 음성 기호 (2015년 개정) 한국어판 국제 음성 기호(國際音聲記號,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PA) 또는 만국 음성 기호(萬國音聲記號)는 언어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음성 기록 체계를 말. 현존하는 모든 언어의 소리를 독자적이고 정확하면서 표준적인 방법으로 표시하기 위해 이 기호 체계가 고안되었으며, 언어학자외에도 언어장애 병리사나 발성 치료사, 외국어 교수자, 말뭉치 연구자, 번역가 등이 일상생활에서 이 기호체계를 활용하고 있. 2005년에 확장된 형태는 약 107개의 기본 문자와 55개의 구별기호로 구성되어 있. 국제 음성 기호의 기호는 크게 (기본) 문자, 구별기호, 초분절요소 등의 3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 이들은 또 다시 세부적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기본 문자의 경우 모음과 자음으로 나눌 수 있. 음성을 표시하는 방법에서 표준화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러한 기호들은 크게 바뀌지는 않으나 이를 관할하는 국제 음성 협회에 의해 기호가 덧붙여지거나 빠지거나 수정.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국제 음성 기호 · 더보기 »

닿소리

닿소리(자음(子音), Consonant)는 성문을 벗어나 조음된 소리가 목, 입, 혀 따위의 발음 기관에 의하여 방해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닿소리 · 더보기 »

입술소리

입술소리(입시울쏘리) 또는 순음(脣音)은 입술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라는 뜻으로 현대 음성학과 전통적 음운학에서 쓰인.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입술소리 · 더보기 »

음절

음절(音節, syllable)은 화자와 청자가 한 뭉치로 생각하는 발화의 단위.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음절 · 더보기 »

음성학

음성학(音聲學)은 사람의 말소리(와 수어에서 이와 관련 있는 요소)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음성학 · 더보기 »

조음 방법

조음 방법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소리를 만드는 방법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조음 방법 · 더보기 »

조음 위치

전설(앞혀), 16. 설단(혓날), 17. 설첨(혀끝), 18. 혀 밑 조음 위치(調音位置)는 자음을 조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장애를 받고 소리가 만들이지는 부분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조음 위치 · 더보기 »

청음과 탁음

청음(淸音)과 탁음(濁音)은 중국의 음운학에서 무성음과 유성음의 대립 구조를 가리.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청음과 탁음 · 더보기 »

치경음

경음(齒莖音, alveolar consonant) 또는 잇몸소리()는 설단과 치경으로 조음하는 닿소리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치경음 · 더보기 »

치음 (음운학)

음(齒音), 잇소리는 이에서 나는 소리라는 뜻으로, 조선 시대 훈민정음과 중국의 전통적인 음성학인 음운학에서 쓰였.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치음 (음운학) · 더보기 »

유기음

유기음(有氣音)은 폐쇄음을 낼 때 거센 바람을 터트리며 내는 소리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유기음 · 더보기 »

유음

유음(流音,liquid)은 조음할 때 공기의 흐름을 적게 막아서 내는 닿소리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유음 · 더보기 »

유성음

유성음(有聲音,, voiced consonant)은 조음할 때 성대(목청)의 울림을 수반하는 소리.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유성음 · 더보기 »

순경음

순경음(脣輕音) 또는 입술가벼운소리는 훈민정음에서 순음 아래 ㅇ을 연서해서 표시한 소리.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순경음 · 더보기 »

옥편

옥편(玉篇)은 중국의 남북조 시대, 양의 고야왕이 만든 자전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옥편 · 더보기 »

양순음

양순음(兩脣音, bilabial consonant) 또는 두입술소리()는 위아래 입술로 조음하는 자음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양순음 · 더보기 »

연구개음

연구개음(軟口蓋音) 또는 여린입천장소리는 후설과 연구개 사이에서 조음하는 자음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연구개음 · 더보기 »

삼십육자모

삼십육자모(三十六字母)는 중국 음운학에서 중국어 중고음(수나라, 당나라의 발음)의 성모(聲母, 두자음)를 나타내기 위해 쓰인 36가지의 한자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삼십육자모 · 더보기 »

설음

설음(舌音) 또는 혓소리(혀쏘리)는 혀에서 나는 소리라는 뜻으로 전통적 음운학에서 두자음들을 분류하였던 말. 오음의.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설음 · 더보기 »

성문음

성문음(聲門音) 또는 울대문소리는 성문에서 조음하는 자음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성문음 · 더보기 »

송나라

송(宋, 960년 ~ 1279년)은 중국의 옛 왕조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송나라 · 더보기 »

한글 낱자

낱자 또는 자모(子母, 字母)는 한글의 닿소리와 홀소리를 같이 이르는 말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한글 낱자 · 더보기 »

아음

아음(牙音) 또는 어금닛소리(엄쏘리)는 어금니에서 나는 소리라는 뜻으로 전통적 음운학에서 두자음들을 분류하였던 말. 오음의.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아음 · 더보기 »

훈민정음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조선조 제 4대 세종대왕이 지은 책의 제목, 그리고 그 책에서 해설하고 있는 뒷날 한글로 불리게 된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를 말. 세종대왕이 궁중에 정음청(正音廳)을 두고 성삼문.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훈민정음 · 더보기 »

후음

후음(喉音) 또는 목구멍소리(목소리)는 목구멍에서 나오는 소리의 뜻으로 두자음들을 분류하였던 전통적 음운학에서 쓰인 말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후음 · 더보기 »

홀소리

홀소리(모음(母音), Vowel)는 음성학에서 자음과 차별되는 음운이.

새로운!!: 오음 (음운학)와 홀소리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초성오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