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익 (1681년)

색인 이익 (1681년)

이익(李瀷, 1681년 10월 18일 ~ 1763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사상가, 철학자, 실학자, 역사가, 교육자로 조선 영조 때의 남인(南人) 실학자이.

167 처지: 동사강목, 로마 가톨릭교회, 마한, 마테오 리치, 무고의 옥, 백과사전, 발해, 반기독교주의, 갑술환국, 박규수, 박제가, 박지원, 강세황, 경기도, 경향신문, 경신환국, 고구려, 과거제, 병자호란, 병조, 변한, 광주군 (경기도), 북인, 권일신, 권철신, 불교, 붕당, 부여, 기독교, 기자조선, 기사환국, 김종수 (1728년), 김석주, 대사헌, 대한제국 고종, 남인, 노론, 단군조선, 우의정, 운산군, 장길산, 장현광, 임꺽정, 임진왜란, 평안도, 흥선대원군, 희빈 장씨, 이덕무, 이맹휴, 이명진, ..., 이가환, 이벽, 이담명, 이용휴, 이승훈, 이잠, 이이, 이인좌의 난, 이익, 이조, 이중환, 이상의, 이현일, 이서우 (1633년), 이원진, 이황, 인조반정, 일동 (안산시), 의정부, 의학, 전우치, 정랑, 정도전, 정묘호란, 정구, 정구 (1543년), 정전제, 정유재란, 정약용, 정약종, 조광조, 조선, 조선 광해군, 조선 정조, 조선 숙종, 조선 영조, 조선 성종, 조식 (1501년), 좌찬성, 주자, 중국, 중농주의, 중인, 중상주의, 진한, 지리학, 채제공, 청나라, 천문학, 천주실의, 추증, 칠거지악, 유발, 유교, 유득공, 유흠, 유수원, 유형원, 윤동규, 윤휴, 윤선도, 수학, 오시수, 예조, 예송, 현감, 여주 이씨, 역사, 허목, 선공감, 성리학, 성호사설, 서경덕, 서인, 서학, 한국의 역사, 한성부, 안정복, 안산군, 안산시, 신라, 신후담, 실학, 홍길동, 홍우원, 왕세손, 10월 13일, 10월 18일, 11월, 12월 17일, 1624년, 1680년, 1681년, 1689년, 1694년, 1699년, 1704년, 1705년, 1706년, 1709년, 1710년, 1713년, 1715년, 1720년, 1720년대, 1727년, 1728년, 1729년, 1751년, 1760년, 1763년, 1772년, 1801년, 1967년, 1977년, 5월, 9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17 더) »

동사강목

《동사강목》(東史綱目)은, 조선의 학자 안정복(安鼎福)이 저술한 강목체(綱目體) · 편년체(編年體) 역사서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동사강목 · 더보기 »

로마 가톨릭교회

마 가톨릭교회(), 천주교(天主敎) 또는 가톨릭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명의 신자를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기독교 교파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마한

마한(馬韓)은 고대 한민족의 54개 부족국가 연맹체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마한 · 더보기 »

마테오 리치

마테오 리치(1552년 10월 6일 ~ 1610년 5월 11일)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사제이자,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대륙에 기독교 신앙을 정착시킨 이탈리아 출신 예수회 선교사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마테오 리치 · 더보기 »

무고의 옥

무고의 옥(巫蠱-獄) 또는 신사옥사, 신사환국은 1701년(숙종 27) 희빈 장씨가 취선당에서 인현왕후를 저주했다고 알려진 사건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무고의 옥 · 더보기 »

백과사전

브로크하우스 백과사전 백과사전(百科事典)은 학문, 기술, 예술 등 자연과 인간의 모든 활동에 관한 다방면의 지식을 수집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백과사전 · 더보기 »

발해

발해(渤海, 698년 ~ 926년)는 고구려 멸망 이후 고구려를 계승하여 대조영이 건국한 국가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발해 · 더보기 »

반기독교주의

반기독교주의(反基督敎主義, 반기독교) 또는 안티기독교, 반기독교 등은 기독교의 이념이나 신도들의 행동에 반대하는 종교적, 사회적 현상을 말. 반가톨릭주의도 이에 포함될 수 있지만, 비기독교인 뿐만 아니라 가톨릭교회를 특이적으로 반대하는 종파의 기독교인도 포함되므로 어느정도 개념적인 차이가 있.

