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광사

색인 이광사

이광사(李匡師, 숙종 31년(1705) ~ 정조 1년(1777))는 조선의 문신, 서예가이며, 현대 한국학의 시조이.

82 처지: 덕천군 (1397년), 강진군, 강화도, 강화군, 강화학파,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 밀양시, 부령군, 규장각, 대흥사,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 구례군, 국립중앙박물관, 나주괘서사건, 나주시, 노론, 장서각, 이건창, 이경직, 이경석 (1595년), 이긍익, 이대성, 이이명, 이정영, 이충익, 이영익, 전주 이씨, 전서, 정명공주, 정제두, 조선, 조선 정종, 진서, 천은사 (구례군), 초서,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육진팔광, 윤순, 팔각산, 예서, 양명학, 소론, 해남군, 한반도 비무장 지대, 한반도 군사 분계선, 한국고전번역원, 한국학, 한국학중앙연구원, 한성부, 신지면, ..., 홍만용, 화도면, 1702년, 1705년, 1717년, 1719년, 1721년, 1724년, 1725년, 1727년, 1730년, 1731년, 1732년, 1733년, 1734년, 1736년, 1737년, 1741년, 1744년, 1747년, 1752년, 1754년, 1755년, 1756년, 1757년, 1762년, 1763년, 1764년, 1771년, 1773년, 1775년, 1777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2 더) »

덕천군 (1397년)

덕천군 이후생(德泉君 李厚生, 1397년 ~ 1465년)은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열째 왕자로, 시호는 적덕공(積德公)이며, 본관은 전주이.

새로운!!: 이광사와 덕천군 (1397년) · 더보기 »

강진군

강진군(康津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서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이광사와 강진군 · 더보기 »

강화도

강화도(江華島)는 대한민국 경기만에 있는 섬이.

새로운!!: 이광사와 강화도 · 더보기 »

강화군

강화군(江華郡)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북부의 군이.

새로운!!: 이광사와 강화군 · 더보기 »

강화학파

강화학파(江華學派)는 조선 후기에 정제두(鄭齊斗) 등에 의해 창시된 양명학파이.

새로운!!: 이광사와 강화학파 · 더보기 »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

강화학파(江華學派) 육대계승(六代繼承)이란 효민공 석문 이경직(李景稷)의 현손(4代孫)으로 이광명(李匡明)이 10세 때(숙종 36년, 1710년)에 부친상(진사 이진위(李眞偉))을 당하자 모친 은진송씨의 뜻에 따라 강화도 사기리(沙磯里)에 장사지내고 그 묘 밑에서 기거하면서 한말 영재 이건창(李建昌), 경재 이건승(李建昇), 난곡 이건방(李建芳) 형제의 대에 이르기까지 강화도 사기리는 강화학파의 근거지가 되었으며 6대 250 여 년간 가학(家學)으로 강화학파를 계승해온 학자 지식인들을 일컫.

새로운!!: 이광사와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 · 더보기 »

밀양시

밀양시(密陽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이광사와 밀양시 · 더보기 »

부령군

부령군(富寧郡)은 함경북도 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이광사와 부령군 · 더보기 »

규장각

창덕궁 후원 부용지 주변에 세워진 규장각(2층 건물의 1층)과 서향각 규장각(奎章閣)은 조선 후기의 왕실 학문 연구 기관이자 왕실 도서관이.

새로운!!: 이광사와 규장각 · 더보기 »

대흥사

흥사(大興寺)는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에 위치한 두륜산 도립공원 내의 절이.

새로운!!: 이광사와 대흥사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

보물 제1호 흥인지문 대한민국의 보물(大韓民國 寶物)은 목조 건축물, 석조 건축물, 전적류, 서적류, 고문서, 회화, 조각류, 공예품, 고고자료, 무구(巫具) 등 대한민국의 유형문화재 가운데 중요한 것을 국가에서 지정한 것이.

새로운!!: 이광사와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 · 더보기 »

구례군

(求禮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동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이광사와 구례군 · 더보기 »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National Museum of Korea)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번지에 위치한 국립박물관이.

새로운!!: 이광사와 국립중앙박물관 · 더보기 »

나주괘서사건

주괘서사건(羅州掛書事件)은 조선 영조 31년(1755)에 윤지(尹志)가 나주 객사에 붙인 벽서와 관련하여 일어난 역모 사건이.

새로운!!: 이광사와 나주괘서사건 · 더보기 »

나주시

주시(羅州市)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이광사와 나주시 · 더보기 »

노론

(老論)은 서인과 같이 성리학적 명분론을 신봉하였지만 숙종 때 서인에서 노론과 소론으로 나뉜 붕당으로 알려져 있. 서인에서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노론, 윤증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소론이 되었으며 숙종 이후 조선의 주요 집권 세력이었.

새로운!!: 이광사와 노론 · 더보기 »

장서각

장서각(藏書閣)은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에 부속된 한국학 전문 도서관이.

