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큰 수

색인 큰 수

수 (大數)는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수보다 거대한 수이.

67 처지: 레너드 서스킨드, 로그, 무량대수, 무한, 미국, 가법, 거듭제곱, 곱셈, 계승, 계산 가능 함수, 광년, 관측 가능한 우주, 불가설불가설전, 그레이엄 수, 기호, 급팽창 이론, 구골, 구골플렉스, 국내총생산, 다각형, 담배, 스큐스 수, 우주, 우주론, 큰 기수, 인터넷, 일본, 정수, 조합론, 질량, 집합의 크기, 지구, 천문학, 초한수, 초실수, 캐나다, 커누스 윗화살표 표기법, 컴퓨터, 콘웨이 연쇄 화살표 표기법, 유럽, 유한, 생일 문제, 태양, 순열, , 수 목록, 수학, 수학 기호, 수학 상수, 영국 연방, ..., 연접, 연속체 가설, 세포, 센틸리언, 소수 (수론), 통계역학, 해시 함수, 알레프 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하이퍼 연산, 암호학, 아보가드로 수, 아커만 함수, 실수, 원자, MD5, 2007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7 더) »

레너드 서스킨드

서스킨드(Leonard Susskind, 1940년 ~)는 스탠포드 대학교의 펠릭스 블로흐 이론물리학 교수이.

새로운!!: 큰 수와 레너드 서스킨드 · 더보기 »

로그

''e'', 초록색은 밑이 10, 보라색은 밑이 1.7이다. 밑 값에 상관없이 모든 대수 곡선은 (1, 0)을 지난다. 로그()는 수학 함수의 일종으로, 어떤 수를 나타내기 위해 고정된 밑을 몇 번 곱하여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함수이.

새로운!!: 큰 수와 로그 · 더보기 »

무량대수

무량대수(無量大數)란 한자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수의 단위이.

새로운!!: 큰 수와 무량대수 · 더보기 »

무한

무한대 기호 ∞를 여러 가지 글씨체로 쓴 것. 무한(無限, ∞)이란 개념은 수학, 철학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서로 다른 의미로 쓰이며, 대체로 끝이 없거나 한없이 커지는 상태를 말.

새로운!!: 큰 수와 무한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큰 수와 미국 · 더보기 »

가법

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큰 수와 가법 · 더보기 »

거듭제곱

위에서 아래로: ''x''1/8, ''x''1/4, ''x''1/2, ''x''1, ''x''2, ''x''4, ''x''8. 수학에서, 거듭제곱()은 주어진 수를 주어진 횟수만큼 곱하는 연산이.

새로운!!: 큰 수와 거듭제곱 · 더보기 »

곱셈

1.

새로운!!: 큰 수와 곱셈 · 더보기 »

계승

수학에서, 자연수의 계승(階乘)은 그 수보다 작거나 같은 모든 양의 정수의 곱이.

새로운!!: 큰 수와 계승 · 더보기 »

계산 가능 함수

산 가능한 함수(computable function)는 그 함수의 결과값을 특정한 계산 방식을 따라 유한 시간 안에 얻어낼 수 있는 함수를 의미.

새로운!!: 큰 수와 계산 가능 함수 · 더보기 »

광년

광년(光年, light-year)은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거리의 단위이.

새로운!!: 큰 수와 광년 · 더보기 »

관측 가능한 우주

측 가능한 우주()는 현재 지구에서 관측될 수 있는 모든 물질로 이루어진, 우주 속의 구형 공간이.

새로운!!: 큰 수와 관측 가능한 우주 · 더보기 »

불가설불가설전

불가설불가설전(不可說不可說轉)은 화엄경에 등장하는 자연수의 하나이.

새로운!!: 큰 수와 불가설불가설전 · 더보기 »

그레이엄 수

이엄 수(Graham's number)는 미국의 수학자 로널드 그레이엄이 이름을 붙인 특정한 자연수의 명칭으로서, 수학적으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가장 큰 자연수이.

새로운!!: 큰 수와 그레이엄 수 · 더보기 »

기호

호(記號)는 어떠한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쓰이는 개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큰 수와 기호 · 더보기 »

급팽창 이론

급팽창 이론(急膨脹理論)은 물리우주론에서 우주가 매우 평탄한 이유를 초기 우주의 기하급수적인 팽창으로 설명하는 이론이.

새로운!!: 큰 수와 급팽창 이론 · 더보기 »

구골

(Googol)은 10의 100제곱을 가리키는 숫자이.

