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정약용

색인 정약용

화성성역의궤에 실린 거중기 정약용(丁若鏞, 1762년 8월 5일(음력 6월 16일) ~ 1836년 4월 7일(음력 2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저술가·시인·철학자·과학자·공학자이다. 본관은 나주, 자는 미용(美庸), 호는 다산(茶山)·사암(俟菴)·탁옹(籜翁)·태수(苔叟)·자하도인(紫霞道人)·철마산인(鐵馬山人)·문암일인(門巖逸人), 당호는 여유당(與猶堂)이다.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181 처지: 능내리, 도르래, 로마 가톨릭교회, 로마 교황청, 맹자, 마현 다산마을, 목민심서, 문화방송,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2012년 영화), 박재정 (배우), 강진, 강진군, 강완숙, 거중기, 경기도, 경주 정씨, 벽파, 경상도, 경세유표, 곡산군, 과거제, 과학자, 공자, 복지 국가, 공학, 공학자, 광고, 광주군 (경기도), 광주시 (경기도), 권철신, 권상연, 규장각, 김명곤, 교리, 구르미 그린 달빛 (드라마), 남인, 남양주시, 나주 정씨 (丁), 노론, 논리, 승정원, 회혼시, 요한, 자 (이름), 자산어보, 장례, 편지, 포항시, 흠흠신서, 이가환, ..., 이벽, 이기론, 이승훈, 이승훈 (1756년), 이이, 이익, 이익 (1681년), 이진우 (배우), 이헌길, 이산, 이훈, 음력 2월 22일, 음력 5월, 음력 6월 16일, 음력 8월, 의령 남씨, 의학, 전라도, 정인보, 정전론, 정정혜, 정순왕후 (조선 영조), 정약전, 정약종, 정약현, 정하상, 정학유, 조국, 조선, 조선 정조, 조선의 과거 제도, 조선추리활극 정약용, 조세, 조안면, 주문모, 주자, 주희, 중국, 중농주의, 지하철, 창비, 철학자, 청풍 김씨, 천보근, 천연두, 치마, 유배, 유교, 유형원, 유소사, 유학, 윤두서, 윤지충, 윤치호, 윤선도, 생존권, 생원, 수원 화성, 영원한 제국, 호 (이름), 예문관, 예천군, 양반, 헌경왕후, 풍천 임씨, 풍산 홍씨, 사림파, 사간원, 사회주의, 사제, 사형, 성리학, 성균관, 성균관 스캔들, 세례명, 서양, 서산시, 송중기, 송창의, 소설 목민심서, 해남 윤씨, 한강, 한국, 한나라, 한성부, 한원진, 안내상, 암행어사, 아방강역고, 신유박해, 신해박해, 신학, 실학, 시 (문학), 시인, 홍문관, 홍국영, 홍탁, 홍역, 황사영, 황사영 백서, 화순군, KBS 2TV, OCN, 1629년, 1690년, 1762년, 1776년, 1783년, 1789년, 1791년, 1792년, 1794년, 1799년, 1800년, 1801년, 1818년, 1819년, 1836년, 1890년, 1994년, 2000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2년, 2016년, 4월 10일, 4월 7일, 8월 5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31 더) »

능내리

능내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정약용와 능내리 · 더보기 »

도르래

범선에 사용된 도르래 도르래는 홈패인 바퀴에 밧줄이나 사슬을 걸고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잡아당기는 기구이.

새로운!!: 정약용와 도르래 · 더보기 »

로마 가톨릭교회

마 가톨릭교회(), 천주교(天主敎) 또는 가톨릭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명의 신자를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기독교 교파이.

새로운!!: 정약용와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로마 교황청

마 교황청(~敎皇廳)은 기독교에서 성좌의 행정기관이며 교황과 더불어 로마 가톨릭교회 전체를 통솔하는 중앙통제기구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정약용와 로마 교황청 · 더보기 »

맹자

맹자(기원전 372년?~기원전 289년?)는 공자의 사상을 이어 발전시킨 유학자이.

새로운!!: 정약용와 맹자 · 더보기 »

마현 다산마을

정약용의 생가 여유당 마현 다산마을(馬峴 茶山~, 마재)은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위치한 관광지이.

