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40 처지: E (상수), 덧셈 역원, 모노이드, 가우스 소거법, 가역행렬, 가역원, 결합법칙, 고전적 수반 행렬, 곱셈, 복소수, 분수 (수학), 극값, 비례, 대칭관계, 교환법칙, 군 (수학), 나눗셈, 나눗셈환, 단사 함수, 자명환, 절댓값, 전사 함수, 정수, 정역, 체 (수학), 켤레 복소수, 유리수, 유한 집합, 수학, 행렬, 행렬식, 역원, 연산, 삼각함수, 함수, 항등원, 실수, 황금비, 환 (수학), 1.
- 곱셈
- 단항 연산
- 초등 특수 함수
- 초등대수학
- 추상대수학
E (상수)
상수 e는 탄젠트 곡선의 기울기에서 유도되는 특정한 실수로 무리수이자 초월수이.
덧셈 역원
수학에서, 어떤 수의 덧셈 역원(-逆元) 또는 반수(反數)는 그 수에 더했을 때 0이 되는 수이.
보다 곱셈 역원와 덧셈 역원
모노이드
상대수학에서, 모노이드()는 항등원을 갖는, 결합 법칙을 따르는 이항 연산을 갖춘 대수 구조이.
보다 곱셈 역원와 모노이드
가우스 소거법
선형대수학에서, 가우스 소거법(Gauß消去法)은 연립일차방정식을 풀이하는 알고리즘이.
가역행렬
선형대수학에서, 가역 행렬(可逆行列) 또는 정칙 행렬(正則行列) 또는 비특이 행렬(非特異行列)은 그와 곱한 결과가 단위 행렬인 행렬을 갖는 행렬이.
보다 곱셈 역원와 가역행렬
가역원
상대수학에서, 가역원(可逆元, 또는 유닛)은 환 또는 모노이드에서 곱셈에 대한 역원이 있는 원소들이.
보다 곱셈 역원와 가역원
결합법칙
수학에서 결합법칙(結合 法則, associated law)은 이항연산이 만족하거나 만족하지 않는 성질이.
보다 곱셈 역원와 결합법칙
고전적 수반 행렬
선형대수학에서, 고전적 수반 행렬(古典的隨伴行列)은 여인자 행렬의 전치 행렬이.
곱셈
1.
보다 곱셈 역원와 곱셈
복소수
수학에서, 복소수(複素數)는 a+bi (a,b는 실수) 꼴의 수이.
보다 곱셈 역원와 복소수
분수 (수학)
이크를 네 등분한 뒤 한 조각을 가져갔을 때, 가져간 부분은 전체 케이크의 사분의 일이며, 남은 부분은 전체 케이크의 사분의 삼이다. 수학에서, 분수(分數)는 어떤 정수 a를 0이 아닌 정수 b로 나눈 몫을 a/b의 형식으로 나타낸 것으로 부분이 전체를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수식이.
극값
수f(x).
보다 곱셈 역원와 극값
비례
변수 y는 변수 x에 비례한다. 비례(比例, proportionality)는 두 양이 서로 일정비율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관계이.
보다 곱셈 역원와 비례
대칭관계
수학에서 집합 X 상의 임의의 두 원소 a, b에 대하여 정의된 이항관계 R이 대칭관계(對稱關係, Symmetric relation)라 함은 a R b이면 b R a를 만족한다는 뜻이.
보다 곱셈 역원와 대칭관계
교환법칙
수학에서, 교환법칙()은 두 대상의 이항연산의 값이 두 원소의 순서에 관계없다는 성질이.
보다 곱셈 역원와 교환법칙
군 (수학)
루빅스 큐브를 돌리는 방법들을 모은 집합은 군을 이룬다. 정이면체군 \operatornameDih(6)의 군 다이어그램 추상대수학에서, 군(群)은 결합 법칙과 항등원과 각 원소의 역원을 가지는 이항 연산을 갖춘 대수 구조이.
나눗셈
눗셈(division)은 수학에서 곱셈의 역연산인 산술 연산이.
보다 곱셈 역원와 나눗셈
나눗셈환
환론에서, 나눗셈환(-環) 또는 비가환체(非可換體)는 모든 0이 아닌 원소가 가역원인 비자명환이.
보다 곱셈 역원와 나눗셈환
단사 함수
사 함수의 예 단사 함수가 아닌 예 (이는 전사 함수이기는 하다). 수학에서, 단사 함수(單射函數) 또는 일대일 함수(一對一函數)는 정의역의 서로 다른 원소를 공역의 서로 다른 원소로 대응시키는 함수이.
보다 곱셈 역원와 단사 함수
자명환
환론에서, 자명환(自明環, trivial ring)은 하나의 원소만을 가지는 환으로, 이 경우 덧셈에 대한 항등원과 곱셈에 대한 항등원이 같. 즉, 1.
보다 곱셈 역원와 자명환
절댓값
수학에서, 절댓값(絶對-)은 실수가 실수선의 원점과, 복소수가 복소평면의 원점과 떨어진 거리를 나타내는 음이 아닌 실수이.
