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조선의 공신

색인 조선의 공신

조선의 공신(朝鮮—功臣)은 조선시대 개국이나 반정, 반란 진압 등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려주는 칭호와 관직이.

332 처지: 류자광, 류자신, 류희분, 류순, 류순정, 류영경, 류성룡, 맹석흠, 목호룡, 민무구, 민무질, 민여익, 배극렴, 백수장, 반정, 박동량, 강맹경, 박문수, 박강, 박포, 강희맹, 박은, 박종우, 박중선, 박중손, 박진원, 박상, 박영문, 박원종, 박원형, 경신환국, 고려, 고언백, 곽연성, 계축옥사, 계유정난, 계양군, 변수, 광국공신, 권람, 권응수, 권준 (1541년), 권율, 귀성군, 기대승, 기자헌, 금성대군, 김류 (1571년), 김만기 (1633년), 김명원, ..., 김경징, 김광준, 김권, 김균, 김기문, 김국광, 김승주, 김자점, 김이원 (1553년), 김익훈, 김응용, 김응수 (1567년), 김정경, 김중만, 김질 (1422년), 김진성, 김충남, 김탁, 김수동, 김사형, 김석주, 김세준, 김시민, 김원량, 김완 (1577년), 구굉, 구인후, 남이, 남이흥, 남은, 노사신, 회안대군, 장말손, 장만, 장희재 (조선), 장사길, 장사정, 임진왜란, 임해군, 임원준, 희빈 장씨, 이덕형, 이락, 이림, 이몽학의 난, 이무, 이민도, 이백유, 이거이, 이과, 이복, 이계전, 이광기, 이광정 (1552년), 이광악, 이괄, 이괄의 난, 이부 (조선), 이극돈, 이극배, 이귀, 이기 (1476년), 이기축, 이효성, 이운룡, 이이첨, 이인좌의 난, 이응순, 이정립, 이정암, 이저, 이종무, 이중로, 이직, 이지란, 이천우, 이축, 이유청, 이윤경, 이숭원, 이순신, 이순신 (1553년), 이수남, 이숙, 이숙번, 이온, 이언적, 이억기, 이양우 (1346년), 이양원, 이헌국, 이사명, 이산해, 이성윤, 이서, 이서 (1580년), 이애, 이항복, 이시백, 이시애의 난, 이원익, 이화, 인조반정, 의안대군 (1348년), 익안대군, 을사사화, 제1차 왕자의 난, 제2차 왕자의 난, 전균, 정도전, 정기원, 정국공신, 정난종, 정효상, 정승조, 정인지, 정인홍, 정창영, 정창연, 정창손, 정철, 정충신, 정탁 (1363년), 정탁 (1526년), 정순붕, 정현조, 정여립, 정사공신 (1398년), 조문명, 조박, 조견, 조경 (1541년), 조익정, 조준, 조영무, 조영규 (고려), 조온, 조현명, 조연, 조석문, 조선, 조선 경종, 조선 광해군, 조선 인조, 조선 중종, 조선 태종, 조선 숙종, 조선 영조, 조선 선조, 조선 성종, 조선 세조, 조선 원종, 조선의 개국공신, 좌명공신, 좌익공신, 종묘, 중종반정, 지계최, 청난공신, 유원정, 유홍 (1524년), 윤목, 윤곤, 윤근수, 윤두수, 윤승훈, 윤자당, 윤자운, 윤인경, 윤탁연, 윤호, 윤여필, 윤사로, 윤필상, 윤원형, 윤훤, 위성공신, 오명항, 오자경, 오사충, 호성공신, 혜빈 양씨, 최명길 (1586년), 최흥원, 최유림, 최호, 양정 (조선), 연사종, 허자, 허적, 허준, 허성, 선무공신, 성봉조, 성희안, 성삼문, 성석린, 서거정, 서인, 서익, 함부림, 한명회, 한백륜, 한계희, 한계순, 한응인, 한준, 한치의, 한상경, 한확, 안경공 (여말선초), 안당, 하륜, 신립, 신경진, 신경원, 신승선, 신윤무, 신율, 신숙주, 신성군, 심귀령, 심기원, 심효생, 심우승, 심회, 심희수, 심응, 심정 (1471년), 심종, 심충겸, 심순경, 원균, 원두표, 훈구파, 월산대군, 홍가신, 홍경주, 홍길민, 홍달손, 홍윤성, 홍순언, 홍언필, 홍성민, 홍성민 (1536년), 홍서봉, 황림, 황거정, 황효원, 황희석, 황진, 황수신, 황성원, 황신, PR (마케팅), 1392년, 1398년, 1400년, 1453년, 1455년, 1467년, 1468년, 1469년, 1506년, 1507년, 1517년, 1545년, 1577년, 1589년, 1592년, 1596년, 1608년, 1609년, 1612년, 1623년, 1624년, 1627년, 1628년, 1644년, 1680년, 1702년, 1728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82 더) »

류자광

자광(柳子光, 1439년 ~ 1512년 6월)은 조선의 초기의 무신, 군인, 교육자, 유학자, 작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류자광 · 더보기 »

류자신

자신(柳自新, 1541년 12월 ~ 1612년 2월 7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류자신 · 더보기 »

류희분

희분(柳希奮, 1564년 ~ 1623년)은 조선의 문신 겸 외척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류희분 · 더보기 »

류순

순(柳洵, 1441년 ~ 1517년)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희명(希明), 호는 노포(老圃), 본관은 문화(文化)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류순 · 더보기 »

류순정

순정 영정 류순정 (柳順汀, 1459년 ~ 151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성리학자이자 사림파 정치인의 한사람으로 1506년의 중종 반정에 참여하였.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류순정 · 더보기 »

류영경

영경(柳永慶, 1550년 ~ 160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류영경 · 더보기 »

류성룡

성룡(柳成龍, 1542년 11월 7일(음력 10월 1일) ~ 1607년 5월 31일(음력 5월 6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인문학자, 의학자, 저술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류성룡 · 더보기 »

맹석흠

맹석흠(孟碩欽, 1429년 ~ ?)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맹석흠 · 더보기 »

목호룡

목호룡(睦虎龍, 1684년~1724년)은 조선 경종 때의 지관(地官)으로, 신임옥사의 고변자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목호룡 · 더보기 »

