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불교의 사상

색인 불교의 사상

불교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에서 고타마 붓다에 의해 창시된 종교이.

77 처지: 만다라, 마투라, , 무상, 문수보살, 미륵보살, 반야경, 간다라, 밀교 (불교), 결집, 법 (불교), 고 (불교), 보현보살, 보살, 관불과 염불, 관세음보살, 불교, 불교의 역사, 부처, 부파불교, 기원전 6세기, 금강정경,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비로자나불, 비구, 대승불교, 대일경, 구경각, 굽타 왕조, , 스리랑카, 용수, 승만경, 요가, 인도, 인도의 불교, 인상 (종교), 종교, , 중국의 불교, 진리, 철학자, 유마경, 육경, 팔라 왕조, 팔리어, 팔정도, 상좌부 불교, 탄트라, 색 (불교), ..., 수 (불교), 영혼, 오온, 형이상학, 행 (불교), 여래, 연기 (불교), 열반, 사상, 사성제, 석가모니, 설일체유부, 세계, 소승불교, 해심밀경, 약사여래, 한국의 불교, 한국의 불교 사상, 아미타불, 아트만, 아소카, , 심의식, 십이연기설, 십사무기, 원시불교, 화엄경.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7 더) »

만다라

금강계 만다라(Vajradhatu Mandala)가 그려져 있는 티베트 불교의 탕카 힌두교의 스리 얀트라(Sri Yantra) 만다라(曼茶羅, 曼陀羅)는 다양한 개체를 지칭하는 용어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만다라 · 더보기 »

마투라

마투라()는 인도 우타르프라데시 주의 도시로, 아그라에서 북쪽으로 50km, 델리에서 남동쪽으로 145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 고대 인도의 경제적 중심지였으며 대상 무역의 경로였던 곳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마투라 · 더보기 »

신체 모형 몸 또는 신체(身體)는 생물의 한 개체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몸 · 더보기 »

무상

무상(無常) 또는 비상(非常)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생멸(生滅)하며 시간적 지속성이 없음을 말. 즉 영원하지 않은 것을 말.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근본불교의 사상 > 무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무상: 無常 무상이란 끊임없이 변화하고 생멸(生滅)하며 시간적 지속성이 없음을 말. 불교에서는 일반적으로 '제행무상(諸行無常)'이라는 명제로써 무상을 설명.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무상 · 더보기 »

문수보살

문수보살(文殊菩薩, 산스크리트어: मञ्जुश्री, 만주슈리)은 ‘훌륭한 복덕(福德)을 가진’ 혹은 ‘완전한 지혜를 가진’ 불교 보살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문수보살 · 더보기 »

미륵보살

미륵보살(彌勒菩薩,,, 음역(音譯) 미륵彌勒, 의역(意譯) 자씨(慈氏)은 현재는 보살이지만 다음 세상에 부처로 나타날 것이라고 불교에서 믿고 있는 미래의 부처이다. 의역에 '慈(사랑 자)'라는 한자가 들어가는 이유는 미륵의 어원이 되는 산스크리트어 maitrī'가 'loving-kindness'라고 하는 뜻이기 때문이다. 불교교리에 따르면, 용화수 아래에서 고타마 붓다가 제도하지 못한 모든 중생을 제도할 부처로 수기를 받았다. 미륵보살 신앙 또는 미륵 신앙은 미륵보살이 이 세상에 미륵불(彌勒佛)로 출현하여 세상을 구원한다는 신앙이다.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미륵보살 · 더보기 »

반야경

Prajñāpāramitā 자와 섬, 인도네시아 공화국. 《반야경(般若經)》은 원제가 프라즈냐파라미타 수트라()이며, 한역의 원제는 《반야바라밀다경(般若波羅蜜多經)》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반야경 · 더보기 »

간다라

(산스크리트어와)는 현재의 파키스탄 북부와 아프가니스탄 동부에 자리하였던 고대 왕국(마하자나파다스) 가운데 하나의 이름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간다라 · 더보기 »

밀교 (불교)

밀교(密敎)는 비밀의 가르침이란 뜻으로 문자 언어로 표현된 현교(顯敎)를 초월한 최고심원(最高深遠)한 가르침을 말.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밀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일본에서는 진언종의 구카이(空海)가 불교를 현밀이교(顯密二敎)로 판별하여 금강승, 즉 밀교의 우위를 주장.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밀교 (불교) · 더보기 »

