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자연법

색인 자연법

자연법(自然法)은 인위적인 법률과 그 가치에 대칭되는 것으로 자연히 존재하는 언제, 어디서나 유효한 보편적 불변적 법칙이.

55 처지: 로마법, 로크, 만민법,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몽테스키외, 미국, 미국 연방 대법원, 방법론, 개인주의, 법 규범, 법체계, 법학, 법실증주의, 고대 그리스, 공동체, 권리, 기독교,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국가, 스토아 학파, 자연법, 자연권, 자연주의 (철학), 장자크 루소, 이론, 인권, 적법절차, 정의, 정치, 정치학, 휴고 그로티우스, 생각, 수학, 영미법, 영국, 에드워드 코크, 헤라클레이토스, 헨리 드 브랙턴, 사회, 사회계약론, 플라톤, 토마스 아퀴나스, 토머스 홉스, 소포클레스, 소피스트, 안티고네 (소포클레스), 아리스토텔레스, 아우구스티누스, , 신자연법론, ..., 신정론, 실정법, 시민법, 1609년, 1610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 더) »

로마법

마법()은 고대 로마인(사회)의 여러 법 및 법문화(法文化)이.

새로운!!: 자연법와 로마법 · 더보기 »

로크

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자연법와 로크 · 더보기 »

만민법

만민법(萬民法, jus gentium)은 원래 로마에서 로마 시민권을 가지지 못한 외국인에게 적용하기 위해 제정한 법을 말. 현재는 경제적 영역에서 여러 민족들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만민법 사상을 이론적으로 일반화해 국적이 서로 다른 민족들 간의 법률관계를 규율하는 일반적인 법을 일컫.

새로운!!: 자연법와 만민법 · 더보기 »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Marcus Tullius Cicero 기원전 106년 1월 3일 - 기원전 43년 12월 7일)는 로마시대의 정치가, 웅변가, 문학가, 철학자이.

새로운!!: 자연법와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 더보기 »

몽테스키외

제2대 몽테스키외 남작 샤를 루이 드 세콩다 몽테스키외(1689년 1월 18일 ~ 1755년 2월 10일)는 계몽주의 시대의 프랑스 정치사상가이.

새로운!!: 자연법와 몽테스키외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자연법와 미국 · 더보기 »

미국 연방 대법원

미국 연방 대법원의 문장 미국 연방 대법원(美國聯邦大法院)은 미국 최고의 사법 기관으로 사법부를 총. 대통령이 지명하고 상원의 권고와 동의(advice and consent)하에 임명되는 대법원장(Chief Justice)과 8명의 대법관(Associate Justice)으로 구성되어 있. 일단 대법관으로 임명되면 대법관직을 수행하며 "선한 행동을 하는 동안" 종신직이며, 사망, 사직, 은퇴, 탄핵의 확정에 의해서만 물. 워싱턴 D.C.에 미국 연방 대법원 건물이 있. 연방 대법원은 본래 상고 법원이지만, 소수의 사건에서 1심 관할권을 갖. 한국에서는 대법원에서 아무 변호사나 변호를 할 수 있지만, 미국 연방 대법원에는 대법원 변호사 명단에 든 변호사만이 소송사건을 변호할 수 있. 주 대법원에서 패소한 원고가 이에 불복하면 연방 대법원에 최종적으로 항소할 수 있.

새로운!!: 자연법와 미국 연방 대법원 · 더보기 »

방법론

방법(方法)은 넓은 의미로는 일정한 목표에 이르기 위한 길이라 하겠으나, 과학적 혹은 철학적 방법은 엄밀한 의미로 사용.

새로운!!: 자연법와 방법론 · 더보기 »

개인주의

인주의(個人主義, Individualism)는 개인의 도덕적 가치를 중시하는 도덕적 입장, 이데올로기, 정치철학, 사회적 시각등을 의미.

새로운!!: 자연법와 개인주의 · 더보기 »

법 규범

법 규범(法規範)은 사회 규범 중의 하나인 법이라는 규범을 가리.

새로운!!: 자연법와 법 규범 · 더보기 »

법체계

법체계(法體系)는 일정한 법이념 내지 법원리에 의하여 통일된 법질서(예: 국제법 또는 국내법 체계)를 가리.

