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양명학

색인 양명학

왕수인 양명학(陽明學)은 중국 명나라의 철학자 왕수인(王守仁)의 호인 양명(陽明)에서 이름을 따서 붙인 유가 철학(儒家哲學)의 한 학파로 주관적 실천 철학에 속. 양명학이라는 명칭은 메이지 유신 이후에 퍼진 것으로, 그 이전에는 육왕학(陸王學) 또는 왕학(王學)이라 불. 육왕학(陸王學)은 육구연(陸九淵)의 학풍을 이어 왕수인이 대성한 유학(儒學)을 뜻하고, 왕학(王學)은 왕수인의 유학을 뜻. 심즉리(心卽理)치양지(致良知)지행합일(知行合一)은 양명학의 3강령이.

47 처지: 류성룡, 맹자, 메이지 유신, 명나라, 박은식, 박상, 건륭제, 고증학, 불교,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구마자와 반잔, 나카에 도주, 장유, 이광사, 이익 (1681년), 이지 (1527년), 이황, 일본, 음력 5월 26일, 제1차 아편 전쟁, 정인보, 정제두, 중국, 철학자, 청나라, 유교, 육구연, 옹정제, 최명길 (1586년), 양명학, 선 (불교), 성리학, 성선설, 송·명 시대의 사상, 한국의 유교, 훈고학, 왕간, 왕기, 왕수인, 11월 25일, 1521년, 1528년, 1529년, 1594년, 1840년, 1월 5일, 7월 13일.

류성룡

성룡(柳成龍, 1542년 11월 7일(음력 10월 1일) ~ 1607년 5월 31일(음력 5월 6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인문학자, 의학자, 저술가이.

새로운!!: 양명학와 류성룡 · 더보기 »

맹자

맹자(기원전 372년?~기원전 289년?)는 공자의 사상을 이어 발전시킨 유학자이.

새로운!!: 양명학와 맹자 · 더보기 »

메이지 유신

메이지 유신()은 막번 체제를 해체하고 왕정 복고를 통한 중앙 통일 권력의 확립에 이르는 광범위한 변혁 과정을 총칭.

새로운!!: 양명학와 메이지 유신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양명학와 명나라 · 더보기 »

박은식

박은식(朴殷植, 1859년 10월 25일(음력 9월 30일) ~ 1925년 11월 1일)은 일제 강점기의 학자, 언론인, 독립운동가, 교육자, 애국계몽운동가, 정치가이.

새로운!!: 양명학와 박은식 · 더보기 »

박상

박상(朴祥, 1474년 ~ 153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양명학와 박상 · 더보기 »

건륭제

보친왕 시절의 건륭제 건륭제(乾隆帝, 강희(康熙) 50년 음력 8월 13일 (1711년 9월 25일) ~ 가경(嘉慶) 4년 음력 1월 3일 (1799년 2월 7일))는 청나라의 제6대 황제(재위 1735년 ~ 1796년)이.

새로운!!: 양명학와 건륭제 · 더보기 »

고증학

증학(考證學)은 중국 명말 청초에 문헌학, 언어학을 중심으로 객관적·실증적 태도를 견지하며 발전한 유학의 한 분파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양명학와 고증학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양명학와 불교 · 더보기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世界大百科事典)은 2004년 도서출판 범한에서 출판한 백과사전으로, 다음(지금의 카카오)이 라이선스를 사들여 2008년 11월 한국어 위키백과에 기증.

새로운!!: 양명학와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더보기 »

구마자와 반잔

마자와 반잔 구마자와 반잔(겐나 5년(1619년) ~ 겐로쿠 4년 음력 8월 17일(1691년 9월 9일))은 에도 시대 초기의 양명학자 중 대표적인 인물이.

새로운!!: 양명학와 구마자와 반잔 · 더보기 »

나카에 도주

에 도주 나카에 도주(中江藤樹, なかえ とうじゅ, 1608년 4월 21일 ~ 1648년 10월 11일)는 일본의 철학자.

새로운!!: 양명학와 나카에 도주 · 더보기 »

장유

장유(張維, 1588년 1월 22일(음력 1587년 12월 25일)∼1638년 4월 30일(음력 3월 17일))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양명학와 장유 · 더보기 »

이광사

이광사(李匡師, 숙종 31년(1705) ~ 정조 1년(1777))는 조선의 문신, 서예가이며, 현대 한국학의 시조이.

새로운!!: 양명학와 이광사 · 더보기 »

이익 (1681년)

이익(李瀷, 1681년 10월 18일 ~ 1763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사상가, 철학자, 실학자, 역사가, 교육자로 조선 영조 때의 남인(南人) 실학자이.

새로운!!: 양명학와 이익 (1681년) · 더보기 »

이지 (1527년)

이지 초상화 이지(李贄, 1527년 11월 19일(음력 10월 26일)~1602년 5월 7일(음력 3월 16일))는 중국 명나라의 양명학 좌파에 속하는 사상가이.

새로운!!: 양명학와 이지 (1527년) · 더보기 »

이황

이황(李滉, 1502년 1월 3일(1501년 음력 11월 25일) ~ 1571년 1월 3일(1570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이언적, 이이, 송시열, 박세채, 김집과 함께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한 사람이다. 이언적의 사상을 이어받아 영남학파의 중추적 학자가 되었으며 나아가 한국을 대표하는 성리학자가 되었다. 학맥은 동서 분당 뒤에 동인의 핵심을 이루고, 다시 동인이 남인-북인으로 갈릴 때, 이황 제자들은 남인, 조식 제자들은 북인을 이룬다. 한편 그의 저술 중 일부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약탈해갔는데, 일본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새로운!!: 양명학와 이황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양명학와 일본 · 더보기 »

음력 5월 26일

음력 5월 26일은 음력 5월의 26번째 날이.

