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건창

색인 이건창

영재 이건창(寧齋 李建昌, 1852년~1898년)의 아명은 송열(松悅), 자는 봉조(鳳朝·鳳藻), 호는 영재(寧齋)이고, 당호(堂號)는 명미당(明美堂)이며, 조선 제2대왕 정종대왕(定宗)의 열째 왕자인 덕천군(德泉君)의 15대 후손으로 병인양요(고종 3년, 1866) 때 순국한 전(前) 개성부유수·이조판서 충정공(忠貞公) 사기 이시원(沙磯 李是遠)의 손자이.

222 처지: 러시아, 덕천군 (1397년), 덕수궁, 돈녕부, 동지사, 망우동, 만국평화회의, 명성황후, 민영익, 방곡령, 갑오개혁, 간토 대지진,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 강위, 강화도, 강화학파,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 가메이도 사건, 벽동군, 경기도, 고군산군도, 고종 양위 사건, 보성군, 공조, 병인양요, 병조, 계촌법, 광무, 광주군, 광화문, 관찰사, 관서, 관서 지방, 북양군벌, 궐석재판, 비변사등록, 김규식 (1838년), 김효원, 김택영, 김홍집, 대전통편,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제국, 대한제국 고종, 대한제국 군대해산, 대한제국 순종,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박물관, 군산시, 남인, ..., 난퉁 시, 노론, 논리적 오류, 단발령, 니콜라이 2세, 승정원, 승정원일기, 자유시 참변, 장쑤성, 흥인지문, 흥선대원군, 이건방, 이건승, 이광사, 이은찬 (1878년), 이준, 이위종, 이상설, 이토 히로부미, 이십삼부, 이시원, 이원일, 이홍장, 이완용, 일성록, 음력 4월 14일, 음력 8월 20일, 음력 8월 22일, 음력 9월 13일, 음력 9월 5일, 의금부, 의정부, 을미사변, 을사조약, 정문부, 정병하, 정인보, 정제두, 정원용, 정원하, 조병갑, 조병식, 조선 광문회, 조선 정종, 조선 숙종, 조선 영조, 조선 선조, 조선의 품계, 조선왕조실록, 중화민국, 진위대, 청나라, 춘추관, 유인석 (1842년), 유수부, 육진팔광, 윤증, 팔도, 상하이 시, 태안군, 숭례문, 형조, 최남선, 양명학, 양무운동, 양평군, 헤이그, 헤이그 특사 사건, 연평도, 사간원, 사헌부, 사서오경, 삼군부, 석촌호수공원, 성균관, 서천군, 서상기, 송나라, 송파동, 송파구, 송시열, 소론, 통감부, 항일의병운동, 해주부, 한국고전번역원, 한국학, 한국학중앙연구원, 한일 병합 조약, 한성부, 안면도, 안흥항, 암행어사, 아관파천, 신임사화, 심의겸, 후한 광무제, 홍문관, 홍승헌, 황현, 환구단, 왕세제, 왕안석, 10월 12일, 13도 창의군, 1575년, 1721년, 1722년, 1755년, 1852년, 1861년, 1866년, 1868년, 1870년, 1871년, 1872년, 1873년, 1874년, 1875년, 1876년, 1877년, 1878년, 1879년, 1880년, 1881년, 1882년, 1883년, 1884년, 1885년, 1886년, 1887년, 1888년, 1890년, 1891년, 1892년, 1893년, 1894년, 1895년, 1896년, 1897년, 1898년, 1905년, 1906년, 1907년, 1908년, 1910년, 1912년, 1917년, 1919년, 1921년, 1923년, 1925년, 1926년, 1948년, 1978년, 1월 15일, 1월 21일, 2월 11일, 2월 16일, 3·1 운동, 3월 1일, 4월 13일, 4월 25일, 5월 22일, 6·10 만세운동, 6월 10일, 6월 27일, 7월 22일, 8월 1일, 8월 2일, 8월 5일, 9월 1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72 더) »

러시아

시아 연방() 또는 러시아()는 동유럽과 북아시아에 걸쳐 있는 연방제 국가로, 세계에서 가장 영토가 넓은 국가이.

새로운!!: 이건창와 러시아 · 더보기 »

덕천군 (1397년)

덕천군 이후생(德泉君 李厚生, 1397년 ~ 1465년)은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열째 왕자로, 시호는 적덕공(積德公)이며, 본관은 전주이.

새로운!!: 이건창와 덕천군 (1397년) · 더보기 »

덕수궁

덕수궁(德壽宮)은 서울 중구 정동(貞洞)에 있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궁궐로서, 대한민국의 사적 제124호이며 면적은 63,069m2이.

새로운!!: 이건창와 덕수궁 · 더보기 »

돈녕부

녕부(敦寧府)는 조선 시대의 왕과 왕비의 친인척을 관리하던 관청이.

새로운!!: 이건창와 돈녕부 · 더보기 »

동지사

동지사.

새로운!!: 이건창와 동지사 · 더보기 »

망우동

망우동(忘憂洞)은 서울특별시 중랑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이건창와 망우동 · 더보기 »

만국평화회의

1899년 제1차 헤이그 회의 1907년 제2차 헤이그 회의 만국평화회의(萬國平和會議) 또는 헤이그 회담(Hague Conventions)은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1899년, 1907년에 2차례 열린 국제 평화 회담이.

