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Play 스토어에서 Unionpedia 앱을 복원하기 위해 작업 중입니다
나가는들어오는
🌟더 나은 탐색을 위해 디자인을 단순화했습니다!
Instagram Facebook X LinkedIn

전 (불교)

색인 전 (불교)

전(纏)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목차

  1. 83 처지: 동요, 마음 (불교), 무명 (불교), 개 (불교), 박 (불교), 결 (불교), 경량부, 번뇌, 번뇌 분류법, 번뇌의 다른 이름, 법 (불교), 계 (번뇌), 계 (불교), , 불교 용어 목록/ㅎ, 불교 용어 목록/ㅈ, 불교 용어 목록/ㅂ, 불교 용어 목록/불, 불교 용어 목록/수, 불교 용어 목록/삼, 부정지법, 부정심소, 부파불교, 근 (번뇌), 근본번뇌, 대번뇌지법, 대불선지법, 대승불교, 대승아비달마잡집론, 대승아비달마집론, 대중부 불교, 대지도론, 대수번뇌심소, 누 (불교), 구 (번뇌), 구 (불교), 구애 (불교), 내적 공간, 득 (불교), 뇌 (불교), 용수, 폭류, 이장 (불교), 이와 사, 전 (번뇌), 전 (불교), 조림 (불교), 주올, 죄 (불교), 중생, ...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3 더) »

동요

작은 별. 동요(童謠)는 주로 어린이들이 부르는, 어린이들의 감정을 담은 노래이.

보다 전 (불교)와 동요

마음 (불교)

마음(心)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 등에 따르면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의 6식(六識)을 말.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 등에 따르면 6식에 제7식의 말나식과 제8식의 아뢰야식을 더한 8식(八識)을 말. 마음을 주체(主體) 또는 주관(主觀)의 뜻에서 심왕(心王)이라고도 하며, 집기(集起)의 뜻에서 심법(心法)이.

보다 전 (불교)와 마음 (불교)

무명 (불교)

무명(無明) 또는 치(癡,, moha, mūdha,,, delusion)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전 (불교)와 무명 (불교)

개 (불교)

(蓋)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전 (불교)와 개 (불교)

박 (불교)

박(縛)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전 (불교)와 박 (불교)

결 (불교)

(結,, bandhana)은 사(使) 등과 함께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이.

보다 전 (불교)와 결 (불교)

경량부

경량부(經量部,, 숫타바다)는 인도의 부파불교의 한 부파이.

보다 전 (불교)와 경량부

번뇌

번뇌(煩惱,, ,)는 그 본질적 성질이 부적정(不寂靜: 고요하지 않음)인 마음작용들을 말. 번뇌의 본질적인 작용은 번뇌가 일어나게 되면, 그 번뇌를 대치(對治)하지 않는 한, 그 자체의 본질적인 성질에 근거하여 그 번뇌가 일으키는 부적정한 영향력 즉 부적정한 업이 몸과 마음에 상속되어 전전(展轉)하게 하는 것이.

보다 전 (불교)와 번뇌

번뇌 분류법

불교의 번뇌 분류법은 한두 가지가 아니며 많은 분류법이 있. 가장 널리 쓰이는 대표적인 분류법으로 다음을 들 수 있.

보다 전 (불교)와 번뇌 분류법

번뇌의 다른 이름

번뇌(煩惱)는 그것의 특정한 의미 즉 특정 측면을 부각시켜 말하는 여러 다른 이름들 즉 번뇌의 동의어가 존재.

보다 전 (불교)와 번뇌의 다른 이름

법 (불교)

법(法)은 산스크리트어 다르마(Dharma)의 번역으로서, "지키는 것지지하는 것"이 원뜻이.

보다 전 (불교)와 법 (불교)

계 (번뇌)

(繫)는 계박(繫縛) 또는 계속(繫屬)이라고도 하며, 어떤 것에 얽히어 속박된다는 뜻이.

