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그로텐디크 위상

색인 그로텐디크 위상

수기하학과 범주론에서, 그로텐디크 위상(Grothendieck位相)은 열린 덮개의 개념을 공리적으로 추상화한 개념이.

51 처지: 덮개 (위상수학), 데이비드 멈퍼드, 동형 사상, 매끄러운 사상, 마이클 아틴, 모임 (수학), 모티브 (수학), 몽펠리에, 베유 추측, 결정 코호몰로지, 범주 (수학), 범주론, 범주의 동치, 공역 (수학), 부분 대상 분류자, 부분 대상과 몫 대상, 부분 순서 집합, 대수기하학, 대수다양체, 대수적 K이론, 교집합, 당김 (범주론), 니스네비치 위상, Fpqc 위상, 스킴 (수학), 자리스키 위상, 장피에르 세르, 작은 범주, 전순서 집합, 집합, 체 (범주론), 층 (수학), 코호몰로지, 유한체, 위상 공간 (수학), 위상의 비교, 오스카 자리스키, 에탈 기본군, 에탈 코호몰로지, 연속 함수, 열린집합, 표현 가능 함자, 사상 (수학), 세계 수학자 대회, 토포스, 함자 (수학),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하버드 대학교, 필요충분조건, 앙드레 베유, ..., 쉼표 범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 더) »

덮개 (위상수학)

수학에서, 덮개()는 합집합이 전체 집합인 부분 집합들의 집합족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덮개 (위상수학) · 더보기 »

데이비드 멈퍼드

이비드 브라이언트 멈퍼드(1937년 6월 11일~)는 미국의 수학자로, 대수기하학과 패턴론의 연구로 유명.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데이비드 멈퍼드 · 더보기 »

동형 사상

수학에서, 동형 사상(同型寫像)은 서로 구조가 같은 두 대상 사이에, 모든 구조를 보존하는 사상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동형 사상 · 더보기 »

매끄러운 사상

수기하학에서, 매끄러운 스킴()은 국소적으로 아핀 공간과 같이 보이는 체 위의 스킴이며, 매끄러운 사상(-寫像)은 각 올이 매끄러운 스킴을 이루는 스킴 사상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매끄러운 사상 · 더보기 »

마이클 아틴

마이클 아틴(1934년 6월 28일~)은 미국의 수학자.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마이클 아틴 · 더보기 »

모임 (수학)

집합론에서, 모임()은 특정한 성질을 만족하는 집합(혹은 그 외의 수학적 대상)을 모은 것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모임 (수학) · 더보기 »

모티브 (수학)

모티브()는 대수기하학의 연구대상 중 한가지로, 직관적으로 말하자면, '대수다양체의 궁극적인 성질들을 가지고 있는 대상'을 뜻. 좀 더 수학적으로 엄밀하게 말하자면, '모티브 이론'이란 '대수다양체에 관한 범용 코호몰로지 이론(universal cohomology theory)'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모티브 (수학) · 더보기 »

몽펠리에

몽펠리에()는 2017년부터 프랑스에서 7번째로 큰 도시로 프랑스 남부 옥시타니 레지옹과 에호 주의 중심 도시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몽펠리에 · 더보기 »

베유 추측

수론과 대수기하학에서, 베유 추측()은 유한체 위에 정의된 대수다양체의 점의 수에 대한 네 개의 정리들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베유 추측 · 더보기 »

결정 코호몰로지

수기하학에서, 결정 코호몰로지(結晶cohomology)는 양의 표수를 가지는 가환환 위에서 푸앵카레 보조정리를 모방하려 만들어진 코호몰로지 이론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결정 코호몰로지 · 더보기 »

범주 (수학)

범주론에서, 범주(範疇)는 추상적인 구조와 이를 보존하는 변환의 개념을 형식화한 것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범주 (수학) · 더보기 »

범주론

수학에서, 범주론(範疇論)는 수학적인 구조와 그 사이의 관계를 범주라는 추상적 개체로 다루는 이론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범주론 · 더보기 »

범주의 동치

범주론에서, 두 범주 사이의 동치(同値, equivalence (of categories))는 두 범주가 사실상 같은 구조를 지니게 하는 함자이다.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범주의 동치 · 더보기 »

공역 (수학)