보다 곱셈 역원와 절댓값
전사 함수
전사 함수의 예 수학에서, 전사 함수(全射函數) 또는 위로의 함수()는 공역과 치역이 같은 함수이.
보다 곱셈 역원와 전사 함수
정수
정수들의 집합은 순서에 따라 직선 위에 나타낼 수 있다. 수학에서, 정수(整數)는 양의 정수(1, 2, 3,...) 및 음의 정수(-1, -2, -3,...) 및 0으로 이루어진 수 체계이.
보다 곱셈 역원와 정수
정역
환대수학에서, 정역(整域)은 영인자가 존재하지 않는, 자명환이 아닌 가환환이.
보다 곱셈 역원와 정역
체 (수학)
상대수학에서, 체(體)는 사칙연산이 자유로이 시행될 수 있고, 산술의 잘 알려진 규칙들을 만족하는 대수 구조이.
켤레 복소수
''z'' 수학에서, 켤레 복소수(-複素數) 또는 공액 복소수(共軶複素數) 또는 복소 켤레 또는 공액 켤레는 복소수의 허수부에 덧셈 역원을 취하여 얻는 복소수이.
유리수
수학에서, 유리수(有理數)는 두 정수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는 수이.
보다 곱셈 역원와 유리수
유한 집합
수학에서, 유한 집합(有限集合)이란 집합의 원소의 개수가 한정되어 원소의 개수가 무한개가 아닌 집합을 의미.
보다 곱셈 역원와 유한 집합
수학
수학(數學)은 양, 구조, 공간, 변화 등의 개념을 다루는 학문이.
보다 곱셈 역원와 수학
행렬
'''A'''의 2행 1열에 위치한 원소를 가리킨다. 수학에서, 행렬(行列, matrix)은 수나 기호, 수식 등을 네모꼴로 배열한 것으로, 괄호로 묶어 표시.
보다 곱셈 역원와 행렬
행렬식
선형대수학에서, 행렬식(行列式)은 정사각행렬에 수를 대응시키는 함수의 하나이.
보다 곱셈 역원와 행렬식
역원
역원(逆元,Inverse element)이란, 덧셈에서의 반수와 곱셈에서의 역수를 일반화한 개념이.
보다 곱셈 역원와 역원
연산
연산은 다음과 같은 뜻을 갖.
보다 곱셈 역원와 연산
삼각함수
사인 함수와 코사인 함수 수학에서, 삼각함수(三角函數)는 각의 크기를 삼각비로 나타내는 함수이.
보다 곱셈 역원와 삼각함수
함수
수를 상자에 비유한 그림. 수학에서, 함수(函數) 또는 사상(寫像)은 첫 번째 집합의 임의의 한 원소를 두 번째 집합의 오직 한 원소에 대응시키는 대응 관계이.
보다 곱셈 역원와 함수
항등원
항등원(恒等元,Identity element)은 군론 등의 대수학에서 다루는 기본적인 개념으로, 집합의 어떤 원소와 연산을 취해도, 자기 자신이 되게하는 원소를 말. 항등원이 무엇인지는 집합과 이항연산의 종류에.
보다 곱셈 역원와 항등원
실수
실수을 수직선으로 나타낸 것 수학에서, 실수(實數)는 주로 실직선 위의 점 또는 십진법 전개로 표현되는 수 체계이.
보다 곱셈 역원와 실수
황금비
(a+b):a.
보다 곱셈 역원와 황금비
환 (수학)
상대수학에서, 환(環)은 덧셈과 곱셈이 정의된 대수 구조의 하나이.
1
1(일)은 가장 작은 양의 정수로 0과 2 사이의 정수이.
보다 곱셈 역원와 1
참고하세요
곱셈
단항 연산
초등 특수 함수
초등대수학
- 거듭제곱근
- 결합법칙
- 곱셈 역원
- 공식
- 교환법칙
- 단항연산
- 덧셈 역원
- 무연근
- 방정식
- 변수 변환
- 부등식
- 부분분수
- 분모의 유리화
- 분배법칙
- 비에트 정리
- 사차 방정식
- 사차 함수
- 삼차 방정식
- 상수항
- 선형성
- 수식
- 이차 방정식
- 인수분해
- 일차 방정식
- 초등대수학
- 추이적 관계
- 항등식
추상대수학
- A∞-오퍼라드
- 곱셈 역원
- 귀납적 극한
- 극성화와 반환
- 기약 다항식
- 대수 구조
- 덧셈 역원
- 매장 (수학)
- 생성 집합
- 선형 변환
- 선형생성
- 수식
- 쌍선형 형식
- 아이디얼화 부분 모노이드
- 여과 (수학)
- 여핵
- 역원
- 영인자
- 오퍼라드
- 오퍼라드 대수
- 일반선형군
- 일차 독립 집합
- 자기 동형 사상
- 자유 대상
- 전치 행렬
- 절대 볼록 집합
- 절댓값 (대수학)
- 중심 (대수학)
- 중심화 부분군
- 직접곱
- 차원
- 체 (수학)
- 추상대수학
- 코시 열
- 폐포 (수학)
- 합동 관계
- 형식적 멱급수
- 흡수 법칙
또한 역수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