민무구

민무구(閔無咎, ? ~ 1410년)는 조선시대 초기의 무신이자 외척으로 민변의 손자이고 민제의 아들이며 원경왕후의 동생이자 민무질·민무회·민무휼의 형이며 본관은 여흥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민무구 · 더보기 »

민무질

민무질(閔無疾, ? ~ 1410년)은 조선시대 초기의 무신이자 외척으로 민변의 손자이고 민제의 아들이며 원경왕후와 민무구의 동생이자 민무회·민무휼의 형이며 본관은 여흥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민무질 · 더보기 »

민여익

민여익(閔汝翼 1360년 6월 2일 ~ 1431년 5월 6일)은 고려 말기, 조선 초기의 문신이며 조선의 개국공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민여익 · 더보기 »

배극렴

1378년, 배극렴이 합포(현재의 창원시 마산회원구)에 쌓게 한 합포성지 배극렴(裵克廉, 1325년 ~ 1392년 12월 10일(음력 11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 무신이자 조선의 개국공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배극렴 · 더보기 »

백수장

백수장(1980년 12월 23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백수장 · 더보기 »

반정

반정(反正)은 현 국왕에 반대하여 축출한 후 새 국왕을 세우는 것을 말.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반정 · 더보기 »

박동량

박동량(朴東亮, 1569년 음력 7월 24일 ~ 1635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박동량 · 더보기 »

강맹경

강맹경(姜孟卿, 1410년 ~ 1461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강맹경 · 더보기 »

박문수

박문수(朴文秀, 1691년 10월 28일(음력 9월 8일) ~ 1756년 5월 22일(음력 4월 24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박문수 · 더보기 »

박강

박강(朴薑, ? ~ 1460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박강 · 더보기 »

박포

박포(朴苞, ?~1400)는 조선 초기의 무신으로 1392년 조선을 건국하는 데 공을 세워 개국공신 2등에 책봉되었고 1393년에 사헌중승과 황주목사가 되었.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박포 · 더보기 »

강희맹

강희맹(姜希孟, 1424년 ~ 1483년)은 조선 초기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강희맹 · 더보기 »

박은

박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박은 · 더보기 »

박종우

박종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박종우 · 더보기 »

박중선

박중선(朴仲善), 1435년 ~ 1481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자숙(子淑), 시호는 소양(昭襄)이다. 소헌왕후의 조카로 세조의 사촌이다. 박원종의 아버지이자 장경왕후, 대윤의 영수 윤임의 외조부이다.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박중선 · 더보기 »

박중손

박중손(朴仲孫, 1412년 ~ 1466년 5월 26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박중손 · 더보기 »

박진원

박진원(朴鎭原, 1987년 3월 17일 ~)는 KBO 리그 전 고양 원더스의 선수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박진원 · 더보기 »

박상

박상(朴祥, 1474년 ~ 153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박상 · 더보기 »

박영문

박영문(朴榮文, 1956년 8월 25일)은 대한민국의 방송인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박영문 · 더보기 »

박원종

박원종(朴元宗, 1467년 ~ 1510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武臣) 겸 정치가(政治家)로 자는 백윤, 시호는 무열로 본관은 순천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박원종 · 더보기 »

박원형

박원형(朴元亨, 1411년 ∼ 1469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공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박원형 · 더보기 »

경신환국

경신환국(庚申換局)은 1680년(숙종 6년) 남인 일파가 정치적으로 대거 실각한 일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경신환국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고려 · 더보기 »

고언백

언백(髙彦伯, 생년 미상 ~ 1609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고언백 · 더보기 »

곽연성

곽연성(郭連城, ? ~ 1464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곽연성 · 더보기 »

계축옥사

1608년 광해군(光海君)이 즉위하자, 대북은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옹립하여 역모하였다는 이유로 소북의 영수(領首) 류영경(柳永慶)을 죽이고 소북 인사들을 축출하였.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계축옥사 · 더보기 »

계유정난

유정난(癸酉靖難)은 1453년(단종 1) 11월 10일 (음력 10월 10일) 수양대군이 김종서와 황보인과 세종의 여러 대군들을 귀양보내거나 제가하며 마지막으로 단종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을 말. 이 정변이 계유년에 일어났으므로 계유정난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계유정난 · 더보기 »

계양군

양군 이증(桂陽君 李璔, 1427년 - 1464년 8월 16일)은 조선 전기의 왕족으로, 세종의 서자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계양군 · 더보기 »

변수

변수(變數)는 수학에서 쓰이는 수식에 따라서 변하는 값을 뜻. (예: x + 1.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변수 · 더보기 »

광국공신

광국공신(光國功臣)이란 조선 선조 때에 종계변무(宗系辨誣)에 공이 있는 사람들에게 내린 공신명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광국공신 · 더보기 »

권람

(權擥, 1416년 ~ 1465년 2월 6일)은 조선 초의 문신, 역사학자, 작가, 문인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권람 · 더보기 »

권응수

응수(權應銖, 1546년 ~ 1608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여러 전투에 참여해 큰 공을 세웠.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권응수 · 더보기 »

권준 (1541년)

준(權俊, 1541년 ~ 1611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권준 (1541년) · 더보기 »

권율

율(權慄, 1537년 ~ 1599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권율 · 더보기 »

귀성군

성군 이준(또는 구성군 이준, 龜城君 李浚, 1441년 1월 ~ 1479년 1월 28일)은 조선 전기의 왕족 종실(王族 宗室), 문신(文臣), 무신(武臣), 정치가(政治家)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귀성군 · 더보기 »

기대승

승(奇大升, 1527년~157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기대승 · 더보기 »

기자헌

자헌(奇自獻, 1562년 ~ 1624년)은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기자헌 · 더보기 »

금성대군

성대군 이유(錦城大君 李瑜, 1426년 5월 5일/음력 3월 28일~1457년 11월 7일/음력 10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금성대군 · 더보기 »

김류 (1571년)

(金瑬, 1571년 ~ 1648년 3월 5일)는 조선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류 (1571년) · 더보기 »

김만기 (1633년)

만기(金萬基, 1633년 ~ 1687년 3월 15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인·문신이자 척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만기 (1633년) · 더보기 »

