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색인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또는 한국의 천주교회는 조선 중엽에서 말기 사이에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天主實義)를 통해 ‘서학’(西學)이라는 학문으로서 전래되었으며, 이후 점차 신도가 늘어 외부의 선교 활동 없이 자치 교회를 세우는 데에 이르.

370 처지: 러시아, 덕원군 (함경남도), 도덕경, 독일, 동방 정교회, 동유럽, 라틴어, 레지오 마리애, 로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 로마 가톨릭 성인 달력, 로마 가톨릭교회, 로마 교황청, 루터교, 마리니콜라앙투안 다블뤼, 마리장귀스타브 블랑, 마카오, 마테오 리치, 목사, 명나라, 명성황후, 문천군, 묵주, 미국, 미사, 감리교, 방글라데시, 개신교, 바르텔레미 브뤼기에르, 간도, 강희제, 박정희, 강원도, 강원도 (남), 가평군, 밀양시, 가성직제도, 가톨릭, 베이징 시, 견진성사, 경기도, 벽파, 경상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고문, 고원군, 보육원, 공소, 병자호란, 병인박해, ..., 병오박해, 광복절, 광주광역시, 광주시 (경기도), 권일신, 권철신, 권위주의, 권상연, 불경, 불교, 부천시, 부산광역시, 귀스타브샤를마리 뮈텔, 기독교, 기독교 근본주의, 기근, 기해박해, 빈센트 권, 김범우, 김귀주, 김대건, 김포시, 김일성, 김수환, 김영사, 김해시, 대부도,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군, 대한제국, 대한제국 고종, 냉해, 교리, 교구 (기독교), 교구장 주교, 교회법, 교육, 교황 레오 12세, 교황 그레고리오 16세,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남포특별시, 남종삼, 노기남, 단양군, 울산광역시, 회화, 요한 아담 샬 폰 벨, 자크 샤스탕, 장인남, 장조제프 페레올, 임진왜란, 포천시, 평양직할시, 평안도, 평안북도, 평안남도, 평신도, 흥선대원군, 이덕일, 이벽, 이승훈 (1756년), 이이화, 인천광역시, 일본, 일본군, 일제 강점기, 음력 11월 24일, 흑사병, 을미사변, 을사조약,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제국주의, 제주도, 제주특별자치도, 제천시, 전라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 사건, 전통, 정두원, 정진석 (추기경), 정치, 정순왕후 (조선 영조), 정약용, 정약전, 정약종, 정하상,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조불 수호 통상 조약, 조선, 조선 정조, 조선 철종, 조선 순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인, 종교, 주문모, 주교, 중국, 질병, 진주만, 지구의, 지학순, 차별, 청나라, 청소년, 천주교 덕원자치수도원구, 천주교 마산교구, 천주교 광주대교구, 천주교 부산교구, 천주교 대구대교구, 천주교 대전교구, 천주교 군종교구, 천주교 평양교구, 천주교 인천교구, 천주교 의정부교구, 천주교 제주교구, 천주교 전주교구, 천주교 청주교구, 천주교 춘천교구, 천주교 수원교구, 천주교 서울대교구, 천주교 함흥교구, 천주교 안동교구, 천주교 원주교구,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천주실의, 천진암, 충청북도, 충청남도, 추기경, 유배, 유교, 윤지충, 파리 외방전교회, 새남터, 순교, 순조실록, 순원왕후, 수렴청정, 수사 (기독교), 영혼, 영성, 예수회, 예언자, 최방제, 최창무, 최양업, 양산시, 여흥부대부인, 여인열전, 연평도, 풍양 조씨, 사회주의 국가, 사제, , 삼선 개헌, 피에르 모방, 프랑스, 선교사,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성공회, 성당, 성인 (종교), 성직자, 세례, 세종특별자치시, 서울 양화나루와 잠두봉 유적, 서울특별시, 서양, 서산 해미읍성, 소래읍, 소현세자, 함경도, 함경북도, 함경남도, 해일, 한반도, 한국 전쟁,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한국의 기독교, 한성부, 안동 김씨, 안변군, 안중근, 안산시, 식민지, 신정왕후 (조선), 신유박해, 신해박해, 신학, 신학교, 십자가, 십자고상, 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 시흥시, 원산시, 홍봉주, 홍대용, 홍수, 황사영, 황사영 백서, 황해도, 외국인, 10월, 10월 7일, 10월 유신, 11월 17일, 12월 10일, 12월 31일, 12월 8일, 1603년, 1631년, 1645년, 1731년, 1779년, 1783년, 1784년, 1787년, 1789년, 1790년, 1791년, 1793년, 1794년, 1800년, 1801년, 1805년, 1831년, 1835년, 1836년, 1839년, 1845년, 1846년, 1866년, 1868년, 1870년, 1882년, 1886년, 1895년, 1896년, 1899년, 18세기, 1904년, 1905년, 1910년, 1911년, 1920년, 1927년, 1928년, 1937년, 1939년, 1940년, 1945년, 1948년, 1949년, 1950년, 1955년, 1957년, 1958년, 1960년, 1961년, 1962년, 1963년, 1965년, 1966년, 1968년, 1969년, 1970년대, 1971년, 1972년, 1974년, 1977년, 1983년, 1984년, 1988년, 1989년, 1991년, 1995년, 1998년, 1999년, 19세기, 1월 12일, 1월 3일, 2003년, 2004년, 2006년, 2007년, 2017년, 2018년, 2월 22일, 2월 24일, 2월 5일, 2월 9일, 3·1 운동, 3월 22일, 4.19 혁명, 4월 12일, 4월 13일, 4월 25일, 4월 8일, 5월 29일, 6월 23일, 6월 24일, 6월 28일, 6월 6일, 7월 23일, 8월 18일, 8월 23일, 8월 26일, 8월 29일, 9월 16일, 9월 20일, 9월 23일, 9월 9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20 더) »

러시아

시아 연방() 또는 러시아()는 동유럽과 북아시아에 걸쳐 있는 연방제 국가로, 세계에서 가장 영토가 넓은 국가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러시아 · 더보기 »

덕원군 (함경남도)

덕원군(德源郡)은 오늘날 원산시의 모체가 되는 군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덕원군 (함경남도) · 더보기 »

도덕경

《도덕경》()은 노자(老子)가 지은 것으로 알려진 도가의 대표적인 경전으로 《노자(老子)》로도 불린.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도덕경 · 더보기 »

독일

독일 연방공화국(), 줄여서 독일()은 중앙유럽에 있는 나라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독일 · 더보기 »

동방 정교회

이콘 동방 정교회(東方正敎會,)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교세가 큰 기독교로 약 2억 5천만 명 이상의 인구가 믿고 있.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종교 중의 하나로 (아나톨리아를 포함한) 그리스와 동유럽, 캅카스, 근동의 역사와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 정교회(正敎會) 또는 보편 정교회라고도 불린.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 · 더보기 »

동유럽

동유럽()은 유럽의 동부 지역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유럽 · 더보기 »

라틴어

어(Lingua Latīna)는 이탈리아 반도의 중부에 있는 고대 로마와 그 주변 지역 라티움(Latium)에 정착하여 살던 라티움 사람들이 쓰던 언어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라틴어 · 더보기 »

레지오 마리애

오 마리애() 또는 통칭 레지오는, 가톨릭교회의 평신도 신앙 공동체이며, 가톨릭교회에서 평신도들이 사도직 행위를 수행하기 위한 단체로 자리매김하고 있. 명칭의 의미는 '마리아의 군단'(The Legion of Mary)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성모 마리아의 지휘 밑에서, 선행과 봉사 등으로 현세에서의 로마 가톨릭교회의 활동에 참가하기 위한 '영적인 군대'의 역할을 수행.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레지오 마리애 · 더보기 »

로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

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Laurent-Joseph-Marius Imbert, 1797년 4월 15일 ~ 1839년 9월 21일)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사제이며, 한국어명은 범세형(范世亨)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로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 · 더보기 »

로마 가톨릭 성인 달력

1340-60년경, 중세 성인 달력 필사본의 일부. 도미니코 수도회에서 사용하였다(투르쿠 지역). 이 문서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인정하는 그리스도교의 성인(聖人) 축일을 표시한 달력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로마 가톨릭 성인 달력 · 더보기 »

로마 가톨릭교회

마 가톨릭교회(), 천주교(天主敎) 또는 가톨릭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명의 신자를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기독교 교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로마 교황청

