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한국의 불교 사상

색인 한국의 불교 사상

본 문서 한국의 불교 사상은, 한국에 전래된 불교에서 전개된 사상을 설명.

152 처지: 능가경, 돈오돈수, 만트라, 마음, 명랑, 무량수경종요, 무속신앙, 묘법연화경, 미륵보살, 백고좌, 백용성, 백제, 백제의 불교, 반야, 반야경, 바라밀, 밀교 (불교), 걸사표, 겸익, 경흥, 경주 흥륜사지, 경주 사천왕사지, 경주 황룡사지, 번뇌, 범망경, 법상종, 고려, 고려 고종, 고려 태조, 고려 현종, 고려대장경, 고구려, 골품 제도, 본성, 계 (불교), 불경, 불교, 불교 용어 목록/ㅎ, 불교 용어 목록/ㅅ, 불교 용어 목록/무, 불성, 부처, 부석사, 극락, 근기, 규기, 금강삼매경론,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비로자나불, 대승불교, ..., 대승기신론소, 대안, 교종, 구산문, 남북국 시대, 나라 시대, 나무아미타불, 당나라, 승랑, 자장, 자성, 자성 (불교), 임진왜란, 이승, 인도, 인과관계, 일승, 의적, 의천, 의연, 점찰법회, , 정혜쌍수, 정토 사상, 조계종, 주술, 중도 (불교), 중관파, 중국, 진흥왕, 진여, 진성, 진속이제, 지론종, 지눌, 지엄, 청산, 천태종, 유가행파, 유정 (1544년), 유식설, 육조단경, 율종, 휴정, 팔관회, 상분, 샤머니즘, 태현, 수나라, 오대산, 오교 양종, , 호법, 호국 불교 사상, 혜능, 혜량, 혜공, 혜현, 현광, 현장, 행상, 열반, 열반경, 산스크리트어, 삼론종, 삼국, 삼국 시대, 삼승, 선 (불교), 선교 양종, 선사, 섭론종, 성철, 성왕, 성왕 (백제), 세속 오계, 해일, 해심밀경소,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의 불교, 한국의 불교 사상, 한용운, 아마라식, 아미타불, 아바스 오베이드 자심, 아비지, 신라, 신라의 삼국통일, 십이처, 티베트어, 원광, 원효, 원측, 화랑, 화엄 사상, 화엄경, 화엄일승법계도, 화엄종, 3·1 운동, 4세기, 526년, 5세기.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02 더) »

능가경

《능가경(楞伽經)》()은 후기 대승불교의 경전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능가경 · 더보기 »

돈오돈수

오돈수(頓悟頓修, Subitism)는 한국불교에서, 찰나에 깨달아 부처가 되어, 더는 수행할 것이 없다는 이론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돈오돈수 · 더보기 »

만트라

350px 만트라(데바나가리: मन्त्र Mantra, 티베트어: སྔགས་ ngak, 와일리 표기: sngags), 만트람(Mantram) 또는 진언(眞言: 참된 말, 진실한 말, 진리의 말)은 "영적 또는 물리적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고 여겨지고 있는 발음, 음절, 낱말 또는 구절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만트라 · 더보기 »

마음

마음은 사람이 다른 사람이나 사물에 대하여 생각, 인지, 기억, 감정, 의지, 그리고 상상력의 복합체로 드러나는 지능과 의식의 단면을 가리.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마음 · 더보기 »

명랑

명랑(明朗: fl. 668)은 7세기 경 신라의 승려로 자(字)는 국육(國育)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명랑 · 더보기 »

무량수경종요

《무량수경종요(無量壽經宗要)》는 신라의 고승 원효가 《무량수경》에 대하여 논술한 책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무량수경종요 · 더보기 »

무속신앙

무속신앙(巫俗信仰), 또는 간단히 무속(巫俗), 무(巫)는 한국의 전통적인 샤머니즘(Shamanism) 즉, 무당으로 불리는 중재자가 신령과 인간을 중재하는 종교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무속신앙 · 더보기 »

묘법연화경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묘법연화경》 2권 변상도(1340년 고려(高麗)에서 간행)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또는 《법화경》(法華經)은 대승경전의 하나로, 예로부터 모든 경전의 왕으로 생각되었으며, 초기 대승경전(大乘經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묘법연화경 · 더보기 »

미륵보살

미륵보살(彌勒菩薩,,, 음역(音譯) 미륵彌勒, 의역(意譯) 자씨(慈氏)은 현재는 보살이지만 다음 세상에 부처로 나타날 것이라고 불교에서 믿고 있는 미래의 부처이다. 의역에 '慈(사랑 자)'라는 한자가 들어가는 이유는 미륵의 어원이 되는 산스크리트어 maitrī'가 'loving-kindness'라고 하는 뜻이기 때문이다. 불교교리에 따르면, 용화수 아래에서 고타마 붓다가 제도하지 못한 모든 중생을 제도할 부처로 수기를 받았다. 미륵보살 신앙 또는 미륵 신앙은 미륵보살이 이 세상에 미륵불(彌勒佛)로 출현하여 세상을 구원한다는 신앙이다.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미륵보살 · 더보기 »