김명원

명원(金命元, 1534년 ~ 1602년 12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응순, 호는 주은, 시호는 충익, 본관은 경주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명원 · 더보기 »

김경징

경징(金慶徵, 1589년 ~ 1637년 2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경징 · 더보기 »

김광준

광준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광준 · 더보기 »

김권

(본명: 김건우, 1989년 5월 16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권 · 더보기 »

김균

(金稛, ? ~ 1398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균 · 더보기 »

김기문

문(1954년~)은 초분자화학의 세계적 권위자로, 원하는 구조, 성질 및 기능을 갖는 다양한 초분자 구조체를 합성하였을 뿐 아니라, 이를 이용하여 나노 기술에 응용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재료들을 독창적으로 개발하여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아왔.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기문 · 더보기 »

김국광

국광(金國光, 1415년 5월 12일 ~ 1480년 11월 11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국광 · 더보기 »

김승주

승주(金承霔, 1354년 ~ 1424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승주 · 더보기 »

김자점

자점(金自點, 1588년 ~ 1651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 군인, 성리학자이며 인조의 서녀 효명옹주의 시조부로 왕실의 인척이었.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자점 · 더보기 »

김이원 (1553년)

이원(金履元, 1553년 ~ 161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이원 (1553년) · 더보기 »

김익훈

익훈(金益勳, 1619년 ~ 1689년 3월 11일)은 조선의 외척이며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익훈 · 더보기 »

김응용

응용(金應龍, 1940년 3월 1일 ~)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감독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응용 · 더보기 »

김응수 (1567년)

응수(金應壽, 1567년 ~ ?)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응수 (1567년) · 더보기 »

김정경

정경(1944년 1월 2일 ~)는 대한민국의 성우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정경 · 더보기 »

김중만

중만(金重晩, 1954년 10월 13일 ~)은 대한민국의 사진가이자 영화 포스터 광고사진감독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중만 · 더보기 »

김질 (1422년)

(金礩, 1422년 ~ 1478년 2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무신,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질 (1422년) · 더보기 »

김진성

성(金珍成,1985년 3월 7일 ~)은 KBO 리그 NC 다이노스의 투수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진성 · 더보기 »

김충남

충남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충남 · 더보기 »

김탁

탁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탁 · 더보기 »

김수동

수동(金壽童, 1457년 ~ 1512년)은 조선의 문신으로 성종 때, 영의정을.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수동 · 더보기 »

김사형

사형(金士衡, 1341년 ~ 1407년)은 고려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사형 · 더보기 »

김석주

석주(金錫冑, 1634년 ~ 1684년 9월 20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외척, 권신, 작가이자 비상한 머리와 수완을 지닌 책사로서, 당시 명성왕후 김씨를 도와 정국을 주. 경신대출척이 그의 작품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석주 · 더보기 »

김세준

세준(1963년 2월 12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세준 · 더보기 »

김시민

시민(金時敏, 1554년 ~ 1592년 11월 21일(음력 10월 18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시민 · 더보기 »

김원량

원량(金元亮, 1589년 ~ 162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원량 · 더보기 »

김완 (1577년)

완(金完, 1577년 ~ 1635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김완 (1577년) · 더보기 »

구굉

굉(具宏, 1577년 ~ 1642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구굉 · 더보기 »

구인후

인후(具仁垕, 1578년 ~ 1658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이자 척신으로 인조의 외사촌 형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구인후 · 더보기 »

남이

이(南怡, 1441년 ~ 1468년 10월 27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장군, 정치인, 시인, 척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남이 · 더보기 »

남이흥

이흥(南以興, 1576년 ~ 1627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자는 자호, 호는 성은, 시호는 충장, 본관은 의령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남이흥 · 더보기 »

남은

은(南誾, 1354년 ~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과 조선 초의 문신으로, 본관은 의령이다. 고려 말기에 왜구 토벌과 신진사대부 정치인으로 활동하였으며 이성계를 도와 조선왕조 개국에 공을 세웠다. 개국공신 1등으로 의성군에 봉해졌고, 사후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된 뒤 의성부원군으로 추봉되었다. 본관은 의령이고, 시호는 강무(剛武)이다. 행촌 이암의 외손녀사위이기도 하다.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남은 · 더보기 »

노사신

사신(盧思愼, 1427년 ∼ 1498년)은 조선 전기의 외척 출신 문신이자 학자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노사신 · 더보기 »

회안대군

회안대군(懷安大君, 1364년 7월 2일 ~ 1421년 4월 10일(음력 3월 9일)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 초기의 왕자이다. 본관은 전주 이씨이며, 이름은 방간(芳幹), 시호(諡號)는 양희(良僖), 호(號)는 망우당(忘牛堂)이다.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회안대군 · 더보기 »

장말손

장말손(張末孫, 1431년 ~ 148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장말손 · 더보기 »

장만

장만(張晩, 1566년 ~ 1629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장만 · 더보기 »

장희재 (조선)

장희재(張希載, 1651년승정원일기 숙종 27년(1701년) 11월 2일 기록에 장희재의 나이가 51세로 기록되어 있으므로 1651년 생임을 알 수 있다. ~ 1701년 10월 29일)는 조선 후기 무관이자 숙종의 척신으로 옥산부대빈 장씨의 동복 오빠이자 경종의 외삼촌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장희재 (조선) · 더보기 »

장사길

장사길(張思吉, ?~1418)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장사길 · 더보기 »

장사정

장사정(張思靖)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장사정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임진왜란 · 더보기 »

임해군

임해군(臨海君,, 李珒, 1572년 9월 20일(음력 8월 14일) ~ 1609년 6월 3일(음력 5월 2일))은 조선 중기의 왕자, 공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임해군 · 더보기 »

임원준

임원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임원준 · 더보기 »

희빈 장씨

희빈 장씨(禧嬪 張氏, 1659년 11월 3일 (음력 9월 19일) ~ 1701년 11월 7일 (음력 10월 8일)), 장희빈(張禧嬪) 또는 옥산부대빈 장씨(玉山府大嬪 張氏)는 조선의 제19대 왕 숙종의 빈(嬪)으로, 제20대 왕 경종(景宗)의 어머니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희빈 장씨 · 더보기 »