결집

집(結集)은 불교의 창시자인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을 함께 암송하고 불경을 편찬하기 위하여 소집된 모임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결집 · 더보기 »

법 (불교)

법(法)은 산스크리트어 다르마(Dharma)의 번역으로서, "지키는 것지지하는 것"이 원뜻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법 (불교) · 더보기 »

고 (불교)

(苦)는 괴로움을 뜻하는 불교 용어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고 (불교) · 더보기 »

보현보살

보현보살(普賢菩薩, 산스크리트어:समन्तभद्र,, 사만타바드라)은 불교의 진리와 수행의 덕을 맡은 보살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보현보살 · 더보기 »

보살

거란의 요나라시기 제작된 관세음보살상: 유희좌 자세를 취하고 있다 보살(菩薩)은 부처(깨달은 사람 또는 존재)가 되기 위해 수행하는 사람(초기불교 경전-니까야에서의 정의), 또는 여러 생을 거치며 선업을 닦아 높은 깨달음의 경지에 다다른 위대한 사람을 뜻. 특히 대승불교에서 강조되었.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보살 · 더보기 »

관불과 염불

불(觀佛)과 염불(念佛)은 둘 다 불교의 수행법 중 하나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관불과 염불 · 더보기 »

관세음보살

세음보살(觀世音菩薩)은 불교의 보살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보살 중 하나로, 석가모니의 입적 이후 미륵이 출현할 때까지 중생들을 고통으로부터 지켜주는 대자대비(大慈大悲)의 보살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관세음보살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불교 · 더보기 »

불교의 역사

이 문서는 인도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인 인도 불교의 역사, 즉 인도 불교사에 대해 특히.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부처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부처 또는 여래(如來), 세존(世尊), 붓다()는 인도 불교에서 "깨달은 자", "눈을 뜬 자"라는 뜻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부처 · 더보기 »

부파불교

부파불교(部派佛敎)는 고타마 붓다가 반열반에 든 후 제자들 사이에 견해의 차이가 생겨 불멸후 100년 경에 보수적인 상좌부(上座部)와 진보적인 대중부(大衆部)로 분열되고, 이어서 이 두 부파(部派: 종파)로부터 여러 갈래의 분열이 일어나 불교가 여러 부파로 나뉘면서 전개되었던 시대의 불교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부파불교 · 더보기 »

기원전 6세기

원전 6세기는 기원전 600년부터 기원전 501년까지를 말.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기원전 6세기 · 더보기 »

금강정경

강계 만다라(Vajradhatu Mandala)가 그려져 있는 티베트 불교의 탕카 《금강정경》(金剛頂經)은 밀교(密敎)의 경전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금강정경 · 더보기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世界大百科事典)은 2004년 도서출판 범한에서 출판한 백과사전으로, 다음(지금의 카카오)이 라이선스를 사들여 2008년 11월 한국어 위키백과에 기증.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더보기 »

비로자나불

비로자나불은 바이로차나(Vairocana).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비로자나불 · 더보기 »

비구

비구(比丘)는 비크슈(bhiksu)비쿠(bhikkhu)의 음역으로서, 필추(苾芻)라고도 음역하며 걸사(乞士)파번뇌(破煩惱)로 의역.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비구 · 더보기 »

대승불교

승불교(大乘佛敎) 또는 마하야나()는 "대승(大乘)"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큰 탈것"(great vehicle) 또는 "뛰어난 탈 것"이라는 뜻이며, '탈 것'이란 '가르침'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가르침에 의해 사람들을 미혹의 세계로부터 깨달음의 세계로 실어간다는 것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대승불교 · 더보기 »

대일경

태장계 만다라: 가운데에 여덟 개의 연꽃 잎이 있는 원이 있는데 이 원의 중심부에 대일여래가 있으며 각 연꽃 잎에도 한 명의 부처 또는 보살이 있다 《대일경(大日經)》은 불교의 밀교의 경전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대일경 · 더보기 »

구경각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구경각(究竟覺, ultimate enlightenment, final enlightenment, supreme enlightenment)은 불교의 수행이 완성되어 증득(證得)하게 된 완전한 깨달음을 가리키는데 곧 부처의 상태를 이룬 것이나 부처가 되는 자리를 뜻. 구경각을 가리키는 다른 낱말로는 다음의 것들이 있.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구경각 · 더보기 »

굽타 왕조

굽타 왕조()는 쿠샨 왕조가 멸망한 후 4세기 초에 찬드라굽타1세가 건국하여 북인도를 지배하던 제국이었.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굽타 왕조 · 더보기 »