새로운!!: 이건창와 만국평화회의 · 더보기 »

명성황후

쪽.

새로운!!: 이건창와 명성황후 · 더보기 »

민영익

민영익 민영익(閔泳翊, 1860년~1914년 중국 상하이)은 조선의 정치인이.

새로운!!: 이건창와 민영익 · 더보기 »

방곡령

방곡령(防穀令)은 조선 말기에 시행되었던 경제 정책 가운데 하나로서, 식량난 해소를 위해 식량 수출을 금지하는 명령을 말. 그 목적은 지방관이 그 행정 관할 구역 내에서 가뭄이나 수해, 민란이나 병란으로 인해 농작물 생산량이 줄어들어 곡식의 가격이 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있. 간혹 장시의 곡물 가격이 외국 상인이 사들이는 가격보다 너무 싸서 장시에 곡물이 풀리지 않을 때에 방곡령이 시행되기도 하였.

새로운!!: 이건창와 방곡령 · 더보기 »

갑오개혁

군국기무처 갑오개혁(甲午改革)은 1894년 7월 27일(음력 6월 25일)부터 1895년 7월 6일(음력 윤5월 14일)까지 조선 정부에서 전개한 제도 개혁을 말. 10년 전 갑신정변의 실패 후 망명했던 개화파들이 청일전쟁에 승리한 일본의 위세를 업고 돌아와 추진한 일본식 개혁으로서 갑오경장(甲午更張)이라고도 불. 내각의 변화에 따라 제1차 갑오개혁과 제2차 갑오개혁으로 세분하며, 이후 을미개혁(제3차 갑오개혁)으로 이어.

새로운!!: 이건창와 갑오개혁 · 더보기 »

간토 대지진

화재가 일어난 마루노우치. 요코하마에서 본 간토 대지진의 피해 간토 대지진()은 1923년 9월 1일 11시 58분 32초(일본 표준시)에 일본 가나가와현 사가미 만을 진앙지로 발생했던 큰 지진이.

새로운!!: 이건창와 간토 대지진 · 더보기 »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

일본의 자경단이 조선인을 학살하는 사진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關東大地震 朝鮮人 虐殺事件, 간단히 간토 대학살)은 간토 대지진(1923년) 당시 혼란의 와중에서 일본 민간인과 군경에 의하여 무차별적으로 자행된 조선인을 대상으로 벌어진 대대적인 학살 사건이.

새로운!!: 이건창와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 · 더보기 »

강위

강위(姜瑋, 1820년 5월 2일 ~ 1884년 4월 5일)는 조선 말기의 한학자, 개화 사상가, 시인이자 금석학자.

새로운!!: 이건창와 강위 · 더보기 »

강화도

강화도(江華島)는 대한민국 경기만에 있는 섬이.

새로운!!: 이건창와 강화도 · 더보기 »

강화학파

강화학파(江華學派)는 조선 후기에 정제두(鄭齊斗) 등에 의해 창시된 양명학파이.

새로운!!: 이건창와 강화학파 · 더보기 »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

강화학파(江華學派) 육대계승(六代繼承)이란 효민공 석문 이경직(李景稷)의 현손(4代孫)으로 이광명(李匡明)이 10세 때(숙종 36년, 1710년)에 부친상(진사 이진위(李眞偉))을 당하자 모친 은진송씨의 뜻에 따라 강화도 사기리(沙磯里)에 장사지내고 그 묘 밑에서 기거하면서 한말 영재 이건창(李建昌), 경재 이건승(李建昇), 난곡 이건방(李建芳) 형제의 대에 이르기까지 강화도 사기리는 강화학파의 근거지가 되었으며 6대 250 여 년간 가학(家學)으로 강화학파를 계승해온 학자 지식인들을 일컫.

새로운!!: 이건창와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 · 더보기 »

가메이도 사건

메이도 사건은 1923년 일본의 간토 대지진 때 사설 무장 단체 자경단(自警團)이 도쿄 일대에서 사회주의자들을 색출, 학살한 사건이.

새로운!!: 이건창와 가메이도 사건 · 더보기 »

벽동군

벽동군(碧潼郡)은 평안북도 최북단에 있는 군이.

새로운!!: 이건창와 벽동군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이건창와 경기도 · 더보기 »

고군산군도

산군도(古群山群島)는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이 관할하는 섬의 무리로, 선유도, 신시도, 무녀도, 장자도, 야미도, 관리도, 방축도, 말도, 명도, 대장도, 비안도, 두리도 등 12개의 유인도와 횡경도, 소횡경도, 보농도, 십이동파도 등 40여 개의 무인도로 이루어져 있. 경관이 빼어나 관광지로 유명하며, 3개의 중심 섬(선유도, 신시도, 무녀도)과 야미도, 장자도, 대장도는 새만금 방조제 및 고군산로로 육지와 연결되어 있.