이덕형

이덕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덕형 · 더보기 »

이락

이락(李樂, ? ~ 197년 이후)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락 · 더보기 »

이림

이림(李琳, ? ~ 1391년)은 고려의 무신(武臣), 문신(文臣), 시인(詩人)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림 · 더보기 »

이몽학의 난

이몽학의 난(李夢鶴-亂)은 1596년 임진왜란 뒤 정유재란 전 이몽학이 불만에 찬 농민들을 선동하여 충청도 일대에서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몽학의 난 · 더보기 »

이무

이무(李茂, 1355년 ~ 1409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무 · 더보기 »

이민도

이민도(李敏道, 1336년 ~ 1395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민도 · 더보기 »

이백유

이백유(李伯由, ?~1399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관리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백유 · 더보기 »

이거이

이거이(李居易, 1348년 ~ 1412년)는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의 문신(文臣)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거이 · 더보기 »

이과

이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과 · 더보기 »

이복

이복(李福, ? ~ ?)은 중국 촉한의 정치가로 자는 손덕(孫德)이며 익주 광한군 부현(涪縣) 사람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복 · 더보기 »

이계전

이계전(李季甸, 1404년 ~ 1459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계전 · 더보기 »

이광기

이광기(1969년 4월 10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 겸 트로트 가수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광기 · 더보기 »

이광정 (1552년)

이광정(李光庭, 1552년 ~ 1629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광정 (1552년) · 더보기 »

이광악

이광악(李光岳, 1557년 ~ 1608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큰 공을 세운 인물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광악 · 더보기 »

이괄

이괄(李适, 1587년 ~ 1624년 2월 14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 반란자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괄 · 더보기 »

이괄의 난

이괄의 난(李适—亂)은 1624년(인조 2년)에 이괄이 조선 왕가 종실 흥안군 이제를 천립하며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괄의 난 · 더보기 »

이부 (조선)

이부(李敷, ? ~ 1422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부 (조선) · 더보기 »

이극돈

이극돈(李克墩, 1435년 ∼ 1503년 2월 27일)은 조선 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 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극돈 · 더보기 »

이극배

이극배(李克培, 1422년 ~ 1495년 10월)는 조선 전기의 문신 겸 정치가이며 시인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극배 · 더보기 »

이귀

이귀(李貴, 1557년 ∼ 1633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귀 · 더보기 »

이기 (1476년)

이기(李芑, 1476년 10월 26일 ~ 1552년 4월 28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권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기 (1476년) · 더보기 »

이기축

이기축(李起築, 1589년 10월 7일 ~ 1645년 6월 6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기축 · 더보기 »

이효성

이효성(李孝成, 1951년 5월 1일 ~)은 대한민국의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효성 · 더보기 »

이운룡

이운룡(李雲龍, 1562년 ~ 1610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운룡 · 더보기 »

이이첨

이이첨(李爾瞻, 1560년 ~ 1623년 3월 14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이첨 · 더보기 »

이인좌의 난

이인좌의 난(李麟佐亂)은 조선 영조(英祖) 4년(1728년) 소론 강경파와 남인 일부가 경종의 죽음에 영조와 노론이 관계되었다고 주장하면서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인좌의 난 · 더보기 »

이응순

이응순(李應順, 1565년 - ?)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이며,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로로 호성공신 3등관에 녹훈되었.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응순 · 더보기 »

이정립

이정립(李廷立, 1556 ~ 1595)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정립 · 더보기 »

이정암

이정암(李廷馣, 1541년 ~ 1600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황해도에서 의병을 모아 연안성을.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정암 · 더보기 »

이저

이저(李沮, ? ~ ?)는 전한 중기의 관료로, 운중군 사람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저 · 더보기 »

이종무

이종무(李從茂, 1360년 ~ 1425년)는 조선 초기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종무 · 더보기 »

이중로

이중로(李重老, 1577년 ~ 1624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자는 진지, 호는 송계거사, 본관은 청해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중로 · 더보기 »

이직

이직(李稷, 1362년 ~ 1431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직 · 더보기 »

이지란

이지란(李之蘭, 1331년 ~ 1402년 5월 10일(음력 4월 9일))은, 여진족 출신이며 고려 말 조선(朝鮮) 초의 무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지란 · 더보기 »

이천우

이천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천우 · 더보기 »

이축

이축은 건축물을 옮겨 세우는 것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축 · 더보기 »

이유청

이유청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유청 · 더보기 »

이윤경

이윤경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윤경 · 더보기 »

이숭원

이숭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숭원 · 더보기 »

이순신

광화문 광장의 이순신 동상 이순신(李舜臣, 1545년 4월 28일 ~ 1598년 12월 16일 (음력 11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순신 · 더보기 »

이순신 (1553년)

이순신(李純信, 1553년 12월 27일 ~ 1611년 9월 2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 무장, 유학자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순신 (1553년) · 더보기 »

이수남

이수남(李秀男, 1927년 2월 2일 ~ 1984년 1월 8일)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1954년 FIFA 월드컵에.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수남 · 더보기 »

이숙

이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숙 · 더보기 »

이숙번

이숙번(李叔蕃, 1373년 ~ 1440년)은 고려 말기의 생원이고 조선 초기의 문관, 무관, 정치가이며 조선 태종 이방원의 측근이었.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숙번 · 더보기 »

이온

이온(ion)은 원자 또는 분자의 특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용어로, 전자를 잃거나 얻어 전하를 띠는 원자 또는 분자를 이른.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온 · 더보기 »

이언적

이언적(李彦迪, 1491년 11월 25일 ~ 1553년 11월 23일)은 조선의 성리학자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언적 · 더보기 »

이억기

이억기(李億祺, 1561년 9월 3일 ~ 1597년 8월 27일)는 조선 중기의 왕족 출신 무신(武臣),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억기 · 더보기 »

이양우 (1346년)

이양우(李良祐, 1346년 ~ 1417년)는 고려(高麗) 말기의 선비이며 조선(朝鮮) 시대 초기의 왕족 종실(王族 宗室), 문신(文臣), 무신(武臣)이자 정사공신(定社功臣)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양우 (1346년) · 더보기 »

이양원

이양원(李陽元, 1526년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영의정에 임명되었지만 왕이 요동으로 파천했다는 소식을 듣고 자살한 대신 중 한 명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양원 · 더보기 »