마 교황청(~敎皇廳)은 기독교에서 성좌의 행정기관이며 교황과 더불어 로마 가톨릭교회 전체를 통솔하는 중앙통제기구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로마 교황청 · 더보기 »

루터교

회 또는 루터교는 16세기 마르틴 루터의 사상을 따르는 개신교 교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루터교 · 더보기 »

마리니콜라앙투안 다블뤼

마리니콜라앙투안 다블뤼(1818년 3월 16일 프랑스 아미앵 ~ 1866년 3월 30일(음력 2월 14일), 충청남도 보령)은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의 선교사이며 천주교 조선교구의 제5대 교구장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마리니콜라앙투안 다블뤼 · 더보기 »

마리장귀스타브 블랑

마리장귀스타브 블랑(1844년 5월 6일 - 1890년 2월 21일)은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의 선교사이자 천주교 조선교구의 제 7대 교구장(안티고네아의 명의주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마리장귀스타브 블랑 · 더보기 »

마카오

마카오()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마카오 · 더보기 »

마테오 리치

마테오 리치(1552년 10월 6일 ~ 1610년 5월 11일)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사제이자,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대륙에 기독교 신앙을 정착시킨 이탈리아 출신 예수회 선교사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마테오 리치 · 더보기 »

목사

목사(牧師)는 개신교의 성직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목사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명나라 · 더보기 »

명성황후

쪽.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명성황후 · 더보기 »

문천군

문천군(文川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문천시를 중심으로 있던 군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문천군 · 더보기 »

묵주

루르드의 성모 - 묵주를 오른쪽 팔에 걸고 기도하는 모습. 묵주(默珠) 또는 로사리오는 라틴어로 장미 화관을 뜻하는 ‘로사리우스’(Rosarius)에서 유래한 말로, 가장 보편적이며 전통적인 기독교의 성물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묵주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미국 · 더보기 »

미사

미사()는 가톨릭에서 하느님을 찬양하는 대표적인 종교 의식이며, 특히 로마 가톨릭교회의 일곱 가지 성사 가운데 하나인 성체성사가 중심을 이루는 라틴 전례 양식이 일반적인 미사의 개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미사 · 더보기 »

감리교

리교회(監理敎會)는 성서를 중심으로 한 이성, 전통, 체험을 기독교의 근간으로 이해하는 복음주의적이며 경건한 신학적 입장을 가진 개신교 교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감리교 · 더보기 »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인민공화국() 또는 방글라데시()은 남아시아에 있는 인민 공화국으로서 인도, 미얀마 그리고 벵골 만에 인접해 있. 인도의 서벵골 주와 더불어 벵골어를 쓰는 지역에 속. 국명 방글라데시는 벵골어로 ‘벵골의 땅’ 또는 ‘벵골의 나라’를 뜻.주요 도시로는 다카, 치타공, 실렛, 마이멘싱 등이 있.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방글라데시 · 더보기 »

개신교

신교(改新敎) 또는 프로테스탄트(Protestantism)는 16세기 교회의 개혁가들의 종교개혁을 통해 생겨난 기독교의 한 전통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개신교 · 더보기 »

바르텔레미 브뤼기에르

바르텔르미 브뤼기에르(1792년 2월 12일 - 1835년 10월 20일, 한국성 소(蘇))는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의 선교사이자 천주교 조선교구의 초대 교구장(카프사의 명의 주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바르텔레미 브뤼기에르 · 더보기 »

간도

(間島)는 압록강 상류와 두만강 북쪽의 조선인 거주 지역을 일컫는 말로, 간도의 범위에 관하여는 여러 이견이 있. 일반적으로 간도라 하면 현재의 연변 조선족 자치주 지역을 가리키며, 두만강 북쪽인 연변 지역을 '북간도'(또는 '동간도'), 그 서쪽인 압록강 북쪽 지역을 '서간도'라 부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간도 · 더보기 »

강희제

200px 강희제(康熙帝, 순치(順治) 11년 음력 3월 18일 (1654년 5월 4일) ~ 강희(康熙) 61년 음력 11월 13일 (1722년 12월 20일))는 청나라의 제4대 황제(재위 1661년 ~ 1722년)이자, 산해관 입관(入關)산해관을 넘어 중국 대륙에 들어가 지배하기 시작하였다는 뜻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강희제 · 더보기 »

박정희

박정희(朴正熙, 1917년 11월 14일 ~ 1979년 10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박정희 · 더보기 »

강원도

조선 후기 강원도 강원도(江原道)는 관동 지방(關東地方)에 해당하는 지역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강원도 · 더보기 »

강원도 (남)

강원도(江原道, Gangwon Province)는 대한민국의 북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강원도 (남) · 더보기 »

가평군

평군(加平郡)은 대한민국 경기도 동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가평군 · 더보기 »

밀양시

밀양시(密陽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밀양시 · 더보기 »

가성직제도

성직제도(假聖職制度)는 초기 한국천주교회에서 평신도들이 선교사(성직자)가 없는 상황에서 약 2년간 미사와 성사(성체성사,고해성사)의 집전을 대신한 제도를 일컫.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가성직제도 · 더보기 »

가톨릭

릭(Catholic)은 공통적, 보편적, 보편된, 공번적, 일반적, 널리 알려진 등의 뜻을 가진 단어로 코이네 그리스어 형용사 '카톨리코스'(καθολικός)에서 유래했으며 기독교에서 '교회'와 함께 주로 사용되어 왔. 영어로는 라틴어 어원에서 온 동일한 의미 단어인 'universal'로 번역.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가톨릭 · 더보기 »

베이징 시

베이징(북경)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베이징 시 · 더보기 »

견진성사

성사를 묘사한 15세기 그림. 견진성사(堅振聖事)는 교구를 감독하는 주교 또는 주교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은 사제가 그리스도인에게 거룩한 기름을 바르며 성령이 임하시기를 기도하는 안수기도를 함으로써, 그리스도인의 마음속에 성령이 임하게 하며, 믿음을 굳건히 하는 가톨릭, 성공회, 정교회, 일부 개신교 교회들의 성사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견진성사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경기도 · 더보기 »

벽파

벽파(僻派)는 조선 정조 시기 정조의 탕평책을 반대한 세력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벽파 · 더보기 »

경상도

경상도 경상도(慶尙道)는 경상남도, 경상북도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영남 지방(嶺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경상도 · 더보기 »

경상북도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경상북도 · 더보기 »

경상남도

경상남도(慶尙南道)는 대한민국 남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경상남도 · 더보기 »

고문

양한 고문 도구. 고문(拷問)은 광의로는 피의자에게 정신적 압박이나 육체적 고통을 주어 자백을 얻어내는 행위를 말하고, 협의로는 유형력을 사용하여 육체적 고통을 주어 자백하게 하는 행위를 말. 고문방지운동을 하고 있는 앰네스티에서는 고문을 ' 당사자 또는 제3자로부터 정보나 자백을 얻거나 협박할 목적으로 신체적이든 정신적이든 심대한 고통이나 괴로움을 가한 행위'로 규정.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고문 · 더보기 »

고원군

원군(高原郡)은 함경남도 최남단에 위치한 군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고원군 · 더보기 »

보육원

러시아의 보육원 보육원(保育院)은 사적인 양육자가 부재한 미성년자에게 공적인 양육자가 되어주는 기관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보육원 · 더보기 »

공소

공소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공소 · 더보기 »

병자호란

병자호란(丙子胡亂)은 1636년 12월 28일(음력 12월 2일)부터 1637년 2월 24일(음력 1월 30일)까지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병자호란 · 더보기 »

병인박해

thumb 병인박해(丙寅迫害)는 1866년(고종 3년) 조선 말기 흥선대원군 정권의 대규모의 천주교 탄압을 말. 병인사옥(丙寅邪獄)이라고도 하며, 당시 6천여 명의 평신도와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 출신의 선교사 등이 처형된 사건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병인박해 · 더보기 »

병오박해

병오박해(丙午迫害)란 1846년(헌종 12) 6월 5일부터 9월 20일까지 일어난 천주교 박해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병오박해 · 더보기 »

광복절

광복절(光復節)은 한반도가 일본 제국으로부터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날로, 대한민국에서는 이를 국경일로 법제화함으로써 매년 양력 8월 15일에 기념하고 있. '광복'은“빛(光)을 되찾음(復)”, 즉, 주권을 되찾았다는 뜻으로 쓰인.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광복절 · 더보기 »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남서부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광주광역시 · 더보기 »

