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박규수

색인 박규수

박규수(朴珪壽, 1807년 10월 27일 ~ 1877년 2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

237 처지: 러시아, 돈녕부, 도봉산, 도승지, 동치제, 로마 가톨릭교회, 로버트 저메인 토머스, 룡강군, 메이지 유신, 명성황후, 명성황후 (드라마), 미국, 민규식, 민영익, 민영환, 감사, 개화당, 반계수록, 반남 박씨, 갑오개혁, 갑신정변, 박명원, 박병호, 박제가, 박제순, 박정양, 박종경, 박종채, 박중양, 박준원, 박지원, 박지원 (1737년), 박영교, 박영효, 박사유, 박필균, 박원양, 강화도 조약, 가우룽반도, 베이징 조약, 베이징 시, 경복궁, 경기도, 벽파, 경상도, 고종, 보은군, 보성중학교 (서울), 과거제, 공조 (행정기관), ..., 병인박해, 병인양요, 병조, 계동, 광주군 (경기도), 관찰사, 북인, 북학, 북학의, 붕당, 부안군, 기로소, 기계, 기계 유씨, 금석학, 김이교, 김정희, 김종수 (1728년), 김윤식, 김옥균, 김홍집, 김홍집 (1842년), 대동강, 대광보국숭록대부, 대제학, 대사헌, 대사성, 대한제국, 대한제국 고종, 대한제국 순종, 대원군, 국사편찬위원회, 두루미, 남인, 노론, 노원구, 논어, 우의정, 운요호 사건, 승문원, 승정원, 자명종, 장령, 평양직할시, 평안도, 흥친왕, 흥선대원군, 이덕무, 이동인, 이건창, 이인좌의 난, 이익, 이조, 이유원, 이상재, 이항로, 이시영, 이왕직, 일본, 일제 강점기, 제2차 아편 전쟁, 제국주의, 제너럴셔먼호 사건, 제조업, 제학, 전라북도, 전주 류씨, 정랑, 정약용, 조선, 조선 문조, 조선 인조, 조선 철종, 조선 헌종, 조선의 과거 제도,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의 품계, 조선학회, 종묘, 종묘배향공신, 중국, 중국 문명, 진주민란, 지구, 지구의, 지평, 지사, 찬란한 여명, 참의, 참판, 청나라, 청일 전쟁, 천문, 충청북도, 추증, 유길준, 유수, 유수원, 유형원, 유한준, 유학, 유홍기 (1831년), 윤치호, 윤휴, 윤웅렬, 파리 외방전교회, 위정척사, 위안스카이, 생원, 수계, 수빈 박씨, 수원군, 수원시, 영의정, 영혜옹주, 영어, 오경석, 오세창, 예문관, 예조, 현령, 현감, 형조, 최익현, 어윤중, 양무운동, 양주군, 역경, 연경, 연안 이씨, 연암집, 열하일기, 풍양 조씨, 품계, 사간원, 사헌부, 삼정의 문란, 피서산장, 프랑스, 프리모르스키 지방, 선교사, 성균관, 성균관대학교, 세도정치, 세계 지도, 서라벌고등학교, 서광범, 서울특별시, 서재필, 서유구, 서양화, 소론, 톈진 시, 통역, 함풍제, 해리 파크스, 해시계, 한국 전쟁, 한국방송공사, 한성부, 한성부판윤, 안동 김씨, 안경수, 암행어사, 신미양요, 신응조, 신정왕후 (조선), 실용주의, 실학, 실학박물관, 시계, 홍문관, 홍대용, 홍콩, 홍순목, 홍영식, 황현, 황해도, 화산, 10월 27일, 12월 27일, 1807년, 1877년, 2월, 2월 9일, 5월 27일, 8월 2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87 더) »

러시아

시아 연방() 또는 러시아()는 동유럽과 북아시아에 걸쳐 있는 연방제 국가로, 세계에서 가장 영토가 넓은 국가이.

새로운!!: 박규수와 러시아 · 더보기 »

돈녕부

녕부(敦寧府)는 조선 시대의 왕과 왕비의 친인척을 관리하던 관청이.

새로운!!: 박규수와 돈녕부 · 더보기 »

도봉산

봉산(道峰山)은 서울특별시 도봉구와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양주시 장흥면에 걸쳐있는 산이.

새로운!!: 박규수와 도봉산 · 더보기 »

도승지

승지(都承旨)는 조선의 정3품 당상관직으로 도령(都令)으로도 불리었.

새로운!!: 박규수와 도승지 · 더보기 »

동치제

동치제(同治帝, 1856년 4월 27일 ~ 1875년 1월 12일)은 중국 청 왕조의 제10대 황제(재위 1861년 ~ 1874년)이.

새로운!!: 박규수와 동치제 · 더보기 »

로마 가톨릭교회

마 가톨릭교회(), 천주교(天主敎) 또는 가톨릭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명의 신자를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기독교 교파이.

새로운!!: 박규수와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로버트 저메인 토머스

버트 저메인 토머스(Robert Jermain Thomas, 1840년 ~ 1866년)는 웨일스의 개신교 선교사이.

새로운!!: 박규수와 로버트 저메인 토머스 · 더보기 »

룡강군

룡강군(龍岡郡)은 남포특별시의 군이.

새로운!!: 박규수와 룡강군 · 더보기 »

메이지 유신

메이지 유신()은 막번 체제를 해체하고 왕정 복고를 통한 중앙 통일 권력의 확립에 이르는 광범위한 변혁 과정을 총칭.

새로운!!: 박규수와 메이지 유신 · 더보기 »

명성황후

쪽.

새로운!!: 박규수와 명성황후 · 더보기 »

명성황후 (드라마)

《명성황후》(明成皇后)는 2001년 5월 9일부터 2002년 7월 18일까지 한국방송공사에서 방영한 특별기획 드라마.

새로운!!: 박규수와 명성황후 (드라마)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박규수와 미국 · 더보기 »

민규식

민규식(閔奎植, 1888년 9월 30일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금융인 겸 기업인으로, 민영휘의 차남이며, 본관은 여흥, 본적은 경성부 삼청정이.

새로운!!: 박규수와 민규식 · 더보기 »

민영익

민영익 민영익(閔泳翊, 1860년~1914년 중국 상하이)은 조선의 정치인이.

새로운!!: 박규수와 민영익 · 더보기 »

민영환

민영환(閔泳煥, 1861년 8월 7일(음력 7월 2일) ~ 1905년 11월 30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대신(大臣)이자 척신이.