백고좌

백고좌(百高座), 백고좌법회(百高座法會) 또는 인왕백고좌도장(仁王百高座道場)은 신라 때의 국가적인 불교 행사의 하나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백고좌 · 더보기 »

백용성

백용성(白龍城, 1864년 5월 8일 ~ 1940년 2월 20일)은 대한민국 일제강점기의 승려이자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백용성 · 더보기 »

백제

백제(百濟, 기원전 18년 ~ 660년 8월 29일)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백제 · 더보기 »

백제의 불교

백제의 불교는 침류왕(枕流王) 1년(384)에 인도의 승려 마라난타(摩羅難陀)가 동진(東晋)에서 백제로 들어옴으로써 최초로 전래되었.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백제의 불교 · 더보기 »

반야

반야(般若)는 산스크리트어 프라즈냐(प्रज्ञा prajñā) 또는 팔리어 빤냐(paññā)를 음에 따라 번역한 낱말로, 뜻에 따라 번역하여 지혜(智慧)라고도 하며 간단히 지(智) 또는 혜(慧).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반야 · 더보기 »

반야경

Prajñāpāramitā 자와 섬, 인도네시아 공화국. 《반야경(般若經)》은 원제가 프라즈냐파라미타 수트라()이며, 한역의 원제는 《반야바라밀다경(般若波羅蜜多經)》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반야경 · 더보기 »

바라밀

바라밀(婆羅蜜) 또는 바라밀다(波羅蜜多)는 산스크리트어 빠라미따(पारमिता pāramitā)를 음에 따라 번역한 것으로, 완전한 상태구극(究極)의 상태최고의 상태를 뜻.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초기 대승불교의 사상 > 6바라밀,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6바라밀: 六婆羅蜜 바라밀이란 빠라미따(Paramita)의 음사(音寫)로서 완전·구극(究極)·최고의 상태라는 뜻인데, 불교의 교리상으로는 도피안(到彼岸), 즉 이상경(理想境)으로 들어가는 것을 말하며, 현실의 차안(此岸)에서 이상의 피안으로 사람들을 넘기기 위한 행(行)이라는 점에서 도(度)라고도 번역.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바라밀 · 더보기 »

밀교 (불교)

밀교(密敎)는 비밀의 가르침이란 뜻으로 문자 언어로 표현된 현교(顯敎)를 초월한 최고심원(最高深遠)한 가르침을 말.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밀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일본에서는 진언종의 구카이(空海)가 불교를 현밀이교(顯密二敎)로 판별하여 금강승, 즉 밀교의 우위를 주장.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밀교 (불교) · 더보기 »

걸사표

사표(乞師表)는 608년에 원광이 진평왕의 명령으로 수나라에 지원을 요청한 외교 문서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걸사표 · 더보기 »

겸익

익(謙益: fl. 526)은 백제의 이름난 승려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겸익 · 더보기 »

경흥

경흥(憬興)은 7세기 말 경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경흥 · 더보기 »

경주 흥륜사지

경주 흥륜사지(慶州 興輪寺址)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었던 사찰로서, 신라 최초로 세워진 흥륜사가 있던 곳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경주 흥륜사지 · 더보기 »

경주 사천왕사지

경주 사천왕사지(慶州 四天王寺址)는 경상북도 경주시 배반동에 있는 신라 시대 사천왕사의 터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경주 사천왕사지 · 더보기 »

경주 황룡사지

황룡사(皇龍寺)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었던 사찰로서, 경주에서 가장 컸던 사찰로 알려져 있으나,한국사 > 고대사회의 발전 > 삼국의 성립과 발전 > 고대문화의 발전 > 황룡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현재는 터만 남아 있. 황룡사는 9층 목탑과 장륙상(丈六像)과 더불어 신라 삼보(三寶)의 하나로 유명하였.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경주 황룡사지 · 더보기 »

번뇌

번뇌(煩惱,, ,)는 그 본질적 성질이 부적정(不寂靜: 고요하지 않음)인 마음작용들을 말. 번뇌의 본질적인 작용은 번뇌가 일어나게 되면, 그 번뇌를 대치(對治)하지 않는 한, 그 자체의 본질적인 성질에 근거하여 그 번뇌가 일으키는 부적정한 영향력 즉 부적정한 업이 몸과 마음에 상속되어 전전(展轉)하게 하는 것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번뇌 · 더보기 »

범망경

《범망경 노사나불설 보살심지계품 제십》(梵網經盧舍那佛說菩薩心地戒品第十)(K.0527, T.1484), 줄여서 《범망경》(梵網經)은 계율이 정리되어 있는 대승불교의 불경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범망경 · 더보기 »

법상종

법상종(法相宗Dharma character schoolFa-Hsiang)이란 제법(諸法)의 성상(性相)을 분별하는 종(宗)이란 뜻으로 오위백법(五位百法)을 세워 아뢰야식(阿賴耶識)을 근본으로 하기 때문에 유식종(唯識宗)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법상종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고종