새로운!!: 큰 수와 구골 · 더보기 »

구골플렉스

렉스는 10의 구골승 (10구골)을 나타내는 수의 단위이.

새로운!!: 큰 수와 구골플렉스 · 더보기 »

국내총생산

accessdate.

새로운!!: 큰 수와 국내총생산 · 더보기 »

다각형

학에서 다각형(多角形)은 한 평면 위에 있으면서 유한개의 선분들이 차례로 이어져 이루어진 경로이.

새로운!!: 큰 수와 다각형 · 더보기 »

담배

배잎. 담배()는 담뱃잎을 주 재료로 하여 만들어진 흡연 제품이.

새로운!!: 큰 수와 담배 · 더보기 »

스큐스 수

수론에서, 스큐스 수(Skewes' number)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수학자 스탠리 스큐스가 정의한 매우 큰 수로, 를 만족하는 가장 작은 자연수를 말. 여기서 \pi(x) 는 소수 계량 함수, 즉 x 미만의 소수의 개수를 출력하는 함수이며, li(x) 는 로그 적분 함수이.

새로운!!: 큰 수와 스큐스 수 · 더보기 »

우주

우주(宇宙)란 과학적으로 또는 철학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것의 총체라 정의 할 수도 있. 표준국어대사전은 무한한 시간과 만물을 포함하고 있는 끝없는 공간의 총체로 정의..

새로운!!: 큰 수와 우주 · 더보기 »

우주론

우주론(宇宙論, 그리스어:κοσμολογία)은, 전체적인 우주, 나아가서 그 내부에서의 인간의 위치에 대한 정량적(주로 수학적)인 연구를 말. 이 단어는 최근(《일반 우주론 - Cosmologia Generalis》, 크리스챤 볼프, 1730년)에 생겼지만, 우주에 대한 연구는 과학, 철학, 비밀주의, 종교와 관련된 긴 역사를 갖고 있. 우주에 대한 사람의 생각은 끊임없이 변해 왔으며 물리학 또는 천문학의 역사와 동일시 되고 있.

새로운!!: 큰 수와 우주론 · 더보기 »

큰 기수

집합론에서, 큰 기수(큰基數)는 집합론의 표준적인 공리계(선택 공리를 추가한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로는 그 존재를 증명할 수 없는 매우 큰 기수이.

새로운!!: 큰 수와 큰 기수 · 더보기 »

인터넷

라우터를 통해 연결된 인터넷을 시각화한 그림. 인터넷(누리망)은 컴퓨터로 연결하여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라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컴퓨터 네트워크이.

새로운!!: 큰 수와 인터넷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큰 수와 일본 · 더보기 »

정수

정수들의 집합은 순서에 따라 직선 위에 나타낼 수 있다. 수학에서, 정수(整數)는 양의 정수(1, 2, 3,...) 및 음의 정수(-1, -2, -3,...) 및 0으로 이루어진 수 체계이.

새로운!!: 큰 수와 정수 · 더보기 »

조합론

조합론(組合論) 또는 조합수학(組合數學)은 유한하거나 가산적인 구조들에 대하여, 어떤 주어진 성질을 만족시키는 것들의 가짓수나 어떤 주어진 성질을 극대화하는 것을 연구하는 수학 분야이.

새로운!!: 큰 수와 조합론 · 더보기 »

질량

픽으로 재현한 질량의 단위를 나타내는 킬로그램 국제 원기. 질량(質量, mass)은 물리학에서 물질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양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큰 수와 질량 · 더보기 »

집합의 크기

집합론에서, 집합의 크기() 또는 농도(濃度)는 집합의 "원소 개수"에 대한 척도이.

새로운!!: 큰 수와 집합의 크기 · 더보기 »

지구

(地球, Earth)는 태양으로 부터 세번째 행성이며, 엷은 대기층으로 둘러싸여 있고, 지구형 행성 중에서 가장.

새로운!!: 큰 수와 지구 · 더보기 »

천문학

불규칙은하인 대마젤란 은하의 별 생성영역. 초신성 잔해의 하나인 게 성운 천문학(天文學)은 별이나 행성, 혜성, 은하와 같은 천체와, 지구 대기의 바깥쪽으로부터 비롯된 현상(예를 들면,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큰 수와 천문학 · 더보기 »

초한수

수학에서, 초한수(超限數)는 유한한 수를 제외한 순서수와 기수를 뜻. 모든 유한한 수보다 크지만, 절대적 무한은 아. 게오르크 칸토어가 절대적 무한과 구별하기 위해 처음 사용한 용어이.

