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정여창 (1450년)

색인 정여창 (1450년)

정여창(鄭汝昌, 1450년 음력 5월 5일 ∼ 1504년)은 조선전기의 문신, 성리학자, 작가이.

143 처지: 도남서원, 도산서원, 동방 18현, 목사, 명나라, 무오사화, 문묘, 문하시중, 백이정, 갑자사화, 박원종, 밀양시, 경상도, 경상남도, 고려, 과거제, 병조, 권근, 권우 (1363년), 부관참시, 길재, 김굉필, 김일손, 김전, 김정국, 김종직, 김숙자 (1389년), 김성일, 김안국, 두류산, 남곤, 남계서원, 남효온, 남원시, 논어, 우의정, 회령시, 폐비 윤씨, 이목 (1471년), 이제현, 이징 (조선 전기), 이지방 (1466년), 이색, 이숭인, 이언적, 이심원, 이시애, 이시애의 난, 인산서원, 음력 5월 5일, ..., 의정부, 의숙공주, 전주 이씨, 정도전, 정몽주, 정경세, 정광필, 정구, 정구 (1543년), 정인지, 정익, 정창서, 정유재란, 정숭조, 정온, 정현조, 정세호, 조광조, 조위, 조헌, 조선, 조선 정종, 조선 중종, 조선 태종, 조선 연산군, 조선 선조, 조선 성종, 조선 세조, 조선 세종, 종성군, 중종반정, 진주, 지리산, 철학, 추증, 판윤, 오경, 예문관, 표연말, 사림파, 사서오경, 섬진강, 성리학, 성균관, 세조찬위, 소격서, 함경도, 함경북도, 함양군, 한명회, 한성부, 안향, 하동부대부인, 하동군, 신도비, 신용개, 신숙주, 원종공신, 1450년, 1456년, 1460년, 1467년, 1478년, 1480년, 1482년, 1483년, 1486년, 1488년, 1489년, 1490년, 1494년, 1498년, 1504년, 1506년, 1507년, 1517년, 1552년, 1566년, 1568년, 1570년, 1575년, 1579년, 1582년, 1583년, 1586년, 1610년, 1612년, 1616년, 1659년, 1660년, 1662년, 1689년, 3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93 더) »

도남서원

서원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도남서원 · 더보기 »

도산서원

산서원은 퇴계 이황 선생을 기리기 위해 만든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도산서원 · 더보기 »

동방 18현

동방 18현(東方 十八賢) 또는 동국 18현(東國 十八賢)은 문묘에 종사된 한국의 유학자들을 말.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동방 18현 · 더보기 »

목사

목사(牧師)는 개신교의 성직자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목사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명나라 · 더보기 »

무오사화

무오사화(戊午士禍)는 1498년(연산군 4년) 음력 7월 유자광과 연산군이 김일손 등의 신진세력인 사림파를 제거한 사화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무오사화 · 더보기 »

문묘

문묘(文廟)는 문선왕묘(文宣王廟)의 약자로 공자묘(孔子廟)라고도 부른.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문묘 · 더보기 »

문하시중

문하시중(門下侍中)은 고려시대의 중서문하성의 최고 관리로 품계는 종1품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문하시중 · 더보기 »

백이정

백이정(白頤正, 1247년~1323년)은 고려의 후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백이정 · 더보기 »

갑자사화

갑자사화 (甲子士禍)는 1504년(연산군 10년)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 윤씨의 복위 문제로 인하여 일어난 사화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갑자사화 · 더보기 »

박원종

박원종(朴元宗, 1467년 ~ 1510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武臣) 겸 정치가(政治家)로 자는 백윤, 시호는 무열로 본관은 순천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박원종 · 더보기 »

밀양시

밀양시(密陽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밀양시 · 더보기 »

경상도

경상도 경상도(慶尙道)는 경상남도, 경상북도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영남 지방(嶺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경상도 · 더보기 »

경상남도

경상남도(慶尙南道)는 대한민국 남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경상남도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고려 · 더보기 »

과거제

북송의 과거 과거(科擧)는 중국과 한국 등에서 시험을 치러서 관리를 뽑는 제도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과거제 · 더보기 »

병조

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병조 · 더보기 »

권근

(權近, 1352년~1409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학자·문신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권근 · 더보기 »