새로운!!: 정약용와 마현 다산마을 · 더보기 »

목민심서

《목민심서》(牧民心書)는 1818년(순조 18년)에 정약용이 지방관을 비롯한 관리의 올바른 마음가짐 및 몸가짐에 대해 기록한 행정지침서로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권 16~29에 수록된 책이.

새로운!!: 정약용와 목민심서 · 더보기 »

문화방송

문화방송(文化放送)은 대한민국 수도권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공영방송사이.

새로운!!: 정약용와 문화방송 · 더보기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2012년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2012년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정약용와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2012년 영화) · 더보기 »

박재정 (배우)

박재정(1980년 6월 24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정약용와 박재정 (배우) · 더보기 »

강진

강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약용와 강진 · 더보기 »

강진군

강진군(康津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서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정약용와 강진군 · 더보기 »

강완숙

강완숙(姜完淑, 1760년 ~ 1801년 7월 2일(음력 5월 22일))은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한 천주교 순교자이.

새로운!!: 정약용와 강완숙 · 더보기 »

거중기

화성성역의궤에 실린 거중기 거중기(擧重器)는 수원 화성을 쌓을 때 쓰인 복합 도르래이.

새로운!!: 정약용와 거중기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정약용와 경기도 · 더보기 »

경주 정씨

경주 정씨(慶州 鄭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정약용와 경주 정씨 · 더보기 »

벽파

벽파(僻派)는 조선 정조 시기 정조의 탕평책을 반대한 세력이.

새로운!!: 정약용와 벽파 · 더보기 »

경상도

경상도 경상도(慶尙道)는 경상남도, 경상북도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영남 지방(嶺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정약용와 경상도 · 더보기 »

경세유표

경세유표 《경세유표》(經世遺表)는 국정(國政)에 관한 일체의 제도 법규의 개혁에 대해 논한 책으로, 정약용이 1808년(순조 8년) 유배지 강진군에서 짓기 시작하여 1817년(순조 17년) 집필을 끝. 처음에는 48권으로 지었으나 필사과정에서는 44권 15책으로 편집되었.

새로운!!: 정약용와 경세유표 · 더보기 »

곡산군

곡산군(谷山郡)은 황해북도의 군이.

새로운!!: 정약용와 곡산군 · 더보기 »

과거제

북송의 과거 과거(科擧)는 중국과 한국 등에서 시험을 치러서 관리를 뽑는 제도이.

새로운!!: 정약용와 과거제 · 더보기 »

과학자

학자(科學者, scientist)는 이론적 또는 물리적 실험을 하여 과학을 탐구하는 사람을 말. 과학 분야(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명과학)에서 일하는 사람을 모두 총칭할 수 있.

새로운!!: 정약용와 과학자 · 더보기 »

공자

공자() 또는 공부자(기원전 551년 ~ 기원전 479년)는 유교의 시조(始祖)인 고대 중국 춘추시대의 정치가사상가교육자이고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인도의 사상 > 불교 > 원시유교 > 공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노나라의 문신이자 작가이면서, 시인이.

새로운!!: 정약용와 공자 · 더보기 »

복지 국가

복지국가(福祉國家)는 국민의 공공복리와 행복의 증진을 주요한 기능으로 하는 국가를 말.

새로운!!: 정약용와 복지 국가 · 더보기 »

공학

공업화의 단초가 된 증기기관. 공학(工學)은 과학적, 경제학적, 사회적 원리와 실용적 지식을 활용하여 새로운 제품, 도구 등을 만드는 것 또는 만드는 것에 관한 학문이.

새로운!!: 정약용와 공학 · 더보기 »

공학자

미국의 공학자 키티 조이너. 1952년. 공학자(工學者)는 공학에 종사하는 사람을 의미하는데, 현실성, 규제, 안전, 비용에 의해 부과되는 제한을 고려하면서 목표와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도록 기계, 체계, 구조, 물질을 발명, 설계, 분석, 제작,실험(테스트)하는 사람을 말. "Science is knowledge based on our observed facts and tested truths arranged in an orderly system that can be validated and communicated to other people.

새로운!!: 정약용와 공학자 · 더보기 »

광고

광고(廣告)는 명시적인 광고주가 광고를 접하는 수용자의 태도를 변화시키려고 매체를 통해 일방적으로 의사전달을 하는 행위이.