광주시 (경기도)

광주시(廣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동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광주시 (경기도) · 더보기 »

권일신

일신(權日身, ?~1791)은 조선의 천주교 지도자로서, 호는 이암(移庵), 세례명은 프란시스 자비에르(Francis Xavier)이며, 순암(順菴) 안정복의 사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권일신 · 더보기 »

권철신

신(權哲身, 1736년 ~ 1801년)은 조선의 학자, 순교한 기독교인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권철신 · 더보기 »

권위주의

위주의(權威主義, Authoritarianism)는 권위를 갖는 것이나 권위 그 자체에 의혹을 갖거나 혹은 반항하는 것은 모독이며 죄악이라고 하는 사고방식 또는 행동양식을 말.시사/현대사회와 시사/정치·외교·법률·경제·경영/정치·외교·법률/권위주의, 《글로벌 세계 대백과》 참고 또는, 어떤 일을 권위에 맹목적으로 의지하여 해결하려고 하는 행동 양식이나 사상, 자신보다 상위의 권위에는 강압적으로 따르는 반면, 하위의 것에 대해서는 오만, 거만하게 행동하려는 심리적 태도나 사상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권위주의 · 더보기 »

권상연

상연(權尙然, 1751년 ~ 1791년 12월 8일)은 조선의 천주교 순교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권상연 · 더보기 »

불경

불경(佛經)은 석가모니와 그 제자들의 가르침을 모아놓은, 불교의 경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불경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불교 · 더보기 »

부천시

부천시(富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부천시 · 더보기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동남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부산광역시 · 더보기 »

귀스타브샤를마리 뮈텔

스타브샤를마리 뮈텔(1854년 ~ 1933년)은 조선에 파송되어 일제 강점기까지 활동한 프랑스의 로마 가톨릭교회 선교사로 한국이름은 민덕효(閔德孝)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귀스타브샤를마리 뮈텔 · 더보기 »

기독교

독교(基督敎)From Ancient Greek Khristós (Latinized as Christus), translating Hebrew מָשִׁיחַ, Māšîăḥ, meaning "the anointed one", with the Latin suffixes -ian and -itas.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기독교 · 더보기 »

기독교 근본주의

독교 근본주의()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부터 영국과 미국의 보수적 복음주의 신학자들이 자유주의 신학에 반대하면서 주창한 기독교 신학사조를 말. 최근에는 이슬람 근본주의처럼 신학이나 종교에서 전통적 교리를 고수하며 다른 종교는 물론 개혁적인 변화에 반대하는 사조를 나타내는 말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 이 단어는 말 자체로 근본주의로서 종교 뿐만이 아닌 각국의 문화 내지 관습 및 인간의 기본 존엄성 또한 포함하고 있.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를 맞이하여 기독교 근본주의는 큰 도전을 맞이하고 있. 기독교 근본주의의 5대 주장은, ① 성경의 무오(無誤) ② 그리스도의 동정녀 탄생 ③ 그리스도의 대속적 죽음 ④ 육체의 부활 ⑤ 그리스도의 재림 등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기독교 근본주의 · 더보기 »

기근

여성과 남성, 아이, 이렇게 세 명이 굶주림에 의해 죽음을 맞았다. 1921년 러시아. 기근(飢饉·饑饉)은 사회에 널리 만연한 식량 부족 사태를 가리키며, 이는 수확 실패, 인구 과잉, 정부 정책을 포함한 여러 요소에 기인.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기근 · 더보기 »

기해박해

박해(己亥迫害)는 조선 후기 1839년(기해년, 헌종 5년)에 발생한 천주교 탄압을 말.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기해박해 · 더보기 »

빈센트 권

빈센트 권 또는 빈센트 카운(Vincent Caun)은 한국인 천주교 신자였.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빈센트 권 · 더보기 »

김범우

범우(金範禹, 1751년 5월 22일 ~ 1787년 9월 14일)는 한국 천주교 첫 희생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범우 · 더보기 »

김귀주

주(金龜柱, 1740년~1786년)는 조선 후기의 정치가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귀주 · 더보기 »

김대건

(金大建, 1821년 8월 21일 ~ 1846년 9월 16일, 세례명: 안드레아)은 한국인으로서 최초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이자, 순교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대건 · 더보기 »

김포시

시(金浦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서부 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포시 · 더보기 »

김일성

일성(金日成, 1912년 4월 15일 ~ 1994년 7월 8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독재자.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일성 · 더보기 »

김수환

수환(金壽煥, 1922년 7월 2일 ~ 2009년 2월 16일)은 대한민국의 천주교 성직자이자 사회운동가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수환 · 더보기 »

김영사

영사는 1983년 '사람 사는 바른 길, 행복한 삶의 길을 걷고, 실험하고, 널리 나누기 위함'이라는 출판정신으로 설립되었.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영사 · 더보기 »

김해시

시청 청사 김해시(金海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해시 · 더보기 »

대부도

부도의 위성 사진 대부도(大阜島)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에 속한 섬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대부도 · 더보기 »

대구광역시

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대구광역시 · 더보기 »

대전광역시

전광역시(大田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대전광역시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국군

민국 국군(大韓民國 國軍)은 1948년 8월 15일에 창설된 대한민국의 군대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대한민국 국군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대한제국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냉해

냉해(冷害)는 예년보다 기온이 낮은 날이 계속되는 자연 재해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냉해 · 더보기 »

교리

리(敎理, doctrina)는 체계화된 종교의 본질적인 가르침을 뜻. 대부분의 종교는 각자 독자적인 교리를 채택하고 있. 교리는 그 종교를 믿는 사람들에게 믿음의 근거와 가치 판단의 기준을 제공.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교리 · 더보기 »

교구 (기독교)

(敎區, diocese)는 기독교에서 신자의 효율적인 관리 등을 위해서 지역적으로 편의상 분할한 구역을 일컫.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교구 (기독교) · 더보기 »

교구장 주교

장 주교(敎區長主敎)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성공회에서 교구를 관리 감독하는 주교를 말. 교회법상 교구장은 통상적으로 주교가 맡.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교구장 주교 · 더보기 »

교회법

회법(敎會法)은 신앙 공동체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정립된 기독교 내부의 법 체계를 말. 기독교인의 신앙과 행위의 기준(카노네스)에서 유래하였으며, 후에는 교황령 그 밖의 교회입법·관행을 포함하는 교회의 법규를 의미하였.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교회법 · 더보기 »

교육

뉴욕 시의 대학 강의실 교육(敎育) 또는 가르침은 사람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 등을 가르치고 배우는 활동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교육 · 더보기 »

교황 레오 12세

황 레오 12세(라틴어: Leo PP. XII, 이탈리아어: Papa Leone XII)는 제252대 교황(재위: 1823년 9월 28일 - 1829년 2월 10일)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교황 레오 12세 · 더보기 »

교황 그레고리오 16세

황 그레고리오 16세(라틴어: Gregorius PP. XVI, 이탈리아어: Papa Gregorio XVI)는 제254대 교황(재위: 1831년 2월 2일 ~ 1846년 6월 1일)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교황 그레고리오 16세 · 더보기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황 요한 바오로 2세(라틴어: Ioannes Paulus PP. II, 이탈리아어: Papa Giovanni Paolo II)는 제264대 교황(재위: 1978년 10월 16일 ~ 2005년 4월 2일)으로 본명은 카롤 유제프 보이티와(폴란드어: Karol Józef Wojtyła)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 더보기 »

남포특별시

의 위성사진. 동서로 흐르는 것이 대동강, 강 북안이 남포 시가지, 왼쪽 끝에 있는 댐이 서해갑문 서해갑문 남포특별시(南浦特別市)는 한반도 북서부 해안에 위치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항구 도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남포특별시 · 더보기 »

남종삼

종삼(南鍾三, 1817년 ~ 1866년 3월 7일)은 조선의 문신이며,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남종삼 · 더보기 »

노기남

200px 노기남(盧基南, 1902년 1월 22일(음력 1901년 12월 13일) ~ 1984년 6월 25일)은 한국의 가톨릭 성직자이며 한국천주교 최초의 한국인 주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노기남 · 더보기 »

단양군

양군(丹陽郡)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북동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단양군 · 더보기 »

울산광역시

울산광역시(蔚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남동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울산광역시 · 더보기 »