종(高宗, 1192년 2월 3일 (음력 1월 18일) ~ 1259년 7월 21일 (음력 6월 30일)은 고려 제23대 국왕(재위: 1213년 ~ 1259년)이다. 휘는 철(皞), 자는 천우(天祐), 묘호는 고종(高宗),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헌왕(忠憲王)이며 고려에서 올린 시호는 안효대왕(安孝大王)이다. 강종과 원덕태후(元德太后) 문화 류씨(柳氏)의 맏아들이다. 비(妃)는 희종의 딸 안혜태후(安惠太后) 류씨(柳氏)이다.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고려 고종 · 더보기 »

고려 태조

조(高麗 太祖, 877년 1월 31일 (음력 1월 14일)《고려사절요》 제1권 태조 신성대왕〈고려사절요/제1권/태조 신성대왕〉"신라 헌강왕(憲康王) 3년 정유(877) 정월 14일 병술에 태조를 송악 남쪽 사제(私第)에서 낳으니" ~ 943년 7월 4일 (음력 5월 29일))는 후삼국 시대(後三國 時代)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장군(將軍)이자 고려(高麗)의 초대 황제(재위:918년 7월 25일~943년 7월 4일)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고려 태조 · 더보기 »

고려 현종

현종(顯宗, 992년 8월 1일(음력 7월 1일)《고려사》〈세가〉권5 ~ 1031년 6월 17일(음력 5월 25일)은 고려 제8대 국왕(재위: 1009년 ~ 1031년)이다. 휘는 순(詢), 자는 안세(安世), 보위 즉위 이전의 작위는 대량원군이었고, 묘호는 현종, 시호는 대효덕위달사원문대왕(大孝德威達思元文大王)이며 불교 승려 시절 법명은 선재(禪齋)이다. 태조의 아들 안종(安宗)과 헌정왕후 황보씨(皇甫氏)의 아들이다. 안종 왕욱과 경종의 계비 헌정왕후의 사통으로 출생하여 암살 위기를 모면하고 1009년 강조의 정변으로 5촌 조카이자 이종사촌 형인 목종이 폐위되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이후 거란의 두 차례 침입으로 피난을 다녀오기도 했다. 1009년 2월부터 1031년 6월까지 재위하는 동안 1009년 2월부터 이듬해 1010년 11월까지 강조(康兆)가 섭정하였고 1010년 11월부터 1031년 6월 붕어할 때까지 친정하였다.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고려 현종 · 더보기 »

고려대장경

《고려 대장경(高麗大藏經)》은 고려에서 간행한 대장경을 이르며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고려대장경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고구려 · 더보기 »

골품 제도

제도(骨品制度)는 신라 사회의 신분제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골품 제도 · 더보기 »

본성

본성(本性)은 개별 존재가 본래 갖추고 있는 성품 또는 성질을 말. 본성을 줄여서 간단히 성(性)이라고도 하고 다른 말로는 성품(性品)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본성 · 더보기 »

계 (불교)

불교에서 계(戒)는 덕, 바른 행동, 도덕, 도덕의 규율, 계율을 말하며, 그것을 위해 노력하는 것. 계는 정(定), 혜(慧)와 함께 삼학(三學)에 속하며, 바라밀의 두 번째 행인 지계(持戒)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계 (불교) · 더보기 »

불경

불경(佛經)은 석가모니와 그 제자들의 가르침을 모아놓은, 불교의 경전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불경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불교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ㅎ

1.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ㅅ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불교 용어 목록/ㅅ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무

1.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불교 용어 목록/무 · 더보기 »

불성

불성(佛性)은 '부처의 본성', '깨달음 그 자체의 성질', 또는 '부처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뜻하는 불교 용어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불성 · 더보기 »

부처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부처 또는 여래(如來), 세존(世尊), 붓다()는 인도 불교에서 "깨달은 자", "눈을 뜬 자"라는 뜻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부처 · 더보기 »

부석사

부석사(浮石寺)는 신라 문무왕 16년(676년)에 의상이 왕명을 받아 세운 화엄종 사찰로서,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봉황산 중턱에 있.사회 I·문화재 > 문 화 재 > 중요 문화재 > 경상북도 > 부석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부석사는 특히 의상이 화엄의 큰 가르침을 베풀던 곳으로, 의상을 하고, 그가 창시한 화엄종을 "부석종"이라 하는 것도 여기에서 유. 1372년(공민왕 21)에 주지가 된 원응국사(圓應國師)에 의해 많은 건물들이 다시 세워졌.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부석사 · 더보기 »

극락

극락(極樂)은 서방극락세계(西方極樂世界), 극락정토(極樂淨土), 극락국토(極樂國土)을 지칭하는 말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극락 · 더보기 »

근기

음과 같은 뜻을.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근기 · 더보기 »

규기

(窺基, 632년 ~ 682년) 또는 기(基)는 중국의 당나라 초기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규기 · 더보기 »

금강삼매경론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은 신라의 고승 원효가 지은, 《금강삼매경》의 해석서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금강삼매경론 · 더보기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世界大百科事典)은 2004년 도서출판 범한에서 출판한 백과사전으로, 다음(지금의 카카오)이 라이선스를 사들여 2008년 11월 한국어 위키백과에 기증.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더보기 »