권우 (1363년)

우(權遇, 1363년 - 1419년)는 고려 말기·조선 초기의 학자이며, 포은 정몽주의 제자이자 세종대왕, 학역재 정인지의 스승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권우 (1363년) · 더보기 »

부관참시

존 위클리프의 부관화형 부관참시(剖棺斬屍) 또는 부관참두(剖棺斬頭), 육시(戮屍)는 이미 사망한 사람이 사망 후에 큰 죄가 드러났을 때 처하는 극형을 말. 이 극형은 무덤에서 관을 꺼내어, 그 관을 부수고 시신을 참수하는 것으로, 사람을 두 번 죽이는 형벌로 여겨졌으나, 부관참시 자체는 명예형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부관참시 · 더보기 »

길재

야은 길재 길재(吉再, 1353년~1419년)는 고려후기의 문신이자 고려 말 조선 초의 성리학자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길재 · 더보기 »

김굉필

굉필(金宏弼, 1454년 ~ 1504년)은 조선 전기의 문인, 교육자, 성리학자로 호(號)는 한훤당(寒暄堂)·사옹(蓑翁), 또는 한훤(寒暄)이며 자는 대유(大猷), 시호는 문경(文敬)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김굉필 · 더보기 »

김일손

일손(金馹孫, 1464년 ~ 1498년 7월)은 조선 성종·연산군 때의 문신이며 학자, 사관, 시인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김일손 · 더보기 »

김전

전(金詮, 1458년 ~ 1523년)은 조선 전기, 중기의 문신, 학자로 자는 중륜(仲倫), 호는 나헌(懶軒)·능인(能人), 시호는 충정공(忠貞公)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김전 · 더보기 »

김정국

정국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김정국 · 더보기 »

김종직

종직(金宗直, 1431년 6월 ~ 1492년 8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이며, 성리학자, 정치가, 교육자, 시인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김종직 · 더보기 »

김숙자 (1389년)

숙자(金叔滋, 1389년 ∼ 1456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자배(子培), 호는 강호(江湖)·강호산인(江湖散人)으로 불. 선산 출신의 도학자이자 유학자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김숙자 (1389년) · 더보기 »

김성일

성일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김성일 · 더보기 »

김안국

안국(金安國, 1478년 (성종 9년) 9월 2일 (음력 8월 6일) ~ 1543년 (중종 38년) 2월 7일 (음력 1월 4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김안국 · 더보기 »

두류산

산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두류산 · 더보기 »

남곤

(南袞, 1471년 ~ 1527년 3월 10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유학자이며 정치인, 교육자, 작가, 시인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남곤 · 더보기 »

남계서원

서원은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남계서원 · 더보기 »

남효온

효온의 글씨 남효온(南孝溫, 1454년~149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고 생육신 중의 한 사람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남효온 · 더보기 »

남원시

원시청 남원시(南原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남원시 · 더보기 »

논어

《논어》(論語)는 공자와 그 제자들의 대화를 기록한 책으로 사서의 하나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논어 · 더보기 »

우의정

우의정(右議政)은 의정부 3의정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우의정 · 더보기 »

회령시

'''회령시'''(會寧市) 회령시(會寧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의 북부, 두만강 연안에 위치한 도시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회령시 · 더보기 »

폐비 윤씨

비 윤씨(廢妃 尹氏, 1455년 7월 15일 (음력 윤 6월 1일)폐비 윤씨 태실의 태지에 기록된 내용이다. 현재 폐비 윤씨 태실 등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며, 관련 내용을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시 자료 에서 일부 확인 가능하다. ~ 1482년 8월 29일 (음력 8월 16일))는 봉상시 판사(奉常寺 判事) 윤기견(尹起畎, 또는 윤기무, 尹起畝) 와 고령 신씨(申氏)의 딸로 조선의 제9대 임금 성종의 계비이자 둘째부인으로 투기와 남편인 성종의 용안에 상처를 내어 폐위되었.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폐비 윤씨 · 더보기 »

이목 (1471년)

이목(李穆, 1471년 ~ 149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이목 (1471년) · 더보기 »

이제현

이제현 초상(국보110호) 이제현(李齊賢, 1288년 1월 28일(음력 1287년 12월 24일) ~ 1367년 8월 24일(음력 7월 29일))은 고려 후기의 시인·문신·성리학자·역사학자·화가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이제현 · 더보기 »