회화

모나리자는 서양의 가장 널리 알려진 회화이다. 강가에서 그림 그리는 사람 회화(繪畵)는 캔버스, 종이, 나무, 유리, 비단, 콘크리트 등의 표면에 색을 이용하여 그린 그림을 말. 특히 미술에서 회화는 작업자의 미적 감각에 의해 구상되어 제작된 구도와 데셍을 포함한 풍부한 표현력이 깃든 평면상의 그림을 뜻. 회화는 오랫동안 대표적인 미술의 한 장르로 존재하여 왔. 회화의 주제는 종교, 신화와 같은 정신적인 주제에서부터 초상화, 풍경화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이르기까지 넓은 영역에 걸쳐 있.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회화 · 더보기 »

요한 아담 샬 폰 벨

요한 아담 샬 폰 벨(Johann Adam Schall von Bell; 湯若望 탕약망, 1591년 ~ 1666년 8월 15일)은 독일 출신의 예수회 선교사이자,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요한 아담 샬 폰 벨 · 더보기 »

자크 샤스탕

자크 오노레 샤스탕(Jacques Honor Chastan, 한국명: 정아각백(鄭牙各伯), 1803년 7월 10일 ~ 1839년 9월 21일)은 프랑스인 사제로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자크 샤스탕 · 더보기 »

장인남

장인남(張仁南, 1949년 10월 30일 ~)은 대한민국 출신의 교황청 외교관이자 대주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장인남 · 더보기 »

장조제프 페레올

장조제프장바티스트 페레올(1808년 12월 27일 ~ 1853년 2월 3일)은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의 선교사이며 천주교 조선교구의 제 3대 교구장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장조제프 페레올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임진왜란 · 더보기 »

포천시

시(抱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북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포천시 · 더보기 »

평양직할시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평양직할시 · 더보기 »

평안도

조선후기 평안도 평안도(平安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평안도 · 더보기 »

평안북도

평안북도(平安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평안북도 · 더보기 »

평안남도

평안남도(平安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평안남도 · 더보기 »

평신도

평신도(平信徒)는 기독교에서 성직을 받지 아니한 신자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평신도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덕일

이덕일(李德一, 1961년 10월 7일 ~)은 대한민국의 작가, 언론인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이덕일 · 더보기 »

이벽

이벽(李蘗, 1754년~1786년)은 조선 후기의 천주교 신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이벽 · 더보기 »

이승훈 (1756년)

이승훈(李承薰, 1756년 ~ 1801년 4월 8일)은 조선 말기의 천주교 순교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이승훈 (1756년) · 더보기 »

이이화

이이화의 2010년 모습 이이화(李離和)는 한국의 재야 역사학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이이화 · 더보기 »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서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인천광역시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일본 · 더보기 »

일본군

일본군(日本軍,)은 일본 제국의 군대를 가리.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일본군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음력 11월 24일

음력 11월 24일은 음력 11월의 24번째 날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음력 11월 24일 · 더보기 »

흑사병

1346년-1353년 사이 흑사병의 전파 현황. 흑사병(黑死病, Black Death)은 인류 역사에 기록된 최악의 범유행 사건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흑사병 · 더보기 »

을미사변

명성황후 추정 사진 을미사변(乙未事變)은 1895년 10월 8일 경복궁(景福宮)에서 명성황후 민씨가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의 지휘 아래 일본군 한성 수비대 미야모토 다케타로(宮本竹太郞) 등에게 암살된 사건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을미사변 · 더보기 »

을사조약

중명전에 전시된 을사조약 문서 을사조약(乙巳條約) 혹은 제2차 한일 협약(第二次韓日協約)은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의 외부대신 박제순과 일본 제국의 주한 공사 하야시 곤스케에 의해 체결된 불평등 조약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을사조약 · 더보기 »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World War I, WWI 또는 WW1)은 1914년 7월 28일부터 1918년 11월 11일까지 일어난 유럽을 중심으로 한 세계 대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제1차 세계 대전 · 더보기 »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또는 World War II)은 1939년 9월 1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치러진,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남긴 가장 파괴적인 전쟁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제2차 세계 대전 · 더보기 »

제국주의

세실 존 로드의 케이프-카이로 철도 계획을 풍자한 그림. 그는 브리티쉬 남 아프리카 회사의 사장이자 아프리카에서 최초로 다이아몬드 체굴 사업을 한 사람이었다. 그는 케이프 타운에서 카이로 까지 철도를 놓아 아프리카 '''지도를 영국의 붉은 색으로 칠하기'''를 주창하였다 제국주의(帝國主義)는 특정국가가 다른 나라, 지역 등을 군사적, 정치적, 경제적으로 지배하려는 정책, 또는 그러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상을 가리.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제국주의 · 더보기 »

제주도

제주도(濟州島, Jeju-do)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섬으로, 제주특별자치도에 속하며, 한반도 남쪽 바다 건너에 있. 섬의 면적은 1833.2 km²인데 이는 대한민국 면적의 1.83%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제주도 · 더보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濟州特別自治道)는 대한민국 남해상의 섬을 관할하는 특별자치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제주특별자치도 · 더보기 »

제천시

제천시(堤川市)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북동부의 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제천시 · 더보기 »

전라도

전라도(全羅道)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남 지방(湖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전라도 · 더보기 »

전라북도

전라북도(全羅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전라북도 · 더보기 »

전라남도

전라남도(全羅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전라남도 · 더보기 »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 사건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 사건(全國民主靑年學生總聯盟事件), 줄여서 민청학련 사건(民靑學聯事件)은 1974년 4월 대한민국에서 발생한 시국 사건을 말.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이하 민청학련)의 관련자 180여 명이 불온세력의 조종을 받아 국가를 전복시키고 공산정권 수립을 추진했다는 혐의로 구속·기소된 사건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 사건 · 더보기 »

전통

전통(傳統)은 일반적인 의미로는 습속(習俗)이 전대(前代)로부터 후대(後代)로 전해지는 것으로서, 동시에 시간적·공간적 구조를 제시하고 있. 이에 대하여 국가·민족의 전통을 자랑으로 강조하는 경우가 많. 이 경우에는 단순한 습속만이 아니라 정신적·문화적인 것, 즉 한 세대로부터 다음 세대로 전해지는 것과 그 내용도 가리.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전통 · 더보기 »

정두원

정두원(鄭斗源, 1581년~?)은 조선의 문신으로, 호는 호정(壺亭), 본관은 광주(光州)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정두원 · 더보기 »

정진석 (추기경)

정진석(鄭鎭奭, 1931년 12월 7일 ~)은 대한민국의 기독교 성직자이자 가톨릭 추기경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정진석 (추기경) · 더보기 »

정치

정치(政治, politics)에 대해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학문적인 정의는 데이비드 이스턴(David Easton)이 내린 "가치의 권위적 배분(authoritative allocation of values)"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정치 · 더보기 »

정순왕후 (조선 영조)

정순왕후 김씨(貞純王后, 1745년 12월 2일 ~ 1805년 2월 11일)는 조선의 21대왕인 영조(英祖)의 계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정순왕후 (조선 영조) · 더보기 »

정약용

화성성역의궤에 실린 거중기 정약용(丁若鏞, 1762년 8월 5일(음력 6월 16일) ~ 1836년 4월 7일(음력 2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저술가·시인·철학자·과학자·공학자이다. 본관은 나주, 자는 미용(美庸), 호는 다산(茶山)·사암(俟菴)·탁옹(籜翁)·태수(苔叟)·자하도인(紫霞道人)·철마산인(鐵馬山人)·문암일인(門巖逸人), 당호는 여유당(與猶堂)이다.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정약용 · 더보기 »

정약전

정약전(丁若銓, 1758년 4월 8일(음력 3월 1일)~1816년 6월 30일(음력 6월 6일))은 조선 영조에서 순조 연간에 살던 성리학자·생물학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정약전 · 더보기 »

정약종

정약종(丁若鍾, 1760년 ~ 1801년 4월 8일)은 조선 정조 때의 학자이며, 천주교 순교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정약종 · 더보기 »

정하상

성 정하상 바오로(丁夏祥, 1795년 ~ 1839년 9월 22일)은 조선의 천주교 순교자, 평신도 신학자, 교회 지도자로 1801년 신유박해로 순교한 정약종의 아들이자 정약용의 조카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정하상 · 더보기 »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조·미수호통상조약(朝美修好通商條約)은 1882년(고종 19년) 조선과 미국 간에 조인된 조약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조미 수호 통상 조약 · 더보기 »