새로운!!: 양명학와 음력 5월 26일 · 더보기 »

제1차 아편 전쟁

제1차 아편전쟁(第一次鴉片戰爭)(1839년 9월 4일(음력 7월 27일) ~ 1842년 8월 29일(음력 7월 24일))은 청나라의 아편 단속을 빌미로 한 영국의 침략전쟁이.

새로운!!: 양명학와 제1차 아편 전쟁 · 더보기 »

정인보

정인보(鄭寅普, 음력 1893년 5월 6일/양력 1893년 6월 19일 ~ 1950년 9월 7일)는 일제 강점기의 한학자·역사학자·작가이며, 대한민국의 언론인·정치인·작가이.

새로운!!: 양명학와 정인보 · 더보기 »

정제두

정제두(鄭齊斗, 1649년∼1736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이.

새로운!!: 양명학와 정제두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양명학와 중국 · 더보기 »

철학자

학.

새로운!!: 양명학와 철학자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양명학와 청나라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양명학와 유교 · 더보기 »

육구연

육구연 육구연(陸九淵, 1139년~1192년)은 중국 남송의 사상가이.

새로운!!: 양명학와 육구연 · 더보기 »

옹정제

옹정제(雍正帝, 강희(康熙) 17년 음력 10월 30일 (1678년 12월 13일) ~ 옹정(雍正) 13년 음력 8월 22일 (1735년 10월 8일))는 청나라의 제5대 황제(재위 1722년 ~ 1735년)이자 1644년 명나라가 멸망한 직후 청나라 군대의 산해관 입관(入關) 뒤 중국 대륙을 실질적으로 통치한 정통 황조로서의 세 번째 황제이.

새로운!!: 양명학와 옹정제 · 더보기 »

최명길 (1586년)

명길(崔鳴吉, 1586년 10월 7일(음력 8월 25일)~ 1647년 6월 19일(음력 5월 17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양명학자,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양명학와 최명길 (1586년) · 더보기 »

양명학

왕수인 양명학(陽明學)은 중국 명나라의 철학자 왕수인(王守仁)의 호인 양명(陽明)에서 이름을 따서 붙인 유가 철학(儒家哲學)의 한 학파로 주관적 실천 철학에 속. 양명학이라는 명칭은 메이지 유신 이후에 퍼진 것으로, 그 이전에는 육왕학(陸王學) 또는 왕학(王學)이라 불. 육왕학(陸王學)은 육구연(陸九淵)의 학풍을 이어 왕수인이 대성한 유학(儒學)을 뜻하고, 왕학(王學)은 왕수인의 유학을 뜻. 심즉리(心卽理)치양지(致良知)지행합일(知行合一)은 양명학의 3강령이.

새로운!!: 양명학와 양명학 · 더보기 »

선 (불교)

선정(禪定)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선(禪)이란, 중국 대륙에서 5세기에 발전하기 시작한 대승불교의 한 조류이.

새로운!!: 양명학와 선 (불교)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양명학와 성리학 · 더보기 »

성선설

성선설(性善說)은 공자(孔子)와 더불어 유가(儒家)의 대표적 사상가인 맹자(孟子)가 주장한 인간의 심성(心性)에 대한 학설로, "인간의 본성(本性)은 선(善)하다"는 학설이.

새로운!!: 양명학와 성선설 · 더보기 »

송·명 시대의 사상

중국 송·명 시대의 사상의 특징은 한나라(漢)6조(六朝)수나라(隋)당나라(唐) 시대의 유가(儒家)도가(道家)불가(佛家)의 3교 정립의 상태를 지양하고 종합함으로써 유가를 중심한 3교 합일의 사상을 전개한 것이.

새로운!!: 양명학와 송·명 시대의 사상 · 더보기 »

한국의 유교

동아시아의 사상의 흐름은 크게 유교와 불교 그리고 도교인데, 한국은 이러한 세 가지 사상적 요소를 모두 흡수·구비하여 발전시켜 왔. 그 가운데서도 중국과는 지역적으로 인접한 까닭에 고대로부터 유교사상이 한국에 들어와 민족정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

새로운!!: 양명학와 한국의 유교 · 더보기 »

훈고학

훈고학(訓詁學)은 한나라(BC 206 ~ AD 220) 시대부터 당나라(618-907) 시대까지 성행한 유학으로 경전의 자구 해석에 치중하였.

새로운!!: 양명학와 훈고학 · 더보기 »

왕간

왕간(王艮, 1483년~1541년)은 중국 명나라의 양명학 좌파의 사상가이.

새로운!!: 양명학와 왕간 · 더보기 »

왕기

왕기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양명학와 왕기 · 더보기 »

왕수인

양명 왕수인 왕수인(王守仁, 성화(成化) 8년(1472년) ~ 가정 7년(1528년))은 중국 명나라의 정치인·교육자·사상가이.

새로운!!: 양명학와 왕수인 · 더보기 »

11월 25일

11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9번째(윤년일 경우 33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양명학와 11월 25일 · 더보기 »

152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양명학와 1521년 · 더보기 »

152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양명학와 1528년 · 더보기 »

152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양명학와 1529년 · 더보기 »

1594년

159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양명학와 1594년 · 더보기 »

1840년

184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양명학와 1840년 · 더보기 »

1월 5일

1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양명학와 1월 5일 · 더보기 »

7월 13일

7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4번째(윤년일 경우 19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양명학와 7월 13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지행합일, 치양지, 육왕학, 육왕학파, 양명 사상, 양명사상, 양명학자, 심즉리, 심학, 왕학.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