수학에서, 어떤 함수의 공역(共域) 또는 공변역(共變域)은 이 함수의 값들이 속하는 집합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공역 (수학) · 더보기 »

부분 대상 분류자

범주론에서, 부분 대상 분류자(部分對象分類子)는 주어진 대상의 각각의 부분 대상들을, 특정한 대상 2로 가는 사상에 대응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부분 대상 분류자 · 더보기 »

부분 대상과 몫 대상

범주론에서, 부분 대상(部分對象)은 어떤 범주에서 주어진 대상의 일부분으로 여길 수 있는 구조이며, 몫 대상(-對象)은 어떤 범주에서 주어진 대상에 동치 관계를 가한 것으로 여길 수 있는 구조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부분 대상과 몫 대상 · 더보기 »

부분 순서 집합

''y'', ''z'') 순서가 정해지지 않은 것이다. 순서론에서, 부분 순서(部分順序) 또는 반순서(半順序)는 순서·나열 등의 개념을 추상화한 이항 관계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부분 순서 집합 · 더보기 »

대수기하학

수기하학(代數幾何學)은 대수적 방정식들로 정의될 수 있는 도형들 및 이들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 수학 분야이며, 현재 많은 수학 분야들 중 가장 복잡하고 발달된 분야 중.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대수기하학 · 더보기 »

대수다양체

수기하학에서, 대수다양체(代數多樣體)는 국소적으로 다항식들로 주어지는 방정식들의 영점 집합처럼 보이는 공간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대수다양체 · 더보기 »

대수적 K이론

수학에서, 대수적 K이론(代數的K理論)은 환의 가군들을 다루는 K이론의 한 종.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대수적 K이론 · 더보기 »

교집합

집합 ''A''와 ''B''의 교집합을 표현한 벤 다이어그램. 집합론에서, 두 집합 A와 B의 교집합(交集合) A ∩ B는 그 두 집합이 공통으로 포함하는 원소로 이루어진 집합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교집합 · 더보기 »

당김 (범주론)

범주론에서, 당김()은 어떤 한 쌍의 사상에 의해 결정되는, 곱의 일반화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당김 (범주론) · 더보기 »

니스네비치 위상

수기하학에서, 니스네비치 위상(Нисневич位相)은 에탈 위상과 비슷하지만, 이와 달리 체의 갈루아 이론 (에탈 기본군)을 관찰하지 않도록 하여 체의 스펙트럼의 코호몰로지가 자명하게 만든 그로텐디크 위상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니스네비치 위상 · 더보기 »

Fpqc 위상

층 이론에서, fpqc 위상(fpqc位相)은 스킴의 범주 위에 정의되는 매우 섬세한 그로텐디크 위상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Fpqc 위상 · 더보기 »

스킴 (수학)

수기하학에서, 스킴()은 국소적으로 가환환의 스펙트럼과 동형인 공간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스킴 (수학) · 더보기 »

자리스키 위상

수기하학에서, 자리스키 위상()은 대수다양체나 스킴에 일반적으로 주어지는 위상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자리스키 위상 · 더보기 »

장피에르 세르

장피에르 세르(1926년 9월 15일 ~)는 프랑스의 수학자로, 20세기 대수기하학과 정수론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장피에르 세르 · 더보기 »

작은 범주

범주론에서, 작은 범주(-範疇)는 그 대상의 모임과 사상의 모임이 충분히 “작은” 범주를 말. 그 정확한 의미는 사용하는 수학 기초론에 따라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그로텐디크 전체를 사용할 경우 대상과 사상의 집합이 사용되는 그로텐디크 전체의 원소이어야.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작은 범주 · 더보기 »

전순서 집합

순서론에서, 전순서 집합(全順序集合)는 임의의 두 원소를 비교할 수 있는 부분 순서 집합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전순서 집합 · 더보기 »

집합

9개의 다각형의 집합을 나타낸 오일러 다이어그램 수학에서, 집합(集合)은 명확한 기준에 의하여 주어진 서로 다른 대상들이 모여 이루는 새로운 대상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집합 · 더보기 »

체 (범주론)

범주론에서, 체()는 주어진 대상을 향하는 일부 사상들을 골라 내는 구조이며, 추상적으로 표현 가능 준층의 부분 준층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체 (범주론) · 더보기 »

층 (수학)