새로운!!: 정약용와 광고 · 더보기 »

광주군 (경기도)

광주군(廣州郡)은 경기도 광주시의 2001년 3월까지의 행정구역이.

새로운!!: 정약용와 광주군 (경기도) · 더보기 »

광주시 (경기도)

광주시(廣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동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정약용와 광주시 (경기도) · 더보기 »

권철신

신(權哲身, 1736년 ~ 1801년)은 조선의 학자, 순교한 기독교인이.

새로운!!: 정약용와 권철신 · 더보기 »

권상연

상연(權尙然, 1751년 ~ 1791년 12월 8일)은 조선의 천주교 순교자이.

새로운!!: 정약용와 권상연 · 더보기 »

규장각

창덕궁 후원 부용지 주변에 세워진 규장각(2층 건물의 1층)과 서향각 규장각(奎章閣)은 조선 후기의 왕실 학문 연구 기관이자 왕실 도서관이.

새로운!!: 정약용와 규장각 · 더보기 »

김명곤

명곤(金明坤, 1952년 12월 3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 성우, 연극연출가이.

새로운!!: 정약용와 김명곤 · 더보기 »

교리

리(敎理, doctrina)는 체계화된 종교의 본질적인 가르침을 뜻. 대부분의 종교는 각자 독자적인 교리를 채택하고 있. 교리는 그 종교를 믿는 사람들에게 믿음의 근거와 가치 판단의 기준을 제공.

새로운!!: 정약용와 교리 · 더보기 »

구르미 그린 달빛 (드라마)

《구르미 그린 달빛》은 2016년 8월 22일부터 2016년 10월 18일까지 방영된 KBS2 월화 드라마이.

새로운!!: 정약용와 구르미 그린 달빛 (드라마) · 더보기 »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정약용와 남인 · 더보기 »

남양주시

양주시청 1청사(구 미금시청) 남양주시(南楊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중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정약용와 남양주시 · 더보기 »

나주 정씨 (丁)

주 정씨(羅州 丁氏)는 전라남도 나주시 및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정약용와 나주 정씨 (丁) · 더보기 »

노론

(老論)은 서인과 같이 성리학적 명분론을 신봉하였지만 숙종 때 서인에서 노론과 소론으로 나뉜 붕당으로 알려져 있. 서인에서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노론, 윤증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소론이 되었으며 숙종 이후 조선의 주요 집권 세력이었.

새로운!!: 정약용와 노론 · 더보기 »

논리

리는 다음을 의미.

새로운!!: 정약용와 논리 · 더보기 »

승정원

승정원(承政院)은 정삼품아문으로, 조선과 대한제국(승선원으로 개칭)에서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던 행정기관이.

새로운!!: 정약용와 승정원 · 더보기 »

회혼시

〈회근시〉(回巹詩)는 정약용이 지은 한시이.

새로운!!: 정약용와 회혼시 · 더보기 »

요한

요한은 유대교에서 기원한 이름이.

새로운!!: 정약용와 요한 · 더보기 »

자 (이름)

자(字)는 한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 일본에서 성년이 되는 관례 때 받는 이름인 관명과 함께 스스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짓는 새로운 이름을 말. 이는 이름이 부모가 주신 것으로서 부모님이나 스승, 왕(혹은 황제)외에는 함부로 부르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던 데에 기인.

새로운!!: 정약용와 자 (이름) · 더보기 »

자산어보

《자산어보》(玆山魚譜)는 정약전이 1801년(순조 원년) 천주교 박해사건인 신유박해 때 전라도 흑산도에 유배되어 1814년(순조 14년)까지 생활하면서 이 지역의 해상 생물에 대해서 분석하여 편찬한 해양생물학 서적이.

새로운!!: 정약용와 자산어보 · 더보기 »

장례

장례(葬禮)는 사람이 죽은 후 치러지는 의식이.

새로운!!: 정약용와 장례 · 더보기 »

편지

전형적인 편지와 편지봉투 편지(표준어 한자:片紙, 문화어 한자:便紙)는 상대방에게 소식이나 용무를 전하는 글을 말. 팩시밀리, 휴대 전화, 컴퓨터 등 디지털 기기의 발달로 상대방에게 소식이나 용무를 전하는 효율성이 높아졌.