새로운!!: 이익 (1681년)와 반기독교주의 · 더보기 »

갑술환국

갑술환국(甲戌換局)은 1694년(숙종 20년) 4월 1일에 발생한 숙종 시대의 3차 환국으로, 기사환국이 발생한 1689년 2월 2일 이후로 정권을 집권해온 남인이 몰락하고, 기사환국 때 몰락했던 서인(노론·소론)이 재집권한 사건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갑술환국 · 더보기 »

박규수

박규수(朴珪壽, 1807년 10월 27일 ~ 1877년 2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박규수 · 더보기 »

박제가

박제가 박제가(朴齊家, 1750년 11월 5일 ~ 1815년 4월 25일)는 조선 후기의 정치가, 외교관, 통역관, 실학자로 북학파의 거두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박제가 · 더보기 »

박지원

박지원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이익 (1681년)와 박지원 · 더보기 »

강세황

강세황(姜世晃, 음력 1713년 7월 13일(윤5월 21일정원용, 『경산집』 권19, 한성부 판윤 강공 시장) ~ 1791년 1월 25일(음력 1월 23일))은 조선의 문신, 서화가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강세황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경기도 · 더보기 »

경향신문

1982년의 경향신문사 건물.당시 문화방송과 공동으로 사용하였다. 《경향신문》(京鄕新聞)은 대한민국에서 발매하는 일간 조간 신문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경향신문 · 더보기 »

경신환국

경신환국(庚申換局)은 1680년(숙종 6년) 남인 일파가 정치적으로 대거 실각한 일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경신환국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고구려 · 더보기 »

과거제

북송의 과거 과거(科擧)는 중국과 한국 등에서 시험을 치러서 관리를 뽑는 제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과거제 · 더보기 »

병자호란

병자호란(丙子胡亂)은 1636년 12월 28일(음력 12월 2일)부터 1637년 2월 24일(음력 1월 30일)까지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병자호란 · 더보기 »

병조

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병조 · 더보기 »

변한

3세기 초 변한 변한(弁韓), 또는 변진(弁辰)은 한반도 남부에 있던 삼한의 하나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변한 · 더보기 »

광주군 (경기도)

광주군(廣州郡)은 경기도 광주시의 2001년 3월까지의 행정구역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광주군 (경기도) · 더보기 »

북인

북인(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이익 (1681년)와 북인 · 더보기 »

권일신

일신(權日身, ?~1791)은 조선의 천주교 지도자로서, 호는 이암(移庵), 세례명은 프란시스 자비에르(Francis Xavier)이며, 순암(順菴) 안정복의 사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권일신 · 더보기 »

권철신

신(權哲身, 1736년 ~ 1801년)은 조선의 학자, 순교한 기독교인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권철신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불교 · 더보기 »

붕당

붕당(朋黨)은 조선 중기 이후 특정한 학문적·정치적 입장을 공유하는 양반들이 모여 구성한 정치 집단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붕당 · 더보기 »

부여

부여(扶餘, 기원전 2세기 ~ 494년)는 한민족의 고대국가로 여겨지는 초기 국가(연맹 왕국)들 중 하나로, 지금의 쑹화강 유역을 중심으로 지금의 만주 일대(하얼빈, 아청, 위수, 눙안, 창춘, 솽양, 지린, 옌지, 훈춘, 치치하얼, 룽장)를 지배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 고구려에 의해 부여는 병합되었.

새로운!!: 이익 (1681년)와 부여 · 더보기 »

기독교

독교(基督敎)From Ancient Greek Khristós (Latinized as Christus), translating Hebrew מָשִׁיחַ, Māšîăḥ, meaning "the anointed one", with the Latin suffixes -ian and -itas.