새로운!!: 이건창와 고군산군도 · 더보기 »

고종 양위 사건

종 양위 사건(高宗讓位事件)은 1907년 7월 20일 고종이 헤이그 밀사 사건의 책임을 추궁하는 일본의 강압에 못이겨 제위를 순종에게 위임했다가 바로 양위한 사건이.

새로운!!: 이건창와 고종 양위 사건 · 더보기 »

보성군

보성군청 보성군(寶城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중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이건창와 보성군 · 더보기 »

공조

공조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이건창와 공조 · 더보기 »

병인양요

병인양요(丙寅洋擾)는 1866년(고종 3년)에 흥선대원군의 천주교 탄압인 병인박해를 구실로 삼아 외교적 보호(diplomatic protection)를 명분으로 하여 프랑스가 일으킨 전쟁이.

새로운!!: 이건창와 병인양요 · 더보기 »

병조

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이건창와 병조 · 더보기 »

계촌법

법(系寸法)은 일가의 촌수를 따지는 방법이.

새로운!!: 이건창와 계촌법 · 더보기 »

광무

광무(光武)는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이건창와 광무 · 더보기 »

광주군

광주군은 한국에 존재했던 군이.

새로운!!: 이건창와 광주군 · 더보기 »

광화문

2011년 11월 광화문 광화문(光化門)은 경복궁의 남쪽에 있는 정문이.

새로운!!: 이건창와 광화문 · 더보기 »

관찰사

사(觀察使)는, 중국 당대(唐代)에서 비롯하여 훗날 한국의 조선(朝鮮), 나아가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초기 일본에도 설치되었던 지방행정 감찰을 맡은 관직이.

새로운!!: 이건창와 관찰사 · 더보기 »

관서

서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이건창와 관서 · 더보기 »

관서 지방

서 지방(關西地方)은 현재의 평양직할시, 평안남도, 평안북도, 자강도 일대를 가리키는 조선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이건창와 관서 지방 · 더보기 »

북양군벌

북양군의 훈련 모습 북양군벌은 청조 말기 중국 공화정 초기 등장한 현대식 군사집단으로 약 30년 이상 중국을 지배한 군사 세력을 말. 리훙장의 강력한 북양군(北洋軍)에서 출발해 위안스카이를 거치면서 분열하여 중국을 지배하였.

새로운!!: 이건창와 북양군벌 · 더보기 »

궐석재판

석재판(闕席裁判)란 피고인이 출정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피고인의 출석없이 재판을 하는 것이.

새로운!!: 이건창와 궐석재판 · 더보기 »

비변사등록

《비변사등록부의정부등록》(備邊司謄錄附議政府謄錄)은 조선조 중·후기의 최고의결기관이었던 비변사에서 처리한 사건을 등록하여 광해군 9년(1617)부터 고종 29년(1892)까지의 12왕조 280여 년간의 기록이며 273책이.

새로운!!: 이건창와 비변사등록 · 더보기 »

김규식 (1838년)

식(金奎軾, 1838년 ~ 1896년 2월 27일)은 조선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이건창와 김규식 (1838년) · 더보기 »

김효원

저서 성암집의 일부 김효원(金孝元, 1542년 ~ 1590년)은 조선 중기의 학자이며 문신이.

새로운!!: 이건창와 김효원 · 더보기 »

김택영

택영(金澤榮, 1850년∼1927년)은 대한제국기의 문신·학자·시인이.

새로운!!: 이건창와 김택영 · 더보기 »

김홍집

홍집은 다음과 같은 사람이 있.

새로운!!: 이건창와 김홍집 · 더보기 »

대전통편

《대전통편》(大典通編)은 《경국대전》과 《속대전》 및 그 이후에 임금이 내린 교명과 현행 법령을 증보하여 편찬한 조선의 법전으로, 현존하는 책은 6권 5책으로 된 인쇄본.

새로운!!: 이건창와 대전통편 · 더보기 »

대한민국 임시 정부

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1919년 ~ 1948년)는 1919년 3월 1일 경성(京城)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1919년 4월 11일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정부이.

새로운!!: 이건창와 대한민국 임시 정부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새로운!!: 이건창와 대한제국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대한제국 군대해산

제국 군대해산 당시 일본군에 의해 무장해제를 당하고 있는 대한제국군 모습 대한제국 군대 해산(大韓帝國軍隊解散)이란, 1907년 7월 31일 밤, 대한제국 순종 황제가 군대해산을 명하는 조칙을 내려 군대를 해산했다고 알려진 사건이.

새로운!!: 이건창와 대한제국 군대해산 · 더보기 »

대한제국 순종

순종(純宗, 1874년 3월 25일(음력 2월 8일) ~ 1926년 4월 25일)은 대한제국 제2대 황제이자, 한반도 역사상 마지막 군주이.

새로운!!: 이건창와 대한제국 순종 · 더보기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國立中央圖書館, National Library of Korea)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이건창와 국립중앙도서관 · 더보기 »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National Museum of Korea)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번지에 위치한 국립박물관이.

새로운!!: 이건창와 국립중앙박물관 · 더보기 »

군산시

산시(群山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북서부 해안에 있는 시이.

새로운!!: 이건창와 군산시 · 더보기 »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이건창와 남인 · 더보기 »

난퉁 시

퉁 시(남통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장쑤 성에 위치하는 지급시이.