새로운!!: 정약용와 편지 · 더보기 »

포항시

항시(浦項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해안에 있는 시이.

새로운!!: 정약용와 포항시 · 더보기 »

흠흠신서

흠흠신서(欽欽新書)는 다산 정약용이 1822년(순조 22년)에 저술한 책으로 30권 10책으로 구성되어 있. 조선 시대의 형법을 다룬 서적이.

새로운!!: 정약용와 흠흠신서 · 더보기 »

이가환

이가환(李家煥, 1742년 ∼ 1801년 4월 8일)은 조선 말기의 학자이자 천주교 순교자이.

새로운!!: 정약용와 이가환 · 더보기 »

이벽

이벽(李蘗, 1754년~1786년)은 조선 후기의 천주교 신자이.

새로운!!: 정약용와 이벽 · 더보기 »

이기론

이기론(理氣論)은 자연의 존재법칙을 연구하는 성리학의 이론이.

새로운!!: 정약용와 이기론 · 더보기 »

이승훈

이름이 이승훈인 사람으로는 다음이 있.

새로운!!: 정약용와 이승훈 · 더보기 »

이승훈 (1756년)

이승훈(李承薰, 1756년 ~ 1801년 4월 8일)은 조선 말기의 천주교 순교자이.

새로운!!: 정약용와 이승훈 (1756년)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정약용와 이이 · 더보기 »

이익

이익(利益)은 단순히 말해 수입에서 지출을 뺀 현금흐름(캐시 플로, cash flow)을 가리.

새로운!!: 정약용와 이익 · 더보기 »

이익 (1681년)

이익(李瀷, 1681년 10월 18일 ~ 1763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사상가, 철학자, 실학자, 역사가, 교육자로 조선 영조 때의 남인(南人) 실학자이.

새로운!!: 정약용와 이익 (1681년) · 더보기 »

이진우 (배우)

이진우(李珍雨, 1969년 1월 23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 겸 목회자이.

새로운!!: 정약용와 이진우 (배우) · 더보기 »

이헌길

이헌길(李獻吉, 생몰년 미상)은 조선 후기 영조 때의 의학자이.

새로운!!: 정약용와 이헌길 · 더보기 »

이산

이산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정약용와 이산 · 더보기 »

이훈

이훈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약용와 이훈 · 더보기 »

음력 2월 22일

음력 2월 22일은 음력 2월의 22번째 날이.

새로운!!: 정약용와 음력 2월 22일 · 더보기 »

음력 5월

음력 5월(陰曆五月)은 음력에서 다섯 번째 달이.

새로운!!: 정약용와 음력 5월 · 더보기 »

음력 6월 16일

음력 6월 16일은 음력 6월의 16번째 날이.

새로운!!: 정약용와 음력 6월 16일 · 더보기 »

음력 8월

음력 8월(陰曆八月)은 음력에서 여덟 번째 달이.

새로운!!: 정약용와 음력 8월 · 더보기 »

의령 남씨

의령 남씨(宜寧 南氏)는 경상남도 의령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정약용와 의령 남씨 · 더보기 »

의학

고대 그리스에서 치료의 신으로 숭배되었던 아스클레피오스 의학(醫學)은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조사하여 인체의 보건, 질병이나 상해의 치료 및 예방에 관한 방법과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정약용와 의학 · 더보기 »

전라도

전라도(全羅道)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남 지방(湖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정약용와 전라도 · 더보기 »

정인보

정인보(鄭寅普, 음력 1893년 5월 6일/양력 1893년 6월 19일 ~ 1950년 9월 7일)는 일제 강점기의 한학자·역사학자·작가이며, 대한민국의 언론인·정치인·작가이.

새로운!!: 정약용와 정인보 · 더보기 »

정전론

정전론(井田論)은 정약용이 경세유표에서 제기한 토지제도 개혁안의 하나이.

새로운!!: 정약용와 정전론 · 더보기 »

정정혜

정정혜(丁情惠, 1797년 ~ 1839년 12월 2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정약용와 정정혜 · 더보기 »

정순왕후 (조선 영조)

정순왕후 김씨(貞純王后, 1745년 12월 2일 ~ 1805년 2월 11일)는 조선의 21대왕인 영조(英祖)의 계비이.

