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7 처지: 방향 (다양체), 공역 (수학), 브라우어르 차수, 꼬임 부분군, 교차수, 구 (기하학), 단일폐곡선, 정의역, 정수, 코호몰로지, 위상수학, 호몰로지, 연속 함수, 연환, 푸앵카레 쌍대성, 알고리즘, 원환면.
- 곡선
- 매듭 불변량
방향 (다양체)
미분기하학과 위상수학에서, 다양체의 방향(方向)은 다양체 위에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의 개념을 정의하는 구조이.
공역 (수학)
수학에서, 어떤 함수의 공역(共域) 또는 공변역(共變域)은 이 함수의 값들이 속하는 집합이.
보다 연환수와 공역 (수학)
브라우어르 차수
수적 위상수학에서, 두 다양체 사이의 연속 함수의 브라우어르 차수(Brouwer次數, Brouwer degree)는 함수의 정의역이 함수의 치역을 몇 번 감싸는지를 나타내는 정수이.
꼬임 부분군
에서, 아벨 군의 꼬임 부분군()은 양의 정수를 곱해서 0으로 만들 수 있는 군 원소들의 부분군이.
보다 연환수와 꼬임 부분군
교차수
수기하학에서, 교차수(交叉數)는 서로 다른 부분 대수다양체가 만나는 수를 중복도를 고려하여 센 것이.
보다 연환수와 교차수
구 (기하학)
반지름이 r인 구 구(球, sphere)는 한 점과의 거리가 같은 점들로 이루어진 3차원의 도형이.
보다 연환수와 구 (기하학)
단일폐곡선
일폐곡선은 다각형, 원, 타원 등과 같이 직선이나 곡선 위에 한 점을 찍었을 때, 시작점과 끝점이 같은 닫힌 도형을 지칭하는 말이.
보다 연환수와 단일폐곡선
정의역
수학에서, 어떤 함수의 정의역(定義域)은 그 함수의 값이 정의된 집합이.
보다 연환수와 정의역
정수
정수들의 집합은 순서에 따라 직선 위에 나타낼 수 있다. 수학에서, 정수(整數)는 양의 정수(1, 2, 3,...) 및 음의 정수(-1, -2, -3,...) 및 0으로 이루어진 수 체계이.
보다 연환수와 정수
코호몰로지
수적 위상수학과 호몰로지 대수학에서, 코호몰로지()는 공사슬 복합체의 원소들의 몫군이.
보다 연환수와 코호몰로지
위상수학
right 위상수학(位相數學)은 연결성이나 연속성 등, 작은 변환에 의존하지 않는 기하학적 성질들을 다루는 수학의 한 분야이.
보다 연환수와 위상수학
호몰로지
수학(특히 대수적 위상수학과 추상대수학)에서 호몰로지('동일한'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homos에서 나옴)는 (위상 공간이나 군 등의) 수학적 대상에 아벨 군이나 모듈의 열을 대응시키는 일반적인 과정이.
보다 연환수와 호몰로지
연속 함수
위상수학과 해석학에서, 연속 함수(連續函數)는 정의역의 점의 "작은 변화"에 대하여, 치역의 값 역시 작게 변화하는 함수이.
보다 연환수와 연속 함수
연환
호프 연환의 도표 보로메오 고리의 도표 매듭 이론에서, 연환(連環)은 서로 얽혀 있는 매듭들의 집합이.
보다 연환수와 연환
푸앵카레 쌍대성
수적 위상수학에서, 푸앵카레 쌍대성(Poincaré雙對性)은 호몰로지 군과 코호몰로지 군에 대한 대응성이.
알고리즘
알고리즘(라틴어, 독일어: Algorithmus)은 수학과 컴퓨터 과학, 언어학 또는 관련 분야에서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를 공식화한 형태로 표현한 것을 말. 알고리즘은 연산, 데이터 진행 또는 자동화된 추론을 수행.
보다 연환수와 알고리즘
원환면
원환체(torus) 기하학에서, 원환면(圓環面) 또는 토러스()란 원을 삼차원 공간 상에서 원을 포함하는 평면 위의 직선을 축으로 회전하여 만든 회전면(surface of revolution)이.
보다 연환수와 원환면
참고하세요
곡선
- 곡률반지름
- 곡선
- 곡선 목록
- 곡선 비틀림
- 나선
- 등치선
- 베지에 곡선
- 변곡점
- 삼중나선
- 선형 참조
-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 시에르핀스키 카펫
- 연환수
- 운형자
- 자연방정식
- 정폭도형
- 축폐선
- 프레네-세레 공식
- 학습 곡선
- 할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