보다 전 (불교)와 계 (번뇌)

계 (불교)

불교에서 계(戒)는 덕, 바른 행동, 도덕, 도덕의 규율, 계율을 말하며, 그것을 위해 노력하는 것. 계는 정(定), 혜(慧)와 함께 삼학(三學)에 속하며, 바라밀의 두 번째 행인 지계(持戒)이.

보다 전 (불교)와 계 (불교)

300px 궤(櫃, chest)는 물건 수납을 위해 만든 상자형의 가구의 일종이.

보다 전 (불교)와 궤

불교 용어 목록/ㅎ

1.

보다 전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ㅎ

불교 용어 목록/ㅈ

자구(自具)는 자기 자신이 있을 수 있게 원인 또는 자기 자신이 자랄 수 있게 자량(資糧: 자재와 식량)이라는 뜻으로, 예를 들어, '번뇌의 자구(自具)'는 번뇌 자신이 있게 하는 원인 또는 번뇌 자신이 자랄 수 있게 하는 자량(資糧: 자재와 식량)을 말.

보다 전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ㅈ

불교 용어 목록/ㅂ

바깥은 내적인 것에 대해 외적인 것을 뜻. 예를 들어, 근(根)경(境)식(識)에서 가설적 존재로서의 나를 기준으로 할 때 근과 식은 내적인 것이며 경은 외적인 것이.

보다 전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ㅂ

불교 용어 목록/불

불가견무대(不可見無對)는 무견무대색의 다른 말이.

보다 전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불

불교 용어 목록/수

수(受)는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지법(大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 가운데 하나이.

보다 전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수

불교 용어 목록/삼

3계(三界)는 불교의 우주론 또는 세계관을 구성하는 존재계인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의 3가지 계(界)를 통칭하는 낱말이.

보다 전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삼

부정지법

부정지법(不定地法)은,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그룹의 6가지 세부 그룹인 대지법(大地法: 10가지)대선지법(大善地法: 10가지)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6가지)대불선지법(大不善地法: 2가지)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10가지)부정지법(不定地法: 8가지) 중의 하나이.

보다 전 (불교)와 부정지법

부정심소

부정심소(不定心所)는,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그룹의 6가지 세부 그룹인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별경심소(別境心所: 5가지)선심소(善心所: 11가지)번뇌심소(煩惱心所: 6가지)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부정심소(不定心所: 4가지) 중의 하나이.

보다 전 (불교)와 부정심소

부파불교

부파불교(部派佛敎)는 고타마 붓다가 반열반에 든 후 제자들 사이에 견해의 차이가 생겨 불멸후 100년 경에 보수적인 상좌부(上座部)와 진보적인 대중부(大衆部)로 분열되고, 이어서 이 두 부파(部派: 종파)로부터 여러 갈래의 분열이 일어나 불교가 여러 부파로 나뉘면서 전개되었던 시대의 불교이.

보다 전 (불교)와 부파불교

근 (번뇌)

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근(根)은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폭류(暴流)액(軛)취(取)계(繫)개(蓋)주올(株杌)구(垢)상해(常害)전(箭)소유(所有)근(根)악행(惡行)누(漏)궤(匱)소(燒)뇌(惱)유쟁(有諍)화(火)치연(熾然)조림(稠林)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

보다 전 (불교)와 근 (번뇌)

근본번뇌

본번뇌(根本煩惱)는 탐(貪)진(瞋)만(慢)무명(無明)견(見)의(疑)의 6가지 번뇌성의 마음작용들을 말. 이들 중 무명(無明)은 치(癡)라고도 하며, 견(見)은 모든 견해를 말하는 것이 아니며 악견(惡見) 즉 부정견(不正見), 즉 유신견변집견사견견취계금취의 5견(五見)을 말한다.

보다 전 (불교)와 근본번뇌

대번뇌지법

번뇌지법(大煩惱地法)은,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그룹의 6가지 세부 그룹인 대지법(大地法: 10가지)대선지법(大善地法: 10가지)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6가지)대불선지법(大不善地法: 2가지)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10가지)부정지법(不定地法: 8가지) 중의 하나이.