특정하지 않은 한 사람이 본인을 가리킬 때 쓰는 말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나 · 더보기 »

스리랑카

스리랑카 민주사회주의 공화국(), 약칭 스리랑카()는 남아시아에 있는 섬나라이며 법률상의 수도는 스리자야와르데네푸라코테이고, 제일 큰 도시는 콜롬보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스리랑카 · 더보기 »

용수

용수는 술이나 장 등을 거를 때 쓰는 둥글고 긴 통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용수 · 더보기 »

승만경

《승만경(勝鬘經)》은 대승 불교 경전 중의 하나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승만경 · 더보기 »

요가

요가 명상을 하고 있는 시바 요기 조각상 요가()는 힌두교의 종교적영적 수행 방법의.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요가 · 더보기 »

인도

인도 공화국()은 남아시아에 있는 나라로, 인도 아대륙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 국가 면적은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넓으며, 인구는 약 13억 명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 북쪽과, 북동쪽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 북쪽으로는 네팔, 부탄, 서쪽에는 파키스탄, 동쪽으로는 미얀마와 방글라데시, 남동쪽에는 벵골 만, 남서쪽으로는 아라비아 해, 남쪽으로는 인도양와 맞닿아 있으며 스리랑카, 몰디브가 있으며,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의 해상경계는 태국, 인도네시아와 접해 있. 수도는 뉴델리이.주요 도시로는 뉴델리, 뭄바이, 첸나이, 벵갈루루, 하이데라바드, 콜카타등이 있. 고대 인더스 문명의 발상지이자 역사적인 무역로였으며 거대한 제국이 있었던 인도 아대륙은 오랫동안 그 지정학적 지위와 경제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왔.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인도 · 더보기 »

인도의 불교

인도의 불교는 인도에서 말하는 불교를 말.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인도의 불교 · 더보기 »

인상 (종교)

인상(印相)이란 힌두교나 불교에서 사용되는 상징적, 의례적 동작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인상 (종교) · 더보기 »

종교

슬라브 신이교의 상징. 종교(宗敎)란 규정된 믿음을 공유하는 이들로 이루어진 신앙 공동체와 그들이 가진 신앙 체계나 문화적 체계(cultural system)를 말. 종교는 인간과 관련된 존재의 우주적 질서(a cosmic order of existence)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종교 · 더보기 »

죄(罪)는 규범이나 윤리에 어긋나거나 반하는 행위를 말. 일반 사전에서는 죄(罪)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 이 정의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종교에서는 대체로 '하나님의 계명' 또는 '도리'와 같은 어떤 불변의 법칙, 이치 또는 명령(즉 천명)에 근거하여 그것과 어긋나는 것을 죄로 설정하고, 법률에서는 미리 정해진 조목에 근거하여 그것과 어긋나는 것을 죄로 설정.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죄 · 더보기 »

중국의 불교

중국의 불교(中國의 佛敎, Chinese Buddhism), 중국불교(中國佛敎) 또는 한전불교(漢傳佛敎)는 중국에서 전개된 불교를 가리.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중국의 불교 · 더보기 »

진리

리(眞理)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참된 도리'이며, 사실이 분명하게 맞아 떨어지는 명제, 또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누구나 인정할 수 있는 보편적이고 불변적인 사실 혹은 참된 이치나 법칙을 뜻. 참, 진실 등으로 불리.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진리 · 더보기 »

철학자

학.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철학자 · 더보기 »

유마경

《유마경(維摩經)》은 원명을 비말라키르티 수트라(Vimalakīrti Sūtra)라고 하며 《반야경》에 이어 나타난 초기 대승경전 중에서도 그 성립이 오랜 것 중의 하나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유마경 · 더보기 »

육경

6경(六境)은 안근이근비근설근신근의근의 6근(六根)이 취하는 인식 및 작용대상이자, 또한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의 6식(六識)의 인식대상이자 경계(境界: 세력 범위)인 색경(色境)성경(聲境)향경(香境)미경(味境)촉경(觸境)법경(法境)을 말. 부처의 상태에 이르지 못한 중생의 경우,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6경이 만유제법의 참된 성품 또는 만유제법의 실상(實相)을 가리는 장애로서 작용하는데, 이런 측면에서 6경을 6진(六塵)외진(外塵)6망(六妄)6쇠(六衰) 또는 6적(六賊)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육경 · 더보기 »