새로운!!: 큰 수와 초한수 · 더보기 »

초실수

실수선은 실수선보다 더 조밀하다. 실수선 위의 각 점은 이에 무한히 가까운 무한한 수의 초실수들에 대응한다. 반대로, 표준 부분 함수는 유한 초실수를 가장 가까운 실수로 대응시킨다. 비표준 해석학에서, 초실수(超實數)는 무한대와 무한소를 포함하지만 실수에 대한 모든 1차 논리 명제가 그대로 성립하는 수 체계이.

새로운!!: 큰 수와 초실수 · 더보기 »

캐나다

()는 북아메리카 북부의 연방 국가이.

새로운!!: 큰 수와 캐나다 · 더보기 »

커누스 윗화살표 표기법

스 윗화살표 표기법(Knuth's up-arrow notation)은 도널드 커누스가 1976년에 개발한 아주 큰 수를 표기하는 방법이.

새로운!!: 큰 수와 커누스 윗화살표 표기법 · 더보기 »

컴퓨터

() 또는 셈틀은 수식이나 논리적 언어로 표현된 일련의 산술 연산이나 논리 연산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지시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는 장치(device).

새로운!!: 큰 수와 컴퓨터 · 더보기 »

콘웨이 연쇄 화살표 표기법

웨이 연쇄 화살표 표기법(Conway chained arrow notation)은 존 호턴 콘웨이가 개발한 아주 큰 수를 표기하는 방법이.

새로운!!: 큰 수와 콘웨이 연쇄 화살표 표기법 · 더보기 »

유럽

리 받아들여지는 '''유럽'''의 정의:- 녹색은 지리적 유럽- 진한 파랑색은 문화적 유럽 (옅은 파랑색은 유럽 국가의 아시아 부분) 유럽() 또는 구주(한자: 歐洲), 구라파(한자: 歐羅巴)는 대륙 중 하나로, 우랄 산맥과 캅카스 산맥, 우랄 강, 카스피 해, 흑해와 에게 해의 물길을 분수령으로 하여 아시아와 구분한 지역을 일컫.

새로운!!: 큰 수와 유럽 · 더보기 »

유한

유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큰 수와 유한 · 더보기 »

생일 문제

모인 사람 수에 따라 생일이 같은 두 사람이 있을 확률이 얼마나 되는지를 보이는 그래프. 가로축이 사람 수,그리고 세로축이 확률을 나타낸다. 23명이 모였을 때 확률이 0.5를 넘어감을 보여 준다. 생일 문제(生日問題)란 사람이 임의로 모였을 때 그 중에 생일이 같은 두 명이 존재할 확률을 구하는 문제이.

새로운!!: 큰 수와 생일 문제 · 더보기 »

태양

1992년에 촬영한 태양 모습. 태양 표면에 있는 흑점이 보인다. 태양(太陽)은 태양계 중심에 있으며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또는 별)이.

새로운!!: 큰 수와 태양 · 더보기 »

순열

3개의 서로 다른 공에 대한 총 6가지의 순열 루빅스 큐브의 면에 대한 회전은 그 면의 9개의 색깔에 대한 한 가지 순열이다. 수학에서, 순열(順列) 또는 치환(置換)은 순서가 부여된 임의의 집합을 다른 순서로 뒤섞는 연산이.

새로운!!: 큰 수와 순열 · 더보기 »

수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큰 수와 수 · 더보기 »

수 목록

수 목록은 다음과 같.

새로운!!: 큰 수와 수 목록 · 더보기 »

수학

수학(數學)은 양, 구조, 공간, 변화 등의 개념을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큰 수와 수학 · 더보기 »

수학 기호

수학 기호는 수학에서 쓰는 기호이며 수, 계산, 논리 등 수학의 개념을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

새로운!!: 큰 수와 수학 기호 · 더보기 »

수학 상수

수학에서 상수란 그 값이 변하지 않는 불변량으로, 변수의 반대말이.

새로운!!: 큰 수와 수학 상수 · 더보기 »

영국 연방

영국 연방(英國聯邦)은 영국 본국과 함께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 옛날 영국의 식민지였던 52개의 국가로 구성된 국제 기구이.