새로운!!: 이건창와 난퉁 시 · 더보기 »

노론

(老論)은 서인과 같이 성리학적 명분론을 신봉하였지만 숙종 때 서인에서 노론과 소론으로 나뉜 붕당으로 알려져 있. 서인에서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노론, 윤증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소론이 되었으며 숙종 이후 조선의 주요 집권 세력이었.

새로운!!: 이건창와 노론 · 더보기 »

논리적 오류

리학에서 오류(誤謬, 또는) 또는 허위(虛僞)는 일반적으로는 옳지 않은 추리를 가리키나, 특히 옳은 듯이 겉으로만 보이려는 옳지 않은 추론(推論)을 말.세계사상 > 사 상 용 어 > 논리학 관계 > 진·위·모순 등 > 허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논점 차이의 허위, 선결문제 요구의 허위 등 외에 언어가 애매한 허위(같은 글자이나 뜻이 다른 말로 속이는 것), 애매한 문장의 허위(문장 구조를 불완전하고 명확하지 못한 뜻으로 하여 추론을 속이는 것) 등 많이 있. 그리고 위와 같은 의미를 지닌 팰러시(fallacy)를 오류(誤謬)로 번역하는 수도 있. 즉, 오류(誤謬)의 일반적인 의미는 "틀린 것(error)" 이지만, 허위(fallacy) 즉 논리적 오류와 같은 뜻으로 쓰이.

새로운!!: 이건창와 논리적 오류 · 더보기 »

단발령

발령(斷髮令)은 김홍집 내각이 고종 32년인 1895년 12월 30일(음력 11월 15일)에 공포한 성년 남자의 상투를 자르고 서양식 머리를 하라는 내용의 고종의 칙령이.

새로운!!: 이건창와 단발령 · 더보기 »

니콜라이 2세

이 2세(러시아어: Николай II, 1868년 5월 18일 ~ 1918년 7월 17일)는 러시아 제국의 마지막 황제(1894년 11월 1일 - 1917년 3월 14일)이.

새로운!!: 이건창와 니콜라이 2세 · 더보기 »

승정원

승정원(承政院)은 정삼품아문으로, 조선과 대한제국(승선원으로 개칭)에서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던 행정기관이.

새로운!!: 이건창와 승정원 · 더보기 »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는 조선 및 대한제국의 승정원에서 왕명 출납, 행정 사무 등을 매일 기록한 일기 이. 2001년 9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

새로운!!: 이건창와 승정원일기 · 더보기 »

자유시 참변

자유시 참변(自由市慘變)은 1921년 6월 28일 러시아 스보보드니(알렉세예프스크, 자유시)에서 소련군이 대한독립군단 소속 독립군들을 포위, 사살한 사건이.

새로운!!: 이건창와 자유시 참변 · 더보기 »

장쑤성

장쑤 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부의 성으로 화이허와 창 강의 하류 지역에 위치하고 있.

새로운!!: 이건창와 장쑤성 · 더보기 »

흥인지문

흥인지문(興仁之門)은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대문(大門) 중의 하나로 동쪽의 대문이.

새로운!!: 이건창와 흥인지문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이건창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건방

곡 이건방(蘭谷 李建芳, 1861 ~ 1939) 선생은 양명학 강화학파의 한사람이며, 교육가이.

새로운!!: 이건창와 이건방 · 더보기 »

이건승

경재(耕齋) 이건승(李建昇, 1858∼1924).

새로운!!: 이건창와 이건승 · 더보기 »

이광사

이광사(李匡師, 숙종 31년(1705) ~ 정조 1년(1777))는 조선의 문신, 서예가이며, 현대 한국학의 시조이.

새로운!!: 이건창와 이광사 · 더보기 »

이은찬 (1878년)

이은찬(문숙공, 李殷瓚, 1878년 ~ 1909년)은 13도 창의군을 조직하고 한성진공작전을 기획한 대한제국의 의병장이며 독립유공자이.

새로운!!: 이건창와 이은찬 (1878년) · 더보기 »

이준

이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건창와 이준 · 더보기 »

이위종

이위종(李瑋鍾, 1884년 ~ 1924년?)은 대한제국의 외교관으로, 러시아로 귀화한 후에는 블라디미르 세르게예비치 리()라는 이름을 사용.

새로운!!: 이건창와 이위종 · 더보기 »

이상설

이상설(李相卨, 1871년 1월 27일(1870년 음력 12월 7일) ~ 1917년 양력 3월 2일)은 조선(대한제국)의 문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이건창와 이상설 · 더보기 »

이토 히로부미

이토 히로부미(1841년 10월 16일 ~ 1909년 10월 26일)는 에도 시대 후기의 무사(조슈 번사)이자 일본 제국의 헌법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이건창와 이토 히로부미 · 더보기 »

이십삼부

23부제 이십삼부제(二十三府制, 23부제)는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최상위 행정 구역을 부(府)로 개편하고 그 하위 행정 구역을 군(郡) 으로 명칭을 통일하여 부군제(府郡制)라고도 부른.

새로운!!: 이건창와 이십삼부 · 더보기 »

이시원

이시원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은 다음이 있.