새로운!!: 정약용와 정순왕후 (조선 영조) · 더보기 »

정약전

정약전(丁若銓, 1758년 4월 8일(음력 3월 1일)~1816년 6월 30일(음력 6월 6일))은 조선 영조에서 순조 연간에 살던 성리학자·생물학자이.

새로운!!: 정약용와 정약전 · 더보기 »

정약종

정약종(丁若鍾, 1760년 ~ 1801년 4월 8일)은 조선 정조 때의 학자이며, 천주교 순교자이.

새로운!!: 정약용와 정약종 · 더보기 »

정약현

정약현(丁若鉉, 1751년 ~ 1821년)은 조선 후기의 인물로, 자는 태현(太玄), 호는 부연(鬴淵)이며 본관은 나주이.

새로운!!: 정약용와 정약현 · 더보기 »

정하상

성 정하상 바오로(丁夏祥, 1795년 ~ 1839년 9월 22일)은 조선의 천주교 순교자, 평신도 신학자, 교회 지도자로 1801년 신유박해로 순교한 정약종의 아들이자 정약용의 조카이.

새로운!!: 정약용와 정하상 · 더보기 »

정학유

정학유(丁學游, 1786년 ~ 1855년)는 조선 후기의 문인으로서 정약용(丁若鏞)의 둘째 아들이.

새로운!!: 정약용와 정학유 · 더보기 »

조국

조국(祖國)은 한자 문화권에서 자신이 태어난 나라를 가리키는 말로, 조상 때부터 살아온 나라, 또는 국적이 속하여 있는 나라를 의미.

새로운!!: 정약용와 조국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정약용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새로운!!: 정약용와 조선 정조 · 더보기 »

조선의 과거 제도

이 문서는 조선 시대(朝鮮時代)의 과거 제도(科擧制度)를.

새로운!!: 정약용와 조선의 과거 제도 · 더보기 »

조선추리활극 정약용

《조선추리활극 정약용》은 OCN에서 2009년 11월 27일부터 2010년 1월 15일까지 방영된 드라마이.

새로운!!: 정약용와 조선추리활극 정약용 · 더보기 »

조세

조세(租稅) 또는 세금(稅金)은 국가 등의 정부기관이 특정한 목적의 달성 등을 위하여 국가의 생활비로서 개개인에게 소득 또는 행위에 대하여 징수하는 것이.

새로운!!: 정약용와 조세 · 더보기 »

조안면

조안면(鳥安面)은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의 면이.

새로운!!: 정약용와 조안면 · 더보기 »

주문모

주문모(1752년 ~ 1801년 5월 31일)사제는 조선에서 순교한 중국인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이.

새로운!!: 정약용와 주문모 · 더보기 »

주자

주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말한다.

새로운!!: 정약용와 주자 · 더보기 »

주희

주자 주희(朱熹, 1130년 ~ 1200년)는 중국 남송의 유학자로, 주자(朱子), 주부자(朱夫子), 주문공(朱文公) 송태사휘국문공(宋太師徽國文公)이라는 존칭이나 봉호로도 불린.

새로운!!: 정약용와 주희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정약용와 중국 · 더보기 »

중농주의

중농주의(重農主義)는 18세기 계몽주의 시대 프랑스에서 발생한 경제이론이.

새로운!!: 정약용와 중농주의 · 더보기 »

지하철

2호선 퍼플 라인 F선 런던 지하철 피카딜리 선 긴자 선 지하철(地下鐵) 또는 지하철도(地下鐵道)는 대부분의 노선이 지하공간에 있는 도시철도이.

새로운!!: 정약용와 지하철 · 더보기 »

창비

주식회사 창비는 대한민국의 출판사이.

새로운!!: 정약용와 창비 · 더보기 »

철학자

학.

새로운!!: 정약용와 철학자 · 더보기 »

청풍 김씨

청풍 김씨(淸風 金氏)는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을 본관을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정약용와 청풍 김씨 · 더보기 »

천보근

보근(2002년 8월 23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정약용와 천보근 · 더보기 »

천연두

연두(天然痘) 또는 두창(痘瘡), 마마(媽媽, smallpox)는 천연두바이러스(바리올라 마요르) 또는 작은마마바이러스(바리올라 미노르) 중 하나에 감염되면 발생하는 전염병이었.