새로운!!: 박규수와 민영환 · 더보기 »

감사

사(監査)는 행정관청·지방공공단체·영조물의 사무처리나 경리·회계의 실태를 조사하여 그 결함을 지적하고 주의를 주는 일을 말. 재무감사와 사무감사로 나뉘며 전자는 경리지출의 조사, 후자는 사무처리의 상황조사 및 합리화를 목적으.

새로운!!: 박규수와 감사 · 더보기 »

개화당

화당(開化黨)은 1874년(고종 11년) 경 김옥균(金玉均), 박영교(朴泳敎), 박영효(朴泳孝), 서광범(徐光範) 등이 중심이 되어 만들어졌.

새로운!!: 박규수와 개화당 · 더보기 »

반계수록

반계수록 본문의 일부 《반계수록》(磻溪隨錄)은 1670년(현종 11년)에 완성되어 1769년(영조 45년)에 간행된 반계 유형원의 대표적인 저술로서 국가체제에 관한 책이.

새로운!!: 박규수와 반계수록 · 더보기 »

반남 박씨

반남 박씨(潘南 朴氏)는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박규수와 반남 박씨 · 더보기 »

갑오개혁

군국기무처 갑오개혁(甲午改革)은 1894년 7월 27일(음력 6월 25일)부터 1895년 7월 6일(음력 윤5월 14일)까지 조선 정부에서 전개한 제도 개혁을 말. 10년 전 갑신정변의 실패 후 망명했던 개화파들이 청일전쟁에 승리한 일본의 위세를 업고 돌아와 추진한 일본식 개혁으로서 갑오경장(甲午更張)이라고도 불. 내각의 변화에 따라 제1차 갑오개혁과 제2차 갑오개혁으로 세분하며, 이후 을미개혁(제3차 갑오개혁)으로 이어.

새로운!!: 박규수와 갑오개혁 · 더보기 »

갑신정변

김옥균 홍영식 갑신정변(甲申政變) 또는 갑신혁명(甲申革命)은 1884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쿠데타)이.

새로운!!: 박규수와 갑신정변 · 더보기 »

박명원

박명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박규수와 박명원 · 더보기 »

박병호

박병호는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박규수와 박병호 · 더보기 »

박제가

박제가 박제가(朴齊家, 1750년 11월 5일 ~ 1815년 4월 25일)는 조선 후기의 정치가, 외교관, 통역관, 실학자로 북학파의 거두이.

새로운!!: 박규수와 박제가 · 더보기 »

박제순

박제순(朴齊純, 1858년 12월 7일 ~ 1916년 6월 20일)은 조선의 문신이자 외교관, 대한제국의 정치인, 외교관이.

새로운!!: 박규수와 박제순 · 더보기 »

박정양

박정양, 1888년 박정양(朴定陽, 1842년 2월 4일(1841년 음력 12월 24일) ~ 1905년 12월 15일(음력 11월 1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교관, 내각총리대신, 대한제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박규수와 박정양 · 더보기 »

박종경

박종경(朴宗慶, 1765년 ~ 181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박규수와 박종경 · 더보기 »

박종채

혜전 박종채(朴宗采, 1780년 ~ 1835년 11월 13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박규수와 박종채 · 더보기 »

박중양

박중양(朴重陽, 일본식 이름: 朴忠重陽 호추 시게요,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은 일본과 대한제국의 관료, 외교관이며, 일제시대의 관료, 사상가이.

새로운!!: 박규수와 박중양 · 더보기 »

박준원

박준원(朴準源, 1739년 ~ 1807년)은 조선 시대의 문관이.

새로운!!: 박규수와 박준원 · 더보기 »

박지원

박지원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박규수와 박지원 · 더보기 »

박지원 (1737년)

박지원(朴趾源, 1737년 3월 5일(음력 2월 5일) ~ 1805년 12월 10일(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사상가, 외교관, 소설가이.

새로운!!: 박규수와 박지원 (1737년) · 더보기 »

박영교

박영교(朴泳敎, 1849년 ~ 1884년 12월 7일(1884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 혁신파 정객으로 자는 자명(子明), 본관은 반남, 시호는 충목이다. 박원양의 아들이자, 박영효의 형이다. 관직은 통정대부 승정원도승지에 이르렀다. 박규수, 유대치의 문인이다. 일찍부터 먼 친척이자 개화사상가인 재동 박규수의 문하에 출입하며 수학했고 이어 유대치의 문하에도 출입했다. 이어 동생인 박영효 역시 박규수와 유대치의 문하에 출입하게 하여 수학케 했다. 1881년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1884년 동생 박영효, 김옥균, 홍영식 등과 모의하여 갑신정변을 일으키는데 가담, 승정원도승지가 되었으나 3일만에 왕비 민씨의 청나라 군대 요청으로 거사가 좌절되자 북관동묘까지 고종을 끝까지 호위하다가 청나라 군사들에게 홍영식과 함께 살해당했다. 사후 규장각제학에 추증되었다.

새로운!!: 박규수와 박영교 · 더보기 »

박영효

박영효(朴泳孝, 1861년 ~ 1939년 양력 9월 21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 사상가로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박규수와 박영효 · 더보기 »

박사유

박사유(朴師愈, 1703년 - 1767년 6월 2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박규수와 박사유 · 더보기 »

박필균

박필균(朴弼均, 1685년 1월 1일 ∼ 1760년 8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영조의 탕평책에 반대하여 노론의 맹작으로 활동하였.

새로운!!: 박규수와 박필균 · 더보기 »

박원양

박원양(朴元陽, 1804년 ~ 1884년 12월 17일(1884년 음력 11월 1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교육자, 정치인이다. 박영교, 개화파의 핵심인물이자 갑신정변의 주동자인 박영효 형제의 아버지이며 박제당의 아들이다. 1871년 아들 박영효가 철종의 고명딸 영혜옹주와 결혼하면서 여러번 승진하여 도총부 부총관, 공조판서에 올랐다. 갑신정변에 연좌되어 삭탈관직당하고 의금부에서 굶어 죽었다. 뒤에 아들 박영효의 상소로 복관되고 사후 증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정간(貞簡)의 시호가 내려졌다. 자(字)는 경유(景猷), 본관 반남(潘南)이고 시호는 정간이다. 수원군 출신.