새로운!!: 이건창와 이시원 · 더보기 »

이원일

이원일(1979년 12월 12일 ~)은 대한민국의 요리사이며 요리연구가 겸 기업가이.

새로운!!: 이건창와 이원일 · 더보기 »

이홍장

이홍장의 초상 이홍장(1823년 2월 15일 ~ 1901년 11월 7일)은 청 말기의 한족계 거물급 중신 정치가이며 청의 부국강병을 위한 양무운동 등을 주도한 사람이.

새로운!!: 이건창와 이홍장 · 더보기 »

이완용

이완용(李完用, 1858년 7월 17일(음력 6월 7일) ~ 1926년 양력 2월 12일)은 대한제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이건창와 이완용 · 더보기 »

일성록

일성록(日省錄)은 1752년 조선 영조 28년부터 경술국치가 일어나는 1910년 순종 4년까지의 국왕의 동정과 국정의 제반사항을 기록한 일기체 연대기이.

새로운!!: 이건창와 일성록 · 더보기 »

음력 4월 14일

음력 4월 14일은 음력 4월의 14번째 날이.

새로운!!: 이건창와 음력 4월 14일 · 더보기 »

음력 8월 20일

음력 8월 20일은 음력 8월의 20번째 날이.

새로운!!: 이건창와 음력 8월 20일 · 더보기 »

음력 8월 22일

음력 8월 22일은 음력 8월의 22번째 날이.

새로운!!: 이건창와 음력 8월 22일 · 더보기 »

음력 9월 13일

음력 9월 13일은 음력 9월의 13번째 날이.

새로운!!: 이건창와 음력 9월 13일 · 더보기 »

음력 9월 5일

음력 9월 5일은 음력 9월의 5번째 날이.

새로운!!: 이건창와 음력 9월 5일 · 더보기 »

의금부

의금부 터 의금부(義禁府)는 고려와 조선의 수사기관이.

새로운!!: 이건창와 의금부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이건창와 의정부 · 더보기 »

을미사변

명성황후 추정 사진 을미사변(乙未事變)은 1895년 10월 8일 경복궁(景福宮)에서 명성황후 민씨가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의 지휘 아래 일본군 한성 수비대 미야모토 다케타로(宮本竹太郞) 등에게 암살된 사건이.

새로운!!: 이건창와 을미사변 · 더보기 »

을사조약

중명전에 전시된 을사조약 문서 을사조약(乙巳條約) 혹은 제2차 한일 협약(第二次韓日協約)은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의 외부대신 박제순과 일본 제국의 주한 공사 하야시 곤스케에 의해 체결된 불평등 조약이.

새로운!!: 이건창와 을사조약 · 더보기 »

정문부

정문부(鄭文孚, 1565년 ~ 1624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임진란 일등 공신 좌찬성 대제학 의병장이.

새로운!!: 이건창와 정문부 · 더보기 »

정병하

정병하(鄭秉夏, 1849년 ~ 1896년 2월 11일)는 조선 말기의 관리이.

새로운!!: 이건창와 정병하 · 더보기 »

정인보

정인보(鄭寅普, 음력 1893년 5월 6일/양력 1893년 6월 19일 ~ 1950년 9월 7일)는 일제 강점기의 한학자·역사학자·작가이며, 대한민국의 언론인·정치인·작가이.

새로운!!: 이건창와 정인보 · 더보기 »

정제두

정제두(鄭齊斗, 1649년∼1736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이.

새로운!!: 이건창와 정제두 · 더보기 »

정원용

정원용(鄭元容, 1783년~1873년)은 조선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이건창와 정원용 · 더보기 »

정원하

정원하(鄭元夏, 1855년 ~ 1925년)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이건창와 정원하 · 더보기 »

조병갑

조병갑(趙秉甲, 1844년 5월 15일 ~ 1911년 5월 23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고 부패한 탐관오리이자 동학 농민 운동의 원인 제공 관련자이.

새로운!!: 이건창와 조병갑 · 더보기 »

조병식

조병식(趙秉式, 1832년 ~ 1907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이건창와 조병식 · 더보기 »

조선 광문회

조선 광문회(朝鮮光文會)는 1910년에 설치된 한국 고전 연구기관이었.

새로운!!: 이건창와 조선 광문회 · 더보기 »

조선 정종

정종(定宗, 1357년 7월 18일 (음력 7월 1일) ~ 1419년 10월 15일 (음력 9월 26일), 재위: 1398년 ~ 1400년)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2대 임금이.

새로운!!: 이건창와 조선 정종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새로운!!: 이건창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새로운!!: 이건창와 조선 영조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조선의 품계

조선의 품계는 한반도의 왕조인 조선 신하들의 계급 품계를 작성한 문서이.

새로운!!: 이건창와 조선의 품계 · 더보기 »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태조(1392년)부터 철종(1863년)까지 25대에 걸친 472년간 조선 왕조의 역사적 사실을 연월일순(年月日順)에 따라 편년체로 기술한 역사서이.

새로운!!: 이건창와 조선왕조실록 · 더보기 »

중화민국

중화민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공화국이.

새로운!!: 이건창와 중화민국 · 더보기 »

진위대

위대(鎭衛隊)는 1895년(고종 32)에 설치한 한국 최초의 근대식 지방 군대이.