새로운!!: 자연법와 법체계 · 더보기 »

법학

학자들은 "법이 무엇이고,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를 질문한다. 법학(法學)은 법률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

새로운!!: 자연법와 법학 · 더보기 »

법실증주의

법실증주의 (法實證主義)는 광의로는 법의 실재면(實在面)을 경험적으로 고찰하는 경향의 법사상·법학이.

새로운!!: 자연법와 법실증주의 · 더보기 »

고대 그리스

아크로폴리스에 있다. 고대 그리스의 정교함과 문화를 대표하는 상징이기도 하다. 고대 그리스(Ancient Greece)란 그리스의 역사 가운데 기원전 1100년경부터 기원전 146년까지의 시대를 일컫.

새로운!!: 자연법와 고대 그리스 · 더보기 »

공동체

공동체(共同體) 또는 커뮤니티(community)는 같은 관심과 의식으로 환경을 공유하는 사회 집단이.

새로운!!: 자연법와 공동체 · 더보기 »

권리

리(權利)는 인간과 집단이 국가, 사회, 단체 활동을 함에 있어 정당하게 행사할 수 있는 힘이.

새로운!!: 자연법와 권리 · 더보기 »

기독교

독교(基督敎)From Ancient Greek Khristós (Latinized as Christus), translating Hebrew מָשִׁיחַ, Māšîăḥ, meaning "the anointed one", with the Latin suffixes -ian and -itas.

새로운!!: 자연법와 기독교 · 더보기 »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법재판소(憲法裁判所,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는 대한민국의 헌법에 관한 분쟁을 담당하는 헌법상 독립 기관이.

새로운!!: 자연법와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 더보기 »

국가

국가(國家)는 일정한 영토를 차지하고 조직된 정치 형태, 즉 정부를 지니고 있으며 대내 및 대외적 자주권을 행사하는 정치적 실체이.

새로운!!: 자연법와 국가 · 더보기 »

스토아 학파

스토아 학파는 그리스 로마 철학의 한 학파이.

새로운!!: 자연법와 스토아 학파 · 더보기 »

자연법

자연법(自然法)은 인위적인 법률과 그 가치에 대칭되는 것으로 자연히 존재하는 언제, 어디서나 유효한 보편적 불변적 법칙이.

새로운!!: 자연법와 자연법 · 더보기 »

자연권

자연권(自然權)은 자연법상의 인간의 천부인권(天賦人權)을 말. 태어나면서부터 당연히 주어지는, 법률이나 믿음보다 앞선 보편적 선험적 권리이.

새로운!!: 자연법와 자연권 · 더보기 »

자연주의 (철학)

자연주의(自然主義)는 예술과 철학에서 과학의 영향으로 나타난 사상이자 운동이.

새로운!!: 자연법와 자연주의 (철학) · 더보기 »

장자크 루소

장 자크 루소(Jean-Jacques Rousseau, 1712년 6월 28일 ~ 1778년 7월 2일)는 스위스 제네바 공화국에서 태어난 프랑스의 사회계약론자이자 직접민주주의자, 공화주의자, 계몽주의 철학자이.

새로운!!: 자연법와 장자크 루소 · 더보기 »

이론

이론(理論)이라는 낱말은 토론의 환경과 방법론에 따라, 다른 분야의 지식 속에서 수많은 구별된 뜻을.

새로운!!: 자연법와 이론 · 더보기 »

인권

세계 최초의 인권 원형통인 'Cyrus the great cylinder' 인권(人權, human rights)은 인간이 인간답게 존재하기 위한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인간의 권리 및 지위와 자격을 의미하는 개념이.

새로운!!: 자연법와 인권 · 더보기 »

적법절차

적법절차(適法節次, due process of law)는 개인의 권리보호를 위해 정해진 일련의 법적 절차를 말. 적법 절차에서 적(適)은 적정한(due)이란 뜻이고 절차는 권리의 실질적인 내용을 실현하기 위하여 택하여야 할 수단적, 기술적 방법을 말. 적법에서의 법은 불문법을.

새로운!!: 자연법와 적법절차 · 더보기 »

정의

안대를 두르고 저울과 칼을 든 유스티티아는 정의의 상징이다. 정의(正義)는 사회를 구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사회 구성원들이 공정하고 올바른 상태를 추구해야 한다는 가치로, 대부분의 법이 포함하는 이념이.