이헌국

이헌국 (1525~1602)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헌국 · 더보기 »

이사명

이사명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사명 · 더보기 »

이산해

이산해(李山海, 1539년 7월 20일 ~ 1609년 음력 8월 23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 시인이며 성리학자, 교육자, 화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산해 · 더보기 »

이성윤

이성윤(李誠胤, 1570년~1620년)은 조선시대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성윤 · 더보기 »

이서

이서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서 · 더보기 »

이서 (1580년)

이서(李曙, 1580년 ~ 1637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 왕족이자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인조 반정의 반정군 지휘관의 한사람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서 (1580년) · 더보기 »

이애

이애(李薆, 1363년 ~ 1414년 10월 6일)는 고려 시대 말기 선비이자, 조선 초의 문신으로, 초명은 이백경(李伯卿)·이저(李佇), 본관은 청주(淸州)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애 · 더보기 »

이항복

이항복(李恒福, 1556년 ~ 1618년 7월 4일(음력 5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정치가·시인·작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항복 · 더보기 »

이시백

이시백(李時白, 1581년 11월 5일(음력 10월 10일)∼ 1660년 6월 9일(음력 5월 2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시백 · 더보기 »

이시애의 난

이시애의 난(李施愛-亂)은 1467년(세조 13년) 5월부터 8월까지 함경도 길주의 호족 이시애 등이 세조의 집권 정책에 반대해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시애의 난 · 더보기 »

이원익

이원익(李元翼, 문화어: 리원익, 1547년 12월 5일 ~ 1634년 2월 26일)은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왕족 종실 출신 문신, 시인, 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원익 · 더보기 »

이화

이화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이화 · 더보기 »

인조반정

인조반정(仁祖反正)은 1623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 서인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을 몰아내고 능양군 이종을 옹립한 사건을 말.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인조반정 · 더보기 »

의안대군 (1348년)

의안대군 이화(義安大君 李和, 1348년 ~ 1408년 10월 6일)는 고려 말의 선비이며 조선 초의 왕족, 무신,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의안대군 (1348년) · 더보기 »

익안대군

익안대군(益安大君, 1360년 ~ 1404년 9월 26일)은 고려 말기 사람이자 조선 전기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익안대군 · 더보기 »

을사사화

을사사화(乙巳士禍)는 1545년(명종 즉위년) 조선 왕실의 외척인 대윤(大尹)·소윤(小尹)의 반목으로 일어난 사림(士林)의 화옥(禍獄)으로 소윤이 대윤을 몰아낸 사건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을사사화 · 더보기 »

제1차 왕자의 난

제1차 왕자의 난은 1398년 왕위 계승권을 에워싸고 일어난 왕자간의 싸움으로, 태조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 이방원이 반란을 일으켜 반대 세력을 제거하였기 때문에 방원의 난으로도 불리며, 그밖에 방석의 난, 혹은 정도전의 난, 무인정사(戊寅靖社)라고도 불린.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제1차 왕자의 난 · 더보기 »

제2차 왕자의 난

제2차 왕자의 난은 1400년 태조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과 이방간이 세자 자리를 두고 싸운 것으로 제1차 왕자의 난과 구별하기 위해 제2차 왕자의 난 또는 제2왕자의 난, 방간의 난, 박포의 난 등으로 불린.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제2차 왕자의 난 · 더보기 »

전균

전균(田畇, 1409년 ~ 1470년)은 조선 초 환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전균 · 더보기 »

정도전

정도전(鄭道傳, 1342년~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유학자, 혁명가(革命家)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정도전 · 더보기 »

정기원

정기원(鄭基元, 1899년 3월 16일 ~ 1986년 6월 17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국회의원이었.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정기원 · 더보기 »

정국공신

정국공신(靖國功臣)은 조선 중종 때인 1506년 중종 반정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작위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정국공신 · 더보기 »

정난종

정난종(鄭蘭宗, 1433 ~ 1489)은 조선의 문신·서예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정난종 · 더보기 »

정효상

정효상(鄭孝常, 1432년 ~ 1481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경주(慶州)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정효상 · 더보기 »

정승조

정승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정승조 · 더보기 »

정인지

정인지(鄭麟趾, 1396년 12월 28일 ~ 1478년 11월 26일)는 조선 초기의 문신·성리학자이며 한글학자, 역사가,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정인지 · 더보기 »

정인홍

정인홍(鄭仁弘, 1535년 9월 26일 ~ 1623년 4월 3일)은 조선중기, 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며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정인홍 · 더보기 »

정창영

정창영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정창영 · 더보기 »

정창연

정창연(1552년 ~ 1636년)은 조선 중후기의 문신이며, 광해군과 인조 때 좌의정을.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정창연 · 더보기 »

정창손

정창손(鄭昌孫, 1402년 3월 11일 ~ 1487년 1월 27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언어학자, 유학자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정창손 · 더보기 »

정철

정철(鄭澈, 1536년 12월 18일(음력 12월 6일) ~ 1594년 2월 7일(1593년 음력 12월 18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시인이자 문신, 정치인, 학자, 작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정철 · 더보기 »

정충신

정충신(鄭忠信, 1576년 ~ 1636년 6월 6일(음력 5월 4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정충신 · 더보기 »

정탁 (1363년)

정탁(鄭擢, 1363년 ~ 1423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정탁 (1363년) · 더보기 »

정탁 (1526년)

정탁(鄭琢, 1526년 ~ 1605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정탁 (1526년) · 더보기 »

정순붕

정순붕(鄭順朋, 1484년 ~ 1548년 4월 21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정순붕 · 더보기 »

정현조

정현조(鄭顯祖, 1440년 ~ 1504년 7월 13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정치인이며 부마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정현조 · 더보기 »

정여립

정여립(鄭汝立, 1546년 ~ 1589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정여립 · 더보기 »

정사공신 (1398년)

정사공신(定社功臣)은 1398년에 제1차 왕자의 난에서 공을 세운 사람에게 녹훈(錄勳)된 작위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정사공신 (1398년) · 더보기 »

조문명

조문명의 초상화 조문명(趙文命, 1680년-173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로 영조의 장남 효장세자의 장인이며 효순현빈 조씨(뒤에 왕후로 추존)의 친정아버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문명 · 더보기 »

