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정난교

색인 정난교

정난교(鄭蘭敎, 1863년 1월 23일 ~ 1944년 12월 28일)는 조선 후기,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236 처지: 도쿄, 동학, 동학 농민 운동, 목천군, 목사, 명성황후, 명성황후 암살 미수 사건, 미국,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민영소, 개화당, 갑신정변, 박중양, 박영교, 박영효, 박영철, 경무사, 경기도, 경찰, 경성부, 게이오기주쿠 대학, 검사, 고베 시, 과거제, 병조, 변수, 광주광역시, 관세, 권동진, 권영진, 부령군, 부사관, 부산항, 귀인 장씨, 기독교, 김윤정 (1869년), 김윤식, 김옥균, 김홍집, 김홍집 (1842년), 대한매일신보,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대한제국, 대한제국 고종, 대원군, 교사, 구연수, 군부, 군부 (대한제국), ..., 난민, 나가사키 시, 다이쇼 천황, 우범선, 우편, 우체국, 요코하마 시, 장교, 장단군, 장은규, 장석주 (1848년), 읍내리, 이동휘, 이범래, 이규완, 이두황, 이노우에 가오루, 이준용 (1870년), 이진호, 이선호, 이토 히로부미, 인천광역시, 일본, 일제 강점기, 의친왕, 을미사변, 전라도, 전라북도, 정령, 조용만, 조희문, 조희연, 조선, 조선인,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 중추원, 중의원, 중추원 (대한제국), 지운영, 참의, 창덕궁, 창씨개명, 철학, 청나라, 천안시, 충청도, 충청남도,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 친일인명사전, 친일파 708인 명단, 유동열, 유길준, 유수, 유혁로, 육군, 윤경순, 윤경완, 윤효정, 윤치호, 윤태준, 윤영관, 윤웅렬,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 탁지부, 상하이 시, 영어, 오사카, 오세창, 현양사, 양주군, 여흥 민씨, 삼천리, 쓰키지, 성남면, 서광범, 서재창, 서재필, 서예, 함경북도, 해주 정씨,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한국어, 한일 병합 조약, 한성부, 안경수, 하응선, 아관파천, 아산군, 신응희, 신중모, 후쿠자와 유키치, 홍종우, 홍영식, 10월, 10월 1일, 10월 31일, 11월, 11월 13일, 11월 17일, 11월 4일, 11월 7일, 12월, 12월 12일, 12월 13일, 12월 16일, 12월 20일, 12월 25일, 12월 28일, 12월 2일, 12월 4일, 12월 7일, 1863년, 1864년, 1882년, 1883년, 1884년, 1885년, 1886년, 1892년, 1894년, 1895년, 1896년, 1904년, 1906년, 1907년, 1910년, 1912년, 1914년, 1915년, 1916년, 1918년, 1920년, 1921년, 1923년, 1927년, 1930년, 1933년, 1935년, 1938년, 1939년, 1940년, 1941년, 1942년, 1943년, 1944년, 1월, 1월 23일, 2002년, 2008년, 2009년, 2월, 2월 12일, 2월 23일, 3월, 3월 11일, 3월 17일, 3월 1일, 3월 25일, 3월 28일, 3월 29일, 3월 31일, 4월, 4월 14일, 4월 1일, 4월 24일, 5월, 5월 10일, 5월 28일, 6월, 6월 17일, 6월 20일, 6월 23일, 6월 27일, 6월 28일, 6월 3일, 6월 4일, 6월 5일, 7월, 7월 10일, 7월 29일, 7월 6일, 8월, 8월 2일, 9월, 9월 19일, 9월 30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86 더) »

도쿄

신주쿠의 마천루들 도쿄()는 일본의 혼슈 동부에 있는, 메이지 시대 이후 사실상 일본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정난교와 도쿄 · 더보기 »

동학

동학(東學)은 1860년(철종 11) 최제우가 창건한 신흥 종교이.

새로운!!: 정난교와 동학 · 더보기 »

동학 농민 운동

동학 농민 혁명(東學農民革命), 동학 혁명(東學革命), 동학 농민 운동(東學農民運動) 또는 동학 농민 전쟁(東學農民戰爭)은 1894년 동학 지도자들과 동학 교도 및 농민들에 의해 일어난 민중의 무장 봉기를 가리.

새로운!!: 정난교와 동학 농민 운동 · 더보기 »

목천군

목천군(木川郡)은 천안시 동부(현 목천읍, 북면, 성남면, 수신면, 병천면, 동면)의 이전 행정구역이.

새로운!!: 정난교와 목천군 · 더보기 »

목사

목사(牧師)는 개신교의 성직자이.

새로운!!: 정난교와 목사 · 더보기 »

명성황후

쪽.

새로운!!: 정난교와 명성황후 · 더보기 »

명성황후 암살 미수 사건

명성황후 암살 미수 사건(明成皇后 暗殺未遂 事件)은 1895년(고종 32년) 7월 조선의 정치인 박영효 등 급진개화파 일부가 명성황후를 비밀리에 암살하려던 사건이었.

새로운!!: 정난교와 명성황후 암살 미수 사건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정난교와 미국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民族問題硏究所)는 재야운동가 임종국의 유지를 잇는다는 명분으로 설립된 단체로서, 1991년 2월 27일 '반민족문제연구소'로 시작하여 1995년 '민족문제연구소'로 개칭한 민간 단체이.