조불 수호 통상 조약

조불 수호 통상 조약(朝佛修好通商條約) 또는 대조선국 대법민주국 통상 조약(大朝鮮國大法民主國通商朝約)은 1886년(고종 23) 6월 4일에 조선과 프랑스가 맺은 조약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조불 수호 통상 조약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조선 정조 · 더보기 »

조선 철종

종(哲宗, 1831년 7월 25일(음력 6월 17일) ~ 1864년 1월 16일(1863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의 제25대 왕(재위 1849년 7월 28일 ~ 1864년 1월 16일)이자 대한제국 추존황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조선 철종 · 더보기 »

조선 순조

순조(純祖, 1790년 7월 29일 (음력 6월 18일) ~ 1834년 12월 13일 (음력 11월 13일))는 조선의 제23대 왕(재위 1800년-1834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조선 순조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조선인

조선인(朝鮮人)은 한국인을 뜻하는 다른 말로서, 다음 뜻으로도 쓰인.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조선인 · 더보기 »

종교

슬라브 신이교의 상징. 종교(宗敎)란 규정된 믿음을 공유하는 이들로 이루어진 신앙 공동체와 그들이 가진 신앙 체계나 문화적 체계(cultural system)를 말. 종교는 인간과 관련된 존재의 우주적 질서(a cosmic order of existence)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종교 · 더보기 »

주문모

주문모(1752년 ~ 1801년 5월 31일)사제는 조선에서 순교한 중국인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주문모 · 더보기 »

주교

카를로 세레사. 주교(主敎)는 교구나 관구의 사목 책임을 지고 감독하는 기독교의 성직자를 말. 사교(司敎)라고도 하며, 영어로는 Bishop, Right Rev..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주교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중국 · 더보기 »

질병

병(疾病)이란 유기체의 신체적 기능이 비정상적으로 된 상태를 일컫.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질병 · 더보기 »

진주만

주만의 위성 사진 진주만(眞珠灣, Pearl Harbor)는 미국 하와이 주 오아후 섬, 호놀룰루의 서쪽에 위치한 만으로, 미국의 태평양함대 사령부가 여기에 있. 일본은 선전포고도 없이 진주만 공격으로 무고한 미국 민간인과 군인을 대량학살했으며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진주만 · 더보기 »

지구의

리가 만든 지구의. 지구의(地球儀) 또는 지구본(地球―)은 지구를 구로 표현한 모형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지구의 · 더보기 »

지학순

학순(池學淳, 1921년 9월 9일 ~ 1993년 3월 12일)은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주교이며 세례명은 다니엘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지학순 · 더보기 »

차별

동성애 혐오 차별(差別)은 합리적 이유 없이 종교, 장애, 나이, 신분, 학력, 이미 형(刑)의 효력이 없어진 전과, 성별, 외모, 성적 지향, 인종, 신체 조건, 국적, 나이, 출신 지역, 이념 및 정견 등의 이유로 고용, 모집, 채용, 교육, 배치, 승진, 임금 및 수당지급, 융자, 정년, 퇴직, 해고 등에 있어서 특정한 사람을 우대, 배제, 구별하거나 불리하게 대우하고, 정치, 사회, 경제적으로 평등권을 침해하는 행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차별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청나라 · 더보기 »

청소년

청소년(靑少年)은 어린이와 청년의 중간 시기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청소년 · 더보기 »

천주교 덕원자치수도원구

주교 덕원자치수도원구(天主敎 德源自治修道院區, Territorial Abbacy of Tŏkwon)는 함경도를 관할하던 원산대목구가 분리되면서 덕원베네딕도 대수도원에 위탁된 한국천주교회의 자치수도원구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교 덕원자치수도원구 · 더보기 »

천주교 마산교구

창녕성당 천주교 마산교구(天主敎馬山敎區)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구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교 마산교구 · 더보기 »

천주교 광주대교구

주교 광주대교구(天主敎光州大敎區,)는 대한민국에 위치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대교구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교 광주대교구 · 더보기 »

천주교 부산교구

주교 부산교구(天主敎釜山敎區,)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부 지역과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를 관할하는 한국 천주교회의 교구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교 부산교구 · 더보기 »

천주교 대구대교구

주교 대구대교구(天主敎大邱大敎區,)는 대한민국의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남부 지역을 관할하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구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교 대구대교구 · 더보기 »

천주교 대전교구

주교 대전교구(天主敎大田敎區,)는 1948년 경성대목구(현 서울대교구)에서 분리한 충청남도, 대전광역시 및 세종특별자치시(부강면 제외)를 관할하는 천주교의 교구로, 초대 교구장은 원형근(아드리아노) 주교이며, 현 교구장은 유흥식(라자로) 주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교 대전교구 · 더보기 »

천주교 군종교구

민국 로마 가톨릭교회의 군종교구(軍宗敎區, Military Ordinariate of Korea)는 대한민국의 군에 복무하는 가톨릭신자 장병의 관리를 위하여 설정된 특수 교구의 하나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교 군종교구 · 더보기 »

천주교 평양교구

주교 평양교구(天主敎 平壤敎區)는 평안도를 관할하는 한국 로마 가톨릭교회 교구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교 평양교구 · 더보기 »

천주교 인천교구

주교 인천교구(天主敎仁川敎區)는 인천광역시를 비롯하여, 경기도 부천시, 김포시, 시흥시(구 소래읍), 안산시 대부도를 관할하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구 중 하나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교 인천교구 · 더보기 »

천주교 의정부교구

주교 의정부교구(天主敎議政府敎區,)는 2004년 6월 24일에 서울대교구의 관할 중 경기도 북부지역 11개 시·군을 분할하여 설정된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구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교 의정부교구 · 더보기 »

천주교 제주교구

주교 제주교구(天主敎濟州敎區,)는 1977년 3월 21일에 설정되어, 대한민국의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구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교 제주교구 · 더보기 »

천주교 전주교구

주교 전주교구(天主敎全州敎區,)는 대한민국 가톨릭의 교구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교 전주교구 · 더보기 »

천주교 청주교구

주교 청주교구(天主敎淸州敎區,Diocese of Cheongju)는 대한민국의 제천시, 단양군(원주교구 관할)을 제외한 충청북도 전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을 관할하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구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교 청주교구 · 더보기 »

천주교 춘천교구

주교 춘천교구(天主敎春川敎區,)는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교구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교 춘천교구 · 더보기 »

천주교 수원교구

주교 수원교구(天主敎水原敎區)는 대한민국의 경기도 남부지역을 관할하는 천주교회의 지역교회인 교구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교 수원교구 · 더보기 »

천주교 서울대교구

주교 서울대교구(天主敎서울大敎區,)는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구 황해도를 관할하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구이며, 서울을 중심으로 하여 강원도, 경기도, 충청남도 지방의 교구들을 연합인 서울 관구의 중심 교구인 관구장좌 대교구(Metropolitan Archdiocese)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교 서울대교구 · 더보기 »

천주교 함흥교구

주교 함흥교구(天主敎 咸興敎區)는 함경도를 관할하는 한국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구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교 함흥교구 · 더보기 »

천주교 안동교구

주교 안동교구(天主敎 安東敎區, Diocese of Andong)는 대한민국의 천주교 대구대교구에서 일부 관할을 분리하여 설정된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구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교 안동교구 · 더보기 »

천주교 원주교구

주교 원주교구(天主敎原州敎區,)는 대한민국 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구 중 하나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교 원주교구 · 더보기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天主敎正義具現全國司祭團, Catholic Priests' Association for Justice, CPAJ)은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일부사제들로 구성된 사설단체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 더보기 »

천주실의

《천주실의》(天主實義) 또는 《천주실록》(天主實錄)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의를 변증한 기독교 변증서이며, 예수회 선교사 마테오 리치가 출간하였.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실의 · 더보기 »

천진암

암(天眞菴)은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천진암로 1203 에 있는 천주교의 성지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진암 · 더보기 »

충청북도

충청북도(忠淸北道)는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충청북도 · 더보기 »

충청남도

충청남도(忠淸南道)는 대한민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충청남도 · 더보기 »