새로운!!: 자연법와 정의 · 더보기 »

정치

정치(政治, politics)에 대해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학문적인 정의는 데이비드 이스턴(David Easton)이 내린 "가치의 권위적 배분(authoritative allocation of values)"이.

새로운!!: 자연법와 정치 · 더보기 »

정치학

정치학(政治學) 또는 정치과학(政治科學)은 주로 국가권력을 행사하거나 자원의 획득, 배분을 둘러싼 또는 권력의 행사에 영향을 미치려는 제(諸) 세력들 간의 갈등과 투쟁 및 타협으로 나타나는 국가현상을 중심으로 정치사상과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사회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자연법와 정치학 · 더보기 »

휴고 그로티우스

휴고 그로티우스(1583년 4월 10일 ~ 1645년 8월 28일) 또는 휘호 더 흐로트(), 하위흐 더 흐로트(Huig de Groot)는 "국제법의 아버지", "자연법의 아버지"로 불리는 네덜란드의 법학자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자연법와 휴고 그로티우스 · 더보기 »

생각

생각은 결론을 얻으려는 관념의 과정이.

새로운!!: 자연법와 생각 · 더보기 »

수학

수학(數學)은 양, 구조, 공간, 변화 등의 개념을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자연법와 수학 · 더보기 »

영미법

세계의 법체계 영미법(英美法, Anglo-American law)은 영국에서 발생해 영어를 쓰는 나라와 영국 식민지 국가로 퍼져 나간 법체계이.

새로운!!: 자연법와 영미법 · 더보기 »

영국

이트 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聯合王國), 약칭 브리튼() 또는 연합왕국(聯合王國,, UK) 혹은 영국(英國)은 유럽 북서부 해안의 브리튼 제도에 위치한 주권국이자 섬나라로, 북해, 영국 해협, 아일랜드 해 및 대서양에 접하여 있으며 그레이트 브리튼 섬의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및 아일랜드 섬 북부의 북아일랜드로 네 개의 구성국으로 이루어져 있는 연합국가이.

새로운!!: 자연법와 영국 · 더보기 »

에드워드 코크

에드워드 코크 경 에드워드 코크(Edward Coke, "Cook"으로 발음함) (1552년 2월 1일-1634년 9월 3일)는 17세기 영국의 식민지 사업가, 판사, 정치인이.

새로운!!: 자연법와 에드워드 코크 · 더보기 »

헤라클레이토스

헤라클레이토스(Heraclitus of Ephesu, Ήράκλειτος, 기원전 6세기 초 - ?)는 고대 그리스의 이른바 전소크라테스 철학자이.

새로운!!: 자연법와 헤라클레이토스 · 더보기 »

헨리 드 브랙턴

헨리 드 브랙턴(Henry de Bracton, ? ~ 1268년)은 영국의 성직자, 법률가, 재판관이.

새로운!!: 자연법와 헨리 드 브랙턴 · 더보기 »

사회

페루의 차이나 타운. 화교는 여러 나라에서 독자적이면서 닫힌 사회를 이루고 있다. 사회(社會, society)는 정치, 문화, 제도적으로 독자성을 지닌 공통의 관심과 신념, 이해에 기반한 다인(多人)의 개인적 집합, 결사체이.

새로운!!: 자연법와 사회 · 더보기 »

사회계약론

《사회계약론》(Du Contrat Social ou Principes du droit politique)은 장자크 루소의 대표적 저술 가운데 하나로 1762년에 출판된 책이.

새로운!!: 자연법와 사회계약론 · 더보기 »

플라톤

(Plátōn, "넓은, 어깨 폭이 넓은";,; 기원전 428년/기원전 427년 또는 기원전 424년/기원전 424년 ~ 기원전 348년/기원전 347년)은 서양의 다양한 학문에 영향력을 가진 그리스의 철학자이며 사상가였.

새로운!!: 자연법와 플라톤 · 더보기 »

토마스 아퀴나스

마스 아퀴나스 토마스 아퀴나스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4/25년? ~ 1274년 3월 7일)는 기독교의 저명한 신학자이자 스콜라 철학자이.