팔라 왕조

왕조(Pala dynasty)는 750년에서 1174년경까지, 인도 북동부 지역(벵골 지역과 비하르 지방을 중심으로 한 지역)을 지배한 불교 왕조(750년 - 1162년 또는 1174년)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팔라 왕조 · 더보기 »

팔리어

빨리어 또는 빠알리어(Pāḷi, Pāli, पाऴि)는 인도아리아어군의 중세 인도아리아어(중기 인도아리아어) 즉 프라크리트어에 속하는 언어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팔리어 · 더보기 »

팔정도

8정도(八正道), 8성도(八聖道) 또는 8지성도(八支聖道)는 사성제 가운데 마지막의 도제에서 가르치는, 깨달음(멸제)을 성취하는 원인이 되는 "여덟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성스러운 길, 수단 또는 실천 덕목"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팔정도 · 더보기 »

상좌부 불교

상좌부 불교(上座部佛敎) 또는 테라바다(Theravada)는 부처의 계율을 원칙대로 고수하는 불교를 말. 대중부 불교와 함께 인도 불교의 2대 부문(部門)의 하나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상좌부 불교 · 더보기 »

탄트라

(Tantra)는 교의교전(敎義敎典)을 뜻하는 것으로 샤크티파(派)의 경전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탄트라 · 더보기 »

색 (불교)

색(色)은 산스크리트어 루파(रुपा, Rūpa)의 역어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색 (불교) · 더보기 »

수 (불교)

수(受, 느낌지각정서영납(領納)감수(感受))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수 (불교) · 더보기 »

영혼

영혼(靈魂)이란 육체에 깃들어 있는 정신적 추상적 실체를 말.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영혼 · 더보기 »

오온

5온(五蘊)은 불교에서 생멸변화하는 모든 것, 즉 모든 유위법(有爲法)을 구성하고 있다고 보는 색(色)수(受)상(想)행(行)식(識)의 다섯 요소를 말. 이들을 각각 색온(色蘊: 육체, 물질)수온(受蘊: 지각, 느낌)상온(想蘊: 표상, 생각)행온(行蘊: 욕구, 의지)식온(識蘊: 마음, 의식)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오온 · 더보기 »

형이상학

형이상학(形而上學Metaphysics)으로 번역되는 영어 낱말 "메타피직스(Metaphysics)"는 그리스어의 메타(meta: 뒤)와 피지카(physika: 자연학)의 결합으로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유래하였.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형이상학 · 더보기 »

행 (불교)

행(行)은 범어 삼스카라(saṃskāra)의 역어로, '만드는 것'과 '이변(異變)하는 것'의 뜻이 있다고 하며, 12연기(十二緣起)의 제2행(行)은 전자, 즉 업(業)의 뜻이고, 제행무상이라고 할 때에는 후자, 즉 모든 현상을 말. 그러나 수행(修行)이란 뜻에서의 행은 그 원어가 다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행 (불교) · 더보기 »

여래

여래(如來)는 불10호(佛十號) 즉 부처의 10가지 명호(名號) 중의 하나이며 그 유래가 명확하지는 않으나 범어의 따타가따(tathāgata)를 번역한 것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여래 · 더보기 »

연기 (불교)

연기(緣起)는 인연생기(因緣生起) 즉 인(因: 직접적 원인)과 연(緣: 간접적 원인)에 의지하여 생겨남 또는 인연(因緣: 통칭하여, 원인)따라 생겨남의 준말로,운허 &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연기 (불교) · 더보기 »

열반

열반(涅槃)은 "(바람 등이) 불기를 멈추다(촛불 등을) 불어서 끄다(촛불 등이) 불어서 꺼진 상태"라는 뜻의를 음을 따라 번역한 말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열반 · 더보기 »

사상

사상은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사상 · 더보기 »

사성제

사성제(四聖諦) 또는 사제(四諦)는 《아함경(阿含經)》에 나오는 원시 불교 가르침으로 불교 기본 교의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사성제 · 더보기 »

석가모니

석가모니(釋迦牟尼Śākyamuni, 기원전 624년? ~ 544년? 생몰연대가 확실하지 않아 여러 설이 있지만, 세계불교도대회에서 이것(기원전 624년? ~ 544년)을 공식 채택하였다. 그 외 기원전 563년 ~ 483년, 기원전 565년 ~ 485년, 기원전 463년 ~ 383년설이 있다.)는 불교의 교조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석가모니 · 더보기 »