추기경

경의 문장. 상단의 갈레로와 가운데의 방패, 그 사이에 있는 십자가, 그리고 양 옆의 술과 맨 밑의 사목표어로 구성되어 있다. 갈레로는 주교가 교구를 방문할 때 전통적으로 쓰고 다녔던 모자로, 주교의 사목 책임을 표현한다. 붉은 갈레로와 그 아래 술 5단은 추기경임을 암시한다. 방패 아래쪽의 띠에는 사목표어가 라틴어로 새겨진다. 추기경(樞機卿)은 교황 다음의 권위와 명예를 누리는 가톨릭의 고위 성직자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추기경 · 더보기 »

유배

유배(流配)는 죄인을 먼 곳으로 추방하는 것을 말. 조선 시대에는 유형(流刑)이라 하여 3000~5000리 사이에서 거리에 차별을 두었.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유배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유교 · 더보기 »

윤지충

윤지충(尹持忠, 1759년 ~ 1791년 12월 8일)은 조선 후기의 로마 가톨릭 교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윤지충 · 더보기 »

파리 외방전교회

리 외방전교회(- 外邦傳敎會)는 1658년 설립된 로마 가톨릭교회의 선교단체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파리 외방전교회 · 더보기 »

새남터

주교 순교성지 새남터 기념성당 새남터(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 80-8)는 한강의 모래사장으로, 풀과 나무를 의미하는 새나무터에서 유. 1801년 주문모, 1846년 김대건 등의 로마 가톨릭 신부들이 순교한 장소라서, 1987년 순교를 기념하는 천주교 성당이 건축되었.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새남터 · 더보기 »

순교

순교(殉敎)는 어느 종교에서 자신이 믿는 신앙을 지키기 위해서 죽음을 선택하는 것을 말하며, 순교한 사람을 순교자(殉敎者).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순교 · 더보기 »

순조실록

《순조연덕현도경인순희문안무정헌경성효대왕실록》(純祖淵德顯道景仁純禧文安武靖憲敬成孝大王實錄) 또는 《순조실록》(純祖實錄)은 1800년(순조 즉위년) 음력 7월부터 1834년(순조 34년) 음력 11월까지 순조 시대의 국정 전반에 관한 사실을 편년체로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순조실록 · 더보기 »

순원왕후

순원왕후 김씨(純元王后, 1789년 6월 8일 (음력 5월 15일) ~ 1857년 9월 21일 (음력 8월 4일))는 조선 제23대 왕인 순조의 정비(正妃)이자 문조(효명세자, 文祖)의 어머니이며 헌종의 할머니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순원왕후 · 더보기 »

수렴청정

수렴청정(垂簾聽政)은 동아시아에서 나이 어린 왕이 즉위했을 때 왕의 어머니나 할머니, 또는 큰어머니(적모, 백모)나 작은어머니(숙모)가 대리로 정치를 맡는 일을 말한다(→섭정).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수렴청정 · 더보기 »

수사 (기독교)

수도 생활(Monasticism)의 아버지로 불리는 성 안토니우스 수사(修士)는 기독교에서 세속을 멀리하고 금욕적인 신앙 생활을 하는 남성 수도자를 가리.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수사 (기독교) · 더보기 »

영혼

영혼(靈魂)이란 육체에 깃들어 있는 정신적 추상적 실체를 말.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영혼 · 더보기 »

영성

나선 성운: 때때로 "신의 눈(Eye of God)"이라고도 불린다 영성(靈性, Spirituality)은 이 낱말이 사용되고 있는 문맥에 따라 다음의 것들을 의미한다.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영성 · 더보기 »

예수회

예수회(S.J., SJ, SI)는 로마 가톨릭교회 소속 수도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예수회 · 더보기 »

예언자

벤자민 웨스트의 그림 '숯불로 정화된 이사야의 입술'. 예언자(豫言者, 영어: prophet)는 일반적으로 앞일을 미리 말하는 사람이라는것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나, 구약성서에 나오는 예언자들은 야훼의 말씀을 전달하는 사람들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예언자 · 더보기 »

최방제

방제(崔方濟, ? ~1837년 11월 26일)은 19세기 한국 천주교회의 신학생이자, 최양업 신부와 김대건 신부의 신학교 동기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최방제 · 더보기 »

최창무

창무(崔昌武, 1936년 9월 15일 -)는 천주교 광주대교구 제8대 교구장을 지낸 은퇴 대주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최창무 · 더보기 »

최양업

양업(崔良業, 1821년 3월 1일 ~ 1861년 6월 15일)은 조선 후기의 가톨릭 사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최양업 · 더보기 »

양산시

양산시청 양산시(梁山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양산시 · 더보기 »

여흥부대부인

여흥부대부인 민씨(驪興府大夫人 閔氏, 1818년 2월 3일 ~ 1898년 1월 8일/1897년 음력 12월 16일)는 조선의 왕족이며, 대한제국 고종황제의 어머니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여흥부대부인 · 더보기 »

여인열전

여인열전은 한가람역사연구소 소장이자 역사학자인 이덕일이 쓴 대중 역사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여인열전 · 더보기 »

연평도

연평도(延坪島)는 경기만 북서쪽에 있는 대한민국 관할의 섬으로, 소연평도 등 주변의 부속 섬과 함께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에 속. 2016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연평면의 인구는 2천209 명, 1천372 가구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연평도 · 더보기 »

풍양 조씨

풍양 조씨(豐壤 趙氏)는 경기도 남양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풍양 조씨 · 더보기 »

사회주의 국가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기업이나 철도·은행 등의 사유재산을 인정하지 않고, 사회가 이런 것을 소유한다는 사회주의 제도를 취하고 있든가 또는 사회주의를 건설하고 있. 사회주의 하에서는 국가의 역할이 대단히.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사회주의 국가 · 더보기 »

사제

신부(神父) 또는 사제(司祭)는 흔히 로마 카톨릭교회의 성직자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사제 · 더보기 »

히말라야 산맥의 로체 산 산(山)은 주위보다 높이 솟아 있는 지형을 말. 한국어 고유어로는 뫼 또는 메라고 부르며, 또한 야산이라고 지칭.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산 · 더보기 »

삼선 개헌

삼선개헌(三選改憲)은 1969년 박정희 정권이 정권 연장을 위하여 대통령의 3선이 가능하도록 헌법을 개정한 대한민국의 6번째 헌법개정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삼선 개헌 · 더보기 »

피에르 모방

에르 필리베르 모방(한국명: 나백다록(羅伯多祿), 1803년 9월 20일 ~ 1839년 9월 21일(음력 8월 14일)) 신부는 파리 외방 전교회의 회원이며, 한국교회사 최초의 서양인 천주교 선교사로 여. 그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로 인해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피에르 모방 · 더보기 »

프랑스

랑스 공화국() 또는 프랑스()는 서유럽의 본토와 남아메리카의 프랑스령 기아나를 비롯해 여러 대륙에 걸쳐 있는 해외 레지옹과 해외 영토로 이루어진 국가로서, 유럽 연합 소속 국가 중 가장 영토가 넓. 수도는 파리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프랑스 · 더보기 »

선교사

선교사(宣敎師,missionary)는 기독교에서는 복음을 타국에서 가서 전하는 사역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선교사 · 더보기 »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성 베네딕도회 왜관 성 마오로 쁠라치도 수도원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관문로 61에 있는 성 베네딕도회 오딜리아 연합회의 자치 수도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 더보기 »

성공회

성공회(聖公會,,Episcopal Church) 또는 세계성공회공동체(Anglican Communion)는 전 세계 165여 개국, 38개의 독립적이고 자치적인 성공회(관구)로 이루어진 기독교 교파이며, 신자는 약 1억명으로 추산.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성공회 · 더보기 »

성당

성당(聖堂)은 기독교의 교회당 중에서, 성만찬에 쓰이는 성체와 성혈을 모시는 감실이 있는 경당을 특별히 일컫는 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성당 · 더보기 »

성인 (종교)

성인(聖人, saint)은 종교에서 성인됨(聖, holiness)의 상태를 선천적으로건 후천적으로건 가졌거나 보인 사람들로서 타 신도들에게 모범이 되는 사람을 말. (이 문서에서는 각 종교들을 가나다순으로 나열한다.) 한편, 종교 외적으로도, 윤리적으로 특히 훌륭한 삶을 산 사람을 높여 부를 때 성인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성인 (종교) · 더보기 »

성직자

성직자 성직자(聖職者)는 신학교육 등을 통해 종교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는 종교지도자를 말. 이들은 종교를 믿는 신도들을 종교집회나 교리교육을 통해 지도할 의무와 책임을 갖고 있.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성직자 · 더보기 »