새로운!!: 정난교와 민족문제연구소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이 문서는 민족문제연구소가 2009년 11월 8일에 편찬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자들에 관한 명단을.

새로운!!: 정난교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더보기 »

민영소

민영소(閔泳韶, 1852년 ~ 1917년)는 조선 말기와 일제 강점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정난교와 민영소 · 더보기 »

개화당

화당(開化黨)은 1874년(고종 11년) 경 김옥균(金玉均), 박영교(朴泳敎), 박영효(朴泳孝), 서광범(徐光範) 등이 중심이 되어 만들어졌.

새로운!!: 정난교와 개화당 · 더보기 »

갑신정변

김옥균 홍영식 갑신정변(甲申政變) 또는 갑신혁명(甲申革命)은 1884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쿠데타)이.

새로운!!: 정난교와 갑신정변 · 더보기 »

박중양

박중양(朴重陽, 일본식 이름: 朴忠重陽 호추 시게요,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은 일본과 대한제국의 관료, 외교관이며, 일제시대의 관료, 사상가이.

새로운!!: 정난교와 박중양 · 더보기 »

박영교

박영교(朴泳敎, 1849년 ~ 1884년 12월 7일(1884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 혁신파 정객으로 자는 자명(子明), 본관은 반남, 시호는 충목이다. 박원양의 아들이자, 박영효의 형이다. 관직은 통정대부 승정원도승지에 이르렀다. 박규수, 유대치의 문인이다. 일찍부터 먼 친척이자 개화사상가인 재동 박규수의 문하에 출입하며 수학했고 이어 유대치의 문하에도 출입했다. 이어 동생인 박영효 역시 박규수와 유대치의 문하에 출입하게 하여 수학케 했다. 1881년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1884년 동생 박영효, 김옥균, 홍영식 등과 모의하여 갑신정변을 일으키는데 가담, 승정원도승지가 되었으나 3일만에 왕비 민씨의 청나라 군대 요청으로 거사가 좌절되자 북관동묘까지 고종을 끝까지 호위하다가 청나라 군사들에게 홍영식과 함께 살해당했다. 사후 규장각제학에 추증되었다.

새로운!!: 정난교와 박영교 · 더보기 »

박영효

박영효(朴泳孝, 1861년 ~ 1939년 양력 9월 21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 사상가로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정난교와 박영효 · 더보기 »

박영철

박영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난교와 박영철 · 더보기 »

경무사

경무사는 대한제국 때의 경무청의 장으로 경찰청장과 동급이.

새로운!!: 정난교와 경무사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정난교와 경기도 · 더보기 »

경찰

독일 함부르크의 경찰관 일본의 경찰관 경찰(警察)은 사회의 일반적인 법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정부의 행정 활동, 또는 그러한 목적을 위해 조직된 국가 기관을 말. 대부분의 나라에서 경찰은 공무원에 속. 따라서 경찰은 국가 행정기관을 뜻하는 말로도 흔하게 쓰이며, 이를 위한 행정 활동은 공권력이라고 표현.

새로운!!: 정난교와 경찰 · 더보기 »

경성부

경성부(京城府) 또는 게이조 부()는 일제 강점기 때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경성부 · 더보기 »

게이오기주쿠 대학

이오기주쿠 대학()은 일본의 명문 사립 대학이.

새로운!!: 정난교와 게이오기주쿠 대학 · 더보기 »

검사

사(檢事, prosecutor)는 범죄자에 대하여 법원에 기소 및 공소유지를 담당.

새로운!!: 정난교와 검사 · 더보기 »

고베 시

베 시(신호시)는 일본에서 6번째로 큰 도시로 효고현의 현청 소재지이자 일본을 대표하는 항만 도시로 인구는 약 150만 명이.

새로운!!: 정난교와 고베 시 · 더보기 »

과거제

북송의 과거 과거(科擧)는 중국과 한국 등에서 시험을 치러서 관리를 뽑는 제도이.

새로운!!: 정난교와 과거제 · 더보기 »

병조

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정난교와 병조 · 더보기 »

변수

변수(變數)는 수학에서 쓰이는 수식에 따라서 변하는 값을 뜻. (예: x + 1.

새로운!!: 정난교와 변수 · 더보기 »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남서부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정난교와 광주광역시 · 더보기 »

관세

세(關稅)는 국제 무역에서 교역되는 상품에 부과되는 세금이.

새로운!!: 정난교와 관세 · 더보기 »

권동진

이승만 귀국환영식에 참석(맨 오른쪽 테이블에 선 이가 권동진) 권동진(權東鎭, 1861년 12월 15일 ~ 1947년 3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새로운!!: 정난교와 권동진 · 더보기 »

권영진

영진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정난교와 권영진 · 더보기 »

부령군

부령군(富寧郡)은 함경북도 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정난교와 부령군 · 더보기 »

부사관

부사관(副士官)은 군대내 장교와 병 중간의 신분으로 병을 통솔, 전문적인 기술 및 지식을 견비한 간부, 즉 직업 군인이다.