새로운!!: 이건창와 진위대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이건창와 청나라 · 더보기 »

춘추관

(春秋館)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관청이.

새로운!!: 이건창와 춘추관 · 더보기 »

유인석 (1842년)

인석(柳麟錫, 1842년 ~ 1915년)은 대한제국의 학자, 의병장이.

새로운!!: 이건창와 유인석 (1842년) · 더보기 »

유수부

유수부(留守府)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옛 도읍지나 행행지 및 군사적인 요지에 설치되었던 행정 기관으로 부 가운데 유수(留守, 정2품)가 우두머리로 있는 곳을 가리.

새로운!!: 이건창와 유수부 · 더보기 »

육진팔광

육진팔광(六眞八匡)은 효민공(孝敏公) 석문(石門) 이경직(李景稷)의 증손 북곡(北谷) 이진유(李眞儒)가 영조 6년(1730년) 고령의 나이에 문초(고문)로 옥사(사망)하자 일제히 벼슬을 버리고 강화도(江華島)로 들어가 살아갈 터를 잡은 후, 출사(出仕)를 단념하고 오로지 학문에만 힘썼던 그 후손들을 말.

새로운!!: 이건창와 육진팔광 · 더보기 »

윤증

윤증 초상 윤증 윤증(尹拯, 1629년 ~ 1714년 1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 정치인, 사상가이.

새로운!!: 이건창와 윤증 · 더보기 »

팔도

조선 팔도 팔도(八道)는 1895년까지의 조선의 광역 행정 구역을 이르는 명칭이.

새로운!!: 이건창와 팔도 · 더보기 »

상하이 시

상하이()는 중국 본토 동부의 창강() 하구에 있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직할시이.

새로운!!: 이건창와 상하이 시 · 더보기 »

태안군

안군(泰安郡)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해안 태안반도에 있는 군으로, 안면도 등 119개의 섬이 있. 군청 소재지는 태안읍이고, 행정구역은 2읍 6면이.

새로운!!: 이건창와 태안군 · 더보기 »

숭례문

숭례문(崇禮門)은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대문(大門) 중의 하나로 남쪽의 대문이.

새로운!!: 이건창와 숭례문 · 더보기 »

형조

형조(刑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이건창와 형조 · 더보기 »

최남선

선(崔南善, 1890년 4월 26일 ~ 1957년 10월 10일)은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친일 문학가이자 대한민국의 문화운동가이.

새로운!!: 이건창와 최남선 · 더보기 »

양명학

왕수인 양명학(陽明學)은 중국 명나라의 철학자 왕수인(王守仁)의 호인 양명(陽明)에서 이름을 따서 붙인 유가 철학(儒家哲學)의 한 학파로 주관적 실천 철학에 속. 양명학이라는 명칭은 메이지 유신 이후에 퍼진 것으로, 그 이전에는 육왕학(陸王學) 또는 왕학(王學)이라 불. 육왕학(陸王學)은 육구연(陸九淵)의 학풍을 이어 왕수인이 대성한 유학(儒學)을 뜻하고, 왕학(王學)은 왕수인의 유학을 뜻. 심즉리(心卽理)치양지(致良知)지행합일(知行合一)은 양명학의 3강령이.

새로운!!: 이건창와 양명학 · 더보기 »

양무운동

복주(福州)에 있는 '선정국'(船政局). 양무 운동(洋務運動)은 19세기 후반, 청나라 말기에 관료들의 주도로 이루어졌던 군사중심의 근대화운동을 말. 유럽 근대기술의 도입으로 봉건체제를 유지,보강하려 했던 청조의 자강운동이.

새로운!!: 이건창와 양무운동 · 더보기 »

양평군

양평군(楊平郡)은 대한민국 경기도 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군이.

새로운!!: 이건창와 양평군 · 더보기 »

헤이그

헤이그()는 네덜란드의 정부 소재지이.

새로운!!: 이건창와 헤이그 · 더보기 »

헤이그 특사 사건

이준, 이상설, 이위종 헤이그 특사 사건(- 特使 事件)은 1907년 고종이 당시 개신교 감리교회의 지원을 받아 비밀리에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 특사 이준, 이상설, 이위종을 파견하려 하였던 사건이.

새로운!!: 이건창와 헤이그 특사 사건 · 더보기 »

연평도

연평도(延坪島)는 경기만 북서쪽에 있는 대한민국 관할의 섬으로, 소연평도 등 주변의 부속 섬과 함께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에 속. 2016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연평면의 인구는 2천209 명, 1천372 가구이.

새로운!!: 이건창와 연평도 · 더보기 »

사간원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

새로운!!: 이건창와 사간원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새로운!!: 이건창와 사헌부 · 더보기 »

사서오경

사서오경(四書五經) 또는 사서삼경(四書三經)은 유교의 교육 및 교양 서적으로, 유교 교육의 가장 핵심적인 책이.

새로운!!: 이건창와 사서오경 · 더보기 »

삼군부

삼군부(三軍府)는 조선 초기의 군무(軍務)를 통할하던 관청이.