비로자나불

비로자나불은 바이로차나(Vairocana).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비로자나불 · 더보기 »

대승불교

승불교(大乘佛敎) 또는 마하야나()는 "대승(大乘)"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큰 탈것"(great vehicle) 또는 "뛰어난 탈 것"이라는 뜻이며, '탈 것'이란 '가르침'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가르침에 의해 사람들을 미혹의 세계로부터 깨달음의 세계로 실어간다는 것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대승불교 · 더보기 »

대승기신론소

《기신론소(起信論疏)》 또는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는 7세기 남북국 시대 신라(668-935)의 고승인 원효(元曉, 617-686)가 저술한 불교 논서로, 전통적으로 마명 보살의 저술로 여기는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해석서("소疏")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대승기신론소 · 더보기 »

대안

안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대안 · 더보기 »

교종

종(敎宗)이란 부처의 교설 및 그것을 문자로 나타낸 경전을 바탕으로 하는 종지(宗旨)를 뜻하며, 불어종(佛語宗)이라고도 하고, 부처의 일심(一心)을 전하는 불심종(佛心宗)으로서의 선종(禪宗)의 입장에서 불교를 판별(判別)하여 교선2종(敎禪二宗)으로 나눈 데에서 비롯.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교종 · 더보기 »

구산문

선종 구산(禪宗九山Nine Mountain Monasteries)은 남북국 시대의 신라 때부터 시작되어 고려 태조 때 완성된 불교 선종(禪宗)의 구산문(九山門)을 가리.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구산문 · 더보기 »

남북국 시대

북국 시대(南北國時代)는 698년는 1784년에 유득공에 의해 창조된 북부의 만주와 연해주를 중심으로 한 발해의 건국 이후 남부의 한반도에 있는 신라와 공존하던 시대를 일컫는 역사 용어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남북국 시대 · 더보기 »

나라 시대

시대(710년 ~ 794년)는 넓은 의미로는 710년 겐메이 천황이 헤이조쿄(平城京)로 천도한 때부터 794년 간무 천황이 헤이안쿄(平安京)로 천도할 때까지의 84년의 기간을 말하고, 좁은 의미로는 710년에서 784년에 간무 천황이 나가오카쿄(長岡京)로 천도할 때 까지이 74년의 기간을 가리키는 일본역사의 시대구분의 하나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나라 시대 · 더보기 »

나무아미타불

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은 명호의 하나로 육자명호이. 아미타불(阿彌陀佛)에 귀의(歸依)를 표명하는 정형구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나무아미타불 · 더보기 »

당나라

당(唐, 618년 ~ 907년)은 수나라 멸망 뒤 건국된 중국의 정통왕조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당나라 · 더보기 »

승랑

승랑(僧朗: fl. 500년 전후)은 6세기 경 고구려의 고승으로, 일명 낭대사(朗大師) 또는 섭산대사(攝山大師).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승랑 · 더보기 »

자장

자장(慈藏, 590년~658년)은 신라의 스님이었고, 율사(律師)로 알려져 있. 출가하기 전에는 진골 출신의 귀족이었으며, 성은 김(金), 속명은 선종(善宗)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자장 · 더보기 »

자성

자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자성 · 더보기 »

자성 (불교)

자성(自性,, sva-laksana, svalakṣaṇa)은 다른 어떤 것과도 관계하지 않는 자기만의 특성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자성 (불교)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임진왜란 · 더보기 »

이승

이승(李勝, ? ~ 249년)은 중국 조위의 관료이자 조상의 심복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이승 · 더보기 »

인도

인도 공화국()은 남아시아에 있는 나라로, 인도 아대륙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 국가 면적은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넓으며, 인구는 약 13억 명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 북쪽과, 북동쪽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 북쪽으로는 네팔, 부탄, 서쪽에는 파키스탄, 동쪽으로는 미얀마와 방글라데시, 남동쪽에는 벵골 만, 남서쪽으로는 아라비아 해, 남쪽으로는 인도양와 맞닿아 있으며 스리랑카, 몰디브가 있으며,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의 해상경계는 태국, 인도네시아와 접해 있. 수도는 뉴델리이.주요 도시로는 뉴델리, 뭄바이, 첸나이, 벵갈루루, 하이데라바드, 콜카타등이 있. 고대 인더스 문명의 발상지이자 역사적인 무역로였으며 거대한 제국이 있었던 인도 아대륙은 오랫동안 그 지정학적 지위와 경제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왔.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인도 · 더보기 »

인과관계

인과관계(因果關係)는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말. 인과(因果)인과율(因果律) 또는 인과성(因果性)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인과관계 · 더보기 »

일승

1승(一乘) 또는 1불승(一佛乘)은 소승(小乘) 즉 성문승(聲聞乘)연각승(緣覺乘)의 2승(二乘)에 대해서 대승 불교가 스스로의 입장을 나타낸 것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일승 · 더보기 »

의적

의적(義賊)은 부당하게 재산을 모은 탐관오리나 부자, 귀족들의 재산을 빼앗아 가난한 자에게 나누어 주는 의로운 도둑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의적 · 더보기 »