새로운!!: 정난교와 부사관 · 더보기 »

부산항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19세기의 부산항 부산항(釜山港, Port of Busan)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대한민국 최대의 무역항이.

새로운!!: 정난교와 부산항 · 더보기 »

귀인 장씨

인 장씨(貴人 張氏, 생몰년 미상)는 조선 고종의 후궁이.

새로운!!: 정난교와 귀인 장씨 · 더보기 »

기독교

독교(基督敎)From Ancient Greek Khristós (Latinized as Christus), translating Hebrew מָשִׁיחַ, Māšîăḥ, meaning "the anointed one", with the Latin suffixes -ian and -itas.

새로운!!: 정난교와 기독교 · 더보기 »

김윤정 (1869년)

윤정, 1925년 김윤정(金潤晶, 일본식 이름: 淸道金次郞, 1869년 6월 25일 ~ 1949년 10월 23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교관이자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정난교와 김윤정 (1869년) · 더보기 »

김윤식

윤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난교와 김윤식 · 더보기 »

김옥균

옥균(金玉均, 1851년 2월 23일 ~ 1894년 3월 28일)은 조선 말기의 정치가, 사상가,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정난교와 김옥균 · 더보기 »

김홍집

홍집은 다음과 같은 사람이 있.

새로운!!: 정난교와 김홍집 · 더보기 »

김홍집 (1842년)

홍집(金弘集, 1842년 ~ 1896년 2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 정치가이다. 자(字)는 경능(敬能), 호는 도원(道園)·이정학재(以政學齋), 시호는 충헌(忠獻), 본관은 경주이다. 1880년 수신사 일행으로 일본을 방문한 뒤, 신문물을 견학하고 돌아와 개화, 개항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한편으로 위정척사파 계열 인사들도 중용하는 등의 정책을 펼쳤으나 급진 개화파로 몰렸고, 1884년 갑신정변(甲申政變) 진압 후 우의정, 좌의정 등으로 전권대신(全權大臣)이 되어 한성조약(漢城條約)을 체결하였다. 그 뒤 1896년 관제 개정 이후 동학 농민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끌어들인 일본측의 지원으로 총리대신이 되었으며, 총리대신 재직 중 신분제 폐지, 단발령 등을 강행하는 한편, 함께 일본의 도움으로 개혁, 개방을 단행한 뒤에는 친일파로 몰려 아관파천 때 친러파의 군인들에게 살해당하였다. 원래 이름은 김홍집(金弘集)이었으나, 청 고종(高宗) 건륭황제의 휘가 ‘홍력’(弘歷)이었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김굉집(金宏集)으로 가운데 자(字)를 바꾸었다. 조선말기의 문신이자 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부통령을 지낸 이시영은 그의 사위였다. 박규수, 오경석, 강위의 문인이다.

새로운!!: 정난교와 김홍집 (1842년) · 더보기 »

대한매일신보

매일신보 창간호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는 1904년 2월에 일어난 러일 전쟁을 취재하기 위해 대한제국에 왔던 영국인 어니스트 베델이 양기탁을 비롯해 민족 진영 인사들에게 도움받아 1904년 7월 18일에 창간한 신문으로서 일제시대의 매일신보와 현재 서울신문의 전신이.

새로운!!: 정난교와 대한매일신보 · 더보기 »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반민규명위 보고서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大韓民國 親日反民族行爲眞相糾明委員會, 약칭 반민규명위)는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이 2004년 3월 22일 공포되면서 이 법률의 시행령에 따라 2005년 5월 31일 대통령 소속으로 발족한 기구이.

새로운!!: 정난교와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새로운!!: 정난교와 대한제국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대원군

원군(大院君)은 조선 시대 적통인 임금의 자손이나 전임 임금의 대가 끊겨 방계(傍系)인 종친 중에서 왕위를 이어받을 때, 그 임금의 친아버지에게 주는 칭호 및 관직으로서, 군호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정난교와 대원군 · 더보기 »

교사

유치원생들을 수업 중인 교사 교사(敎師)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사람으로, 일반적으로 국가에서 정한 법령에 따라 자격증을 갖추고 학생에게 국가에서 지정한 과목, 종목의 교육 이수의 과정에서 이끌어주거나 도움을 주거나 설명을 하는 사람을 말. 좁게는 교육공무원으로 임용된 자 또는 교사자격증(교원자격증2급)을 소지한 자, 국공립학교의 교원과 사립학교의 교원을 부르며 넓게는 이들을 비롯하여 대학교와 전문대학 그리고 대학교원의 교수(敎授) 등을.

새로운!!: 정난교와 교사 · 더보기 »

구연수

연수(具然壽, 1866년 10월 8일 ~ 1925년 5월 6일)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군인, 관료, 정치인으로 을미사변 관련자이자 을미사변 당시 조선인 출신 고위 협조자의 한사람이며 일제 강점기에 경찰 간부를.

새로운!!: 정난교와 구연수 · 더보기 »

군부

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난교와 군부 · 더보기 »

군부 (대한제국)

부(軍部)는 조선 말기인 1895년에 설치되어 대한제국 시기 동안 존속한 중앙 행정부서이.