새로운!!: 이광사와 장서각 · 더보기 »

이건창

영재 이건창(寧齋 李建昌, 1852년~1898년)의 아명은 송열(松悅), 자는 봉조(鳳朝·鳳藻), 호는 영재(寧齋)이고, 당호(堂號)는 명미당(明美堂)이며, 조선 제2대왕 정종대왕(定宗)의 열째 왕자인 덕천군(德泉君)의 15대 후손으로 병인양요(고종 3년, 1866) 때 순국한 전(前) 개성부유수·이조판서 충정공(忠貞公) 사기 이시원(沙磯 李是遠)의 손자이.

새로운!!: 이광사와 이건창 · 더보기 »

이경직

이경직(李景稷, 1577년 ~ 1640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후손이.

새로운!!: 이광사와 이경직 · 더보기 »

이경석 (1595년)

이경석(李景奭, 1595년 12월 18일(음력 11월 18일) ~ 1671년 10월 26일(음력 9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작가, 성리학자이자 서예가로, 자는 상보(尙輔), 호는 백헌(白軒)이.

새로운!!: 이광사와 이경석 (1595년) · 더보기 »

이긍익

이긍익(李肯翊, 1736년 ~ 1806년)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새로운!!: 이광사와 이긍익 · 더보기 »

이대성

이대성(李大性, 1968년 3월 6일 ~ 2012년 2월 29일)은 대한민국의 전직 충청북도 청주시의원이.

새로운!!: 이광사와 이대성 · 더보기 »

이이명

이이명(李頤命, 1658년 ~ 1722년 4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문신·정치인·학자로 노론 4대신의 한사람이.

새로운!!: 이광사와 이이명 · 더보기 »

이정영

이정영(李正英, 1616년 ~ 168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서예가, 조각가이.

새로운!!: 이광사와 이정영 · 더보기 »

이충익

이충익(李忠翊, 1744년~1816년)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

새로운!!: 이광사와 이충익 · 더보기 »

이영익

이영익(李榮益, 1966년 8월 30일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및 지도자이.

새로운!!: 이광사와 이영익 · 더보기 »

전주 이씨

전주 이씨(全州 李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이광사와 전주 이씨 · 더보기 »

전서

전서(篆書)는 한자 서체의 종류 중. 고문의 자체와 서풍이 정리된 것으로서 대전(大篆)·소전(小篆)의 2종이 있. 대전은 주문(籒文)이라고도 불리고 주(周)의 사주(史籒)가 만들었다고도 전. 소전은 대전의 체세(體勢)를 길게, 점획(点劃)를 방정하게 하여 서사(書寫)를 편리하게 한 것으로서 진시황제의 문자통일 때에 승상 이사(李斯)가 창시하였다고 전. 분류:한자 서체 분류:서예.

새로운!!: 이광사와 전서 · 더보기 »

정명공주

정명공주(貞明公主, 1603년 6월 27일(음력 5월 19일) ~ 1685년 9월 8일(음력 8월 10일))는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선조와 인목왕후의 딸이며 영창대군의 누나이.

새로운!!: 이광사와 정명공주 · 더보기 »

정제두

정제두(鄭齊斗, 1649년∼1736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이.

새로운!!: 이광사와 정제두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이광사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정종

정종(定宗, 1357년 7월 18일 (음력 7월 1일) ~ 1419년 10월 15일 (음력 9월 26일), 재위: 1398년 ~ 1400년)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2대 임금이.

새로운!!: 이광사와 조선 정종 · 더보기 »

진서

서(晉書)는 중국 진나라(晉)의 기록을 담은 역사서이.

새로운!!: 이광사와 진서 · 더보기 »

천은사 (구례군)

은사(泉隱寺)는 지리산 서남쪽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이광사와 천은사 (구례군) · 더보기 »

초서

서(草書)는 한자 서체의 종류 중. 문자를 흘려서 쓴 서. 서역(西域)에서 출토된 전한(前漢)의 목간(木簡)에 팔부의 파세와 리듬을 가진 속필의 문자(章草라고도 한다)가 있으며, 여기서 지금 초서로 발전하였.

새로운!!: 이광사와 초서 · 더보기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UC 버클리 캠퍼스 풍경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UC 버클리)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 버클리에 위치한 세계적인 명문 대학교이며 미국을 대표하는 공립대학교이.

새로운!!: 이광사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더보기 »

육진팔광

육진팔광(六眞八匡)은 효민공(孝敏公) 석문(石門) 이경직(李景稷)의 증손 북곡(北谷) 이진유(李眞儒)가 영조 6년(1730년) 고령의 나이에 문초(고문)로 옥사(사망)하자 일제히 벼슬을 버리고 강화도(江華島)로 들어가 살아갈 터를 잡은 후, 출사(出仕)를 단념하고 오로지 학문에만 힘썼던 그 후손들을 말.