조박

조박(趙璞, 1356년 ~ 1408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박 · 더보기 »

조견

조견(趙狷, 1351 ~ 1425)은 고려의 충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견 · 더보기 »

조경 (1541년)

조경(趙儆, 1541년 ~ 1609년 음력 5월 2일)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경 (1541년) · 더보기 »

조익정

조익정(趙益貞, 1436년 10월 9일 - 1499년 9월 7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익정 · 더보기 »

조준

조준(趙浚, 1346년 ∼ 1405년)은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의 문신(文臣), 시인(詩人), 무신(武臣), 정치가(政治家)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준 · 더보기 »

조영무

조영무(趙英茂, 1338년 ~ 1414년 7월 28일)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영무 · 더보기 »

조영규 (고려)

조영규(趙英珪, ? ~ 1395년 1월 9일)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영규 (고려) · 더보기 »

조온

조온(趙溫, 1347년 ~ 1417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온 · 더보기 »

조현명

조현명(趙顯命, 1690년 ~ 1752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현명 · 더보기 »

조연

조연(助演)은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연극 등에서 주역 이외의 역 (조역)을 연기하는 배우를 의미.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연 · 더보기 »

조석문

조석문(曺錫文, 1413년 ~ 1477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석문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경종

경종(景宗, 1688년 11월 20일(음력 10월 28일) ~ 1724년 10월 11일(음력 8월 25일))은 조선의 제20대 임금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선 경종 · 더보기 »

조선 광해군

광해군(光海君, 1575년 6월 4일 (음력 4월 26일) ~ 1641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선 광해군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조선 중종

중종(中宗, 1488년 4월 16일 (음력 3월 5일) ~ 1544년 11월 29일 (음력 11월 15일), 재위: 1506년~1544년)은 조선의 제11대 왕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선 중종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선 태종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선 영조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 원종

원종(元宗, 1580년 8월 2일/음력 6월 22일 ~ 1619년 음력 12월 29일)은 조선 시대 중기의 왕자, 공신, 왕족이자 추존왕으로 대원군에서 왕으로 추존된 인물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선 원종 · 더보기 »

조선의 개국공신

조선의 개국공신은 1392년 조선의 개국에 공을 세운 사람에게 녹훈(錄勳)된 작위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조선의 개국공신 · 더보기 »

좌명공신

좌명공신은 태종 이방원이 왕자의 난때 이방원에게 도움을 줬던 인물들에게 주었던 칭호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좌명공신 · 더보기 »

좌익공신

좌익공신(佐翼功臣)은 1455년 세조의 즉위에 공을 세운 사람에게 녹훈(錄勳)된 작위로, 그 해 9월 5일 처음 발표되었.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좌익공신 · 더보기 »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종묘 · 더보기 »

중종반정

중종반정(中宗反正)은 1506년 9월 18일(음력 9월 2일) 연산군이 폐위되고 진성대군 이역(李懌)이 옹립된 사건을 말.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중종반정 · 더보기 »

지계최

(池繼催, 아명(兒名)은 池繼說(지계설)·池繼崔(지계최), 1593년 ~ 1637년)는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지계최 · 더보기 »

청난공신

청난공신(淸難功臣)은 이몽학의 난을 진압한 이들에게 주어진 훈호(勳號)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청난공신 · 더보기 »

유원정

유원정(柳爰廷, ? ~ 1399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유원정 · 더보기 »

유홍 (1524년)

유홍(兪泓, 1524년 ~ 159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지숙, 호는 송당, 시호는 충목, 본관은 기계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유홍 (1524년) · 더보기 »

윤목

윤목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윤목 · 더보기 »

윤곤

윤곤(尹坤, ? ∼ 1422년 3월 11일)은 고려 말기,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윤곤 · 더보기 »

윤근수

윤근수(尹根壽, 1537년~1616년 8월 17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文臣)·시인·화가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윤근수 · 더보기 »

윤두수

윤두수(尹斗壽, 1533년~1601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정치인이자 성리학자, 작가, 시인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윤두수 · 더보기 »

윤승훈

윤승훈(尹承勳, 1549 ~ 1611)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윤승훈 · 더보기 »

윤자당

윤자당(尹子當, ? ~ 1422년 7월)은 고려 말기의 선비이고 조선 전기의 문신이며 본관은 칠원(漆原)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윤자당 · 더보기 »

윤자운

윤자운(尹子雲, 1416년 ~ 1478년)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윤자운 · 더보기 »

윤인경

윤인경(尹仁鏡, 1476년 ~ 154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윤인경 · 더보기 »

윤탁연

윤탁연(尹卓然, 1538년 5월 15일 ~ 1594년 5월 28일『윤탁연 묘갈명』)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상중(尙中), 호는 중호(重湖), 시호는 헌민(憲敏), 본관은 칠원(漆原)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윤탁연 · 더보기 »

윤호

윤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윤호 · 더보기 »

윤여필

윤여필(尹汝弼, 1466년 ~ 1555년)은 조선 중기의 외척으로 중종의 두 번째 비 장경왕후와 윤임의 아버지이며 인종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윤여필 · 더보기 »

윤사로

윤사로(尹師路, 1423년 ~ 1463년)는 조선전기의 문신, 외척으로, 세종의 서녀 정현옹주의 남편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윤사로 · 더보기 »

윤필상

윤필상(尹弼商, 1427년 ~ 1504년 윤 4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며 훈구 공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윤필상 · 더보기 »

윤원형

윤원형(尹元衡, 1503년 ∼ 1565년 11월 18일)은 조선 중기의 외척이자 문신으로, 파산부원군 윤지임과 전성부대부인 전의 이씨(全城府夫人 全義李氏)의 넷째 아들이자 문정왕후의 남동생이며, 윤원량·윤원로의 동생이며 소윤(小尹)의 영수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윤원형 · 더보기 »

윤훤

윤훤(尹暄, 1573년 ~ 1627년 2월 15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군인, 작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윤훤 · 더보기 »

위성공신

위성공신(衛聖功臣)은 1613년 임진왜란 때 광해군을 이천, 전주로 호종하고 광해군의 항일 활동을 보좌하는 데 공을 세운 80명의 공신들을 3등급으로 나누어 책록한 공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위성공신 · 더보기 »