새로운!!: 정난교와 군부 (대한제국) · 더보기 »

난민

전쟁기간 중에, 보스니아 중부에 위치한 Travnik에 도착한 난민들 아프리카 기니의 난민 캠프 난민(難民, refugee) 또는 망명자(亡命者)는 박해, 전쟁, 테러, 극도의 빈곤, 기근, 자연재해를 피해 다른 나라로 망명한 사. 난민의 개념을 살펴본다면 1967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의정서(Protocol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와 아프리카와 라틴 아메리카의 지역 협약들에서 확대되어, 전쟁이나 기타 폭력에 의해 원래 살던 땅을 떠나게 된 사람들을 지칭하게 되었.

새로운!!: 정난교와 난민 · 더보기 »

나가사키 시

사키 역 부근의 시가지 나가사키 시()는 일본 규슈 북서쪽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정난교와 나가사키 시 · 더보기 »

다이쇼 천황

이쇼 천황(1879년 8월 31일 ~ 1926년 12월 25일)은 일본의 제123대 천황으로 본명은 요시히토(), 어릴 적 칭호는 하루노미야()이.

새로운!!: 정난교와 다이쇼 천황 · 더보기 »

우범선

우범선(禹範善, 1857년 5월 24일 ~ 1903년 11월 24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무신 및 군인 겸 정치가이며, 을미사변 당시 조선인 협력자이자 명성황후 살해에 가담한 조선 시대 말기 고위 인사의 일원이었.

새로운!!: 정난교와 우범선 · 더보기 »

우편

우편(郵便)은 봉투와 조그마한 꾸러미로 봉합된 기록 문서, 포장된 물건들을 전 세계의 어느 곳이든 배달하는 제도 또는 업무를 말. 우편물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며, 메일(mail), 엽서, 편지로 불리.

새로운!!: 정난교와 우편 · 더보기 »

우체국

인천 중동 우체국 강원도 화천군의 군사우체국 우체국(郵遞局, (遞信所)) 또는 우정국(郵政局)은 우편물의 접수·운송·배달과 같은 우정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

새로운!!: 정난교와 우체국 · 더보기 »

요코하마 시

요코하마 시()는 일본 가나가와현 동부에 있는 현청 소재지이.

새로운!!: 정난교와 요코하마 시 · 더보기 »

장교

2005년, 미국 해군 사관학교 졸업생들이 모자를 집어던지며 기뻐하고 있다. 장교(將校, commissioned officers)는 한국군에서 위관급 이상의 계급의 간부를 말. 부사관과 병을 지휘하는 계급으로 사관학교나 일반대학교 재학자 또는 졸업자들 가운데 선발.

새로운!!: 정난교와 장교 · 더보기 »

장단군

장단군(長湍郡)은 경기도 북서부에 있었던 군이.

새로운!!: 정난교와 장단군 · 더보기 »

장은규

장은규(張殷圭, 1992년 8월 15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수비형 미드필더이.

새로운!!: 정난교와 장은규 · 더보기 »

장석주 (1848년)

장석주(張錫周, 일본식 이름: 高谷義, 1848년 음력 12월 26일 ~ 1921년 양력 9월 2일)는 조선 말기의 정치인이자 언론인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정난교와 장석주 (1848년) · 더보기 »

읍내리

읍내리(邑內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정난교와 읍내리 · 더보기 »

이동휘

이동휘(李東輝,, 1873년 6월 20일 ~ 1935년 1월 31일)는 대한제국의 군인, 정치가이자 한국의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정난교와 이동휘 · 더보기 »

이범래

이범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난교와 이범래 · 더보기 »

이규완

이규완(李圭完, 1862년 11월 15일 ~ 1946년 12월 15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사상가였.

새로운!!: 정난교와 이규완 · 더보기 »

이두황

이두황(李斗璜, 1858년 1월 11일 ~ 1916년 3월 9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이자 화가, 서예가이고, 을미사변 관련자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 화가, 작가이.

새로운!!: 정난교와 이두황 · 더보기 »

이노우에 가오루

이노우에 가오루(1836년 1월 16일 ~ 1915년 9월 1일) 는 일본 메이지 유신의 활동가로 근대 일본의 교육자, 정치가, 외교관, 사상가, 기업인이.

새로운!!: 정난교와 이노우에 가오루 · 더보기 »

이준용 (1870년)

영선군 이준용 신도비 영선군 이준용(永宣君 李埈鎔, 1870년 7월 23일(음력 6월 25일) ~ 1917년 3월 22일 (양력))은 조선의 왕족, 문신, 군인, 친일파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군인, 교육인으로, 고종황제의 형 흥친왕 이재면의 아들이자, 흥선대원군의 적장손이.

새로운!!: 정난교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이진호

이진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난교와 이진호 · 더보기 »

이선호

이선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난교와 이선호 · 더보기 »

이토 히로부미

이토 히로부미(1841년 10월 16일 ~ 1909년 10월 26일)는 에도 시대 후기의 무사(조슈 번사)이자 일본 제국의 헌법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정난교와 이토 히로부미 · 더보기 »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서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정난교와 인천광역시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정난교와 일본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정난교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의친왕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 1877년 3월 30일 ~ 1955년 8월 16일)은 조선의 왕족이고 대한제국 황족 종실이며 고종의 다섯째 아들(서자)이자 대한민국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정난교와 의친왕 · 더보기 »

을미사변

명성황후 추정 사진 을미사변(乙未事變)은 1895년 10월 8일 경복궁(景福宮)에서 명성황후 민씨가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의 지휘 아래 일본군 한성 수비대 미야모토 다케타로(宮本竹太郞) 등에게 암살된 사건이.