새로운!!: 이건창와 삼군부 · 더보기 »

석촌호수공원

석촌호수공원은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에 있는 공원이.

새로운!!: 이건창와 석촌호수공원 · 더보기 »

성균관

성균관(成均館)은 한국의 옛 대학(大學)으로 그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 국학(國學)을 성균관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

새로운!!: 이건창와 성균관 · 더보기 »

서천군

서천군(舒川郡)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이건창와 서천군 · 더보기 »

서상기

《서상기》(西廂記)는 원대의 희곡으로, 왕실보(王實甫, 생몰년 미상)의 작품이.

새로운!!: 이건창와 서상기 · 더보기 »

송나라

송(宋, 960년 ~ 1279년)은 중국의 옛 왕조이.

새로운!!: 이건창와 송나라 · 더보기 »

송파동

송파동(松坡洞)은 서울특별시 송파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이건창와 송파동 · 더보기 »

송파구

송파구(松坡區)는 서울특별시의 남동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이건창와 송파구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새로운!!: 이건창와 송시열 · 더보기 »

소론

소론(少論)은 조선 붕당정치의 한 당파이.

새로운!!: 이건창와 소론 · 더보기 »

통감부

통감기(統監旗) 한국통감부 청사 통감부(統監府)는 일본 제국이 을사늑약을 체결한 뒤 대한제국 한성부에 설치했던 정치와 군사 관련 업무를 보는 관청이.

새로운!!: 이건창와 통감부 · 더보기 »

항일의병운동

항일의병운동(抗日義兵運動)은 일본에 항거하는 의병 운동이.

새로운!!: 이건창와 항일의병운동 · 더보기 »

해주부

주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건창와 해주부 · 더보기 »

한국고전번역원

국고전번역원(韓國古典飜譯院,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은 우리 조상들의 정신문화를 담고 있는 한국고전의 수집, 정리, 번역을 통해 한국학 연구의 기반을 구축하고 나아가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하여 2007년 11월 설립된 교육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이.

새로운!!: 이건창와 한국고전번역원 · 더보기 »

한국학

국학(韓國學)는 한국에 관한 다양한 면의 분야에서 한국 고유의 것을 연구 계발하는 학문이.

새로운!!: 이건창와 한국학 · 더보기 »

한국학중앙연구원

본관 재단법인 한국학중앙연구원(韓國學中央硏究院,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은 한국 문화의 심층연구 및 교육 등을 통하여 한국학을 진행하기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의 연구 및 교육조직이.

새로운!!: 이건창와 한국학중앙연구원 · 더보기 »

한일 병합 조약

일 병합 조약() 또는 한국 병합에 관한 조약()은 1910년 8월 22일에 조인되어 8월 29일 발효된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일방적인 위력에 의해 이루어진 합병조약(合倂條約)이.

새로운!!: 이건창와 한일 병합 조약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이건창와 한성부 · 더보기 »

안면도

썸네일 안면도(安眠島)는 대한민국 태안반도 남쪽에 있는 섬으로,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과 고남면이 속. 대한민국에서 6번째로 넓은 섬으로, 면적은 113.5 km²이.

새로운!!: 이건창와 안면도 · 더보기 »

안흥항

안흥항 안흥항은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신진도리에 있는 어항이.

새로운!!: 이건창와 안흥항 · 더보기 »

암행어사

암행어사는 조선 시대에 지방에 파견되어 지방관의 감찰과 백성의 사정을 조사하는 일을 비밀리에 수행했던 국왕 직속의 임시 관리로 부사의 일종이.

새로운!!: 이건창와 암행어사 · 더보기 »

아관파천

시아 공사관 (1900년경) 서울 구 러시아 공사관의 일부 아관파천(俄館播遷)은 1896년 2월 11일부터 1897년 2월 20일까지 1년간 조선 고종과 세자가 경복궁을 떠나, 어가를 러시아 제국 공사관으로 옮겨서 거처한 사건이.

새로운!!: 이건창와 아관파천 · 더보기 »

신임사화

신임사화(辛壬士禍) 또는 신임옥사(辛壬獄事)는 조선 경종 즉위 1년 후인 1721년부터 다음 해 1722년까지 당파인 노론과 소론 이 연잉군 왕세제 책봉문제로 충돌한 사건이.

새로운!!: 이건창와 신임사화 · 더보기 »

심의겸

심의겸(沈義謙, 1535년 ~ 158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척신이.

새로운!!: 이건창와 심의겸 · 더보기 »

후한 광무제

세조 광무황제 유수(漢 世祖 光武皇帝 劉秀, 기원전 6년 ~ 57년)는 중국 후한 황조의 초대 황제로, 아명은 호(呼)며 자는 문숙(文叔)이며 남양군 채양현(蔡陽縣) 사람이.

새로운!!: 이건창와 후한 광무제 · 더보기 »

홍문관

홍문관(弘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이건창와 홍문관 · 더보기 »

홍승헌

홍승헌(洪承憲, 1854년 ~ 1914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이건창와 홍승헌 · 더보기 »

황현

황현(黃玹, 1855년 음력 12월 11일(양력 1856년 1월 18일) ~ 1910년 9월 7일)은 대한제국 조선 왕조 말기의 선비로 시인, 문장가, 역사가, 우국지사이며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이.