의천

상화 의천(義天: 1055년 10월 30일(음력 9월 28일) ~ 1101년 10월 28일(음력 10월 5일))은 고려시대의 왕족 출신 승려, 작가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의천 · 더보기 »

의연

의연(義淵: fl. 6세기 후반)은 6세기 경 고구려의 승려로 고구려 평원왕(平原王: 재위 559-590) 때 대승상(大丞相) 왕고덕(王高德)에 의하여 북제(北齊: 550-577)의 수도인 업(鄴)에 파견되어 지론종(地論宗) 남도파(南道派)의 대표자인 법상(法上: 495-580)을 만나 불교사(佛敎史)를 알아 왔으며,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삼국시대의 사상 > 삼국시대의 불교사상 > 의연,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지론종 남도파의 사상을 소.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사상 > 한국불교의 사상〔개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의연 · 더보기 »

점찰법회

점찰법회(占察法會)는 《점찰선악업보경(占察善惡業報經)》을 소의 경전으로 하는 참회 중심의 법회로, 신라 시대에 원광법사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진표에 의해 융성하게 된 법회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점찰법회 · 더보기 »

정은 다음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정 · 더보기 »

정혜쌍수

정혜쌍수(定慧雙修)는 고려의 승려인 지눌(知訥: 1158-1210)이 제창한 사상으로, 의천의 교관겸수(敎觀兼修) 사상이 교종으로써 선종을 융섭하고자 한 것이라면 정혜쌍수 사상은 선종으로써 교종을 융섭한 것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정혜쌍수 · 더보기 »

정토 사상

정토 사상(淨土思想)은 아미타불과 같은 부처나 미륵보살과 같은 보살들이 거주하고 있는 청정한 세계인 정토(淨土Pure land)에 대해 전개된 대승불교의 사상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정토 사상 · 더보기 »

조계종

조계종(曹溪宗)은 한국 불교의 한 종파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조계종 · 더보기 »

주술

주술(呪術)은 인류의 초기 사회와 초기 문명에서 발생했다고하는, 원시 종교이기도 하며, 문화인류학의 샤머니즘과 애니미즘 각각의 관념과 행위에 따른 주문으로 대표되는 형식이나 양식이나 의식을 의미.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주술 · 더보기 »

중도 (불교)

중도(中道)는 불교에서 치우치지 아니하는 바른 도리를 말. 고타마 붓다는 29세에 출가하여 35세에 깨달음을 얻어 불타로 될 때까지의 6년간 그 대부분을 가혹한 고행의 길에 정진하였.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중도 (불교) · 더보기 »

중관파

중관파(中觀派) 또는 중관학파(中觀學派)는 용수(龍樹: 150~250)의 불교사상을 바탕으로 체계화된 인도 대승불교의 종파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중관파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중국 · 더보기 »

진흥왕

흥왕(眞興王, 526년~576년, 재위: 540년~576년)은 신라의 제24대 임금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진흥왕 · 더보기 »

진여

여(眞如)는 "있는 그대로의 것""꼭 그러한 것"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타타타(तथाता, tathātā)의 번역어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진여 · 더보기 »

진성

성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진성 · 더보기 »

진속이제

속이제(眞俗二諦Two truths)는 진제(眞諦)와 속제(俗諦)를 통칭하는 불교 용어로, 줄여서 이제(二諦).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진속이제 · 더보기 »

지론종

종(地論宗)은 고대 중국불교의 13종 가운데 하나로, 《화엄경》 · 《능가경》 · 《십지경론》 · 《금강선론》 등을 소의 경론으로 하는 종파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지론종 · 더보기 »

지눌

(知訥, 1158년~1210년 4월 22일(음력 3월 27일))은 고려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지눌 · 더보기 »

지엄

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지엄 · 더보기 »

청산

청산(淸算)이란 해산된 회사가 존립 중에 발생한 재산적 권리의무를 정리한 후 회사의 법인격을 소멸시키는 것을 말. 회사는 해산하면 합병, 분할, 분할합병 또는 파산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청산단계로 들어가는데(상법 제531조 제1항), 이때 회사의 권리능력은 청산의 목적범위 내로 제.(상법 제245조, 제542조, 제613조).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청산 · 더보기 »

천태종

종(天台宗TiantaiTendaiLotus School)은 《법화경》(法華經Lotus Sūtra)을 소의경전으로 하는 불교 종파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천태종 · 더보기 »

유가행파

유가행파(瑜伽行派) 또는 요가차라()는 4세기 인도의 무착스님이 만든 대승불교 종파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유가행파 · 더보기 »

유정 (1544년)

사명대사 유정(惟政, 1544년 10월 17일 ~1610년 음력 8월 26일 (양력 10월 12일)은 조선 중기의 고승, 승장(僧將)이다. 속성은 임(任), 속명은 응규(應奎), 자는 이환(離幻), 호는 송운(松雲), 당호는 사명당(泗溟堂), 별호는 종봉(鍾峯), 본관은 풍천이며, 시호는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이다. 법명인 유정보다 당호인 사명당(泗溟堂)으로 더 유명하고, 존경의 뜻을 담아 사명대사(泗溟大師)라고도 부른다. 1912년 촬영된 사명대사 기적비(紀蹟碑). 언젠가 파괴되었다가, 1996년 파편이 건봉사에서 발견되었다.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유정 (1544년) · 더보기 »