새로운!!: 정난교와 을미사변 · 더보기 »

전라도

전라도(全羅道)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남 지방(湖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전라도 · 더보기 »

전라북도

전라북도(全羅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정난교와 전라북도 · 더보기 »

정령

정령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난교와 정령 · 더보기 »

조용만

조용만(趙容萬, 1909년 3월 10일 ~ 1995년 2월 6일)은 한국의 영문학자, 기자, 문학.

새로운!!: 정난교와 조용만 · 더보기 »

조희문

조희문(趙羲聞, 일본식 이름: 松原羲聞, 1858년 1월 3일 ~ 1941년 3월 21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관은 평양(平壤)이며 원적지는 경성부 체부정이.

새로운!!: 정난교와 조희문 · 더보기 »

조희연

조희연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정난교와 조희연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정난교와 조선 · 더보기 »

조선인

조선인(朝鮮人)은 한국인을 뜻하는 다른 말로서, 다음 뜻으로도 쓰인.

새로운!!: 정난교와 조선인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의 휘장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거버먼트 제네럴 오브 코리아)는 일본 제국이 1910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이었.

새로운!!: 정난교와 조선총독부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중추원

조선총독부 중추원(中樞院)은 일제 강점기 당시 조선총독부의 자문기관으로 존재한 기관이.

새로운!!: 정난교와 조선총독부 중추원 · 더보기 »

중의원

중의원()은 일본의 국회를 구성하는 양원 중의 하나로 하원에 해당하며, 영문칭은 “The House of Representatives”(미국 하원을 일컫는 말이기도 함)이.

새로운!!: 정난교와 중의원 · 더보기 »

중추원 (대한제국)

중추원(中樞院)은 대한제국 시기에 근대적 형태의 입법 기관을 모방하여 설치한 기관이.

새로운!!: 정난교와 중추원 (대한제국) · 더보기 »

지운영

운영(池雲英, 아명(兒名)은 池運永, 1852년 ~ 1935년 3월)은 대한제국 조선 왕조 말기의 시인, 서예가, 서화가, 사진가이.

새로운!!: 정난교와 지운영 · 더보기 »

참의

의(參議)는 관직의 이름으로, 조선과 전근대 및 메이지 시대의 일본에 존재.

새로운!!: 정난교와 참의 · 더보기 »

창덕궁

창덕궁(昌德宮)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있는 조선 시대 궁궐로 동쪽으로 창경궁과 맞닿아 있. 경복궁의 동쪽에 있어서 조선 시대에는 창경궁과 더불어 동궐(東闕)이라 불. 창덕궁은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중요한 고궁이며, 특히 창덕궁 후원은 한국의 유일한 궁궐후원이라는 점과 한국의 정원을 대표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글로벌 세계대백과》〈창덕궁〉 1997년에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

새로운!!: 정난교와 창덕궁 · 더보기 »

창씨개명

와 한글이 혼용되어 있다. 일본식 성명 강요() 또는 창씨개명()은 1940년 2월부터 1945년 8월 광복 직전까지 일본 제국이 조선인에게 일본식 성씨를 정하여 쓰도록 강요한 것을 말. 1939년 11월 10일, 조선총독부는 '조선민사령(朝鮮民事令)'을 개정(제령 제19호)하여 조선에서도 일본식 씨명제(氏名制)를 따르도록 규정하고, 1940년 2월 11일부터 8월 10일까지 '씨(氏)'를 정해서 제출할 것을 명령하였.

새로운!!: 정난교와 창씨개명 · 더보기 »

철학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시는 모습 철학(哲學, 고대 그리스어: φιλοσοφία)은 존재, 지식, 가치, 이성, 인식 그리고 언어 등의 일반적이며 기본적인 대상의 실체를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정난교와 철학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정난교와 청나라 · 더보기 »

천안시

안시의 전경 천안시(天安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동북부 내륙에 있는 시이.

새로운!!: 정난교와 천안시 · 더보기 »

충청도

조선후기 충청도 충청도(忠淸道)는 충청남도, 충청북도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서 지방(湖西地方)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충청도 · 더보기 »

충청남도

충청남도(忠淸南道)는 대한민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정난교와 충청남도 · 더보기 »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

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親日反民族行爲705人名單)은 2009년 11월 27일 대한민국의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반민규명위, 위원장 성대경)가 이명박 대통령과 국회에 보고한 일제 강점기 말기 친일반민족행위 관련자 705명에 관한 명단이.

새로운!!: 정난교와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 · 더보기 »

친일인명사전

일인명사전(親日人名辭典)은 민족문제연구소가 일제 강점기에 민족 반역, 부일 협력 등 친일반민족행위를 자행한 한국인(친일파)의 목록을 정리해 2009년 11월 8일에 발간한 인명 사전이.

새로운!!: 정난교와 친일인명사전 · 더보기 »

친일파 708인 명단

일파 708인 명단(親日派 708人 名單)은 2002년 2월 28일 대한민국 국회의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회장 김희선)이 발표한 주요 친일 인사 708명 에 관한 명단이.