새로운!!: 박규수와 박원양 · 더보기 »

강화도 조약

조일수호조규를 묘사한 그림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 또는 강화도 조약(江華島條約)은 1876년 2월 27일(고종 13년 음력 2월 3일) 조선과 일본 제국 사이에 체결된 조약이.

새로운!!: 박규수와 강화도 조약 · 더보기 »

가우룽반도

홍콩 섬에서 바라 본 가우룽 반도 가우룽 반도()는 홍콩에 속하는 중국 본토 남부에 위치하는 반도이.

새로운!!: 박규수와 가우룽반도 · 더보기 »

베이징 조약

베이징 조약의 내용 베이징 조약(북경조약)은 아편 전쟁의 결과로, 1860년 10월 18일에 청나라가 영국, 프랑스, 러시아와 체결한 조약이.

새로운!!: 박규수와 베이징 조약 · 더보기 »

베이징 시

베이징(북경)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이.

새로운!!: 박규수와 베이징 시 · 더보기 »

경복궁

경복궁(景福宮)은 대한민국 서울 세종로에 있는 조선 왕조의 법궁(法宮, 정궁)이.

새로운!!: 박규수와 경복궁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박규수와 경기도 · 더보기 »

벽파

벽파(僻派)는 조선 정조 시기 정조의 탕평책을 반대한 세력이.

새로운!!: 박규수와 벽파 · 더보기 »

경상도

경상도 경상도(慶尙道)는 경상남도, 경상북도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영남 지방(嶺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박규수와 경상도 · 더보기 »

고종

종(高宗)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로, 오랫동안 재위하며 나라를 수성한 제왕에게 올려지는 묘호이.

새로운!!: 박규수와 고종 · 더보기 »

보은군

보은군(報恩郡)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중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박규수와 보은군 · 더보기 »

보성중학교 (서울)

보성중학교(普成中學校)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에 위치한 사립 중학교이.

새로운!!: 박규수와 보성중학교 (서울) · 더보기 »

과거제

북송의 과거 과거(科擧)는 중국과 한국 등에서 시험을 치러서 관리를 뽑는 제도이.

새로운!!: 박규수와 과거제 · 더보기 »

공조 (행정기관)

공조(工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박규수와 공조 (행정기관) · 더보기 »

병인박해

thumb 병인박해(丙寅迫害)는 1866년(고종 3년) 조선 말기 흥선대원군 정권의 대규모의 천주교 탄압을 말. 병인사옥(丙寅邪獄)이라고도 하며, 당시 6천여 명의 평신도와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 출신의 선교사 등이 처형된 사건이.

새로운!!: 박규수와 병인박해 · 더보기 »

병인양요

병인양요(丙寅洋擾)는 1866년(고종 3년)에 흥선대원군의 천주교 탄압인 병인박해를 구실로 삼아 외교적 보호(diplomatic protection)를 명분으로 하여 프랑스가 일으킨 전쟁이.

새로운!!: 박규수와 병인양요 · 더보기 »

병조

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박규수와 병조 · 더보기 »

계동

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박규수와 계동 · 더보기 »

광주군 (경기도)

광주군(廣州郡)은 경기도 광주시의 2001년 3월까지의 행정구역이.

새로운!!: 박규수와 광주군 (경기도) · 더보기 »

관찰사

사(觀察使)는, 중국 당대(唐代)에서 비롯하여 훗날 한국의 조선(朝鮮), 나아가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초기 일본에도 설치되었던 지방행정 감찰을 맡은 관직이.

새로운!!: 박규수와 관찰사 · 더보기 »

북인

북인(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박규수와 북인 · 더보기 »

북학

북학(北學)은 조선 후기 실학의 한 유파이.

새로운!!: 박규수와 북학 · 더보기 »

북학의

《북학의》(北學議)는 조선 정조 때 북학파인 박제가가 쓴 책이.

새로운!!: 박규수와 북학의 · 더보기 »

붕당

붕당(朋黨)은 조선 중기 이후 특정한 학문적·정치적 입장을 공유하는 양반들이 모여 구성한 정치 집단이.

새로운!!: 박규수와 붕당 · 더보기 »

부안군

부안군(扶安郡)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서부 변산반도에 있는 군이.

새로운!!: 박규수와 부안군 · 더보기 »

기로소

소(耆老所)는 조선시대에 연로한 문신(文臣)들을 예우하기 위해 설치한 명예기구이.

새로운!!: 박규수와 기로소 · 더보기 »

기계

(機械)는 동력을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도구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박규수와 기계 · 더보기 »

기계 유씨

유씨(杞溪 兪氏)는 경상북도 포항시 기계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박규수와 기계 유씨 · 더보기 »

금석학

영국 박물관의 로제타석. 금석학(金石學, Epigraphy), 비문학(碑文學), 금석 문학은 금석문을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박규수와 금석학 · 더보기 »

김이교

이교 1811년 조선통신사 인물도에서 흑단령을 입은 김이교의 모습 김이교(金履喬, 1764년 ~ 1832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박규수와 김이교 · 더보기 »

김정희

정희가 그린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 김정희(金正喜, 정조 10년(1786년) 6월 3일(1786년 6월 28일) ~ 철종 7년(1856년) 10월 10일(1856년 11월 7일))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서예가, 금석학자, 고증학자, 화가, 실학자이.

새로운!!: 박규수와 김정희 · 더보기 »

김종수 (1728년)

종수(金鍾秀, 1728년 ~ 1799년 1월 7일)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박규수와 김종수 (1728년) · 더보기 »

김윤식

윤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박규수와 김윤식 · 더보기 »

김옥균

옥균(金玉均, 1851년 2월 23일 ~ 1894년 3월 28일)은 조선 말기의 정치가, 사상가,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박규수와 김옥균 · 더보기 »

김홍집

홍집은 다음과 같은 사람이 있.

새로운!!: 박규수와 김홍집 · 더보기 »

김홍집 (1842년)

홍집(金弘集, 1842년 ~ 1896년 2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 정치가이다. 자(字)는 경능(敬能), 호는 도원(道園)·이정학재(以政學齋), 시호는 충헌(忠獻), 본관은 경주이다. 1880년 수신사 일행으로 일본을 방문한 뒤, 신문물을 견학하고 돌아와 개화, 개항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한편으로 위정척사파 계열 인사들도 중용하는 등의 정책을 펼쳤으나 급진 개화파로 몰렸고, 1884년 갑신정변(甲申政變) 진압 후 우의정, 좌의정 등으로 전권대신(全權大臣)이 되어 한성조약(漢城條約)을 체결하였다. 그 뒤 1896년 관제 개정 이후 동학 농민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끌어들인 일본측의 지원으로 총리대신이 되었으며, 총리대신 재직 중 신분제 폐지, 단발령 등을 강행하는 한편, 함께 일본의 도움으로 개혁, 개방을 단행한 뒤에는 친일파로 몰려 아관파천 때 친러파의 군인들에게 살해당하였다. 원래 이름은 김홍집(金弘集)이었으나, 청 고종(高宗) 건륭황제의 휘가 ‘홍력’(弘歷)이었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김굉집(金宏集)으로 가운데 자(字)를 바꾸었다. 조선말기의 문신이자 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부통령을 지낸 이시영은 그의 사위였다. 박규수, 오경석, 강위의 문인이다.