유식설

유식설(唯識說)은 인간의 현실존재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 법은 실유(實有)가 아니고, 그 실상(實相)은 공(空)이라고 본. 하지만, 무차별하고 한결같은 공의 차원에 의거하여 다양하지만 일정하게 질서있는 현실의 모든 차별상이 나타난다고 할 수는 없다고 주장.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유식설 · 더보기 »

육조단경

육조단경은 육조혜능의 설법을 제자인 하택신회(荷澤神會: 685~760)가 책으로 편찬한 것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육조단경 · 더보기 »

율종

율종(律宗)은 계율을 종(宗)으로 하는 종파이며 북제(北齊: 550~577)의 혜광(慧光)이 시작한 《사분율(四分律)》 연구 학파가 발전하여 한 종이 된 것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율종 · 더보기 »

휴정

휴정(休靜, 1520년 3월 26일~1604년 1월 23일)은 조선 중기의 고승, 승장(僧將)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휴정 · 더보기 »

팔관회

회(八關會)는 신라 때 시작되어 고려 때까지 이어진 불교 의식(儀式)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팔관회 · 더보기 »

상분

상분(嘗糞)이란 사람의 대변의 맛을 보아 그 건강한 정도를 살펴보는 의학적 행위를 말. 중국의 고사성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지극한 효성 또는 도가 지나친 아첨을 가리키는 용법으로 쓰인.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상분 · 더보기 »

샤머니즘

샤머니즘(Shamanism)은 신(神)을 불러들이는 무당(巫堂), 곧 샤먼(shaman)을 중심으로 한 신앙 체계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샤머니즘 · 더보기 »

태현

현(太賢)은 일명 대현(大賢)이라고도 하며, 8세기 중엽 신라 경덕왕 때의 승려로, 유가종(瑜伽宗)의 조사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태현 · 더보기 »

수나라

수나라와 그 외 국가 형세 수(隋, 581년 3월 4일 ~ 619년 5월 23일)는 중국 남북조 시대의 혼란을 진정시키고, 서진이 멸망한 후 분열되었던 중국을 약 300년 만에 재통일한 국. 그러나 제2대 황제인 양제 때 폭정으로 인해 약간의 혼란기를 거친 후 멸망하였고, 그 후 당나라가 중국을 재통일하였.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수나라 · 더보기 »

오대산

오대산(五臺山)은 강원도 강릉시와 평창군 및 홍천군 경계에 있는 높이 1,563m의 산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오대산 · 더보기 »

오교 양종

오교 양종(五敎兩宗)은 고려(918-1392) 중기에서 조선(1392-1897) 초기에 걸친 중세와 근세 초기 한국의 불교 교파를 총칭하는 낱말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오교 양종 · 더보기 »

옷 옷 또는 의복(衣服), 의상(衣裳)은 사람이 몸 위에 입는, 천이나 가죽 등으로 된 물건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옷 · 더보기 »

호법

호법(護法: 530~561), 다르마팔라(Dharmapāla) 또는 달마바라(達磨波羅)는 인도 대승불교 유가행파(瑜伽行派)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호법 · 더보기 »

호국 불교 사상

호국 불교 사상(護國佛敎思想) 또는 호국 사상(護國思想)은 진호국가(鎭護國家), 즉 불교의 교법(敎法)으로 난리와 외세를 진압하고 나라를 지킨다는 불교 사상으로 다른 불교 국가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은 한국 특유의 불교 사상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호국 불교 사상 · 더보기 »

혜능

혜능(慧能: 638~713)은 당나라(618~907) 시대의 선승이며 선종(禪宗)의 제6조이자 남종선(南宗禪)의 시조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혜능 · 더보기 »

혜량

혜량(惠亮: fl. 551)은 6세기 경의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혜량 · 더보기 »

혜공

혜공(惠空: fl. 7세기 후반)은 신라 중기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혜공 · 더보기 »

혜현

혜현(慧現 또는 慧顯: 570~627)은 백제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혜현 · 더보기 »

현광

현광(玄光)은 6세기경 백제의 고승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현광 · 더보기 »

현장

현장 현장(玄奘, 602년 4월 6일 ~ 664년 3월 7일)은 당나라 초기의 고승이자 번역가로 흔히 현장삼장(玄奘三藏)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현장 · 더보기 »

행상

베트남의 행상인 행상(行商)은 상품을 옮기면서 판매하는 소매업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행상 · 더보기 »

열반

열반(涅槃)은 "(바람 등이) 불기를 멈추다(촛불 등을) 불어서 끄다(촛불 등이) 불어서 꺼진 상태"라는 뜻의를 음을 따라 번역한 말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열반 · 더보기 »

열반경

《열반경》(涅槃經)은 불교의 경전으로, 소승 불교의 열반경(소승열반경)과 대승 불교의 열반경(대승열반경) 두 가지가 있.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열반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소승 불교의 열반경은 붓다의 열반 전후의 이야기를 기록한 《마하빠리닙바나 숫따》(Mahāparinibbāna Sutta, D16)이며, 대승 불교의 열반경은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열반경 · 더보기 »