새로운!!: 정난교와 친일파 708인 명단 · 더보기 »

유동열

유동열 (柳東說, 1879년 3월 26일 ~ 1950년 10월 1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정난교와 유동열 · 더보기 »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새로운!!: 정난교와 유길준 · 더보기 »

유수

유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난교와 유수 · 더보기 »

유혁로

유혁로(柳赫魯 / 柳赫老, 1851년 3월 9일 ~ 1945년 5월 15일)는 조선 후기와 대한제국의 무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정난교와 유혁로 · 더보기 »

육군

육군(陸軍)은 지상 전투를 주임무.

새로운!!: 정난교와 육군 · 더보기 »

윤경순

윤경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난교와 윤경순 · 더보기 »

윤경완

윤경완(尹景完, 1860년 ~ 1885년 12월 23일)은 조선 후기의 상인, 무신으로 갑신정변의 행동대원이었.

새로운!!: 정난교와 윤경완 · 더보기 »

윤효정

윤효정(尹孝定, 1858년 ~ 1939년)은 구한말의 문신, 학자, 애국지사로 경기도 양주출신으로 본관은 파평(坡平)이고 운정이.

새로운!!: 정난교와 윤효정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정난교와 윤치호 · 더보기 »

윤태준

윤태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난교와 윤태준 · 더보기 »

윤영관

윤영관 윤영관(尹永寬, 1951년 1월 12일 ~)은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이자 외교통상부 장관을 역임한 정무직 공무원이.

새로운!!: 정난교와 윤영관 · 더보기 »

윤웅렬

윤웅렬(尹雄烈, 1840년 5월 18일(음력 4월 17일) ~ 1911년 양력 9월 22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개화파 정치인,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이.

새로운!!: 정난교와 윤웅렬 · 더보기 »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

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1848년 ~ 1901년) 혹은 한국이름 목인덕(穆麟德)은 독일 출신의 외교관 겸 언어학자로 조선에서 외교 고문으로 활동한 전력으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

새로운!!: 정난교와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 · 더보기 »

탁지부

탁지부(度支部) 또는 탁지아문(度支衙門)은 대한제국 당시 정부의 재무(財務)를 총괄하여 회계, 출납, 조세, 국채(國債), 화폐, 은행 등에 관한 일체의 사무를 맡아 처리하며 각 지방의 재무를 감독.

새로운!!: 정난교와 탁지부 · 더보기 »

상하이 시

상하이()는 중국 본토 동부의 창강() 하구에 있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직할시이.

새로운!!: 정난교와 상하이 시 · 더보기 »

영어

영어(英語)는 영국의 잉글랜드에서 기원한 서게르만어군 언어이.

새로운!!: 정난교와 영어 · 더보기 »

오사카

오사카(바른 일본발음으로는 오오사까)는 일본 긴키 지방의 지명이.

새로운!!: 정난교와 오사카 · 더보기 »

오세창

청년 시절 오세창 오세창(吳世昌, 1864년 8월 6일(음력 7월 5일) ~ 1953년 4월 16일)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정치인이자 계몽 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의 언론인, 독립운동가, 서화가, 대한민국의 정치인, 서화가이.

새로운!!: 정난교와 오세창 · 더보기 »

현양사

현양사(1881년 ~ 1946년)는 옛 후쿠오카 번(구로다 번)에 본거지를 둔 일본의 범아시아주의 정치단체이.

새로운!!: 정난교와 현양사 · 더보기 »

양주군

양주군(楊州郡)은 경기도 양주시의 이전 행정구역이.

새로운!!: 정난교와 양주군 · 더보기 »

여흥 민씨

여흥 민씨(驪興 閔氏)는 경기도 여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정난교와 여흥 민씨 · 더보기 »

삼천리

삼천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기업명.

새로운!!: 정난교와 삼천리 · 더보기 »

쓰키지

쓰키지 시장 쓰키지()는 일본 도쿄도 주오 구의 지명이.

새로운!!: 정난교와 쓰키지 · 더보기 »

성남면

성남면(城南面)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의 면이.

새로운!!: 정난교와 성남면 · 더보기 »

서광범

서광범(徐光範, 1859년 11월 8일 ~ 1897년 7월 17일 또는 8월)은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가이며 개화파 사상가이.

새로운!!: 정난교와 서광범 · 더보기 »

서재창

서재창(徐載昌, 1866년 10월 29일 ~ 1884년 12월 13일)은 조선 말기의 군인, 정치인, 개화사상가로 서재필의 동생이.

새로운!!: 정난교와 서재창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새로운!!: 정난교와 서재필 · 더보기 »

서예

서예(書藝)란 붓으로 글씨를 쓰는 예술을 말. 중국에서 발생한 예술형식의 하나로서 한국 및 일본에 전래되어 한자뿐만 아니라 해당 나라의 글씨체 (한글, 가나)를 예술적으로 종이 위에 표현하는 기술적 측면을 넘어서, 정신수양의 수단으로 (예컨대 문인화) 인정받고 있. 이런 측면에서 서도(書道).