보다 전 (불교)와 대번뇌지법

대불선지법

불선지법(大不善地法)은,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그룹의 6가지 세부 그룹인 대지법(大地法: 10가지)대선지법(大善地法: 10가지)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6가지)대불선지법(大不善地法: 2가지)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10가지)부정지법(不定地法: 8가지) 중의 하나이.

보다 전 (불교)와 대불선지법

대승불교

승불교(大乘佛敎) 또는 마하야나()는 "대승(大乘)"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큰 탈것"(great vehicle) 또는 "뛰어난 탈 것"이라는 뜻이며, '탈 것'이란 '가르침'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가르침에 의해 사람들을 미혹의 세계로부터 깨달음의 세계로 실어간다는 것이.

보다 전 (불교)와 대승불교

대승아비달마잡집론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阿毗達磨雜集論)》()는 인도불교의 유식학(唯識學) 총 3기 중 제3기의 논사인 안혜(安慧: 475~555)가 제1기의 논사 무착(無着: 300?~390?)이 지은 《대승아비달마집론》과 무착의 제자이자 동생인 사자각(師子覺)이 지은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대한 주석서를 합하여 편찬한 유식학 논서이.

보다 전 (불교)와 대승아비달마잡집론

대승아비달마집론

《대승아비달마집론(大乘阿毗達磨集論)》()는 미륵보살과 함께 인도불교의 유식학(唯識學) 총 3기 중 제1기의 논사인 무착(無着: 300?~390?)이 지은 논서로, 당(唐)의 현장(玄奘: 602~664)의 한역본이 있. 총 7권 2분(分) 8품(品) 구성되어 있다.

보다 전 (불교)와 대승아비달마집론

대중부 불교

중부 불교(大衆部佛敎) 또는 마하상기카(Mahāsāṃghika)는 인도에서 성립된, 부파불교 시대의 종파이.

보다 전 (불교)와 대중부 불교

대지도론

《대지도론》(大智度論, K.0549, T.1509)은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의 주석서로 인도의 대승불교 승려인 용수(龍樹: 150?~250?)가 저술한 불교 논서 또는 주석서이.

보다 전 (불교)와 대지도론

대수번뇌심소

수번뇌심소(대隨煩惱心所: 8가지)는,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를 이루는 세 그룹인 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 10가지)중수번뇌심소(中隨煩惱心所: 2가지)대수번뇌심소(大隨煩惱心所: 8가지) 가운데 하나이.

보다 전 (불교)와 대수번뇌심소

누 (불교)

(漏) 또는 루(漏)는 번뇌를 뜻하며,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근본불교의 사상 > 무루,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단어의 처음에서 두음법칙에 의해 누로 발음되고 표기되며, 단어의 처음이 아닌 경우에는 루로 발음.

보다 전 (불교)와 누 (불교)

구 (번뇌)

(垢)는 번뇌의 다른 말이.

보다 전 (불교)와 구 (번뇌)

구 (불교)

불교 용어로서의 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

보다 전 (불교)와 구 (불교)

구애 (불교)

애(拘礙)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붙잡고(拘) 장애하다(礙)로,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들 가운데 하나이.

보다 전 (불교)와 구애 (불교)

내적 공간

적을 사용하여 정의한, 두 벡터 사이의 각도의 기하학적 해석 선형대수학과 함수해석학에서, 내적 공간(內積空間)은 두 벡터의 쌍에 스칼라를 대응시키는 일종의 함수가 주어진 벡터 공간이.

보다 전 (불교)와 내적 공간

득 (불교)

득(得,, prāpta)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전 (불교)와 득 (불교)

뇌 (불교)

(惱)는 변괴(變壞: 변하여 허물어짐) 또는 뇌괴(惱壞: 허물어짐에 괴로워하게 되는 것)의 뜻이 있는데, 이러한 뜻에서 뇌(惱)는 번뇌의 동의어로 사용.

보다 전 (불교)와 뇌 (불교)

용수

용수는 술이나 장 등을 거를 때 쓰는 둥글고 긴 통이.