산스크리트어

산스크리트어(संस्कृता) 간칭 범어(梵語)는 인도의 고전어로, 힌두교대승불교자이나ㆍ교 경전의 언어이자 수많은 인도 제어의 고급 어휘의 근간을 구성하는 언어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산스크리트어 · 더보기 »

삼론종

삼론종(三論宗)은 《중론》《십이문론》《백론》의 삼론(三論)에 의거한 중국 불교의 논종(論宗)이다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논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중국불교의 종파 > 삼론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삼론(三論)은 도안(道安: 312-385)의 권유로 쿠차국에서 초빙된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이 한역한 《대품반야》《소품반야》 등의 초기 대승경전과 이에 입각한 용수(龍樹: c.150-c.250) 계통의 중관파 논서들 가운에, 용수의 《중론(中論)》 4권(409년에 한역)과 《십이문론(十二門論)》1권(409년에 한역) 그리고 용수의 제자인 제바(提婆Aryadeva: 170-270)의 《백론(百論)》 2권(404년에 한역)을 가리.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삼론종 · 더보기 »

삼국

삼국(三國, "세 나라")는 맥락에 따라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삼국 · 더보기 »

삼국 시대

삼국 시대(三國時代)는 기원전 1세기부터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과 그 판도에 영향을 끼친 가야 연맹을 포함한 4개 국가가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 세워지면서부터 7세기에 신라에 의해 통일되기까지의 시대를 가리.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삼국 시대 · 더보기 »

삼승

3승(三乘)은 세 가지 탈것이라는 뜻으로, 성문승(聲聞乘)연각승(緣覺乘)보살승(菩薩乘)을 통칭하는 낱말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삼승 · 더보기 »

선 (불교)

선정(禪定)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선(禪)이란, 중국 대륙에서 5세기에 발전하기 시작한 대승불교의 한 조류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선 (불교) · 더보기 »

선교 양종

선교 양종(禪敎兩宗)은 조선 시대 세종 6년에 기존의 불교 종파들이 선종과 교종의 양종으로 통폐합되었던 조선 시대의 불교 종파를 일컫는 낱말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선교 양종 · 더보기 »

선사

선사(禪師)는 일반적으로 선정(禪定)에 통달한 승려를 부르는 호칭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선사 · 더보기 »

섭론종

섭론종(攝論宗)은 중국 불교의 논종(論宗) 중 하나로, 무착(無着)의 《섭대승론(攝代乘論)》을 연구강술하는 학파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섭론종 · 더보기 »

성철

성철(性徹, 1912년 음력 2월 19일(양력 4월 6일)~1993년 11월 4일)은 대한민국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성철 · 더보기 »

성왕

성왕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성왕 · 더보기 »

성왕 (백제)

성왕(聖王, ? ~ 554년, 재위: 523년 ~ 554년 음력 12월)은 백제의 제26대 국왕이며, 성은 부여(扶餘), 이름은 명농(明禯)이고, 삼국유사에는 명농(明穠), 중국 측 기록인 양서(梁書)에는 이름이 명(明)으로 기록되었.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성왕 (백제) · 더보기 »

세속 오계

세속 오계(世俗五戒), 혹은 오계는 신라 진평왕 때 원광법사가 귀산(貴山)과 추항(箒項)의 요청을 받아 알려준 다섯 가지 수신계(修身戒)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세속 오계 · 더보기 »

해일

몰디브의 말레에 2004년 12월 26일 닥친 지진해일. 해일(海溢)은 바다에서 높은 파도가 밀려오는 현상으로 폭풍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과 외부적인 충격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이 있. 이 중 태풍이나 저기압 등에 의해 생기는 것을 폭풍해일, 지진이나 화산 활동 등에 의해 생기는 것을 지진해일(쓰나미)이라고 구분해서 부른.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해일 · 더보기 »

해심밀경소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는 신라의 고승 원측의 저서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해심밀경소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불교

국의 불교는 기원후 4세기와 5세기경 삼국 시대(三國時代)에 동진 시대(317-420)와 남북조 시대(439-589)의 중국을 거쳐 들어온 종교로서 한국 민족과 더불어 자라온 중요한 종교 사상의 하나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한국의 불교 · 더보기 »

한국의 불교 사상

본 문서 한국의 불교 사상은, 한국에 전래된 불교에서 전개된 사상을 설명.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한국의 불교 사상 · 더보기 »

한용운

용운(韓龍雲, 1879년 8월 29일 ~ 1944년 6월 29일)은 일제 강점기의 시인, 승려,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한용운 · 더보기 »

아마라식

아마라식(阿摩羅識)은 산스크리트어 아말라 비즈냐나(amala-vijñāna)의 번역어로, 유식유가행파의 심식론(心識論)에서 제8아뢰야식의 청정해진 모습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하고, 제8아뢰야식과는 별도의 제9식(第九識)으로 해석.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아마라식 · 더보기 »