새로운!!: 정난교와 서예 · 더보기 »

함경북도

경북도(咸鏡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정난교와 함경북도 · 더보기 »

해주 정씨

주 정씨(海州 鄭氏)는 황해도 해주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정난교와 해주 정씨 · 더보기 »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공평동에 본사를 두고 있는 영국계 스탠다드차타드 은행의 자회사이.

새로운!!: 정난교와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 더보기 »

한국어

국어의 세계 분포를 나타낸 그림. 한국어(韓國語) 또는 조선말(朝鮮말)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라고 부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말,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에서는 조선어(朝鮮語)라고 부르며,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는 고려말(高麗말)이라고 부른.

새로운!!: 정난교와 한국어 · 더보기 »

한일 병합 조약

일 병합 조약() 또는 한국 병합에 관한 조약()은 1910년 8월 22일에 조인되어 8월 29일 발효된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일방적인 위력에 의해 이루어진 합병조약(合倂條約)이.

새로운!!: 정난교와 한일 병합 조약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정난교와 한성부 · 더보기 »

안경수

안경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난교와 안경수 · 더보기 »

하응선

응선(河應善, ? ∼ 1884년 12월)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으로 갑신정변에 참여하였다가 정변 실패 후 홍영식, 박영교, 사관생도 7명과 함께 처형당.

새로운!!: 정난교와 하응선 · 더보기 »

아관파천

시아 공사관 (1900년경) 서울 구 러시아 공사관의 일부 아관파천(俄館播遷)은 1896년 2월 11일부터 1897년 2월 20일까지 1년간 조선 고종과 세자가 경복궁을 떠나, 어가를 러시아 제국 공사관으로 옮겨서 거처한 사건이.

새로운!!: 정난교와 아관파천 · 더보기 »

아산군

아산군(牙山郡)은 원래 아산시 북부의 염치읍·음봉면·둔포면·영인면·인주면 지역을 관할했던 군이.

새로운!!: 정난교와 아산군 · 더보기 »

신응희

신응희(申應熙, 1858년/1859년 11월 2일 ~ 1928년 2월 12일)는 조선 후기·대한제국의 무신,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정난교와 신응희 · 더보기 »

신중모

신중모(1833년 ~ 1884년)은 조선 후기의 무신이.

새로운!!: 정난교와 신중모 · 더보기 »

후쿠자와 유키치

후쿠자와 유키치(1835년 1월 10일 ~ 1901년 2월 3일) 는 일본 개화기의 계몽사상가, 교육가, 저술가이.

새로운!!: 정난교와 후쿠자와 유키치 · 더보기 »

홍종우

홍종우 홍종우(洪鍾宇, 1850년 ~ 1913년)는 조선의 문신이며 대한제국의 근왕주의 개화파 정치인이.

새로운!!: 정난교와 홍종우 · 더보기 »

홍영식

홍영식 홍영식(洪英植, 1856년 2월 5일(1855년 음력 12월 29일) ~ 1884년 12월 7일(1884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 외교관, 시인이.

새로운!!: 정난교와 홍영식 · 더보기 »

10월

10월(十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평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1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나고 2월하고도 항상 같은 요일로 끝. 그 다음 해가 윤년일 경우에는 그 다음해 9월과 12월과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정난교와 10월 · 더보기 »

10월 1일

10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4번째(윤년일 경우 27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10월 1일 · 더보기 »

10월 31일

10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4번째(윤년일 경우 30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10월 31일 · 더보기 »

11월

11월(十一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한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8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고, 그 다음 해가 윤년인 경우 2월과 마지막 요일이 같. 또한, 이 달과 그 해의 3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평년인 경우 그 해의 2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정난교와 11월 · 더보기 »

11월 13일

11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7번째(윤년일 경우 31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11월 13일 · 더보기 »

11월 17일

11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1번째(윤년일 경우 32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11월 17일 · 더보기 »

11월 4일

11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8번째(윤년일 경우 30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11월 4일 · 더보기 »

11월 7일

11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1번째(윤년일 경우 31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11월 7일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새로운!!: 정난교와 12월 · 더보기 »

12월 12일

12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6번째(윤년일 경우 34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12월 12일 · 더보기 »

12월 13일

12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7번째(윤년일 경우 34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12월 13일 · 더보기 »

12월 16일

12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0번째(윤년일 경우 35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12월 16일 · 더보기 »

12월 20일

12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4번째(윤년일 경우 35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12월 20일 · 더보기 »

12월 25일

12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9번째(윤년일 경우 36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12월 25일 · 더보기 »

12월 28일

12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2번째(윤년일 경우 36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12월 28일 · 더보기 »

12월 2일

12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6번째(윤년일 경우 33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12월 2일 · 더보기 »

12월 4일

12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8번째(윤년일 경우 34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12월 4일 · 더보기 »

12월 7일

12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1번째(윤년일 경우 34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12월 7일 · 더보기 »

1863년

186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863년 · 더보기 »

1864년

186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864년 · 더보기 »

1882년

188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882년 · 더보기 »

1883년

188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883년 · 더보기 »

1884년

188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884년 · 더보기 »

1885년

188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885년 · 더보기 »

1886년

188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886년 · 더보기 »

1892년

189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892년 · 더보기 »

1894년

189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894년 · 더보기 »

1895년

189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895년 · 더보기 »

1896년

189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896년 · 더보기 »