세례

독교 예술에서의 침례. 대한민국 개신교회에서 이루어진 세례식의 예 세례(洗禮) 또는 세례 성사(洗禮聖事)는 물을 이용하는 정화의식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세례 · 더보기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世宗特別自治市)는 대한민국 중앙부에 있는 특별자치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세종특별자치시 · 더보기 »

서울 양화나루와 잠두봉 유적

서울 양화나루와 잠두봉 유적(서울 楊花나루와 蠶頭峰 遺蹟)은 한강의 동북쪽 강변에 있는 사적 제399호로 지정된 양화나루와 잠두봉 일원을 말. 한강의 이 지역의 교량으로는 서북쪽에 길이가 약 1.2km인 양화대교, 동남쪽에 역시 약 1.2km 짜리 당산철교가 서로 약 400m 간격으로 놓여있.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서울 양화나루와 잠두봉 유적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서양

서양(西洋)은 대체로 유럽과 북아메리카 등의 영미 문화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서양 · 더보기 »

서산 해미읍성

미읍성(海美邑城)은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에 있는 옛 읍성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서산 해미읍성 · 더보기 »

소래읍

소래면(蘇萊面)과 소래읍(蘇萊邑)은 경기도 부천군과 시흥군의 옛 행정 구역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소래읍 · 더보기 »

소현세자

소현세자(昭顯世子, 1612년 2월 5일(음력 1월 4일) ~ 1645년 5월 21일(음력 4월 26일))는 인조와 인렬왕후 한씨의 적장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소현세자 · 더보기 »

함경도

조선후기 함경도 함경도(咸鏡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함경도 · 더보기 »

함경북도

경북도(咸鏡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함경북도 · 더보기 »

함경남도

경남도(咸鏡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함경남도 · 더보기 »

해일

몰디브의 말레에 2004년 12월 26일 닥친 지진해일. 해일(海溢)은 바다에서 높은 파도가 밀려오는 현상으로 폭풍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과 외부적인 충격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이 있. 이 중 태풍이나 저기압 등에 의해 생기는 것을 폭풍해일, 지진이나 화산 활동 등에 의해 생기는 것을 지진해일(쓰나미)이라고 구분해서 부른.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해일 · 더보기 »

한반도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모양 한반도(韓半島)는 정치지리학적으로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지형학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한반도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국 천주교 주교회의(韓國天主敎主敎會議)는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전체의 공동선이 증진되도록 사목 임무를 공동으로 조정하여 수행하기 위하여 사도좌의 승인 아래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라는 명칭으로 국가에 등록된 기독교 법인으로 설립된 주교회의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 더보기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국기독교교회협의회(韓國基督敎敎會協議會)는 한국교회의 연합정신을 구현하고 에큐메니컬 운동을 위하여 창설된 기독교 협의체를 말. 1924년 9월 24일 당시 장로교와 감리교의 선교연합 구축을 위하여 결성된 조선예수교연합공의회에서 시작되었으며 일제의 간섭으로 활동하지 못하였다가 1946년 재발족하였.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 더보기 »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또는 한국의 천주교회는 조선 중엽에서 말기 사이에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天主實義)를 통해 ‘서학’(西學)이라는 학문으로서 전래되었으며, 이후 점차 신도가 늘어 외부의 선교 활동 없이 자치 교회를 세우는 데에 이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한국의 기독교

국의 기독교()는 크게 보면 두 집단으로 나뉘는데, 대한민국 통계청 자료 2015년 기준 약 980만 명의 개신교와 약 380만 명의 천주교로 구성.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한국의 기독교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한성부 · 더보기 »

안동 김씨

안동 김씨의 종문 안동 김씨(安東 金氏)는 대한민국의 안동을 본관으로 삼은 서로 다른 두 씨족이 존재.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안동 김씨 · 더보기 »

안변군

삼공동농장 안변군(安邊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강원도에 있는 군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안변군 · 더보기 »

안중근

안중근(安重根, 1879년 9월 2일 ~ 1910년 3월 26일) 의사는 대한제국의 항일 의병장 겸 정치 사상가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안중근 · 더보기 »

안산시

안산시(安山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남서부에 위치하고 있는 서해안에 인접한 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안산시 · 더보기 »

식민지

제2차 세계 대전 직후의 세계 열강의 식민지 1945년 식민지(植民地)는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나라 혹은 도시의 지배를 받는 영토를 말. 오늘날에는 식민지라는 말 대신 해외 영토나 속령 등의 용어가 대신 사용.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식민지 · 더보기 »

신정왕후 (조선)

신정왕후(神貞王后, 1809년 1월 21일(1808년 음력 12월 6일) ~ 1890년 6월 4일(음력 4월 17일))는 조선의 추존왕 문조의 아내이며 헌종의 어머니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신정왕후 (조선) · 더보기 »

신유박해

신유박해(辛酉迫害)는 1801년(순조 1년)에 발생한 조선의 가톨릭 박해 사건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신유박해 · 더보기 »

신해박해

신해박해(辛亥迫害)는 1791년(신해년, 정조 15년) 조선 최초의 가톨릭에 대한 박해 사건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신해박해 · 더보기 »

신학

신학(神學)은 전통적으로 하나님(신, The Divine, The God) 그 자체를 정경이나 이성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연구하거나 신과 관련된 교리와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신학 · 더보기 »

신학교

신학교(神學校)는 기독교 성직자나 신학자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기관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신학교 · 더보기 »

십자가

십자가(十字架)는 고대부터 유래되었으며, 로마 제국에서는 십자가형(Cruxification)에 쓰이던 사형틀이었지만, 예수가 십자가형에 처해진 사건으로 인하여 그리스도의 대속적인 죽음을 생각케 하는 기독교의 유명한 상징이 되었.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십자가 · 더보기 »

십자고상

십자고상(十字苦像)는 십자가에 매달린 예수의 모습을 표현한 기독교의 조형물을 말. 로마 가톨릭교회와 옥스퍼드 운동이후의 성공회에서는 교회의 제대뒤에 십자고상이 놓여 있으며, 성공회 이외의 개신교에서는 루터교가 유일하게 신앙전통에 따라 십자고상을 사용하고 있. right.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십자고상 · 더보기 »

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

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Siméon-François Berneux, 1814년 5월 14일 ~ 1866년 3월 7일)는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의 프랑스인 선교사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 · 더보기 »

시흥시

장현동 시흥시청사 시흥시(始興市)는 경기도의 중서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시흥시 · 더보기 »

원산시

원산시(元山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동해안 영흥만에 있는 시이자 강원도 인민위원회의 소재지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원산시 · 더보기 »

홍봉주

홍봉주(洪鳳周, ?~1866년)는 조선의 천주교 순교자이며, 본관은 예산(禮山)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홍봉주 · 더보기 »

홍대용

홍대용(洪大容, 1731년 5월 12일 ~ 1783년 11월 17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과학 사상가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홍대용 · 더보기 »

홍수

미국 플로리다 주 키 웨스트 가까이에서 일어난 홍수는 2005년 10월, 허리케인 윌마 폭풍 해일때문에 일어났다. 홍수(洪水)는 큰 물 또는 하천의 물이 넘쳐흐르는 자연현상으로, 수해의 일종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홍수 · 더보기 »

황사영

황사영(黃嗣永, 1775년 ~ 1801년 12월 10일)은 조선의 천주교 순교자.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황사영 · 더보기 »

황사영 백서

황사영 백서(黃嗣永帛書)는 조선에서, 1801년(순조 1년) 신유박해 때 천주교 신자(信者) 황사영이 중국 로마 가톨릭교회 북경 교구의 주교에게 혹독한 박해를 받는 조선교회의 전말보고와 그 대책을 흰 비단에 적은 밀서(密書)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황사영 백서 · 더보기 »

황해도

조선후기 황해도 황해도(黃海道)는 1417년부터 1954년까지 존속한 한반도의 중서부에 있는 도(道)로, 1954년 이후로는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되었.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황해도 · 더보기 »

외국인

외국인(外國人) 또는 이방인(異邦人)은 거주 또는 체류하는 국가의 국적을 갖지 않은 사람을 뜻하며, 법률상의 지위는 원칙적으로 그 국가의 국민과 동일하지만 참정권, 광업 소유권, 출입국 따위와 관련된 법적 권리에서는 제한을 받.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외국인 · 더보기 »