새로운!!: 큰 수와 영국 연방 · 더보기 »

연접

연접(連接, 시냅스)이란 한 뉴런에서 다른 세포로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지점이.

새로운!!: 큰 수와 연접 · 더보기 »

연속체 가설

집합론에서, 연속체 가설(連續體假說,, 약자 CH)은 실수 집합의 모든 부분 집합은 가산 집합이거나 아니면 실수 집합과 크기가 같다는 명제이.

새로운!!: 큰 수와 연속체 가설 · 더보기 »

세포

배양중인 세포. 각질은 붉은색으로, DNA는 녹색으로 염색되어 있다. 세포(細胞)는 지구상 대다수 유기체의 기본 구조 및 활동 단위이.

새로운!!: 큰 수와 세포 · 더보기 »

센틸리언

센틸리언(Centillion)은 short scale로는 10303, long scale로는 10600이.

새로운!!: 큰 수와 센틸리언 · 더보기 »

소수 (수론)

소수(素數, 발음: 소쑤)는 자신보다 작은 두 개의 자연수를 곱하여 만들 수 없는, 1보다 큰 자연수이.

새로운!!: 큰 수와 소수 (수론) · 더보기 »

통계역학

통계역학(統計力學) 또는 통계물리학(統計物理學)은 통계학의 방법을 이용하여 역학의 문제를 푸는 물리학의 기초 이론 중. 통계역학은 입자가 무척 많거나, 대상의 운동이 무척 복잡하여 확률적 해석이 중요해지는 현상을 주로 다루며, 핵반응 현상이나 생물학, 화학 등 여러 분야에 적용.

새로운!!: 큰 수와 통계역학 · 더보기 »

해시 함수

이름을 0~15 사이의 정수값으로 매핑하는 해시 함수의 예. “John Smith”와 “Sandra Dee”라는 두 키 사이에 충돌이 존재한다. 해시 함수(hash function)는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이.

새로운!!: 큰 수와 해시 함수 · 더보기 »

알레프 수

집합론에서, 알레프 수(ℵ數)는 무한 기수를 나타내는 표기법이.

새로운!!: 큰 수와 알레프 수 · 더보기 »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2.5인치 하드 디스크 전후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는 비휘발성, 순차접근이 가능한 컴퓨터의 보조 기억 장치이.

새로운!!: 큰 수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 더보기 »

하이퍼 연산

수학에서 하이퍼 연산 수열(Hyperoperation sequence)은 하이퍼 연산이라 불리는 덧셈, 곱셈, 거듭제곱으로 시작하는 이항연산 수열이.

새로운!!: 큰 수와 하이퍼 연산 · 더보기 »

암호학

200px 암호학(暗號學)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언어학적 및 수학적 방법론을 다루는 학문으로 수학을 중심으로 컴퓨터, 통신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 공동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 초기의 암호는 메시지 보안에 초점이 맞추어져 군사 또는 외교적 목적으로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메시지 보안이외에도 인증, 서명 등을 암호의 범주에 포함시켜 우리의 일상에서 떼 놓을 수 없는 중요한 분야가 되었.

새로운!!: 큰 수와 암호학 · 더보기 »

아보가드로 수

아보가드로 수(NA)는 몰질량을 포함한 1mol의 구성 입자(원자, 분자, 이온 등) 속에 들어 있는 입자의 수이.

새로운!!: 큰 수와 아보가드로 수 · 더보기 »

아커만 함수

산 가능성 이론에서, 빌헬름 아커만의 이름을 딴 아커만 함수(Ackermann函數)는 가장 간단하고 가장 먼저 발견된 원시 재귀 함수가 아닌 완전히 정의된 계산 가능 함수의 예시이.

새로운!!: 큰 수와 아커만 함수 · 더보기 »

실수

실수을 수직선으로 나타낸 것 수학에서, 실수(實數)는 주로 실직선 위의 점 또는 십진법 전개로 표현되는 수 체계이.

새로운!!: 큰 수와 실수 · 더보기 »

원자

원자(原子, atom)는 화학 반응을 통해 더 쪼갤 수 없는 단위를 말. 현대 물리학의 관점에서 볼 때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자핵은 중성자와 양성자로 구성.

새로운!!: 큰 수와 원자 · 더보기 »

MD5

MD5(Message-Digest algorithm 5)는 128비트 암호화 해시 함수이.

새로운!!: 큰 수와 MD5 · 더보기 »

2007년

20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큰 수와 2007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수 (수학).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