1904년

190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904년 · 더보기 »

1906년

190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906년 · 더보기 »

1907년

190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907년 · 더보기 »

1910년

191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910년 · 더보기 »

1912년

191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912년 · 더보기 »

1914년

191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914년 · 더보기 »

1915년

191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915년 · 더보기 »

1916년

191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916년 · 더보기 »

1918년

191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918년 · 더보기 »

1920년

192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920년 · 더보기 »

1921년

192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921년 · 더보기 »

1923년

192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923년 · 더보기 »

1927년

192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927년 · 더보기 »

1930년

193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930년 · 더보기 »

1933년

193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933년 · 더보기 »

1935년

193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935년 · 더보기 »

1938년

193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938년 · 더보기 »

1939년

193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939년 · 더보기 »

1940년

194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940년 · 더보기 »

1941년

194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941년 · 더보기 »

1942년

1942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942년 · 더보기 »

1943년

194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943년 · 더보기 »

1944년

194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1944년 · 더보기 »

1월

1월(一月)은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첫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정난교와 1월 · 더보기 »

1월 23일

1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번째(윤년일 경우도 2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1월 23일 · 더보기 »

2002년

200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의 첫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정난교와 2002년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2008년 · 더보기 »

2009년

20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난교와 2009년 · 더보기 »

2월

2월(二月, February)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두 번째 달이며, 평년일 때에는 28일, 윤년일 때에는 29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0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며, 이 달과 작년의 6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정난교와 2월 · 더보기 »

2월 12일

2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3번째(윤년일 경우도 4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2월 12일 · 더보기 »

2월 23일

2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4번째(윤년일 경우도 5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2월 23일 · 더보기 »

3월

3월(三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세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북반구에서는 3월이 되면서 날씨가 풀리기 때문에, 대체로 이 달을 봄의 시작으로 본. 남반구는 가을이.

새로운!!: 정난교와 3월 · 더보기 »

3월 11일

3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0번째(윤년일 경우 7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3월 11일 · 더보기 »

3월 17일

3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6번째(윤년일 경우 7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3월 17일 · 더보기 »

3월 1일

3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0번째(윤년일 경우 6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3월 1일 · 더보기 »

3월 25일

3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4번째(윤년일 경우 8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3월 25일 · 더보기 »

3월 28일

3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7번째(윤년일 경우 8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3월 28일 · 더보기 »

3월 29일

3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8번째(윤년일 경우 8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3월 29일 · 더보기 »

3월 31일

3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0번째(윤년일 경우 9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3월 31일 · 더보기 »

4월

4월(四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네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대한민국에서는 4월이 과학의 달이.

새로운!!: 정난교와 4월 · 더보기 »

4월 14일

4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4번째(윤년일 경우 10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4월 14일 · 더보기 »

4월 1일

4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1번째(윤년일 경우 9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4월 1일 · 더보기 »

4월 24일

4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4번째(윤년일 경우 11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4월 24일 · 더보기 »

5월

5월(五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다섯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정난교와 5월 · 더보기 »

5월 10일

5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0번째(윤년일 경우 13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5월 10일 · 더보기 »

5월 28일

5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8번째(윤년일 경우 14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5월 28일 · 더보기 »

6월

6월(六月)은 에서 한 해의 여섯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는 네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정난교와 6월 · 더보기 »

6월 17일

6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8번째(윤년일 경우 16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6월 17일 · 더보기 »

6월 20일

6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1번째(윤년일 경우 17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6월 20일 · 더보기 »

6월 23일

6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4번째(윤년일 경우 17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6월 23일 · 더보기 »

6월 27일

6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8번째(윤년일 경우 17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6월 27일 · 더보기 »

6월 28일

6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9번째(윤년일 경우 18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6월 28일 · 더보기 »

6월 3일

6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4번째(윤년일 경우 15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6월 3일 · 더보기 »

6월 4일

6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5번째(윤년일 경우 15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6월 4일 · 더보기 »

6월 5일

6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6번째(윤년일 경우 15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6월 5일 · 더보기 »

7월

7월(七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일곱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4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윤년인 경우 그 해의 1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 400년 동안 이 달은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에 58번, 월요일과 화요일에 57번,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56번 시작.

새로운!!: 정난교와 7월 · 더보기 »

7월 10일

7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1번째(윤년일 경우 19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7월 10일 · 더보기 »

7월 29일

7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0번째(윤년일 경우 21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7월 29일 · 더보기 »

7월 6일

7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7번째(윤년일 경우 18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7월 6일 · 더보기 »

8월

8월(八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여덟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부터 연말까지는 2의 배수가 오는 달마다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1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 또한, 윤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2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되며, 다음 해도 평년인 경우 다음 해 5월과 같은 요일이.

새로운!!: 정난교와 8월 · 더보기 »

8월 2일

8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4번째(윤년일 경우 21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8월 2일 · 더보기 »

9월

9월(九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아홉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한국,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북반구에는 가을이 되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과 같은 남반구에는 봄이.

새로운!!: 정난교와 9월 · 더보기 »

9월 19일

9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2번째(윤년일 경우 26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9월 19일 · 더보기 »

9월 30일

9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3번째(윤년일 경우 27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난교와 9월 30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정란교.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