새로운!!: 이건창와 황현 · 더보기 »

환구단

환구단(圜丘壇)은 천자(天子)가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단(壇)이.

새로운!!: 이건창와 환구단 · 더보기 »

왕세제

왕세제(王世弟)는 칭호의 하나로, 간칭으로 세제라 부르며 왕세자, 왕세손, 왕세숙 등으.

새로운!!: 이건창와 왕세제 · 더보기 »

왕안석

왕안석 왕안석(王安石, 1021년 12월 18일~1086년 5월 21일)은 송나라의 개혁 정치가이.

새로운!!: 이건창와 왕안석 · 더보기 »

10월 12일

10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5번째(윤년일 경우 28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건창와 10월 12일 · 더보기 »

13도 창의군

13도 창의군(倡義軍)은 대한제국의 항일의병 조직이.

새로운!!: 이건창와 13도 창의군 · 더보기 »

157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건창와 1575년 · 더보기 »

1721년

172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721년 · 더보기 »

1722년

1722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722년 · 더보기 »

1755년

1755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755년 · 더보기 »

1852년

1852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52년 · 더보기 »

1861년

186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61년 · 더보기 »

1866년

186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66년 · 더보기 »

1868년

186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68년 · 더보기 »

1870년

187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70년 · 더보기 »

1871년

187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71년 · 더보기 »

1872년

187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72년 · 더보기 »

1873년

187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73년 · 더보기 »

1874년

187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74년 · 더보기 »

1875년

187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75년 · 더보기 »

1876년

187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76년 · 더보기 »

1877년

187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77년 · 더보기 »

1878년

187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78년 · 더보기 »

1879년

187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79년 · 더보기 »

1880년

188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80년 · 더보기 »

1881년

188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81년 · 더보기 »

1882년

188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82년 · 더보기 »

1883년

188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83년 · 더보기 »

1884년

188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84년 · 더보기 »

1885년

188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85년 · 더보기 »

1886년

188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86년 · 더보기 »

1887년

188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87년 · 더보기 »

1888년

188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88년 · 더보기 »

1890년

189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90년 · 더보기 »

1891년

189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91년 · 더보기 »

1892년

189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92년 · 더보기 »

1893년

189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93년 · 더보기 »

1894년

189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94년 · 더보기 »

1895년

189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95년 · 더보기 »

1896년

189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96년 · 더보기 »

1897년

189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97년 · 더보기 »

1898년

189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898년 · 더보기 »

1905년

190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905년 · 더보기 »

1906년

190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906년 · 더보기 »

1907년

190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907년 · 더보기 »

1908년

190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908년 · 더보기 »

1910년

191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910년 · 더보기 »

1912년

191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912년 · 더보기 »

1917년

191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917년 · 더보기 »

1919년

191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919년 · 더보기 »

1921년

192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921년 · 더보기 »

1923년

192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923년 · 더보기 »

1925년

192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925년 · 더보기 »

1926년

192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926년 · 더보기 »

1948년

194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948년 · 더보기 »

1978년

197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건창와 1978년 · 더보기 »

1월 15일

1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번째(윤년일 경우도 1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건창와 1월 15일 · 더보기 »

1월 21일

1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번째(윤년일 경우도 2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건창와 1월 21일 · 더보기 »

2월 11일

2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2번째(윤년일 경우도 4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건창와 2월 11일 · 더보기 »

2월 16일

2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7번째(윤년일 경우도 4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건창와 2월 16일 · 더보기 »

3·1 운동

3·1 운동(三一運動) 또는 3·1 만세 운동(三一萬歲運動)은 일제 강점기에 있던 한국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병합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이.

새로운!!: 이건창와 3·1 운동 · 더보기 »

3월 1일

3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0번째(윤년일 경우 6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건창와 3월 1일 · 더보기 »

4월 13일

4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3번째(윤년일 경우 10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건창와 4월 13일 · 더보기 »

4월 25일

4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5번째(윤년일 경우 11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건창와 4월 25일 · 더보기 »

5월 22일

5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2번째(윤년일 경우 14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건창와 5월 22일 · 더보기 »

6·10 만세운동

6.10 만세운동. 일본 경찰이 만세 시위를 벌이려는 군중을 진압하고 있다. 6·10 만세운동(六十萬歲運動)은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 학생을 중심으로 하여 일어난 독립운동이.

새로운!!: 이건창와 6·10 만세운동 · 더보기 »

6월 10일

6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1번째(윤년일 경우 16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건창와 6월 10일 · 더보기 »

6월 27일

6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8번째(윤년일 경우 17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건창와 6월 27일 · 더보기 »

7월 22일

7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3번째(윤년일 경우 20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건창와 7월 22일 · 더보기 »

8월 1일

8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3번째(윤년일 경우 21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건창와 8월 1일 · 더보기 »

8월 2일

8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4번째(윤년일 경우 21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건창와 8월 2일 · 더보기 »

8월 5일

8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7번째(윤년일 경우 21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건창와 8월 5일 · 더보기 »

9월 1일

9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4번째(윤년일 경우 24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건창와 9월 1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이건창 (1852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