이징 (조선 전기)

이징(李徵, ? - ?)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이징 (조선 전기) · 더보기 »

이지방 (1466년)

이지방(李之芳, 1466년 10월 15일 - 1537년 12월 11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정치인, 군인이자 외교관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이지방 (1466년) · 더보기 »

이색

이색 초상 이색(李穡, 1328년 6월 17일(음력 5월 9일권근, 『양촌집』 권40, 목은 선생 이 문정공 행장) ~ 1396년 6월 12일(음력 5월 7일), 경상북도 영해군)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정치가이며 유학자, 시인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이색 · 더보기 »

이숭인

이숭인(李崇仁, 1347년~1392년 9월 10일(음력 8월 23일))은 고려 말의 시인, 대학자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이숭인 · 더보기 »

이언적

이언적(李彦迪, 1491년 11월 25일 ~ 1553년 11월 23일)은 조선의 성리학자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이언적 · 더보기 »

이심원

이심원(李深源, 1454년 ~ 1504년)은 조선 중기의 왕족,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이심원 · 더보기 »

이시애

이시애(李施愛, ? ~ 1467년 8월 12일)는 조선 초기의 무신이자, 군인, 반란자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이시애 · 더보기 »

이시애의 난

이시애의 난(李施愛-亂)은 1467년(세조 13년) 5월부터 8월까지 함경도 길주의 호족 이시애 등이 세조의 집권 정책에 반대해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이시애의 난 · 더보기 »

인산서원

인산서원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인산서원 · 더보기 »

음력 5월 5일

음력 5월 5일은 음력 5월의 5번째 날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음력 5월 5일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의정부 · 더보기 »

의숙공주

의숙공주(懿淑公主, 1442년 ~ 1477년 음력 12월 3일)는 조선의 왕족으로 조선 제7대 임금인 세조(世祖)와 정희왕후 윤씨(貞熹王后 尹氏, 1418~1483)의 딸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의숙공주 · 더보기 »

전주 이씨

전주 이씨(全州 李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전주 이씨 · 더보기 »

정도전

정도전(鄭道傳, 1342년~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유학자, 혁명가(革命家)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정도전 · 더보기 »

정몽주

정몽주(鄭夢周, 양력 1338년 1월 13일 (1337년 음력 12월 22일) ~ 1392년 4월 26일(음력 4월 4일))는 고려왕조의 충신(忠臣)으로 문신·외교관이자, 정치가·교육자·유학자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정몽주 · 더보기 »

정경세

정경세(鄭經世, 1563년 ~ 1633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정경세 · 더보기 »

정광필

정광필(鄭光弼, 1462년 ~ 153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정광필 · 더보기 »

정구

정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정구 · 더보기 »

정구 (1543년)

정구(鄭逑, 1543년 7월 9일 ~ 1620년 1월 5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철학자, 역사학자, 작가, 서예가, 의학자이자 임진왜란기의 의병장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정구 (1543년) · 더보기 »

정인지

정인지(鄭麟趾, 1396년 12월 28일 ~ 1478년 11월 26일)는 조선 초기의 문신·성리학자이며 한글학자, 역사가, 정치인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정인지 · 더보기 »

정익

정익(鄭益, 170년 ~ 196년)은 후한 말의 인물로, 자는 익은(益恩)이며 북해국 고밀현(高密縣) 사람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정익 · 더보기 »

정창서

정창서(鄭昌瑞, 생몰년 미상)는 조선시대 문신, 정치인으로 덕흥대원군의 정비 하동부대부인의 형제간이며 조선 선조, 하릉군, 하원군의 외삼촌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정창서 · 더보기 »

정유재란

정유재란(丁酉再亂)은 1597년 8월 도요토미 정권 일본군이 임진왜란의 정전회담이 결렬됨에 따라 재차 조선을 침공하여 이듬해인 1598년 12월까지 지속된 전쟁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정유재란 · 더보기 »

정숭조

정숭조(鄭崇祖, 1442년 - 1503년 2월 13일)는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자는 효숙(孝叔), 호는 삼성재(三省齋)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정숭조 · 더보기 »

정온

정온이란 이름을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는 다음이 있.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정온 · 더보기 »