새로운!!: 박규수와 김홍집 (1842년) · 더보기 »

대동강

동강(大同江)은 한반도에서 다섯 번째로 큰 강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대흥군의 랑림산맥의 한태령(1,356m)에서 발원하여 평양직할시·남포특별시·황해북도·황해남도를 지나 황해로 흐른.

새로운!!: 박규수와 대동강 · 더보기 »

대광보국숭록대부

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는 조선의 가장 높은 품계로, 정1품의 상계에 해당하는 품계이.

새로운!!: 박규수와 대광보국숭록대부 · 더보기 »

대제학

제학(大提學)은 고려와 조선의 관직이.

새로운!!: 박규수와 대제학 · 더보기 »

대사헌

사헌(大司憲)은 도헌(都憲) 또는 대헌(大憲)이.

새로운!!: 박규수와 대사헌 · 더보기 »

대사성

사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박규수와 대사성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새로운!!: 박규수와 대한제국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박규수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대한제국 순종

순종(純宗, 1874년 3월 25일(음력 2월 8일) ~ 1926년 4월 25일)은 대한제국 제2대 황제이자, 한반도 역사상 마지막 군주이.

새로운!!: 박규수와 대한제국 순종 · 더보기 »

대원군

원군(大院君)은 조선 시대 적통인 임금의 자손이나 전임 임금의 대가 끊겨 방계(傍系)인 종친 중에서 왕위를 이어받을 때, 그 임금의 친아버지에게 주는 칭호 및 관직으로서, 군호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박규수와 대원군 · 더보기 »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國史編纂委員會,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는 한국사 연구의 심화와 체계적인 발전을 위하여 설치된 대한민국 교육부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박규수와 국사편찬위원회 · 더보기 »

두루미

미는 두루미목 두루미과 한 종으로, 한국에서도 관찰할 수 있는 겨울철새이.

새로운!!: 박규수와 두루미 · 더보기 »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박규수와 남인 · 더보기 »

노론

(老論)은 서인과 같이 성리학적 명분론을 신봉하였지만 숙종 때 서인에서 노론과 소론으로 나뉜 붕당으로 알려져 있. 서인에서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노론, 윤증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소론이 되었으며 숙종 이후 조선의 주요 집권 세력이었.

새로운!!: 박규수와 노론 · 더보기 »

노원구

원구(蘆原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있는 자. 도봉구에서 분구될 때, 이 지역의 옛 행정구역 명칭인 양주군 노원면에서 구명을 따왔.

새로운!!: 박규수와 노원구 · 더보기 »

논어

《논어》(論語)는 공자와 그 제자들의 대화를 기록한 책으로 사서의 하나이.

새로운!!: 박규수와 논어 · 더보기 »

우의정

우의정(右議政)은 의정부 3의정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이.

새로운!!: 박규수와 우의정 · 더보기 »

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雲揚號事件, 1875년 9월 20일(고종 12년, 음력 8월 21일) 또는 강화도 사건(江華島事件)은 통상조약 체결을 위해 일본 군함 운요호가 불법으로 강화도에 들어와 측량을 구실로 조선 정부의 동태를 살피다 조선 수비대와 전투를 벌인 사건이다.

새로운!!: 박규수와 운요호 사건 · 더보기 »

승문원

승문원 (承文院)은 조선 시대, 외교에 관한 문서를 맡은 관청이.

새로운!!: 박규수와 승문원 · 더보기 »

승정원

승정원(承政院)은 정삼품아문으로, 조선과 대한제국(승선원으로 개칭)에서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던 행정기관이.

새로운!!: 박규수와 승정원 · 더보기 »

자명종

본적인 디지털 시계 라디오 디지털 자명종 시계 바늘을 돌려서 울리게 하는 자명종 자명종(自鳴鐘) 또는 알람 시계(alarm 時計)는 사람이 지정한 날짜 및 시간에 소리가 울리도록 만든 시계이.

새로운!!: 박규수와 자명종 · 더보기 »

장령

장령(掌令)은 조선시대 사헌부의 정4품 관직이.

새로운!!: 박규수와 장령 · 더보기 »

평양직할시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박규수와 평양직할시 · 더보기 »

평안도

조선후기 평안도 평안도(平安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박규수와 평안도 · 더보기 »

흥친왕

흥친왕 이재면(興親王 李載冕, 완흥군(完興君), 1845년 8월 22일(음력 7월 20일) ~ 1912년 9월 9일)은 조선 말기의 왕족·군인·정치인이자 대한제국의 황족·군인으로, 흥선대원군의 적장자(嫡長子)이자 고종의 친형이며 영선군 이준의 아버지이.

새로운!!: 박규수와 흥친왕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박규수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덕무

이덕무(李德懋, 1741년 6월 11일 ~ 1793년 1월 25일)은 조선 후기의 북학파 실학자이.

새로운!!: 박규수와 이덕무 · 더보기 »

이동인

이동인(李東仁, 1849년? ~ 1881년 5월)은 조선 후기의 불교 승려이자 외교관, 개화 사상가이.

새로운!!: 박규수와 이동인 · 더보기 »

이건창

영재 이건창(寧齋 李建昌, 1852년~1898년)의 아명은 송열(松悅), 자는 봉조(鳳朝·鳳藻), 호는 영재(寧齋)이고, 당호(堂號)는 명미당(明美堂)이며, 조선 제2대왕 정종대왕(定宗)의 열째 왕자인 덕천군(德泉君)의 15대 후손으로 병인양요(고종 3년, 1866) 때 순국한 전(前) 개성부유수·이조판서 충정공(忠貞公) 사기 이시원(沙磯 李是遠)의 손자이.