아미타불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대한민국 국보 제82호) 아미타불(阿彌陀佛), 무량광불(無量光佛) 또는 무량수불(無量壽佛)은 서방 극락세계(西方極樂世界)에 머물며 설법을 한다는 부처로, 주로 정토교에서 숭앙하는 구제불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아미타불 · 더보기 »

아바스 오베이드 자심

아바스 오베이드 자심(Abbas Obeid Jassim, 1973년 12월 10일 ~)은 이라크의 전 축구 선수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아바스 오베이드 자심 · 더보기 »

아비지

아비지(阿非知, ? ~ ?)는,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등장하는 황룡사 9층 목탑을 설계한 백제의 장인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아비지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신라 · 더보기 »

신라의 삼국통일

신라의 삼국통일(新羅-三國統一)은 한민족의 역사에서 최초의 민족 통일로 간주되는 사건으로, 676년 신라가 한반도의 제국가(諸國家)를 통일한 것을 말. 신라는 가야, 백제, 고구려 등 한반도에 있던 나라들을 차례로 멸망시켜 병합하였고, 676년에 당나라 군대를 대동강 북쪽으로 축출하여 통일을 달성하였.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신라의 삼국통일 · 더보기 »

십이처

12처(十二處)는 불교의 여러 일체법 분류체계 또는 분석방식 중 하나로, 존재 전체를 안처(眼處)이처(耳處)비처(鼻處)설처(舌處)신처(身處)의처(意處)의 6근(六根)6내처(六內處) 또는 6내입처(六內入處) 내외(內外)는 내적인 것과 외적인 것을 말. 《구사론》의 에 따르면, 마음, 즉 6식(識)은 아집(我執, ahaṃkāra)의 의지처가 되기 때문에 나라고 가설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12처(處) 중 내적인 것은 나의 소의(所依)가 되는 가까운 것인 6근(根), 즉 앞의 6처(處)를 말하며, 외적인 것은 나의 소연(所緣)이 되는 먼 것인 6경(境), 즉 뒤의 6처(處)를 말. 18계(界)의 경우, 내적인 것은 나의 소의(所依)가 되는 가까운 것인 6근(根)과 6식(識)을 말하며, 외적인 것은 나의 소연(所緣)이 되는 먼 것인 6경(境)을 말. 와 색처(色處)성처(聲處)향처(香處)미처(味處)촉처(觸處)법처(法處)의 6경(六境)6외처(六外處) 또는 6외입처(六外入處)의 총 12가지 처(處)로 분류 또는 분석하는 법체계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십이처 · 더보기 »

티베트어

베트어(བོད་སྐད་)는 티베트 지방에서 쓰이는 언어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티베트어 · 더보기 »

원광

원광(圓光, 542년 ~ 640년)은 신라 진평왕 시대의 유명한 승려이자 학자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원광 · 더보기 »

원효

원효(元曉, 617년 ~ 686년 4월 28일(음력 3월 30일), 경상북도 경산시)는 삼국시대와 신라의 고승이자 철학자, 작가, 시인, 정치가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원효 · 더보기 »

원측

원측(圓測, 613년~696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원측 · 더보기 »

화랑

화랑의 상 (함양중학교 소재) 당염립본왕회도(唐閻立本王會圖) 중국의 6세기 각국의 사신도 - 왼쪽부터 왜, 신라, 백제 화랑도(花郞徒) 또는 낭가(郎家), 풍류도(風流徒), 국선도(國仙徒), 풍월도(風月徒)는 신라의 청소년 심신 수련 조직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화랑 · 더보기 »

화엄 사상

화엄 사상(華嚴思想)은 대승불교 경전인 《화엄경(華嚴經)》을 기반으로 전개된 불교 사상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화엄 사상 · 더보기 »

화엄경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줄여서 《화엄경(華嚴經)》() 또는 《잡화경(雜華經)》()은 초기 대승불교의 가장 중요한 경전 중 하나로,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6001 > 화엄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화엄경: 華嚴經 원명은 부다아바탐사카 나마 마하바이풀랴 수트라(Buddha­avatamsaka­nama­mahavaipulya­sutra)이고 자세하게 말해서 이라 부른.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화엄경 · 더보기 »

화엄일승법계도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勝法界圖)》 또는 《법성게(法性偈)》는 신라의 고승인 의상이 깨달음의 경계와 법(法)에 대하여 표현한 7언 30구의 게송으로, 화엄일승의 교리를 도해한 것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화엄일승법계도 · 더보기 »

화엄종

화엄종(華嚴宗)은 《화엄경(華嚴經)》을 소의 경전으로 하는 불교 종파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화엄종 · 더보기 »

3·1 운동

3·1 운동(三一運動) 또는 3·1 만세 운동(三一萬歲運動)은 일제 강점기에 있던 한국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병합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3·1 운동 · 더보기 »

4세기

4세기는 301년부터 400년까지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4세기 · 더보기 »

52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526년 · 더보기 »

5세기

5세기는 401년부터 500년까지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 사상와 5세기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교관겸수, 돈오점수, 무애 사상, 무애가, 무애춤, 무심합도, 불국토, 불국토 사상, 이제합명중도설, 일심 사상, 일심사상, 한국 불교의 사상, 화쟁 사상.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