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라그랑주 역학

색인 라그랑주 역학

팽이의 세차 운동은 뉴턴 역학을 통해선 분석이 매우 까다롭지만, 라그랑주 역학을 통해선 비교적 쉽게 분석이 가능하다. 라그랑주 역학()은 조제프루이 라그랑주가 고전역학을 새롭게 공식화하여 그의 논문 《해석 역학》 을 통해 1788년에 발표한 이론이.

30 처지: 라그랑지언, 목적론, 물리학, 간섭 (파동 전파), 경로 적분 공식화, 고전역학, 보존 법칙, 보존력, 기울기 (벡터), 대칭, 교환자, 뇌터 정리, 운동 에너지, 장 (물리학), 작용, 퍼텐셜, 인과관계, 일반화 좌표, 전자기학,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직교 좌표계, 파동 함수, 위치 에너지,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 양자역학, 양자화 (물리학), 해밀턴 역학, 해밀턴의 원리, 홀로노믹, 1788년.

라그랑지언

랑주 역학에서, 라그랑지언(Lagrangian)이란 계의 동역학을 나타내는 함수.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라그랑지언 · 더보기 »

목적론

목적론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목적론 · 더보기 »

물리학

물리학(物理學)은 물질과,리처드 파인만은 원자론을 다루는 《파이만의 물리학 강의》(The Feynman Lectures on Physics)에서 "대격변이 일어나 모든 과학 지식이 없어진다고 해도, 다음의 단 한 문장만 다음 세대에 전달되면 다시 모든 과학 지식이 구축될 수 있다고 믿습.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물리학 · 더보기 »

간섭 (파동 전파)

'''두 원형파들의 간섭''' - 파장(아래서부터 위로 감소)과 두 파의 중심간의 거리 (오른쪽으로 갈수록 증가). (실수 값의, 스칼라) 파형 분포의 절댓값 스냅샷. 시간이 지날수록, 파면은 두 파의 중심들에서 바깥쪽으로 나오지만, (상쇄 간섭이 생기는) 어두운 지역은 고정되어 있다. 간섭(干涉) 현상은 물리학에서 파동이 위상을 지니기 때문에 발생하는 진폭의 공간적인 보강과 상쇄 현상을 말. 일반적으로 두 개 이상의 파가 동시에 한 점에 도달했을 때 그 점에서 이들의 파가 강하게 합쳐지거나 약하게 합쳐지는 현상을 파의 간섭이.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간섭 (파동 전파) · 더보기 »

경로 적분 공식화

양자역학에서 경로 적분(經路積分, path integral)은 해밀턴의 원리를 일반화하여 양자론을 기술하는 방법이.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경로 적분 공식화 · 더보기 »

고전역학

전역학(古典力學)은 물체에 작용하는 힘과 운동의 관계를 설명하는 물리학이.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고전역학 · 더보기 »

보존 법칙

물리학에서 보존 법칙(保存法則, conservation law)은 물리계의 상태가 변화할 때 바뀌지 않는 불변량을 말.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보존 법칙 · 더보기 »

보존력

중력은 보존력이기 때문에 중력이 물체에 대해 한 일은 물체의 높이의 변화에 의해서만 결정되며, 물체가 움직인 경로와는 무관하다. 보존력(conservative force)은 물체의 퍼텐셜 에너지 변화가 물체의 이동 경로와 무관한 힘이.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보존력 · 더보기 »

기울기 (벡터)

위의 두 그림에서는 회색의 밝기가 스칼라계의 크기를 뜻한다. 짙은 색일수록 크기가 큰데, 스칼라계의 기울기는 파란색 화살표로 나타냈다. 기울기(그레이디언트)란 벡터 미적분학에서 스칼라장의 최대의 증가율을 나타내는 벡터장을 뜻. 기울기를 나타내는 벡터장을 화살표로 표시할 때 화살표의 방향은 증가율이 최대가 되는 방향이며, 화살표의 크기는 증가율이 최대일 때의 증가율의 크기를.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기울기 (벡터) · 더보기 »

대칭

(좌) 대칭 (우) 비대칭 구체 대칭군 대칭(對稱) 또는 대칭성(對稱性)은 균형 또는 반복적 자기 닮음이.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대칭 · 더보기 »

교환자

에서, 교환자(交換子)는 두 원소 사이의 교환 법칙의 실패를 측정하는 이항 연산이.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교환자 · 더보기 »

뇌터 정리

물리학에서, 뇌터의 정리(-定理)란 어떤 미분가능한 한 물리계의 작용의 대칭성이 하나의 보존법칙에 대응된다는 것이.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뇌터 정리 · 더보기 »

운동 에너지

운동 에너지 (運動-, kinetic energy)는 운동하고 있는 물체 또는 입자가 갖는 에너지이.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운동 에너지 · 더보기 »