새로운!!: 박규수와 이건창 · 더보기 »

이인좌의 난

이인좌의 난(李麟佐亂)은 조선 영조(英祖) 4년(1728년) 소론 강경파와 남인 일부가 경종의 죽음에 영조와 노론이 관계되었다고 주장하면서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박규수와 이인좌의 난 · 더보기 »

이익

이익(利益)은 단순히 말해 수입에서 지출을 뺀 현금흐름(캐시 플로, cash flow)을 가리.

새로운!!: 박규수와 이익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박규수와 이조 · 더보기 »

이유원

이유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박규수와 이유원 · 더보기 »

이상재

이상재(李商在, 1850년 10월 26일 ~ 1927년 3월 29일)는 조선후기, 대한제국의 정치인으로 개화파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조선 시대의 교육자, 청년운동가,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언론인이.

새로운!!: 박규수와 이상재 · 더보기 »

이항로

이항로(李恒老, 1792년~1868년)는 조선의 유학자이자 문신이.

새로운!!: 박규수와 이항로 · 더보기 »

이시영

이시영은 다음의 인물이 있.

새로운!!: 박규수와 이시영 · 더보기 »

이왕직

이왕직(李王職)은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에서 대한제국 황족의 의전 및 대한제국 황족과 관련된 사무를 담당하던 기구로, 대한제국 시기에 황실 업무를 담당하던 궁내부를 형식적으로 계승한 기구이.

새로운!!: 박규수와 이왕직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박규수와 일본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박규수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제2차 아편 전쟁

영프연합군의 광저우 약탈 제2차 아편 전쟁(第二次阿片戰爭)은 청나라와 영국·프랑스 연합군 간에 1856년부터 1860년까지 4년 동안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박규수와 제2차 아편 전쟁 · 더보기 »

제국주의

세실 존 로드의 케이프-카이로 철도 계획을 풍자한 그림. 그는 브리티쉬 남 아프리카 회사의 사장이자 아프리카에서 최초로 다이아몬드 체굴 사업을 한 사람이었다. 그는 케이프 타운에서 카이로 까지 철도를 놓아 아프리카 '''지도를 영국의 붉은 색으로 칠하기'''를 주창하였다 제국주의(帝國主義)는 특정국가가 다른 나라, 지역 등을 군사적, 정치적, 경제적으로 지배하려는 정책, 또는 그러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상을 가리.

새로운!!: 박규수와 제국주의 · 더보기 »

제너럴셔먼호 사건

제너럴셔먼호 사건(-號事件)은 1866년(조선 고종 3년, 미국 앤드루 존슨 대통령 2년) 음력 7월 12일(양력 8월 21일) 평양 군민(軍民)들이 미국 상선(商船) 제너럴셔먼호(General Sherman號)를 응징하여 불에 태워버린 사건이.

새로운!!: 박규수와 제너럴셔먼호 사건 · 더보기 »

제조업

300px 제조업(製造業, manufacturing)은 원재료를 인력이나 기계력 및 여러 다른 힘으로 가공하여 제품을 대량 생산 및 제공하는 산업이.

새로운!!: 박규수와 제조업 · 더보기 »

제학

제학(提學)은 고려시대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 ·예문관(藝文館) ·보문관(寶文館) ·우문관(右文館) ·진현관(進賢館)의 대제학(大提學) 아래 정3품 벼슬로, 1311년(충선왕 복위 3년) 사백(詞伯)을 고친 이름이.

새로운!!: 박규수와 제학 · 더보기 »

전라북도

전라북도(全羅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박규수와 전라북도 · 더보기 »

전주 류씨

전주 류씨(全州 柳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박규수와 전주 류씨 · 더보기 »

정랑

정랑(正郞)은 조선시대 육조의 정오품(正五品) 관직이.

새로운!!: 박규수와 정랑 · 더보기 »

정약용

화성성역의궤에 실린 거중기 정약용(丁若鏞, 1762년 8월 5일(음력 6월 16일) ~ 1836년 4월 7일(음력 2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저술가·시인·철학자·과학자·공학자이다. 본관은 나주, 자는 미용(美庸), 호는 다산(茶山)·사암(俟菴)·탁옹(籜翁)·태수(苔叟)·자하도인(紫霞道人)·철마산인(鐵馬山人)·문암일인(門巖逸人), 당호는 여유당(與猶堂)이다.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새로운!!: 박규수와 정약용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박규수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문조

조선 문조(文祖)(1809년 9월 18일 (순조 9년 음력 8월 9일) ~ 1830년 6월 25일 (순조 30년 음력 5월 6일))는 헌종의 아버지로서 조선의 추존왕이자 왕세자, 문인, 시인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박규수와 조선 문조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새로운!!: 박규수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조선 철종

종(哲宗, 1831년 7월 25일(음력 6월 17일) ~ 1864년 1월 16일(1863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의 제25대 왕(재위 1849년 7월 28일 ~ 1864년 1월 16일)이자 대한제국 추존황제이.

새로운!!: 박규수와 조선 철종 · 더보기 »

조선 헌종

종(憲宗, 1827년 9월 8일(음력 7월 18일) ~ 1849년 7월 25일(음력 6월 6일))은 조선의 제24대 왕(재위: 1834년 ~ 1849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박규수와 조선 헌종 · 더보기 »

조선의 과거 제도

이 문서는 조선 시대(朝鮮時代)의 과거 제도(科擧制度)를.

새로운!!: 박규수와 조선의 과거 제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의 국왕의 칭호는 대개 묘호로 불린.

새로운!!: 박규수와 조선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조선의 품계

조선의 품계는 한반도의 왕조인 조선 신하들의 계급 품계를 작성한 문서이.

새로운!!: 박규수와 조선의 품계 · 더보기 »

조선학회

조선학회()는 쇼와 25년인 서기 1950년 10월에 나카야마 쇼젠()이 조선과 조선 각지의 언어, 종교, 문화, 역사를 연구하는 학회로서 일본 나라현 덴리 시에 위치한 덴리 대학을 본거지로 설립되었.

새로운!!: 박규수와 조선학회 · 더보기 »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새로운!!: 박규수와 종묘 · 더보기 »

종묘배향공신

종묘종사공신은 조선시대 종묘에 종사된 공신들을 말. 왕통(王通)을 상징하는 종묘에는 국왕의 신주와 함께 생전의 최고의 공로 내지는 최고 권세가를 택하여 묘정에 종사하고 부제(祔祭)를.