새로운!!: 이광사와 육진팔광 · 더보기 »

윤순

윤순(尹淳, 1680년(숙종 6년) ~ 1741년(영조 17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서예가, 문신이.

새로운!!: 이광사와 윤순 · 더보기 »

팔각산

각산(八角山)은 경상북도 영덕군에 있는 높이 628m의 산이.

새로운!!: 이광사와 팔각산 · 더보기 »

예서

예서(隸書)는 한자 서체의 종류 중. 소전을 직선적으로 간략화한 것으로서 하급관리인 도례(徒隷) 사이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에 예서라 부르고 있. 이것이 모체가 되어 해행초(楷行草)의 삼체(三體)가 전.

새로운!!: 이광사와 예서 · 더보기 »

양명학

왕수인 양명학(陽明學)은 중국 명나라의 철학자 왕수인(王守仁)의 호인 양명(陽明)에서 이름을 따서 붙인 유가 철학(儒家哲學)의 한 학파로 주관적 실천 철학에 속. 양명학이라는 명칭은 메이지 유신 이후에 퍼진 것으로, 그 이전에는 육왕학(陸王學) 또는 왕학(王學)이라 불. 육왕학(陸王學)은 육구연(陸九淵)의 학풍을 이어 왕수인이 대성한 유학(儒學)을 뜻하고, 왕학(王學)은 왕수인의 유학을 뜻. 심즉리(心卽理)치양지(致良知)지행합일(知行合一)은 양명학의 3강령이.

새로운!!: 이광사와 양명학 · 더보기 »

소론

소론(少論)은 조선 붕당정치의 한 당파이.

새로운!!: 이광사와 소론 · 더보기 »

해남군

(海南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서남쪽에 있는 군이.

새로운!!: 이광사와 해남군 · 더보기 »

한반도 비무장 지대

반도 비무장 지대(韓半島非武裝地帶, Korean Demilitarized Zone, DMZ)는 한국 전쟁 이후 1953년 체결된 정전 협정에 따라 설정된 비무장 지대이.

새로운!!: 이광사와 한반도 비무장 지대 · 더보기 »

한반도 군사 분계선

비무장지대 북쪽의 철조망 한반도의 군사 분계선(韓半島軍事分界線)은 한반도의 남북을 분단하여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계를 이루는 지도상의 선이.

새로운!!: 이광사와 한반도 군사 분계선 · 더보기 »

한국고전번역원

국고전번역원(韓國古典飜譯院,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은 우리 조상들의 정신문화를 담고 있는 한국고전의 수집, 정리, 번역을 통해 한국학 연구의 기반을 구축하고 나아가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하여 2007년 11월 설립된 교육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이.

새로운!!: 이광사와 한국고전번역원 · 더보기 »

한국학

국학(韓國學)는 한국에 관한 다양한 면의 분야에서 한국 고유의 것을 연구 계발하는 학문이.

새로운!!: 이광사와 한국학 · 더보기 »

한국학중앙연구원

본관 재단법인 한국학중앙연구원(韓國學中央硏究院,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은 한국 문화의 심층연구 및 교육 등을 통하여 한국학을 진행하기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의 연구 및 교육조직이.

새로운!!: 이광사와 한국학중앙연구원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이광사와 한성부 · 더보기 »

신지면

명사십리 해수욕장 신지면(新智面)은 전라남도 완도군 동쪽에 위치한 면이.

새로운!!: 이광사와 신지면 · 더보기 »

홍만용

홍만용(洪萬容, 1631년 ~ 169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풍산이.

새로운!!: 이광사와 홍만용 · 더보기 »

화도면

화도면(華道面)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면이.

새로운!!: 이광사와 화도면 · 더보기 »

1702년

170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02년 · 더보기 »

1705년

170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05년 · 더보기 »

1717년

171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17년 · 더보기 »

1719년

171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19년 · 더보기 »

1721년

172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21년 · 더보기 »

1724년

172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24년 · 더보기 »

1725년

172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25년 · 더보기 »

1727년

172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27년 · 더보기 »

1730년

173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30년 · 더보기 »

1731년

173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31년 · 더보기 »

1732년

173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32년 · 더보기 »

1733년

173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33년 · 더보기 »

1734년

173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34년 · 더보기 »

1736년

173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36년 · 더보기 »

1737년

173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37년 · 더보기 »

1741년

174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41년 · 더보기 »

1744년

174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44년 · 더보기 »

1747년

174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47년 · 더보기 »

1752년

1752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52년 · 더보기 »

1754년

175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54년 · 더보기 »

1755년

1755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55년 · 더보기 »

1756년

1756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56년 · 더보기 »

1757년

175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57년 · 더보기 »

1762년

176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62년 · 더보기 »

1763년

176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63년 · 더보기 »

1764년

1764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64년 · 더보기 »

1771년

177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71년 · 더보기 »

1773년

177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73년 · 더보기 »

1775년

177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75년 · 더보기 »

1777년

177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사와 1777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이광사 (1705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