보다 전 (불교)와 용수

폭류

폭류(暴流, 瀑流)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전 (불교)와 폭류

이장 (불교)

2장(二障,, dvidhā-dauṣṭhulya,,, two obstructions, two impediments)은 2애(二礙)라고도 하는데, 가로막아 앎성취 또는 발현을 방해한다는 장애(障礙)의 뜻에서 번뇌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

보다 전 (불교)와 이장 (불교)

이와 사

이(理)는 이치(理致: 사물의 정당한 조리,, logic)를 뜻하는데 현상의 사물(事物: 일과 물건, 세계의 구체적개별적 존재,, object, matter)을 뜻하는 사(事)에 상대되는 말로, 보통 둘을 함께 묶어서 이사(理事) 또는 사리(事理).

보다 전 (불교)와 이와 사

전 (번뇌)

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전(箭)은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폭류(暴流)액(軛)취(取)계(繫)개(蓋)주올(株杌)구(垢)상해(常害)전(箭)소유(所有)근(根)악행(惡行)누(漏)궤(匱)소(燒)뇌(惱)유쟁(有諍)화(火)치연(熾然)조림(稠林)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

보다 전 (불교)와 전 (번뇌)

전 (불교)

전(纏)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전 (불교)와 전 (불교)

조림 (불교)

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조림(稠林)은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폭류(暴流)액(軛)취(取)계(繫)개(蓋)주올(株杌)구(垢)상해(常害)전(箭)소유(所有)근(根)악행(惡行)누(漏)궤(匱)소(燒)뇌(惱)유쟁(有諍)화(火)치연(熾然)조림(稠林)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

보다 전 (불교)와 조림 (불교)

주올

주올(株杌)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전 (불교)와 주올

죄 (불교)

불교 용어로서의 죄(罪)는 도리(道理)에 반하는 행위, 계율을 어기는 행위, 또는 고의 과보를 불러올 악행을 말. 실천적인 측면에서, 죄(罪)는 모든 선사(善士) 즉 모든 아라한 또는 성현(聖賢)이 꾸짖고 싫어하는 법 또는 꾸짖을 만한 것으로서 그 과보 즉 그것이 가져 올 애호할 만하지 않은 결과를 두려워 해야 할 것으로 정의되는데, 전통적인 용어로 꾸짖고 싫어하는 법을 가염법(訶厭法)이라 하고, 꾸짖을 만한 것을 가가(可訶)라고 하며, 두려워 해야 할 것을 포외(怖畏).

보다 전 (불교)와 죄 (불교)

중생

중생(衆生)은 산스크리트어 사트바(sattva)의 번역어로 유정(有情)이.

보다 전 (불교)와 중생

중수번뇌심소

중수번뇌심소(中隨煩惱心所: 2가지)는,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를 이루는 세 그룹인 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 10가지)중수번뇌심소(中隨煩惱心所: 2가지)대수번뇌심소(大隨煩惱心所: 8가지) 가운데 하나이.

보다 전 (불교)와 중수번뇌심소

진 (불교)

(瞋,, dvesa,,, anger, repugnance)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전 (불교)와 진 (불교)

쯔보 시

보(치박)는 산둥 성의 중앙부에 위치한 지급시이.

보다 전 (불교)와 쯔보 시

청정

청정(淸淨,, viśuddha, pariśuddha,, visuddha, parisuddha)은 악행(惡行) 즉 그릇된 신업어업의업의 3업(三業)으로 인해 생긴 과실(過失)이나 번뇌(煩惱)를 멀리 떠난 것을 말. 징정(澄淨) 즉 맑고 깨끗함과 동의어이며, 반대말은 잡염(雜染)염오(染污) 또는 오염(污染)이.