새로운!!: 박규수와 종묘배향공신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박규수와 중국 · 더보기 »

중국 문명

중국 문명(中國文明)은 현재의 중국 영토에 기반한 모든 문명의 묶음체를 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인 요하문명이 그 중 하나이며, 동아시아의 중심 문화 중 하나로, 이 지역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

새로운!!: 박규수와 중국 문명 · 더보기 »

진주민란

주농민항쟁은 1862년(철종 13년) 봄 진주에서 일어난 민중의 봉기 사건이.

새로운!!: 박규수와 진주민란 · 더보기 »

지구

(地球, Earth)는 태양으로 부터 세번째 행성이며, 엷은 대기층으로 둘러싸여 있고, 지구형 행성 중에서 가장.

새로운!!: 박규수와 지구 · 더보기 »

지구의

리가 만든 지구의. 지구의(地球儀) 또는 지구본(地球―)은 지구를 구로 표현한 모형이.

새로운!!: 박규수와 지구의 · 더보기 »

지평

평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박규수와 지평 · 더보기 »

지사

사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박규수와 지사 · 더보기 »

찬란한 여명

《찬란한 여명》(燦爛한 黎明)은 KBS1에서 1995년 10월 28일부터 1996년 11월 23일까지 방영한 대하 드라마이.

새로운!!: 박규수와 찬란한 여명 · 더보기 »

참의

의(參議)는 관직의 이름으로, 조선과 전근대 및 메이지 시대의 일본에 존재.

새로운!!: 박규수와 참의 · 더보기 »

참판

(參判)은 조선의 종2품 당상관직으로 각 조의 수장인 판서를 보좌하는 역할을 하였.

새로운!!: 박규수와 참판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박규수와 청나라 · 더보기 »

청일 전쟁

청일 전쟁(淸日戰爭)은 청나라와 일본 제국이 조선의 지배권을 놓고 1894년 7월 25일부터 1895년 4월까지 벌인 전쟁이.

새로운!!: 박규수와 청일 전쟁 · 더보기 »

천문

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박규수와 천문 · 더보기 »

충청북도

충청북도(忠淸北道)는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도이.

새로운!!: 박규수와 충청북도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새로운!!: 박규수와 추증 · 더보기 »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새로운!!: 박규수와 유길준 · 더보기 »

유수

유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박규수와 유수 · 더보기 »

유수원

유수원(柳壽垣, 1694년~175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

새로운!!: 박규수와 유수원 · 더보기 »

유형원

유형원(柳馨遠, 1622년 3월 2일(음력 1월 21일) ~ 1673년 5월 5일(음력 3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이.

새로운!!: 박규수와 유형원 · 더보기 »

유한준

유한준(柳漢俊, 1981년 7월 1일 -)은 KBO 리그 kt 위즈의 외야수, 지명타자이.

새로운!!: 박규수와 유한준 · 더보기 »

유학

유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박규수와 유학 · 더보기 »

유홍기 (1831년)

유홍기(劉鴻基, 1831년 ~ 1884년?)는 조선 말기의 개화사상가이자 학자이자 정치인이였.

새로운!!: 박규수와 유홍기 (1831년)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박규수와 윤치호 · 더보기 »

윤휴

윤휴(尹鑴, 1617년 10월 14일 ~ 1680년 5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박규수와 윤휴 · 더보기 »

윤웅렬

윤웅렬(尹雄烈, 1840년 5월 18일(음력 4월 17일) ~ 1911년 양력 9월 22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개화파 정치인,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이.

새로운!!: 박규수와 윤웅렬 · 더보기 »

파리 외방전교회

리 외방전교회(- 外邦傳敎會)는 1658년 설립된 로마 가톨릭교회의 선교단체이.

새로운!!: 박규수와 파리 외방전교회 · 더보기 »

위정척사

위정척사(衛正斥邪)는 조선 후기에 일어난 사회운동으로, 정학(正學)인 성리학과 정도(正道)인 성리학적 질서를 수호하고(위정), 성리학 이외의 모든 종교와 사상을 사학(邪學)으로 보아서 배격하는(척사) 운동이.

새로운!!: 박규수와 위정척사 · 더보기 »

위안스카이

위안스카이(1859년 8월 20일 ~ 1916년 6월 6일)는 중국 허난 성 쉬창 부 샹청 현 출신으로, 중국 청나라 말기의 무관(武官), 군인이며 중화민국 초기의 정치가이자 중화제국의 황제이.

새로운!!: 박규수와 위안스카이 · 더보기 »

생원

생원(生員).

새로운!!: 박규수와 생원 · 더보기 »

수계

수계(水系, drainage system)란 어느 하천과 거기에 합류하는 다른 하천·내수면(호소·연못)을 총칭한 것을 말. 수계는 분수계에 의해 구분.

새로운!!: 박규수와 수계 · 더보기 »

수빈 박씨

수빈 박씨 또는 유빈 박씨(綏嬪 朴氏, 1770년 음력 5월 8일 ~ 1823년 2월 5일(1822년 음력 12월 26일))는 조선의 제22대 왕 정조의 네 번째 후궁이자 마지막 간택후궁이고, 제23대 왕 순조의 생모이.

새로운!!: 박규수와 수빈 박씨 · 더보기 »

수원군

수원군(水原郡)은 경기도의 옛 행정 구역으로, 경기도 화성군의 이전 행정구역이.

새로운!!: 박규수와 수원군 · 더보기 »

수원시

수원시(水原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자 경기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박규수와 수원시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박규수와 영의정 · 더보기 »

영혜옹주

영혜옹주(永惠翁主, 1859년 ~ 1872년 7월 4일)는 조선 후기 왕족으로 철종과 그 후궁 숙의 범씨의 딸이.

새로운!!: 박규수와 영혜옹주 · 더보기 »

영어

영어(英語)는 영국의 잉글랜드에서 기원한 서게르만어군 언어이.

새로운!!: 박규수와 영어 · 더보기 »

오경석

오경석(吳慶錫, 1831년(순조 31년) 3월 5일(음력 1월 21일) ~ 1879년(고종 16년) 10월 7일(음력 8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역관, 외교관이자 정치인, 사상가이.

새로운!!: 박규수와 오경석 · 더보기 »

오세창

청년 시절 오세창 오세창(吳世昌, 1864년 8월 6일(음력 7월 5일) ~ 1953년 4월 16일)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정치인이자 계몽 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의 언론인, 독립운동가, 서화가, 대한민국의 정치인, 서화가이.