새로운!!: 정약용와 천연두 · 더보기 »

치마

옷걸이에 걸려 있는 치마 ''The Evoltion of the skirt'', Harry Julius, 1916 치마는 허리에 걸쳐 엉덩이와 발 전체 또는 일부를 덮는 원뿔 또는 원통형의 옷의 종류를 말. 스커트()라고도 부른.

새로운!!: 정약용와 치마 · 더보기 »

유배

유배(流配)는 죄인을 먼 곳으로 추방하는 것을 말. 조선 시대에는 유형(流刑)이라 하여 3000~5000리 사이에서 거리에 차별을 두었.

새로운!!: 정약용와 유배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정약용와 유교 · 더보기 »

유형원

유형원(柳馨遠, 1622년 3월 2일(음력 1월 21일) ~ 1673년 5월 5일(음력 3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이.

새로운!!: 정약용와 유형원 · 더보기 »

유소사

유소사(柳召史, 1761년 ~ 1839년 11월 2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정약용와 유소사 · 더보기 »

유학

유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약용와 유학 · 더보기 »

윤두서

윤두서(尹斗緖, 1668년 6월 28일(음력 5월 20일) ∼ 1715년 12월 21일(음력 11월 26일))는 조선의 화가이.

새로운!!: 정약용와 윤두서 · 더보기 »

윤지충

윤지충(尹持忠, 1759년 ~ 1791년 12월 8일)은 조선 후기의 로마 가톨릭 교도이.

새로운!!: 정약용와 윤지충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정약용와 윤치호 · 더보기 »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새로운!!: 정약용와 윤선도 · 더보기 »

생존권

생존권(生存權)이란 생존, 즉 의식주처럼 생활에 필요한 모든 조건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를 요구·쟁취하는 권리를 말.

새로운!!: 정약용와 생존권 · 더보기 »

생원

생원(生員).

새로운!!: 정약용와 생원 · 더보기 »

수원 화성

화성의 지도 수원 화성(水原 華城)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와 장안구에 걸쳐 있는 길이 5.52킬로미터의 성곽이.

새로운!!: 정약용와 수원 화성 · 더보기 »

영원한 제국

《영원한 제국》은 1995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정약용와 영원한 제국 · 더보기 »

호 (이름)

호(號)는 유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에서 본명이나 자 이외에 따로 지어 부르는 이름으로, 사람의 별칭이나 필명 또는 별호(別號)나 아호(雅號) 등을 가리.

새로운!!: 정약용와 호 (이름) · 더보기 »

예문관

예문관(藝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정약용와 예문관 · 더보기 »

예천군

예천군(醴泉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서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정약용와 예천군 · 더보기 »

양반

양반 양반(兩班)은 조선 시대 최상급의 사회계급으로 사(士)·농(農)·공(工)·상(商) 중 사족(士族)에 해당.

새로운!!: 정약용와 양반 · 더보기 »

헌경왕후

경왕후 홍씨(獻敬王后 洪氏, 1735년 8월 6일(음력 6월 18일) ~ 1816년 1월 13일(1815년 음력 12월 15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왕세자빈, 추존왕비로, 대한제국의 추존황후이.

새로운!!: 정약용와 헌경왕후 · 더보기 »

풍천 임씨

풍천 임씨(豊川 任氏)는 황해도 풍천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정약용와 풍천 임씨 · 더보기 »

풍산 홍씨

풍산 홍씨(豊山 洪氏)는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정약용와 풍산 홍씨 · 더보기 »

사림파

사림파(士林派) 또는 사림(士林)은 전원의 산림(山林)에서 유학을 공부하던 문인·학자로서 15세기 이후 조선 중기 중앙 정계를 주도한 정치집단이.

새로운!!: 정약용와 사림파 · 더보기 »

사간원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

새로운!!: 정약용와 사간원 · 더보기 »

사회주의

사회주의(社會主義, Socialism)는 생산 수단의 사적 소유와 소수 관리에 반대하고 공동체주의와 최대 다수의 행복 실현을 최고 가치로 하는 공동 이익 인간관 을 사회 또는 윤리관의 기반으로 삼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며 생산수단을 공동으로 운영하는 협동 경제와 모든 민중이 노동의 대가로서 정당하고 평등하게 분배받는 사회를 지향하는 다양한 사상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며, 또는 그 과정을 의미.