설일체유부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는 부파불교 시대의 종파 또는 부파들 중에서 가장 유력한 부파이며, 부파불교의 사상적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부파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설일체유부 · 더보기 »

세계

인공위성 합성사진 (낮) 인공위성 합성사진 (밤) 세계 지도 세계(世界,World) 또는 누리는 우리가 사는 지구, 또는 세계의 모든 나라, 또는 인류 사회 전체를 일컫는 명칭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세계 · 더보기 »

소승불교

소승불교(小乘佛敎) 또는 히나야나(Hinayana)는 '열등의 작은 탈 것'(smaller vehicle)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대승불교 운동이 전개 후 불자들이 스스로를 이타(利他)를 목표로 한 '위대하고 뛰어난 탈것'(great vehicle)이라 하고 그 이전의 부파 불교를 자리(自利)만에 시종하는 열악(劣惡)한 탈것이라고 폄칭(貶稱)한 데서 이렇게 불리게 된 것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소승불교 · 더보기 »

해심밀경

《해심밀경》(解深密經)은 인도의 중기 대승불교의 경전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해심밀경 · 더보기 »

약사여래

동화사의 통일약사여래대불 약사여래(藥師如來, भैषज्यगुरु bhaiṣajyaguru)는 불교에서 중생의 모든 병을 고쳐주는 부처(여래) 즉, 약사 부처(Medicine Buddha)를 말. 아미타불의 48 서원과 함께 약사여래의 12대 서원이 유명.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약사여래 · 더보기 »

한국의 불교

국의 불교는 기원후 4세기와 5세기경 삼국 시대(三國時代)에 동진 시대(317-420)와 남북조 시대(439-589)의 중국을 거쳐 들어온 종교로서 한국 민족과 더불어 자라온 중요한 종교 사상의 하나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한국의 불교 · 더보기 »

한국의 불교 사상

본 문서 한국의 불교 사상은, 한국에 전래된 불교에서 전개된 사상을 설명.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한국의 불교 사상 · 더보기 »

아미타불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대한민국 국보 제82호) 아미타불(阿彌陀佛), 무량광불(無量光佛) 또는 무량수불(無量壽佛)은 서방 극락세계(西方極樂世界)에 머물며 설법을 한다는 부처로, 주로 정토교에서 숭앙하는 구제불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아미타불 · 더보기 »

아트만

아트만(Ātman)은 힌두교의 기본 교의 중의하 나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아트만 · 더보기 »

아소카

아소카(Ashoka Maurya)는 인도 마가다국 제3왕조인 마우리아 제국의 세 번째 임금으로 인도사상 최초의 통일국가를 이룬 왕이다(재위: 기원전 265년경 ~ 기원전 238년 혹은 기원전 273년경 ~ 기원전 232년).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아소카 · 더보기 »

악(惡)은 도덕적, 또는 종교적 관점에서 부정적인 것을 가리.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악 · 더보기 »

심의식

심의식(心意識)은 심(心)의(意)식(識)의 세 낱말을 합친 복합어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심의식 · 더보기 »

십이연기설

THDL: tendrel yenlak chunyi THDL: tendrel yenlak chunyi --@> |th.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십이연기설 · 더보기 »

십사무기

14무기(十四無記Fourteen unanswerable questions)는 고타마 붓다가 대답을 거부하고 침묵한('무기無記') 14가지의 질문을 가리키는 불교 용어이.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십사무기 · 더보기 »

원시불교

원시불교(原始佛敎)는 고타마 붓다가 도(道)를 깨닫고 전도를 시작한 때로부터 그의 입적(入寂) 후 제자들이 그의 가르침을 정리하여 성립된 불교를 일반적으로 의미.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원시불교 · 더보기 »

화엄경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줄여서 《화엄경(華嚴經)》() 또는 《잡화경(雜華經)》()은 초기 대승불교의 가장 중요한 경전 중 하나로,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6001 > 화엄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화엄경: 華嚴經 원명은 부다아바탐사카 나마 마하바이풀랴 수트라(Buddha­avatamsaka­nama­mahavaipulya­sutra)이고 자세하게 말해서 이라 부른.

새로운!!: 불교의 사상와 화엄경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불교 철학, 불교 사상, 불교의 철학, 불교철학, 불교사상, 인도 불교의 사상, 인도불교의 사상, 인도의 불교 사상, 인도의 불교사상.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