새로운!!: 박규수와 오세창 · 더보기 »

예문관

예문관(藝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박규수와 예문관 · 더보기 »

예조

예조(禮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박규수와 예조 · 더보기 »

현령

현령(縣令)은 현(縣)의 으뜸 벼슬이.

새로운!!: 박규수와 현령 · 더보기 »

현감

현감(縣監)은 조선 시대 현의 우두머리.

새로운!!: 박규수와 현감 · 더보기 »

형조

형조(刑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박규수와 형조 · 더보기 »

최익현

익현(崔益鉉, 양력 1834년 1월 14일 / 1833년 음력 12월 5일 ~ 1907년 1월 1일)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정치인이며 독립운동가이자, 1905년 을사늑약에 저항한 대표적 의병장이었.

새로운!!: 박규수와 최익현 · 더보기 »

어윤중

어윤중의 편지 서찰 어윤중(魚允中, 1848년 ~ 189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박규수와 어윤중 · 더보기 »

양무운동

복주(福州)에 있는 '선정국'(船政局). 양무 운동(洋務運動)은 19세기 후반, 청나라 말기에 관료들의 주도로 이루어졌던 군사중심의 근대화운동을 말. 유럽 근대기술의 도입으로 봉건체제를 유지,보강하려 했던 청조의 자강운동이.

새로운!!: 박규수와 양무운동 · 더보기 »

양주군

양주군(楊州郡)은 경기도 양주시의 이전 행정구역이.

새로운!!: 박규수와 양주군 · 더보기 »

역경

《역경(易經)》은 유학(儒學)의 삼경 중 하나로, 세계의 변화에 관한 원리를 기술한 책이라 일컬어지고 있. 《주역(周易)》이.

새로운!!: 박규수와 역경 · 더보기 »

연경

연경(燕京)은 중국의 옛 지명이며, 춘추 전국 시대 당시 연나라의 수도였.

새로운!!: 박규수와 연경 · 더보기 »

연안 이씨

연안 이씨(延安 李氏)는 황해도 연안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박규수와 연안 이씨 · 더보기 »

연암집

《연암집》(燕巖集)은 연암 박지원의 산문을 엮은 문집이.

새로운!!: 박규수와 연암집 · 더보기 »

열하일기

《열하일기》(熱河日記)는 조선 정조 때의 북학파인 박지원이 44세 때인 1780년(정조 4년)에 삼종형(8촌 형) 박명원(朴明源)이 청나라 건륭제의 만수절(萬壽節, 칠순 잔치) 사절로 북경(당시의 연경)에 갈 때 따라가서 보고 들은 것을 남긴 견문기이.

새로운!!: 박규수와 열하일기 · 더보기 »

풍양 조씨

풍양 조씨(豐壤 趙氏)는 경기도 남양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박규수와 풍양 조씨 · 더보기 »

품계

(品階)는 동양에서 신하들의 계급을 나타내는 급제도이.

새로운!!: 박규수와 품계 · 더보기 »

사간원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

새로운!!: 박규수와 사간원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새로운!!: 박규수와 사헌부 · 더보기 »

삼정의 문란

삼정의 문란(三政-紊亂)이란 조선시대 국가 재정의 3대 요소인 전정(田政)·군정(軍政)·환정(還政: 정부 보유 미곡의 대여 제도)이 문란해졌음을 말.

새로운!!: 박규수와 삼정의 문란 · 더보기 »

피서산장

서산장()은 중국에서 가장 큰 황실 정원이.

새로운!!: 박규수와 피서산장 · 더보기 »

프랑스

랑스 공화국() 또는 프랑스()는 서유럽의 본토와 남아메리카의 프랑스령 기아나를 비롯해 여러 대륙에 걸쳐 있는 해외 레지옹과 해외 영토로 이루어진 국가로서, 유럽 연합 소속 국가 중 가장 영토가 넓. 수도는 파리이.

새로운!!: 박규수와 프랑스 · 더보기 »

프리모르스키 지방

리모르스키 지방 프리모르스키 지방()은 러시아 극동에 위치한 러시아의 지방이.

새로운!!: 박규수와 프리모르스키 지방 · 더보기 »

선교사

선교사(宣敎師,missionary)는 기독교에서는 복음을 타국에서 가서 전하는 사역자이.

새로운!!: 박규수와 선교사 · 더보기 »

성균관

성균관(成均館)은 한국의 옛 대학(大學)으로 그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 국학(國學)을 성균관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

새로운!!: 박규수와 성균관 · 더보기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 Sungkyunkwan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 대학이.

새로운!!: 박규수와 성균관대학교 · 더보기 »

세도정치

세도 정치(勢道政治)는 조선시대 왕의 신임과 직접적인 위임(委任)을 받는 형식으로 정권을 잡고 나라를 다스리던 일이.

새로운!!: 박규수와 세도정치 · 더보기 »

세계 지도

세계 지도 기원후 1564년의 세계지도 세계 지도(世界地圖)는 지구 전체, 또는 대부분을 보여주는 지도를 말. 세계전도, 만국.

새로운!!: 박규수와 세계 지도 · 더보기 »

서라벌고등학교

서라벌고등학교(徐羅伐高等學校)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박규수와 서라벌고등학교 · 더보기 »

서광범

서광범(徐光範, 1859년 11월 8일 ~ 1897년 7월 17일 또는 8월)은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가이며 개화파 사상가이.

새로운!!: 박규수와 서광범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박규수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새로운!!: 박규수와 서재필 · 더보기 »

서유구

서유구 초상 서유구(徐有榘, 1764년 ~ 1845년)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농정가(農政家)이.

새로운!!: 박규수와 서유구 · 더보기 »

서양화

accessdate.

새로운!!: 박규수와 서양화 · 더보기 »

소론

소론(少論)은 조선 붕당정치의 한 당파이.

새로운!!: 박규수와 소론 · 더보기 »

톈진 시

(천진)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부의 직할시이.

새로운!!: 박규수와 톈진 시 · 더보기 »

통역

통역(通譯)은 서로 통하지 않는 둘 이상의 언어 구사자 사이에서 그들이 사용하는 말을 이해하여 그 뜻을 전해주는 행위를 말. 통역은 문자언어를 시간을 두고 숙고하여 문자로 옮기는 번역과는 구별되는 개념이며, 통역의 대상이 되는 언어는 반드시 발화(發話)되는 언어일 필요는 없고, 청각 장애인들의 수화가 될 수도 있. 통역은 크게 연사가 일정분량의 말을 청중에게 하고, 연사가 잠시 쉬는 동안 그동안의 말을 통역해주는 순차통역과 연사가 쉬지 않고 하는 말을 독립된 부스등의 장소에서 실시간으로 통역해 주는 동시통역으로 구분할 수 있.