보다 전 (불교)와 청정

취 (불교)

(取)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전 (불교)와 취 (불교)

치연

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치연(熾然)은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폭류(暴流)액(軛)취(取)계(繫)개(蓋)주올(株杌)구(垢)상해(常害)전(箭)소유(所有)근(根)악행(惡行)누(漏)궤(匱)소(燒)뇌(惱)유쟁(有諍)화(火)치연(熾然)조림(稠林)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

보다 전 (불교)와 치연

유가행파

유가행파(瑜伽行派) 또는 요가차라()는 4세기 인도의 무착스님이 만든 대승불교 종파이.

보다 전 (불교)와 유가행파

유가사지론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K.0570, T.1579)은 불교 전통에 따르면 미륵보살이 강설한 것을 무착이 기록하여 성립된 논서로, 유식유가행파의 근본 논서이.

보다 전 (불교)와 유가사지론

유쟁

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유쟁(有諍)은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폭류(暴流)액(軛)취(取)계(繫)개(蓋)주올(株杌)구(垢)상해(常害)전(箭)소유(所有)근(根)악행(惡行)누(漏)궤(匱)소(燒)뇌(惱)유쟁(有諍)화(火)치연(熾然)조림(稠林)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

보다 전 (불교)와 유쟁

상해 (불교)

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상해(常害)는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폭류(暴流)액(軛)취(取)계(繫)개(蓋)주올(株杌)구(垢)상해(常害)전(箭)소유(所有)근(根)악행(惡行)누(漏)궤(匱)소(燒)뇌(惱)유쟁(有諍)화(火)치연(熾然)조림(稠林)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

보다 전 (불교)와 상해 (불교)

(貪,,,, attachment) 또는 집착(執著) 즉 무언가에 들러붙어서 떠나지 못함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전 (불교)와 탐

수면 (마음작용)

수면(睡眠,,,, sleep, drowsiness) 또는 줄여서 면(眠)은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부정지법(不定地法: 8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의 부정심소(不定心所: 4가지) 가운데 하나이.

보다 전 (불교)와 수면 (마음작용)

수면 (불교)

수면(隨眠,,,, rgyas par 'gyur ba)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전 (불교)와 수면 (불교)

수번뇌

수번뇌(隨煩惱)는 수혹(隨惑)이라고도 하는데 세 가지 뜻이 있. 첫 번째는 근본번뇌(根本煩惱)를 따라 일어난 2차적인 번뇌라는 뜻으로, 이 경우의 수번뇌를 근본번뇌와 구분하여 지말번뇌(枝末煩惱) 또는 지말혹(枝末惑)이.

보다 전 (불교)와 수번뇌

열 (번뇌)

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과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에 따르면, 열(熱)은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폭류(瀑流)액(軶)취(取)계(繫)개(蓋)주올(柱杌)구(垢)소해(燒害)전(箭)소유(所有)악행(惡行)누(漏)궤(匱)열(熱)뇌(惱)쟁(諍)치연(熾然)조림(稠林)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

보다 전 (불교)와 열 (번뇌)

사마타

사마타(Samatha)는 고요함을 개발하는 불교의 명상법이.

보다 전 (불교)와 사마타

산란

산란(散亂) 또는 흩뜨림은 어떤 매질을 직선 경로로 통과하는 빛, 소리, 움직이는 입자 등의 복사(輻射)가 하나 이상의 국부적 불균일성에 의해 경로를 벗어나는 현상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물리적인 과정이.

보다 전 (불교)와 산란

삼박

3박(三縛)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전 (불교)와 삼박

설일체유부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는 부파불교 시대의 종파 또는 부파들 중에서 가장 유력한 부파이며, 부파불교의 사상적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부파이.

보다 전 (불교)와 설일체유부

소 (불교)

소(燒)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에는 '사르다, 불사르다, 불태우다'의 보다 일반적인 뜻 뿐만 아니라 '안달하다, 애태우다'의 뜻이 있는데, 궤핍(匱乏) 즉 결핍(缺乏) 또는 부족함의 뜻에서 소(燒)가 번뇌의 동의어로 사용.

보다 전 (불교)와 소 (불교)

소번뇌지법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은,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그룹의 6가지 세부 그룹인 대지법(大地法: 10가지)대선지법(大善地法: 10가지)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6가지)대불선지법(大不善地法: 2가지)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10가지)부정지법(不定地法: 8가지) 중의 하나이.