새로운!!: 자연법와 토마스 아퀴나스 · 더보기 »

토머스 홉스

머스 홉스(Thomas Hobbes, 1588년 4월 5일 ~ 1679년 12월 4일)는 잉글랜드 왕국의 정치철학자이자 최초의 민주적 사회계약론자이.

새로운!!: 자연법와 토머스 홉스 · 더보기 »

소포클레스

소포클레스 소포클레스(기원전 497년 - 기원전 406년)는 고대 그리스 아테네의 비극 시인이.

새로운!!: 자연법와 소포클레스 · 더보기 »

소피스트

소피스트()는 고대 그리스의 특정 종류의 교사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자연법와 소피스트 · 더보기 »

안티고네 (소포클레스)

《안티고네》()는 고대 그리스의 비극작가 소포클레스가 기원전 441년에 만든 비극이.

새로운!!: 자연법와 안티고네 (소포클레스) · 더보기 »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년 ~ 322년)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플라톤의 제자이며, 알렉산더 대왕의 스승이.

새로운!!: 자연법와 아리스토텔레스 · 더보기 »

아우구스티누스

성 아우렐리우스 아우구스티누스 히포넨시스(354년 11월 13일 ~ 430년 8월 28일)는 4세기 북아프리카인 알제리 및 이탈리아에서 활동한 기독교 신학자이자 주교로, 개신교, 로마 가톨릭교회 등 서방 기독교에서 교부로 존경하는 사람이.

새로운!!: 자연법와 아우구스티누스 · 더보기 »

신(神)은 신성하거나 성스러움으로 간주되는 자연적 혹은 초자연적 존재(a natural or supernatural being considered divine or sacred)이.

새로운!!: 자연법와 신 · 더보기 »

신자연법론

신자연법론(新自然法論)이란 19세기 말부터 붕괴하기 시작한 법실증주의에 대신하여 일어난 새로운 자연법사상을 말. 신자연법론이라 함은 근세 자연법론이 19세기 초엽에 독일에서는 역사법학파의 지배에 의하여, 프랑스에서는 민법전의 편찬에 의하여 법학계의 전면(前面)에서 물러난 후 19세기 말에서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당시의 법학계를 지배하고 있던 법실증주의에 대한 반동으로서 프랑스와 독일에서 또다시 등장된 자연법론을 말. 신자연법론에는 실정법을 넘어선 법원리를 주장하는 점에서 공통성을 가지면서 종래의 자연법에 대한 비판을 충분히 섭취한 위에서 새로운 방법론적인 반성에 기해서 자연법론을 구성하려는 경향과, 중세의 성 토머스의 사상적 전통을 부활시키려는 경향 등이 있. '변화하는 내용을 갖고 있는 자연법'이라는 정식(定式)을 내세운 독일의 슈타믈러나 프랑스의 살레유, 제니 등이 전자에 속하며, 독일의 카트라인 등이 후자에 속. 이와 같은 신자연법론의 노력도 법학계의 대세를 움직이지는 못. 그래서 제2차 세계대전 후 나치독재의 성립을 방지하지 못했던 법실증주의에 대한 반성에서 주로 독일에서 또다시 여러 가지 경향의 자연법론이 나타난 것이.

새로운!!: 자연법와 신자연법론 · 더보기 »

신정론

신정론(神正論, 신의론(神義論), 변신론(辯神論), 호신론(護神論),,,, theós‚ 신‘과 δίκη díke ‚ 의로움‘)은 „ 신의 정당함을 주장하는 이론“을 가리.

새로운!!: 자연법와 신정론 · 더보기 »

실정법

실정법(實定法)은 일반적으로 새로운 권리를 만드는 법이.

새로운!!: 자연법와 실정법 · 더보기 »

시민법

시민법 (市民法, jus civile)은 전통적인 봉건주의 질서가 서서히 해체되면서 자본을 바탕으로 한 부르주아 혁명에 의해 탄생한 시민사회를 전제로 하여 출현한 법이.

새로운!!: 자연법와 시민법 · 더보기 »

1609년

16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자연법와 1609년 · 더보기 »

1610년

161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자연법와 1610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자연법 사상, 자연법론, 자연법주의, 자연법사상.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