새로운!!: 박규수와 통역 · 더보기 »

함풍제

풍제(咸豊帝, 1831년 7월 17일 ~ 1861년 8월 22일)은 중국 청 제국의 제9대 황제(재위 1850년 ~ 1861년)이.

새로운!!: 박규수와 함풍제 · 더보기 »

해리 파크스

리 스미스 파크스(Sir Harry Smith Parkes, CGMG, KCB, 1828년 2월 24일 – 1885년 3월 22일) 경은 영국의 대중국 외교관으로 애로호 사건을 크게 불려 제2차 아편전쟁을 일으킨 장본인이.

새로운!!: 박규수와 해리 파크스 · 더보기 »

해시계

서울시 종로구 훈정동에 있는 앙부일구 해시계 또는 일구(日晷)는 태양의 일주 운동을 이용하여 시간을 알 수 있게 만든 장치이.

새로운!!: 박규수와 해시계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새로운!!: 박규수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한국방송공사

서울에 있는 KBS 사옥 KBS 업무용차량 KBS 전용차 한국방송공사(韓國放送公社,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공영 방송을 운영하는 기업이며, 대한민국의 재난방송 및 민방위방송 주관방송사이.

새로운!!: 박규수와 한국방송공사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박규수와 한성부 · 더보기 »

한성부판윤

성부판윤(漢城府判尹)은 조선 시대 한성부를 다스리던 정2품의 관직으로서, 품계는 자헌대부 이상의 품계에 해당되었.

새로운!!: 박규수와 한성부판윤 · 더보기 »

안동 김씨

안동 김씨의 종문 안동 김씨(安東 金氏)는 대한민국의 안동을 본관으로 삼은 서로 다른 두 씨족이 존재.

새로운!!: 박규수와 안동 김씨 · 더보기 »

안경수

안경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박규수와 안경수 · 더보기 »

암행어사

암행어사는 조선 시대에 지방에 파견되어 지방관의 감찰과 백성의 사정을 조사하는 일을 비밀리에 수행했던 국왕 직속의 임시 관리로 부사의 일종이.

새로운!!: 박규수와 암행어사 · 더보기 »

신미양요

신미양요(辛未洋擾)는 1871년 6월 1일(고종 8년 음력 4월 14일)에 발생한 조선과 미국 간 전쟁이.

새로운!!: 박규수와 신미양요 · 더보기 »

신응조

신응조(1804년 ~ 1899년)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며, 고종 때 우의정과 좌의정을.

새로운!!: 박규수와 신응조 · 더보기 »

신정왕후 (조선)

신정왕후(神貞王后, 1809년 1월 21일(1808년 음력 12월 6일) ~ 1890년 6월 4일(음력 4월 17일))는 조선의 추존왕 문조의 아내이며 헌종의 어머니이.

새로운!!: 박규수와 신정왕후 (조선) · 더보기 »

실용주의

미드. 실용주의(實用主義) 또는 프래그머티즘(Pragmatism)은 1870년 무렵 미국에서 시작된 철학적 전통이.

새로운!!: 박규수와 실용주의 · 더보기 »

실학

실학(實學)은 17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걸쳐 대두된 일련의 현실개혁적 조선 유학의 학풍을 말. 한편 실학에 반해 기존의 유학을 “성명의리지학”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박규수와 실학 · 더보기 »

실학박물관

실학박물관은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박물관이.

새로운!!: 박규수와 실학박물관 · 더보기 »

시계

주로 스위스 연방 철도에서 쓰이는 시계 시계(時計)는 시간을 나타내거나 시간을 재는 기계나 장치이.

새로운!!: 박규수와 시계 · 더보기 »

홍문관

홍문관(弘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박규수와 홍문관 · 더보기 »

홍대용

홍대용(洪大容, 1731년 5월 12일 ~ 1783년 11월 17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과학 사상가이.

새로운!!: 박규수와 홍대용 · 더보기 »

홍콩

홍콩()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남동부에 있는 특별행정구이.

새로운!!: 박규수와 홍콩 · 더보기 »

홍순목

홍순목 홍순목(洪淳穆, 1816 - 1884)은 조선 순조·고종 시대의 문신, 정치인이며 개화파 지도자 홍영식의 아버지이.

새로운!!: 박규수와 홍순목 · 더보기 »

홍영식

홍영식 홍영식(洪英植, 1856년 2월 5일(1855년 음력 12월 29일) ~ 1884년 12월 7일(1884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 외교관, 시인이.

새로운!!: 박규수와 홍영식 · 더보기 »

황현

황현(黃玹, 1855년 음력 12월 11일(양력 1856년 1월 18일) ~ 1910년 9월 7일)은 대한제국 조선 왕조 말기의 선비로 시인, 문장가, 역사가, 우국지사이며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이.

새로운!!: 박규수와 황현 · 더보기 »

황해도

조선후기 황해도 황해도(黃海道)는 1417년부터 1954년까지 존속한 한반도의 중서부에 있는 도(道)로, 1954년 이후로는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되었.

새로운!!: 박규수와 황해도 · 더보기 »

화산

자와 섬의 세메루 산 해저 화산의 개념도. 화산(火山)은 마그마 등의 물질이 행성 표면을 뚫고 나와 분출하여 만들어진 지형이.

새로운!!: 박규수와 화산 · 더보기 »

10월 27일

11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0번째(윤년일 경우 30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박규수와 10월 27일 · 더보기 »

12월 27일

12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1번째(윤년일 경우 36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박규수와 12월 27일 · 더보기 »

1807년

180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박규수와 1807년 · 더보기 »

1877년

187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박규수와 1877년 · 더보기 »

2월

2월(二月, February)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두 번째 달이며, 평년일 때에는 28일, 윤년일 때에는 29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0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며, 이 달과 작년의 6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박규수와 2월 · 더보기 »

2월 9일

2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0번째(윤년일 경우도 4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박규수와 2월 9일 · 더보기 »

5월 27일

5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7번째(윤년일 경우 14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박규수와 5월 27일 · 더보기 »

8월 2일

8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4번째(윤년일 경우 21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박규수와 8월 2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문익공 박규수, 박규학, 헌재 박규수, 환재, 환재 박규수, 환재 박규학, 환재거사 박규수.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