보다 전 (불교)와 소번뇌지법

소의

소의(所依)는 의존처(依存處)의지처(依止處)의지(依止)근거(根據) 또는 발동근거(發動根據)를 뜻. 능의(能依: 의지하는 자)의 반대이.

보다 전 (불교)와 소의

소유 (불교)

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소유(所有)는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폭류(暴流)액(軛)취(取)계(繫)개(蓋)주올(株杌)구(垢)상해(常害)전(箭)소유(所有)근(根)악행(惡行)누(漏)궤(匱)소(燒)뇌(惱)유쟁(有諍)화(火)치연(熾然)조림(稠林)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

보다 전 (불교)와 소유 (불교)

소수번뇌심소

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 10가지)는,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를 이루는 세 그룹인 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 10가지)중수번뇌심소(中隨煩惱心所: 2가지)대수번뇌심소(大隨煩惱心所: 8가지) 가운데 하나이.

보다 전 (불교)와 소수번뇌심소

액 (불교)

액(軛)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전 (불교)와 액 (불교)

아비달마구사론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은 4세기 인도의 세친 스님이 지은 불전이.

보다 전 (불교)와 아비달마구사론

아비달마품류족론

《아비달마품류족론》(阿毘達磨品類足論,, K.0949, T.1542) 약칭 《품류족론》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주요 아비달마 논서들 중의 하나로, 설일체유부의 논사인 세우(世友,: 1~2세기)가 저술한 논서이.

보다 전 (불교)와 아비달마품류족론

악작

악작(惡作,, kaukritya,,, worry) 또는 회(悔)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전 (불교)와 악작

악행

악행(惡行) 또는 나쁜 행위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악독(惡毒)한 행위', 즉 '마음이 흉악하고 독한 를 말하는데, 불교에서는 말과 행동과 뜻으로 지은 일체(一切)의 불선(不善)의 행위를 말. 즉, 일체의 불선의 3업(三業), 즉 일체의 불선의 신업(身業)어업(語業)의업(意業)을 말하며, 이들을 신악행(身惡行)어악행(語惡行)의악행(意惡行) 3악행(三惡行)이.

보다 전 (불교)와 악행

신 (불교)

신(身)의 기본적인 뜻은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의 kāya에 해당하는 몸 또는 신체이지만, 이외에도 여러 가지 뜻이 있.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의 kāya를 음역하여 가야(迦耶).

보다 전 (불교)와 신 (불교)

시라

시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전 (불교)와 시라

외적

선형대수학에서 외적(外積, outer product)이란 벡터의 텐서곱을 일컫는 말이.

보다 전 (불교)와 외적

화 (불교)

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화(火)는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폭류(暴流)액(軛)취(取)계(繫)개(蓋)주올(株杌)구(垢)상해(常害)전(箭)소유(所有)근(根)악행(惡行)누(漏)궤(匱)소(燒)뇌(惱)유쟁(有諍)화(火)치연(熾然)조림(稠林)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

보다 전 (불교)와 화 (불교)

또한 10전, 8전, 간전, 무괴전, 남부끄러움 없음의 얽매임, 들뜸의 얽매임, 인색함의 얽매임, 제 부끄러움 없음의 얽매임, 죄를 숨김의 얽매임, 잠의 얽매임, 열 가지 얽매임로 알려져 있다.

, 중수번뇌심소, 진 (불교), 쯔보 시, 청정, 취 (불교), 치연, 유가행파, 유가사지론, 유쟁, 상해 (불교), , 수면 (마음작용), 수면 (불교), 수번뇌, 열 (번뇌), 사마타, 산란, 삼박, 설일체유부, 소 (불교), 소번뇌지법, 소의, 소유 (불교), 소수번뇌심소, 액 (불교), 아비달마구사론, 아비달마품류족론, 악작, 악행, 신 (불교), 시라, 외적, 화 (불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