새로운!!: 이익 (1681년)와 기독교 · 더보기 »

기자조선

자조선(箕子朝鮮)은 고조선의 왕조 중 하나인 고대 국가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기자조선 · 더보기 »

기사환국

사환국(己巳換局)은 조선 숙종 15년(1689년) 때 소의(昭儀) 장씨 소생의 아들 윤(昀)을 원자로 삼으려는 숙종에 반대한 송시열 등 서인이 이를 지지한 남인에게 패배하고, 정권이 서인에서 남인으로 바뀐 일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기사환국 · 더보기 »

김종수 (1728년)

종수(金鍾秀, 1728년 ~ 1799년 1월 7일)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김종수 (1728년) · 더보기 »

김석주

석주(金錫冑, 1634년 ~ 1684년 9월 20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외척, 권신, 작가이자 비상한 머리와 수완을 지닌 책사로서, 당시 명성왕후 김씨를 도와 정국을 주. 경신대출척이 그의 작품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김석주 · 더보기 »

대사헌

사헌(大司憲)은 도헌(都憲) 또는 대헌(大憲)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대사헌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이익 (1681년)와 남인 · 더보기 »

노론

(老論)은 서인과 같이 성리학적 명분론을 신봉하였지만 숙종 때 서인에서 노론과 소론으로 나뉜 붕당으로 알려져 있. 서인에서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노론, 윤증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소론이 되었으며 숙종 이후 조선의 주요 집권 세력이었.

새로운!!: 이익 (1681년)와 노론 · 더보기 »

단군조선

조선(檀君朝鮮)은 한민족 최초의 국가로 전해지는데, 그 개국 기원에 대해서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기록인 《삼국유사》에서 인용된 《위서》(魏書)에는 단군 왕검이 아사달에 개국한 국가로 기록되어 있. 일반적으로 고조선의 역사를 왕조 또는 지배자에 따라 구분하여 단군이 다스렸던 첫 번째 시기를 지칭.

새로운!!: 이익 (1681년)와 단군조선 · 더보기 »

우의정

우의정(右議政)은 의정부 3의정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우의정 · 더보기 »

운산군

운산군(雲山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동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운산군 · 더보기 »

장길산

장길산(張吉山, ?~?)은 조선 숙종 때의 도적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장길산 · 더보기 »

장현광

여헌 장현광 영정 (18세기 이모본) 여헌 장현광 영정 (1633년작) 장현광(張顯光, 1554년 ~ 1637년 9월 7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학자, 문신, 정치인, 철학자, 작가, 시인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장현광 · 더보기 »

임꺽정

임꺽정(林巪正, 1504년 ~ 1562년 음력 1월 3일)은 조선 명종 때의 황해도 지방의 백정 출신 도적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임꺽정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임진왜란 · 더보기 »

평안도

조선후기 평안도 평안도(平安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평안도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희빈 장씨

희빈 장씨(禧嬪 張氏, 1659년 11월 3일 (음력 9월 19일) ~ 1701년 11월 7일 (음력 10월 8일)), 장희빈(張禧嬪) 또는 옥산부대빈 장씨(玉山府大嬪 張氏)는 조선의 제19대 왕 숙종의 빈(嬪)으로, 제20대 왕 경종(景宗)의 어머니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희빈 장씨 · 더보기 »

이덕무

이덕무(李德懋, 1741년 6월 11일 ~ 1793년 1월 25일)은 조선 후기의 북학파 실학자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이덕무 · 더보기 »

이맹휴

이맹휴(李孟休, 1713년~1750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이맹휴 · 더보기 »

이명진

이명진(1974년 4월 12일 ~)은 대한민국의 만화가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이명진 · 더보기 »

이가환

이가환(李家煥, 1742년 ∼ 1801년 4월 8일)은 조선 말기의 학자이자 천주교 순교자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이가환 · 더보기 »

이벽

이벽(李蘗, 1754년~1786년)은 조선 후기의 천주교 신자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이벽 · 더보기 »

이담명

이담명(李聃命, 1646년 ~ 1701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 성리학자, 실학자이자 시인이며 청백리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이담명 · 더보기 »

이용휴

이용휴(李用休, 1708년 ∼ 1782년)는 조선 후기의 문인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이용휴 · 더보기 »

이승훈

이름이 이승훈인 사람으로는 다음이 있.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이승훈 · 더보기 »

이잠

이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이잠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이이 · 더보기 »