오명항

오명항(吳命恒, 1673년 5월 29일(음력 4월 14일) ~ 1728년 10월 12일(음력 9월 10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오명항 · 더보기 »

오자경

오자경(吳子慶, 1414년 ~ 1478년)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오자경 · 더보기 »

오사충

오사충(吳思忠, 1327년~1406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며, 조선의 개국공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오사충 · 더보기 »

호성공신

호성공신(扈聖功臣)은 1592년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로 모시고 피난한 공신들의 공로에 대한 공신록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호성공신 · 더보기 »

혜빈 양씨

혜빈 양씨(惠嬪 楊氏, 생년미상 ~ 1455년 음력 11월 9일)은 조선 제4대 왕 세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혜빈 양씨 · 더보기 »

최명길 (1586년)

명길(崔鳴吉, 1586년 10월 7일(음력 8월 25일)~ 1647년 6월 19일(음력 5월 17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양명학자,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최명길 (1586년) · 더보기 »

최흥원

흥원(崔興源, 1529년 ∼ 1603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최흥원 · 더보기 »

최유림

유림(崔有臨, 1426년 ∼ 1471년)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최유림 · 더보기 »

최호

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최호 · 더보기 »

양정 (조선)

양정 (楊汀, ? ~ 1466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양정 (조선) · 더보기 »

연사종

연사종(延嗣宗, 1360년 ∼ 1434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연사종 · 더보기 »

허자

자의 글씨 허자(許磁, 1496년 음력 윤 3월 13일 ~ 1551년 3월 14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작가,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허자 · 더보기 »

허적

적(許積, 1610년 ~ 1680년 5월 1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허적 · 더보기 »

허준

준(許浚, 1539년~1615년)은 조선 중기의 의관·의학자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허준 · 더보기 »

허성

성(許筬, 1548년~161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허성 · 더보기 »

선무공신

선무공신(宣武功臣)은 1592년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웠거나 후방에서 지원한 공로에 대한 공신록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선무공신 · 더보기 »

성봉조

성봉조(成奉祖, 1401년 ~ 1474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성봉조 · 더보기 »

성희안

성희안(成希顔, 1461년 1월 ~ 1513년 7월)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작가, 외교관으로 자는 우옹(愚翁), 호는 인재(仁齋), 시호는 충정, 본관은 창녕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성희안 · 더보기 »

성삼문

성삼문(成三問, 1418년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서,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성삼문 · 더보기 »

성석린

성석린(成石璘, 1338년~1423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며 서예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성석린 · 더보기 »

서거정

서거정(徐居正, 1420년~1488년)은 조선 문종, 세조, 성종 때의 문신이며 학자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서거정 · 더보기 »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서인 · 더보기 »

서익

서익(徐益, 1542년 ~ 158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서익 · 더보기 »

함부림

부림(咸傅霖, 1360년~1410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함부림 · 더보기 »

한명회

명회(韓明澮, 1415년 11월 26일 (음력 10월 25일) ~ 1487년 11월 28일 (음력 11월 14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며 외척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한명회 · 더보기 »

한백륜

백륜(韓伯倫, 1427년 ~ 1474년)은 조선의 문신이며 예종(睿宗)의 국구(國舅)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한백륜 · 더보기 »

한계희

희(韓繼禧, 1423년 ~ 1482년)는 조선의 문신이자 학자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한계희 · 더보기 »

한계순

순(韓繼純, 1431년 ~ 1486년)은 조선의 무신(武臣), 문신(文臣)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한계순 · 더보기 »

한응인

응인(韓應寅, 1554년 ~ 161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한응인 · 더보기 »

한준

준(1993년 3월 16일 ~)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한준 · 더보기 »

한치의

의(韓致義, 1440년 ~ 1473년)은 조선의 문신(文臣)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한치의 · 더보기 »

한상경

상경(韓尙敬, 1360년 ~ 1423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한상경 · 더보기 »

한확

확(韓確, 1400년 ~ 1456년 음력 9월 11일)은 조선전기의 문신이자 외척, 외교관이며 명나라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한확 · 더보기 »

안경공 (여말선초)

안경공(安景恭, 1347년 ~ 1421년 1월 10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안경공 (여말선초) · 더보기 »

안당

안당(安瑭, 1460년 ~ 1521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언보, 호는 영모당, 시호는 정민, 본관은 순흥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안당 · 더보기 »

하륜

(河崙, 1348년 1월 22일(1347년 음력 12월 22일) ~ 1416년 11월 24일(음력 11월 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하륜 · 더보기 »

신립

신립(申砬, 1546년 10월 23일 ~ 1592년 4월)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신립 · 더보기 »

신경진

신경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신경진 · 더보기 »

신경원

신경원(申景瑗 1581년~1641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며 본관은 평산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신경원 · 더보기 »

신승선

신승선(愼承善, 1436년 ~ 150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연산군의 장인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신승선 · 더보기 »

신윤무

신윤무(辛允武, ? ~ 1513년)는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영월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신윤무 · 더보기 »

신율

신율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신율 · 더보기 »

신숙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 (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 (음력 6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문신·정치가이며 언어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신숙주 · 더보기 »

신성군

신성군 이후(信城君 李珝, 1579년 1월 6일/1578년 음력 12월 10일 ~ 1592년 12월 8일/음력 11월 5일)는 조선 중기의 왕족 종실이자 선조의 넷째아들(인빈 김씨 소생)이며 오강군 이건의 양자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신성군 · 더보기 »

심귀령

심귀령(沈龜齡, 1350년 ~ 1413년)은 조선 초기의 공신이자 무신으로, 자는 천석(天錫), 호는 병담(屛潭), 시호는 정양(靖襄)이고, 봉군호(封君號)는 풍천군(豐川君), 본관은 풍산(豊山)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심귀령 · 더보기 »

심기원

심기원(沈器遠, 1587년 ~ 164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심기원 · 더보기 »

심효생

심효생(沈孝生, 1349년 ~ 1398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조선 개국공신으로, 본관은 부유(富有)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심효생 · 더보기 »

심우승

심우승(沈友勝, 1551년 ~ 160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공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심우승 · 더보기 »