수학에서, 층(層)은 어떤 위상 공간에서, 각 점에 국소적 구조를 붙인 것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층 (수학) · 더보기 »

코호몰로지

수적 위상수학과 호몰로지 대수학에서, 코호몰로지()는 공사슬 복합체의 원소들의 몫군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코호몰로지 · 더보기 »

유한체

에서, 유한체(有限體) 또는 갈루아 체()는 유한개의 원소를 가지는 체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유한체 · 더보기 »

위상 공간 (수학)

일반위상수학에서, 위상 공간(位相空間)은 어떤 점의 근처(근방)가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지만, 점 사이의 거리나 넓이·부피 따위의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공간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위상 공간 (수학) · 더보기 »

위상의 비교

일반위상수학과 범주론에서, 위상 함자를 통해 주어진 집합 위에 여러 위상수학적 구조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들은 완비 격자를 이. 이 경우 한 구조가 다른 구조에 대하여 더 섬세한 구조(纖細-構造) 또는 더 엉성한 구조(-構造).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위상의 비교 · 더보기 »

오스카 자리스키

오스카 애셔 자리스키(1899년~1986년)은 러시아 제국 태생의 미국의 수학자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오스카 자리스키 · 더보기 »

에탈 기본군

수기하학에서, 에탈 기본군(étale基本群)은 대수다양체와 스킴에 대하여 정의되는 기본군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에탈 기본군 · 더보기 »

에탈 코호몰로지

수기하학에서, 에탈 코호몰로지()는 스킴 위에서 정의되는 코호몰로지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에탈 코호몰로지 · 더보기 »

연속 함수

위상수학과 해석학에서, 연속 함수(連續函數)는 정의역의 점의 "작은 변화"에 대하여, 치역의 값 역시 작게 변화하는 함수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연속 함수 · 더보기 »

열린집합

부, 즉 원의 중심으로부터 반지름 미만의 거리에 위치한 점들의 집합은 열린집합이다. 반대로, 경계를 포함하는 원판, 즉 원의 중심으로부터 반지름 이하의 거리에 위치한 점들의 집합은 닫힌집합이다. 일반위상수학에서, 열린집합(-集合) 또는 개집합(開集合)은 스스로의 경계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위상 공간의 부분 집합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열린집합 · 더보기 »

표현 가능 함자

범주론에서, 표현 가능 함자(表現可能函子)는 어떤 요네다 함자와 자연 동형인 함자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표현 가능 함자 · 더보기 »

사상 (수학)

수학에서 사상(寫像)은 수학적 구조를 보존하는 함수의 개념을 추상화한 것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사상 (수학) · 더보기 »

세계 수학자 대회

세계 수학자 대회(世界數學者大會,, 약자 ICM)는 국제 수학 연맹이 4년마다 개최하는, 전 세계 수학자들을 위한 모임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세계 수학자 대회 · 더보기 »

토포스

범주론, 논리학과 대수기하학에서, 토포스(복수)는 어떤 공간 위의 층들의 범주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 범주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토포스 · 더보기 »

함자 (수학)

범주론에서 함자(函子)는 두 범주 사이의 함수에 해당하는 구조로, 대상을 대상으로, 사상을 사상으로 대응시.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함자 (수학) · 더보기 »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알렉산더 그로텐디크(1928년 3월 28일 ~ 2014년 11월 13일)는 독일 태생의 수학자.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 더보기 »

하버드 대학교

메모리얼 처치 (Memorial Church)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는 미국의 아이비 리그 사립 대학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하버드 대학교 · 더보기 »

필요충분조건

요조건(必要條件), 충분조건(充分條件), 필요충분조건(必要充分條件)은 논리학에서 논증 진술들간의 함축관계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필요충분조건 · 더보기 »

앙드레 베유

앙드레 아브라암 베유(1906년 5월 6일 - 1998년 8월 6일)는 프랑스의 수학자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앙드레 베유 · 더보기 »

쉼표 범주

범주론에서, 쉼표 범주(-標範疇)는 같은 공역을 갖는 두 함자로부터 정의되고, 함자들의 공역의 사상들을 대상으로 하는 범주이.

새로운!!: 그로텐디크 위상와 쉼표 범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그로센딕 위상, 그로텐디크 준위상, 위치 (수학).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