이인좌의 난

이인좌의 난(李麟佐亂)은 조선 영조(英祖) 4년(1728년) 소론 강경파와 남인 일부가 경종의 죽음에 영조와 노론이 관계되었다고 주장하면서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이인좌의 난 · 더보기 »

이익

이익(利益)은 단순히 말해 수입에서 지출을 뺀 현금흐름(캐시 플로, cash flow)을 가리.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이익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이조 · 더보기 »

이중환

이중환(李重煥, 1691년 1월 23일(음력 1690년 12월 25일)~1756년 2월 1일(음력 1월 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 사상가, 철학자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이중환 · 더보기 »

이상의

이상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이상의 · 더보기 »

이현일

이현일(李玄逸, 1627년 1월 11일 - 1704년 10월 3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남인 중신 문신, 정치인, 유학자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이현일 · 더보기 »

이서우 (1633년)

이서우(李瑞雨, 1633년 3월 1일 ~ 1709년 10월 14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 시인, 작가, 서예가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이서우 (1633년) · 더보기 »

이원진

이원진(李元鎭, 1594년 ~ 1665년)은 조선의 문신(文臣)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이원진 · 더보기 »

이황

이황(李滉, 1502년 1월 3일(1501년 음력 11월 25일) ~ 1571년 1월 3일(1570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이언적, 이이, 송시열, 박세채, 김집과 함께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한 사람이다. 이언적의 사상을 이어받아 영남학파의 중추적 학자가 되었으며 나아가 한국을 대표하는 성리학자가 되었다. 학맥은 동서 분당 뒤에 동인의 핵심을 이루고, 다시 동인이 남인-북인으로 갈릴 때, 이황 제자들은 남인, 조식 제자들은 북인을 이룬다. 한편 그의 저술 중 일부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약탈해갔는데, 일본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이황 · 더보기 »

인조반정

인조반정(仁祖反正)은 1623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 서인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을 몰아내고 능양군 이종을 옹립한 사건을 말.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인조반정 · 더보기 »

일동 (안산시)

일동(一洞)은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에 위치한 동(洞)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일동 (안산시)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의정부 · 더보기 »

의학

고대 그리스에서 치료의 신으로 숭배되었던 아스클레피오스 의학(醫學)은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조사하여 인체의 보건, 질병이나 상해의 치료 및 예방에 관한 방법과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의학 · 더보기 »

전우치

전우치(田禹治, 14??년 ~ 15??년)는 조선시대 중기의 기인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전우치 · 더보기 »

정랑

정랑(正郞)은 조선시대 육조의 정오품(正五品) 관직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정랑 · 더보기 »

정도전

정도전(鄭道傳, 1342년~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유학자, 혁명가(革命家)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정도전 · 더보기 »

정묘호란

정묘호란(丁卯胡亂)은 1627년(인조 5년)에 후금이 침입해 일어난 전쟁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정묘호란 · 더보기 »

정구

정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정구 · 더보기 »

정구 (1543년)

정구(鄭逑, 1543년 7월 9일 ~ 1620년 1월 5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철학자, 역사학자, 작가, 서예가, 의학자이자 임진왜란기의 의병장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정구 (1543년) · 더보기 »

정전제

정전제(丁田制)는 722년(신라 성덕왕 21)에 시작된 신라의 토지제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정전제 · 더보기 »

정유재란

정유재란(丁酉再亂)은 1597년 8월 도요토미 정권 일본군이 임진왜란의 정전회담이 결렬됨에 따라 재차 조선을 침공하여 이듬해인 1598년 12월까지 지속된 전쟁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정유재란 · 더보기 »

정약용

화성성역의궤에 실린 거중기 정약용(丁若鏞, 1762년 8월 5일(음력 6월 16일) ~ 1836년 4월 7일(음력 2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저술가·시인·철학자·과학자·공학자이다. 본관은 나주, 자는 미용(美庸), 호는 다산(茶山)·사암(俟菴)·탁옹(籜翁)·태수(苔叟)·자하도인(紫霞道人)·철마산인(鐵馬山人)·문암일인(門巖逸人), 당호는 여유당(與猶堂)이다.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정약용 · 더보기 »

정약종

정약종(丁若鍾, 1760년 ~ 1801년 4월 8일)은 조선 정조 때의 학자이며, 천주교 순교자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정약종 · 더보기 »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조광조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광해군