심회

심회(沈澮, 1418년 ~ 1493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심회 · 더보기 »

심희수

심희수(沈喜壽, 1548년 ~ 1622년)는 조선의 문신으로 자는 백구(伯懼), 호는 일송(一松) 또는 수뢰루인(水雷累人), 시호는 문정(文貞)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심희수 · 더보기 »

심응

심응(沈應, ? - ?)은 조선 전기의 무신이자, 공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심응 · 더보기 »

심정 (1471년)

심정(沈貞, 1471년 양력 11월 7일(음력 윤 9월 25일) ~ 1531년 12월 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공신으로, 자는 정지(貞之), 호는 소요정(逍遙亭), 시호는 문정(文靖)이고, 봉군호(封君號)는 화천군(花川君)에 봉군되었다가 부원군으로 진봉되어 화천부원군(花川府院君)이 되었.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심정 (1471년) · 더보기 »

심종

심종(沈悰, 아명(兒名)은 沈淙. ? ~ ?)은 고려 말기의 선비이자, 조선 초기의 무신(武臣), 문신(文臣)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심종 · 더보기 »

심충겸

심충겸(沈忠謙, 1545년 ∼ 159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인순왕후의 동생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심충겸 · 더보기 »

심순경

심순경(沈順徑, 1462년 ~ 1542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이자 공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심순경 · 더보기 »

원균

원균(元均, 1540년 2월 12일 (음력 1월 5일) ~ 1597년 8월 27일 (음력 7월 15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으로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장수들 중의 한사람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원균 · 더보기 »

원두표

원두표(元斗杓, 1593년 ~ 1664년)는 조선후기의 문신, 공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원두표 · 더보기 »

훈구파

훈구파(勳舊派)는 혁명파 사대부를 계승한 세력으로서 세조의 왕위 찬탈에 협조하여 정치적 실권을 장악한 귀족적 관료학자들을 말. 훈구파라는 명칭은 본래 훈구공신(勳舊功臣), 훈구대신(勳舊大臣) 등 오랫동안 공로를 많이 세웠다는 의미를 지닌 일반 용어였으나, 성종 후반 이후 대두한 신진 정치 세력인 사림파(士林派)와 구별하기 위한 역사적 용어로 쓰이고 있.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훈구파 · 더보기 »

월산대군

월산대군(月山大君, 1455년 1월 5일(음력 1454년 12월 18일) ~ 1489년 1월 22일(음력 1488년 12월 21일))은 조선 전기의 왕족, 시인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월산대군 · 더보기 »

홍가신

홍가신(洪可臣, 1541년 ~ 161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홍가신 · 더보기 »

홍경주

홍경주(洪景舟, ? ~ 1521년 6월 20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제옹(濟翁), 본관은 남양(南陽)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홍경주 · 더보기 »

홍길민

홍길민(洪吉旼, 1353년 ~ 1407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홍길민 · 더보기 »

홍달손

홍달손(洪達孫, 1415년 ~ 1472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남양(南陽)이고, 자는 가칙(可則), 시호는 안무(安武)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홍달손 · 더보기 »

홍윤성

홍윤성(洪允成, 1425년 ~ 1475년 음력 9월 8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홍윤성 · 더보기 »

홍순언

홍순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홍순언 · 더보기 »

홍언필

홍언필(洪彦弼, 1476년 ~ 1549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자미, 호는 묵재, 시호는 문희, 본관은 남양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홍언필 · 더보기 »

홍성민

홍성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홍성민 · 더보기 »

홍성민 (1536년)

홍성민(洪聖民, 1536년 ~ 159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작가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홍성민 (1536년) · 더보기 »

홍서봉

홍서봉(洪瑞鳳,1572년~164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홍서봉 · 더보기 »

황림

황림(黃琳, 1517년 ~ 1591년 9월 25일)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여온(汝溫)『국조방목』, 본관은 창원(昌原)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황림 · 더보기 »

황거정

황거정(黃居正) 은 고려 말의 선비이고 조선 초의 문신(文臣)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황거정 · 더보기 »

황효원

황효원(黃孝源, 1414년 ~ 1481년)은 조선(朝鮮)의 문관(文官) 겸 정치가(政治家) 및 시인(詩人)이자 공신(功臣)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황효원 · 더보기 »

황희석

황희석(黃希碩, ? ~ 1394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황희석 · 더보기 »

황진

1935년 텍사스. 황진(黃塵, Dust Bowl)은 1930년대 미국과 캐나다의 프레리에서 발생한 극심한 모래폭풍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황진 · 더보기 »

황수신

황수신(黃守身, 1407년 ∼ 1467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자는 수효(秀孝) 또는 계효(季孝)이고 호 나부(懦夫)·췌부(侁夫), 시호는 열성(烈成).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황수신 · 더보기 »

황성원

황성원(黃性元, ? ~ 1667년)은 조선 시대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황성원 · 더보기 »

황신

황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황신 · 더보기 »

PR (마케팅)

PR(피알) 또는 퍼블릭 릴레이션스(Public Relations)는 정부, 정당, 기업, 개인 등의 마케팅 주체가 대중(공중)과의 호의적인 관계를 위해 하는 모든 활동을 지칭.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PR (마케팅) · 더보기 »

139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392년 · 더보기 »

139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398년 · 더보기 »

140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400년 · 더보기 »

145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453년 · 더보기 »

145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455년 · 더보기 »

146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467년 · 더보기 »

146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468년 · 더보기 »

146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469년 · 더보기 »

150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506년 · 더보기 »

150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507년 · 더보기 »

151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517년 · 더보기 »

154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545년 · 더보기 »

157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577년 · 더보기 »

1589년

15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589년 · 더보기 »

1592년

159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592년 · 더보기 »

1596년

159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596년 · 더보기 »

1608년

16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608년 · 더보기 »

1609년

16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609년 · 더보기 »

1612년

161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612년 · 더보기 »

1623년

162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623년 · 더보기 »

1624년

162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624년 · 더보기 »

1627년

162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627년 · 더보기 »

1628년

162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628년 · 더보기 »

1644년

164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644년 · 더보기 »

1680년

168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680년 · 더보기 »

1702년

170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702년 · 더보기 »

1728년

172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의 공신와 1728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