정현조

정현조(鄭顯祖, 1440년 ~ 1504년 7월 13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정치인이며 부마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정현조 · 더보기 »

정세호

정세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정세호 · 더보기 »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조광조 · 더보기 »

조위

조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조위 · 더보기 »

조헌

조헌(趙憲, 1544년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유학자이자 경세사상가, 의병장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조헌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정종

정종(定宗, 1357년 7월 18일 (음력 7월 1일) ~ 1419년 10월 15일 (음력 9월 26일), 재위: 1398년 ~ 1400년)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2대 임금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조선 정종 · 더보기 »

조선 중종

중종(中宗, 1488년 4월 16일 (음력 3월 5일) ~ 1544년 11월 29일 (음력 11월 15일), 재위: 1506년~1544년)은 조선의 제11대 왕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조선 중종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조선 태종 · 더보기 »

조선 연산군

연산군(燕山君, 1476년 11월 23일 (음력 11월 7일) ~ 1506년 11월 20일 (음력 11월 6일), 재위 1494년 ~ 1506년)은 조선의 제10대 왕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조선 연산군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종성군

종성군(鍾城郡)은 함경북도의 옛 군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종성군 · 더보기 »

중종반정

중종반정(中宗反正)은 1506년 9월 18일(음력 9월 2일) 연산군이 폐위되고 진성대군 이역(李懌)이 옹립된 사건을 말.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중종반정 · 더보기 »

진주

주 목걸이 진주 (眞珠/珍珠, Pearl)는 진주조개, 대합, 전복 등의 체내에 생기는 딱딱한 덩어리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진주 · 더보기 »

지리산

리산(智異山)은 대한민국의 경상남도 함양군, 산청군, 하동군과 전라북도 남원시, 전라남도 구례군에 걸쳐 있는 산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지리산 · 더보기 »

철학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시는 모습 철학(哲學, 고대 그리스어: φιλοσοφία)은 존재, 지식, 가치, 이성, 인식 그리고 언어 등의 일반적이며 기본적인 대상의 실체를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철학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추증 · 더보기 »

판윤

윤(判尹)은 조선의 정2품 관직으로 도읍 한성부(漢城府)의 기관장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판윤 · 더보기 »

오경

오경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오경 · 더보기 »

예문관

예문관(藝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예문관 · 더보기 »

표연말

연말(表沿沫, 1449년 ~ 1498년)은 조선의 문신이다. 본관은 신창(新昌). 자(字)는 소유(少游), 호(號)는 남계(藍溪). 아버지는 상주교수(尙州敎授) 표계(表繼)이다. 1469년(예종 1)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하고, 1472년(성종 3)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봉교(藝文館奉敎)를 거쳐 1484년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역임하였다. 과거시험에서 서거정(徐居正)의 문생이 된 인연으로 《필원잡기(筆苑雜記)》의 서문을 쓰기도 하였다. 1485년 장례원 사의(掌隷院司議)로서 《동국통감》 찬수에 참여하였다. 1486년(성종 17년) 중시 문과에 다시 급제한 뒤, 조봉대부(朝奉大夫) 수 사헌부 장령(守司憲府掌令)이 되었다. 1490년 이조참의, 대사성, 1492년 홍문관 응교(弘文館應敎), 대제학을 역임하고, 1493년 봉렬대부(奉列大夫)로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이 되었다. 1494년(연산군 즉위년)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을 역임하였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서 소릉(昭陵) 추복(追復)에 관한 사실을 사초(史草)에 적은 것과 김종직의 행장(行狀)을 미화(美化)해 썼다는 이유로 1498년(연산군 4년) 무오사화에 연루되어 경원(慶源)으로 유배가던 중 객사하였다.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 때 조위(曺偉), 정여창(鄭汝昌) 등과 함께 부관참시(剖棺斬屍)당하였다. 1507년(중종 2) 신원(伸寃)되어 함양의 남계서원(藍溪書院), 함창의 임호서원(臨湖書院)에 제향되었다. 1517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표연말 · 더보기 »

사림파

사림파(士林派) 또는 사림(士林)은 전원의 산림(山林)에서 유학을 공부하던 문인·학자로서 15세기 이후 조선 중기 중앙 정계를 주도한 정치집단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사림파 · 더보기 »