광해군(光海君, 1575년 6월 4일 (음력 4월 26일) ~ 1641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조선 광해군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조선 정조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조선 영조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조식 (1501년)

조식(曺植, 1501년 7월 10일(음력 6월 26일) ~ 1572년 2월 21일(음력 2월 8일))은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이고 영남학파의 거두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조식 (1501년) · 더보기 »

좌찬성

좌찬성(左贊成)은 의정부 2찬성 가운데 하나로 종1품에 해당되는 조선조 의정부의 관직이었.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좌찬성 · 더보기 »

주자

주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말한다.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주자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중국 · 더보기 »

중농주의

중농주의(重農主義)는 18세기 계몽주의 시대 프랑스에서 발생한 경제이론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중농주의 · 더보기 »

중인

중인(中人)은 조선 시대에 양반과 양인 사이에 있던 신분계층의 하나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중인 · 더보기 »

중상주의

중상주의 정책의 절정기였던 1638년 프랑스의 항구 풍경 중상주의(重商主義)는 세계 경제와 무역의 총량이 불변이라는 가정 아래 자본의 공급에 의해 국가가 번영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경제 이론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중상주의 · 더보기 »

진한

(辰韓)은 한반도 남부에 있던 삼한(三韓)의 하나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진한 · 더보기 »

지리학

세계의 지형도 지리학(地理學)은 지표 상에서 일어나는 자연 및 인문 현상을 지역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지리학 · 더보기 »

채제공

제공(蔡濟恭, 1720년 ~ 179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채제공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청나라 · 더보기 »

천문학

불규칙은하인 대마젤란 은하의 별 생성영역. 초신성 잔해의 하나인 게 성운 천문학(天文學)은 별이나 행성, 혜성, 은하와 같은 천체와, 지구 대기의 바깥쪽으로부터 비롯된 현상(예를 들면,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천문학 · 더보기 »

천주실의

《천주실의》(天主實義) 또는 《천주실록》(天主實錄)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의를 변증한 기독교 변증서이며, 예수회 선교사 마테오 리치가 출간하였.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천주실의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추증 · 더보기 »

칠거지악

악(七去之惡)은 중국, 한국 등 유교문화권에서 남편의 일방적인 의사표시로 아내와 이혼할 수 있는 일곱 가지 이유, 다시 말해 이혼사유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칠거지악 · 더보기 »

유발

유발(柳發, 1683년∼1775년 8월 6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유발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유교 · 더보기 »

유득공

유득공(柳得恭, 류득공, 1748년 12월 24일(음력 11월 5일) ~ 1807년 10월 1일(음력 9월 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실학자, 문신, 시인이며 조선 정조 당시의 실학자, 시인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유득공 · 더보기 »

유흠

유흠(劉歆, ?~23년)은 중국 전한 말·후한 초의 사상가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유흠 · 더보기 »

유수원

유수원(柳壽垣, 1694년~175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유수원 · 더보기 »

유형원

유형원(柳馨遠, 1622년 3월 2일(음력 1월 21일) ~ 1673년 5월 5일(음력 3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유형원 · 더보기 »

윤동규

윤동규 (尹東奎, 1695년 ~ 1773년) 는 조선의 학자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윤동규 · 더보기 »

윤휴

윤휴(尹鑴, 1617년 10월 14일 ~ 1680년 5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윤휴 · 더보기 »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윤선도 · 더보기 »

수학

수학(數學)은 양, 구조, 공간, 변화 등의 개념을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수학 · 더보기 »

오시수

오시수(吳始壽, 1632년 2월 8일 ~ 1681년 6월 12일)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오시수 · 더보기 »

예조

예조(禮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예조 · 더보기 »

예송

예송(禮訟) 또는 예송논쟁(禮訟論爭)은 예절에 관한 논란으로, 효종과 효종비 인선왕후에 대한 계모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기간을 둘러싸고 현종, 숙종대에 발생한 서인과 남인간의 논쟁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예송 · 더보기 »

현감

현감(縣監)은 조선 시대 현의 우두머리.