10월

10월(十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평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1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나고 2월하고도 항상 같은 요일로 끝. 그 다음 해가 윤년일 경우에는 그 다음해 9월과 12월과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0월 · 더보기 »

10월 7일

10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0번째(윤년일 경우 28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0월 7일 · 더보기 »

10월 유신

10월 유신(十月維新)은 1972년 10월 17일에 대통령 박정희가 위헌적 계엄과 국회해산 및 헌법정지 등을 골자로 하는 대통령 특별선언(大統領特別宣言)을 발표한 것을 말. 박정희는 이 선언에서 4가지 비상조치를 발표하고 이러한 비상조치 아래 위헌적 절차에 의한 국민투표로 1972년 12월 27일에 제3공화국 헌법을 파괴했는데, 이때의 헌법을 유신 헌법(維新憲法)이라 하며, 유신 헌법이 발효된 기간을 유신 체제(維新體制), 유신 독재(維新獨裁)라고 부른.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0월 유신 · 더보기 »

11월 17일

11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1번째(윤년일 경우 32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1월 17일 · 더보기 »

12월 10일

12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4번째(윤년일 경우 34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2월 10일 · 더보기 »

12월 31일

12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5번째(윤년일 경우 366번째) 날에 해당하며, 한 해의 마지막 날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2월 31일 · 더보기 »

12월 8일

12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2번째(윤년일 경우 34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2월 8일 · 더보기 »

1603년

160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603년 · 더보기 »

1631년

163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631년 · 더보기 »

1645년

164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645년 · 더보기 »

1731년

173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731년 · 더보기 »

1779년

177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779년 · 더보기 »

1783년

178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783년 · 더보기 »

1784년

178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784년 · 더보기 »

1787년

178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787년 · 더보기 »

1789년

178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789년 · 더보기 »

1790년

179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790년 · 더보기 »

1791년

179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791년 · 더보기 »

1793년

179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793년 · 더보기 »

1794년

179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794년 · 더보기 »

1800년

180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800년 · 더보기 »

1801년

180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801년 · 더보기 »

1805년

180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805년 · 더보기 »

1831년

183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831년 · 더보기 »

1835년

183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835년 · 더보기 »

1836년

183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836년 · 더보기 »

1839년

183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839년 · 더보기 »

1845년

1845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845년 · 더보기 »

1846년

1846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846년 · 더보기 »

1866년

186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866년 · 더보기 »

1868년

186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868년 · 더보기 »

1870년

187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870년 · 더보기 »

1882년

188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882년 · 더보기 »

1886년

188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886년 · 더보기 »

1895년

189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895년 · 더보기 »

1896년

189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896년 · 더보기 »

1899년

189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899년 · 더보기 »

18세기

18세기는 1701년부터 1800년까지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8세기 · 더보기 »

1904년

190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04년 · 더보기 »

1905년

190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05년 · 더보기 »

1910년

191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10년 · 더보기 »

1911년

191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11년 · 더보기 »

1920년

192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20년 · 더보기 »

1927년

192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27년 · 더보기 »

1928년

192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28년 · 더보기 »

1937년

193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37년 · 더보기 »

1939년

193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39년 · 더보기 »

1940년

194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40년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45년 · 더보기 »

1948년

194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48년 · 더보기 »

1949년

194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49년 · 더보기 »

1950년

한국 전쟁 중 아주머니와 아이가 땔깜용 파편을 구하는 모습. 195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50년 · 더보기 »

1955년

195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55년 · 더보기 »

1957년

195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57년 · 더보기 »

1958년

195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58년 · 더보기 »

1960년

196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60년 · 더보기 »

1961년

196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61년 · 더보기 »

1962년

196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62년 · 더보기 »

1963년

196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63년 · 더보기 »

1965년

196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65년 · 더보기 »

1966년

196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66년 · 더보기 »

1968년

1968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68년 · 더보기 »

1969년

196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69년 · 더보기 »

1970년대

1970년대는 1970년부터 1979년을 가리.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70년대 · 더보기 »

1971년

1971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71년 · 더보기 »

1972년

1972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72년 · 더보기 »

1974년

197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74년 · 더보기 »

1977년

197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77년 · 더보기 »

1983년

198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83년 · 더보기 »

1984년

1984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84년 · 더보기 »

1988년

198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88년 · 더보기 »

1989년

19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89년 · 더보기 »

1991년

1991년 9월 17일.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유엔'''에 '''동시 가입'''했다. (사진은 유엔 본사) 199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91년 · 더보기 »

1995년

19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95년 · 더보기 »

1998년

19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98년 · 더보기 »

1999년

199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99년 · 더보기 »

19세기

세실 존 로드의 케이프-카이로 철도 계획을 풍자한 그림. 영국의 아프리카 남북 분할의 상징이다. 제1차 아편 전쟁의 전투기록화 19세기(- 世紀)는 1801년부터 1900년까지의 기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9세기 · 더보기 »

1월 12일

1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번째(윤년일 경우도 1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월 12일 · 더보기 »

1월 3일

1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월 3일 · 더보기 »

2003년

200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2003년 · 더보기 »

2004년

20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2004년 · 더보기 »

2006년

200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2006년 · 더보기 »

2007년

20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2007년 · 더보기 »

2017년

201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2017년 · 더보기 »

2018년

2018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2018년 · 더보기 »

2월 22일

2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3번째(윤년일 경우도 5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2월 22일 · 더보기 »

2월 24일

2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5번째(윤년일 경우도 5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2월 24일 · 더보기 »

2월 5일

2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번째(윤년일 경우도 3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2월 5일 · 더보기 »

2월 9일

2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0번째(윤년일 경우도 4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2월 9일 · 더보기 »

3·1 운동

3·1 운동(三一運動) 또는 3·1 만세 운동(三一萬歲運動)은 일제 강점기에 있던 한국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병합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3·1 운동 · 더보기 »

3월 22일

3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1번째(윤년일 경우 8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3월 22일 · 더보기 »

4.19 혁명

1960년 3월 15일자 《동아일보》에 게재된 3.15 부정선거 관련 기사 4·19 혁명(四一九革命) 또는 4월 혁명(四月革命)은 1960년 4월 19일 대한민국에서 제1공화국 자유당 정권이 이기붕을 부통령으로 당선시키기 위한 개표조작을 하자, 이에 반발하여 부정선거 무효와 재선거를 주장하는 학생들의 시위에서 비롯된 혁명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4.19 혁명 · 더보기 »

4월 12일

4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2번째(윤년일 경우 10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4월 12일 · 더보기 »

4월 13일

4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3번째(윤년일 경우 10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4월 13일 · 더보기 »

4월 25일

4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5번째(윤년일 경우 11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4월 25일 · 더보기 »

4월 8일

4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8번째(윤년일 경우 9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4월 8일 · 더보기 »

5월 29일

5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9번째(윤년일 경우 15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5월 29일 · 더보기 »

6월 23일

6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4번째(윤년일 경우 17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6월 23일 · 더보기 »

6월 24일

6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5번째(윤년일 경우 17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6월 24일 · 더보기 »

6월 28일

6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9번째(윤년일 경우 18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6월 28일 · 더보기 »

6월 6일

6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7번째(윤년일 경우 15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6월 6일 · 더보기 »

7월 23일

7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4번째(윤년일 경우 20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7월 23일 · 더보기 »

8월 18일

8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0번째(윤년일 경우 23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8월 18일 · 더보기 »

8월 23일

8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5번째(윤년일 경우 23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8월 23일 · 더보기 »

8월 26일

8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8번째(윤년일 경우 23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8월 26일 · 더보기 »

8월 29일

8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1번째(윤년일 경우 24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8월 29일 · 더보기 »

9월 16일

9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9번째(윤년일 경우 26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9월 16일 · 더보기 »

9월 20일

9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3번째(윤년일 경우 2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9월 20일 · 더보기 »

9월 23일

9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6번째(윤년일 경우 26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9월 23일 · 더보기 »

9월 9일

9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2번째(윤년일 경우 25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9월 9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한민국 가톨릭교회,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교회,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한국 가톨릭, 한국 가톨릭교회, 한국 교회, 한국 로마 가톨릭교회, 한국 천주교, 한국 천주교회, 한국교회사, 한국의 가톨릭, 한국의 가톨릭교회, 한국의 로마 가톨릭, 한국의 천주교, 한국의 천주교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