사서오경

사서오경(四書五經) 또는 사서삼경(四書三經)은 유교의 교육 및 교양 서적으로, 유교 교육의 가장 핵심적인 책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사서오경 · 더보기 »

섬진강

섬진강(蟾津江)은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의 팔공산 자락의 옥녀봉아래 데미샘에서 시작.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섬진강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성리학 · 더보기 »

성균관

성균관(成均館)은 한국의 옛 대학(大學)으로 그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 국학(國學)을 성균관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성균관 · 더보기 »

세조찬위

세조찬위(世祖簒位) 또는 세조반정(世祖反正)은 조선의 첫 번째 반정으로 1455년(단종 3) 수양대군이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를 빼앗은 일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세조찬위 · 더보기 »

소격서

소격서(昭格署)는 도교의 영향을 받아 하늘과 별에 제사를 지내던 조선의 관청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소격서 · 더보기 »

함경도

조선후기 함경도 함경도(咸鏡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함경도 · 더보기 »

함경북도

경북도(咸鏡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함경북도 · 더보기 »

함양군

양군(咸陽郡)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서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함양군 · 더보기 »

한명회

명회(韓明澮, 1415년 11월 26일 (음력 10월 25일) ~ 1487년 11월 28일 (음력 11월 14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며 외척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한명회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한성부 · 더보기 »

안향

안향 초상 (국보 제111호) 안향(安珦, 1243년 ~ 1306년)은 고려의 명신(名臣)·학자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안향 · 더보기 »

하동부대부인

동부대부인 정씨(河東府大夫人 鄭氏, 1522년 9월 23일 - 1567년 6월 24일)는 조선 중기의 왕족으로 정인지의 후손이며 조선 제14대 선조의 사친이자 덕흥대원군의 부인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하동부대부인 · 더보기 »

하동군

동군(河東郡)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최서단에 있는 군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하동군 · 더보기 »

신도비

신도비(神道碑)는 사자(死者)의 묘로(墓路), 즉 신령의 길(신도:神道)인 무덤 남동쪽에 남쪽을 향하여 묘 앞에 사람의 삶을 기록하여 세운 비를 말.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신도비 · 더보기 »

신용개

신용개(申用漑, 1463년 10월 5일 ~ 1519년 10월 3일)는 조선시대 전기, 중기의 문신, 정치인, 성리학자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신용개 · 더보기 »

신숙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 (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 (음력 6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문신·정치가이며 언어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신숙주 · 더보기 »

원종공신

원종공신(原從功臣, 元從功臣)은 각 공신녹권 중 친공신(직접적인 공신)의 아래로, 보조적인 역할을 한 공신이었.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원종공신 · 더보기 »

145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450년 · 더보기 »

145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456년 · 더보기 »

146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460년 · 더보기 »

146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467년 · 더보기 »

147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478년 · 더보기 »

148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480년 · 더보기 »

148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482년 · 더보기 »

148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483년 · 더보기 »

148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486년 · 더보기 »

148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488년 · 더보기 »

148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489년 · 더보기 »

149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490년 · 더보기 »

149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494년 · 더보기 »

149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498년 · 더보기 »

150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504년 · 더보기 »

150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506년 · 더보기 »

150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507년 · 더보기 »

151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517년 · 더보기 »

155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552년 · 더보기 »

156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566년 · 더보기 »

156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568년 · 더보기 »

157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570년 · 더보기 »

157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575년 · 더보기 »

1579년

1579년은 율리우스력에서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579년 · 더보기 »

1582년

1582년은 율리우스력에서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582년 · 더보기 »

1583년

158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583년 · 더보기 »

1586년

158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586년 · 더보기 »

1610년

161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610년 · 더보기 »

1612년

161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612년 · 더보기 »

1616년

161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616년 · 더보기 »

1659년

165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659년 · 더보기 »

1660년

166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660년 · 더보기 »

1662년

166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662년 · 더보기 »

1689년

168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1689년 · 더보기 »

3월

3월(三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세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북반구에서는 3월이 되면서 날씨가 풀리기 때문에, 대체로 이 달을 봄의 시작으로 본. 남반구는 가을이.

새로운!!: 정여창 (1450년)와 3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일두, 정여창 (조선), 정여창 (조선의 학자), 수옹 정여창.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