새로운!!: 이익 (1681년)와 현감 · 더보기 »

여주 이씨

여주 이씨(驪州 李氏)는 경기도 여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명문 성씨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여주 이씨 · 더보기 »

역사

역사(歷史)는 오랜 역사, 지난 시대에 남긴 기록물, 이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 등을 가리.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역사 · 더보기 »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허목 · 더보기 »

선공감

선공감(繕工監)은 조선 시대에 토목(土木)과 영선(營繕)에 관한 일을 맡았던 기관으로, 공조에 속하는 기관이었.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선공감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성리학 · 더보기 »

성호사설

《성호사설》(星湖僿說)은 실학자인 성호 이익(李瀷)의 문답집을 엮은 저술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성호사설 · 더보기 »

서경덕

서경덕(徐敬德, 1489년 3월 18일(음력 2월 17일)~1546년 8월 13일(음력 7월 7일))은 조선 중기의 학자로서, 주기파(主氣派)의 거유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서경덕 · 더보기 »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서인 · 더보기 »

서학

서학(西學)은 18세기 서양의 과학기술과 문화 사상, 종교가 조선에 전파되는 것을 뜻.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서학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이익 (1681년)와 한성부 · 더보기 »

안정복

안정복(安鼎福, 1712년 ~ 1791년 7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 역사가, 수필가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안정복 · 더보기 »

안산군

안산군(安山郡)은 1914년 시흥군과 수원군에 분할 편입되어 사라진 경기도의 옛 행정구역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안산군 · 더보기 »

안산시

안산시(安山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남서부에 위치하고 있는 서해안에 인접한 시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안산시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신라 · 더보기 »

신후담

신후담(愼後聃, 1702년 ~ 1761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실학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신후담 · 더보기 »

실학

실학(實學)은 17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걸쳐 대두된 일련의 현실개혁적 조선 유학의 학풍을 말. 한편 실학에 반해 기존의 유학을 “성명의리지학”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실학 · 더보기 »

홍길동

홍길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익 (1681년)와 홍길동 · 더보기 »

홍우원

홍우원(洪宇遠, 1605년 7월 29일 ∼ 1687년 7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이며 남인 중진이었.

새로운!!: 이익 (1681년)와 홍우원 · 더보기 »

왕세손

왕세손(皇太孫)은 국왕의 적장손이자, 왕세자의 적장자로 왕위계승 서열 2위에 해당.

새로운!!: 이익 (1681년)와 왕세손 · 더보기 »

10월 13일

10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6번째(윤년일 경우 28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0월 13일 · 더보기 »

10월 18일

10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1번째(윤년일 경우 29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0월 18일 · 더보기 »

11월

11월(十一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한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8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고, 그 다음 해가 윤년인 경우 2월과 마지막 요일이 같. 또한, 이 달과 그 해의 3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평년인 경우 그 해의 2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1월 · 더보기 »

12월 17일

12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1번째(윤년일 경우 35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2월 17일 · 더보기 »

1624년

162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624년 · 더보기 »

1680년

168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680년 · 더보기 »

1681년

168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681년 · 더보기 »

1689년

168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689년 · 더보기 »

1694년

169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694년 · 더보기 »

1699년

169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699년 · 더보기 »

1704년

170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704년 · 더보기 »

1705년

170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705년 · 더보기 »

1706년

170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706년 · 더보기 »

1709년

170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709년 · 더보기 »

1710년

171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710년 · 더보기 »

1713년

171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713년 · 더보기 »

1715년

171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715년 · 더보기 »

1720년

172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720년 · 더보기 »

1720년대

1720년대는 1720년부터 172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720년대 · 더보기 »

1727년

172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727년 · 더보기 »

1728년

172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728년 · 더보기 »

1729년

172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729년 · 더보기 »

1751년

1751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751년 · 더보기 »

1760년

1760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760년 · 더보기 »

1763년

176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763년 · 더보기 »

1772년

177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772년 · 더보기 »

1801년

180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801년 · 더보기 »

1967년

196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967년 · 더보기 »

1977년

197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1977년 · 더보기 »

5월

5월(五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다섯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5월 · 더보기 »

9월

9월(九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아홉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한국,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북반구에는 가을이 되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과 같은 남반구에는 봄이.

새로운!!: 이익 (1681년)와 9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이익 (학자), 성호 이익.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