새로운!!: 정약용와 사회주의 · 더보기 »

사제

신부(神父) 또는 사제(司祭)는 흔히 로마 카톨릭교회의 성직자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정약용와 사제 · 더보기 »

사형

Cesare Beccaria, ''Dei delitti e delle pene'' 사형(死刑)은 사람의 생명을 박탈하는 형벌로, 생명형(生命刑) 또는 극형(極刑)이.

새로운!!: 정약용와 사형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정약용와 성리학 · 더보기 »

성균관

성균관(成均館)은 한국의 옛 대학(大學)으로 그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 국학(國學)을 성균관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

새로운!!: 정약용와 성균관 · 더보기 »

성균관 스캔들

《성균관 스캔들》은 2010년 8월 30일부터 2010년 11월 2일까지 KBS 2TV에서 방송된 월화드라마.

새로운!!: 정약용와 성균관 스캔들 · 더보기 »

세례명

세례명(洗禮名, Christian name, baptismal name)은 기독교에서 세례성사를 집전하면서 주어지는 이름이.

새로운!!: 정약용와 세례명 · 더보기 »

서양

서양(西洋)은 대체로 유럽과 북아메리카 등의 영미 문화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정약용와 서양 · 더보기 »

서산시

서산시(瑞山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북부 태안반도에 있는 시이.

새로운!!: 정약용와 서산시 · 더보기 »

송중기

송중기(宋仲基, 1985년 9월 19일 ~)는 대한민국의 남성 배우이.

새로운!!: 정약용와 송중기 · 더보기 »

송창의

송창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약용와 송창의 · 더보기 »

소설 목민심서

《소설 목민심서》는 KBS 2TV에서 2000년 5월 1일부터 2000년 10월 12일까지 방영된 드라마인데 소설가와 정약용을 이진우가 1인 2역으로 연기하면서 생긴 혼란이 컸던 것과 드라마를 너무 의식한 기법이 드라마의 흐름을 끊었다는 지적이 있었.

새로운!!: 정약용와 소설 목민심서 · 더보기 »

해남 윤씨

윤씨(海南 尹氏)는 전라남도 해남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정약용와 해남 윤씨 · 더보기 »

한강

강(漢江)은 대한민국 강원도 태백시에서 시작하여 한반도 중부를 동에서 서로 관통해 경기도 김포시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개풍군의 경계에서 황해로 유입되는 한국의 주요 하천이.

새로운!!: 정약용와 한강 · 더보기 »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정약용와 한국 · 더보기 »

한나라

(漢, 기원전 206년 ~ 220년)은 진 이후의 중국의 통일 왕조로서 후에 삼국으로 갈라졌다(220년 ~ 280년).

새로운!!: 정약용와 한나라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정약용와 한성부 · 더보기 »

한원진

원진의 초상화 한원진(韓元震, 1682년 ~ 1751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성리학자, 철학자이.

새로운!!: 정약용와 한원진 · 더보기 »

안내상

안내상(安內相, 1964년 12월 25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정약용와 안내상 · 더보기 »

암행어사

암행어사는 조선 시대에 지방에 파견되어 지방관의 감찰과 백성의 사정을 조사하는 일을 비밀리에 수행했던 국왕 직속의 임시 관리로 부사의 일종이.

새로운!!: 정약용와 암행어사 · 더보기 »

아방강역고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는 조선 순조(純祖) 때의 실학자인 정약용이 저술한 한국의 역대 강역에 대한 연구서이.

새로운!!: 정약용와 아방강역고 · 더보기 »

신유박해

신유박해(辛酉迫害)는 1801년(순조 1년)에 발생한 조선의 가톨릭 박해 사건이.

새로운!!: 정약용와 신유박해 · 더보기 »

신해박해

신해박해(辛亥迫害)는 1791년(신해년, 정조 15년) 조선 최초의 가톨릭에 대한 박해 사건이.

새로운!!: 정약용와 신해박해 · 더보기 »

신학

신학(神學)은 전통적으로 하나님(신, The Divine, The God) 그 자체를 정경이나 이성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연구하거나 신과 관련된 교리와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정약용와 신학 · 더보기 »

실학

실학(實學)은 17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걸쳐 대두된 일련의 현실개혁적 조선 유학의 학풍을 말. 한편 실학에 반해 기존의 유학을 “성명의리지학”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정약용와 실학 · 더보기 »

시 (문학)

시(詩, poetry)란 마음 속에 떠오르는 느낌을 운율이 있는 언어로 압축하여 표현한 글이.