장 (물리학)

막대자석의 자기장 장(場, field)또는 마당이란 공간상의 각 지점마다 다른 값을 갖는 물리량을 일컫는 용어이.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장 (물리학) · 더보기 »

작용

작용(作用)은 보통의 물건이 다른 물건에 미치는 영향이나 효과를 가리키며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작용 · 더보기 »

퍼텐셜

셜(Potential)은 "잠재력"을 뜻하는 물리학 용어이.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퍼텐셜 · 더보기 »

인과관계

인과관계(因果關係)는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말. 인과(因果)인과율(因果律) 또는 인과성(因果性)이.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인과관계 · 더보기 »

일반화 좌표

일반화 좌표(generalized coordinates)는 물리적 계를 더 쉽게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매개변수의 집합을 말. 데카르트 좌표계가 표준이던 시절에 붙여진 이름이.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일반화 좌표 · 더보기 »

전자기학

전자기학(電磁氣學)은 전기와 자기 현상을 탐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전자기학 · 더보기 »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조제프루이 라그랑주(1736년 1월 25일 ~ 1813년 4월 10일) 은 토리노, 피에몬테에서 태어난 이탈리아 태생, 프랑스와 프로이센에서 활동한 프랑스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이.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 더보기 »

직교 좌표계

직교 좌표계(直交座標系) 혹은 좌표평면(座標平面)은 임의의 차원의 유클리드 공간(혹은 좀 더 일반적으로 내적 공간)을 나타내는 좌표계 중 하나이.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직교 좌표계 · 더보기 »

파동 함수

양자역학에서, 파동 함수(波動函數, wavefunction)는 양자역학적 계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복소 함수이다. 고전적인 파동 방정식을 따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지만, 고전적인 파동과는 여러 면에서 다르다. 파동 함수의 절댓값의 제곱은 입자가 특정 위치에 존재할 확률 밀도 함수이다 (보른 해석, Born interpretation). 수학적으로, 파동 함수의 집합은 힐베르트 공간을 이룬다. 즉, 파동 함수는 힐베르트 공간 안의 벡터로 간주할 수 있다.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파동 함수 · 더보기 »

위치 에너지

위치 에너지(퍼텐셜 에너지)는 물리학에서, 물체나 계에 저장되는 에너지로, 보존력에 대한 그 물체의 상대적인 위치에 의해 결정.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위치 에너지 · 더보기 »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Euler-Lagrange方程式, Euler–Lagrange equation)은, 어떤 함수와 그 도함수에 의존하는 범함수의 극대화 및 정류화 문제를 다루는 미분 방정식이.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 · 더보기 »

양자역학

양자역학(量子力學)은 분자, 원자, 전자, 소립자와 미시적인 계의 현상을 다루는 즉, 작은 크기를 갖는 계의 현상을 연구하는 물리학의 분야이.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양자역학 · 더보기 »

양자화 (물리학)

물리학에서, 양자화(量子化)란 좁은 의미에서 거시적으로 연속적인 양을 어떤 기본 단위(양자)의 정수배로 측정하는 양으로 재해석하는 것을 뜻. 예를 들어, 고전적으로 연속적으로 나타내어지는 전하는 미지적으로는 기본전하의 정수배(혹은 쿼크의 경우 ⅓배)로 나타내어.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양자화 (물리학) · 더보기 »

해밀턴 역학

밀턴 역학의 창시자, 윌리엄 로언 해밀턴 해밀턴 역학(Hamilton力學, Hamiltonian mechanics)은 고전역학적 계를 좌표와 이에 대응하는 운동량으로 이루어진 위상 공간으로 나타내어 다루는 해석 역학 이론이.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해밀턴 역학 · 더보기 »

해밀턴의 원리

밀턴의 원리(Hamilton's principle)란 미분방정식을 사용한 고전역학의 기술방식과는 달리 변분법을 사용해 적분방정식으로 고전역학을 기술하는 원리이.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해밀턴의 원리 · 더보기 »

홀로노믹

수학과 물리학에서, 홀로노믹(holonomic)이란 여러 의미로 사용.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홀로노믹 · 더보기 »

1788년

178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라그랑주 역학와 1788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라그랑주 동역학, 라그랑주 방정식, 라그랑주 운동 방정식, 라그랑주 운동방정식, 라그랑주동역학, 라그랑주방정식, 라그랑주역학, 라그랑즈 동역학, 라그랑즈 운동 방정식, 라그랑즈 운동방정식, 라그랑즈 역학, 라그랑즈동역학, 라그랑즈역학, 라그랑지 동역학, 라그랑지 방정식, 라그랑지 운동 방정식, 라그랑지 운동방정식, 라그랑지 역학, 라그랑지동역학, 라그랑지방정식, 라그랑지역학, 라그랑지안 역학, 라그랑지안역학.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