새로운!!: 정약용와 시 (문학) · 더보기 »

시인

시인(詩人)은 시 를 전문적으로 짓는 사람을 말. 원로 시인, 여성 시인, 낭만파 시인, sns 시인 등이 있.최근 인터넷 및 SNS가 발달함에 따라 온라인 상으로 창작시를 발표하는 사례가 늘고있.

새로운!!: 정약용와 시인 · 더보기 »

홍문관

홍문관(弘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정약용와 홍문관 · 더보기 »

홍국영

홍국영(洪國榮, 1748년 ~ 1781년 4월 28일(음력 4월 5일))은 조선 영조,정조대의 세도 정.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덕로(德老)이.

새로운!!: 정약용와 홍국영 · 더보기 »

홍탁

홍탁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약용와 홍탁 · 더보기 »

홍역

홍역(紅疫, measles)은 파라믹소바이러스(paramixovirus)과에 속하는 홍역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전염성이 매우 높은 질환이.

새로운!!: 정약용와 홍역 · 더보기 »

황사영

황사영(黃嗣永, 1775년 ~ 1801년 12월 10일)은 조선의 천주교 순교자.

새로운!!: 정약용와 황사영 · 더보기 »

황사영 백서

황사영 백서(黃嗣永帛書)는 조선에서, 1801년(순조 1년) 신유박해 때 천주교 신자(信者) 황사영이 중국 로마 가톨릭교회 북경 교구의 주교에게 혹독한 박해를 받는 조선교회의 전말보고와 그 대책을 흰 비단에 적은 밀서(密書)이.

새로운!!: 정약용와 황사영 백서 · 더보기 »

화순군

화순군(和順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중앙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정약용와 화순군 · 더보기 »

KBS 2TV

KBS 2TV(정식명칭: KBS 제2텔레비전)는 한국방송공사에서 운영·방송되는 텔레비전 채널로서 KBS 1TV와 달리 엔터테인먼트·드라마·어린이 프로그램 등을 주로 방송.

새로운!!: 정약용와 KBS 2TV · 더보기 »

OCN

OCN은 다음과 같은 뜻으로 쓰인.

새로운!!: 정약용와 OCN · 더보기 »

1629년

1629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약용와 1629년 · 더보기 »

1690년

169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약용와 1690년 · 더보기 »

1762년

176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약용와 1762년 · 더보기 »

1776년

177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정약용와 1776년 · 더보기 »

1783년

178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약용와 1783년 · 더보기 »

1789년

178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약용와 1789년 · 더보기 »

1791년

179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약용와 1791년 · 더보기 »

1792년

179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정약용와 1792년 · 더보기 »

1794년

179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약용와 1794년 · 더보기 »

1799년

179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약용와 1799년 · 더보기 »

1800년

180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약용와 1800년 · 더보기 »

1801년

180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약용와 1801년 · 더보기 »

1818년

181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약용와 1818년 · 더보기 »

1819년

181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약용와 1819년 · 더보기 »

1836년

183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정약용와 1836년 · 더보기 »

1890년

189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약용와 1890년 · 더보기 »

1994년

199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약용와 1994년 · 더보기 »

2000년

200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세기와 제2천년기의 마지막 해이.

새로운!!: 정약용와 2000년 · 더보기 »

2007년

20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약용와 2007년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정약용와 2008년 · 더보기 »

2009년

20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약용와 2009년 · 더보기 »

2010년

201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약용와 2010년 · 더보기 »

2012년

201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02년 이후 10년만에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정약용와 2012년 · 더보기 »

2016년

201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정약용와 2016년 · 더보기 »

4월 10일

4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0번째(윤년일 경우 10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약용와 4월 10일 · 더보기 »

4월 7일

4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7번째(윤년일 경우 9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약용와 4월 7일 · 더보기 »

8월 5일

8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7번째(윤년일 경우 21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약용와 8월 5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다산, 다산 정약용, 정미용, 정다산, 여유당, 여유당 정약용.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