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준용 (1870년)

색인 이준용 (1870년)

영선군 이준용 신도비 영선군 이준용(永宣君 李埈鎔, 1870년 7월 23일(음력 6월 25일) ~ 1917년 3월 22일 (양력))은 조선의 왕족, 문신, 군인, 친일파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군인, 교육인으로, 고종황제의 형 흥친왕 이재면의 아들이자, 흥선대원군의 적장손이.

373 처지: 러시아, 런던, 도승지, 도쿄, 도쿄 시, 독일, 동학 농민 운동, 루이 14세, 매천야록, 메이지 천황, 명나라, 명성황후, 명성황후 (드라마), 미국, 미우라 고로, 민병석, 민승호,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민치구, 민영휘, 개인주의, 개화당, 갑오개혁, 갑신정변, 박정양, 박중양, 박찬주, 박영효, 강화군, 경기도, 경연, 경성, 경성부, 고양군, 보빙사, 공덕리, 궁내부, 권동진, 부장, 부제학, 부산광역시, 부산항, 부통령, 규장각, 귀스타브샤를마리 뮈텔, 기독교, 기자 (고조선), 기호흥학회, 금강산, ..., 김가진, 김광영 (배우), 김두한, 김인규, 김윤식, 김윤식 (1835년), 김영욱, 김옥균, 김성근, 김학우, 김홍집 (1842년), 대동학회, 대사성, 대통령, 대통령중심제, 대한민국,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대한적십자사, 대한제국, 대한제국 고종, 대한제국 육군, 대한제국 순종, 대원군, 대훈위 금척대수장, 대훈위 이화대수장, 대훈위 서성대수장, 교동도, 군국기무처, 남양주시, 내무부, 내부, 다이쇼 천황, 단군, 용강면, 운현궁, 승정원, 장성급 장교, 히로시마 시, 임오군란, 평양부, 평양직할시, 흥친왕, 흥선대원군, 이문용, 이문용 (1882년), 이건 (대한제국 황족), 이범진 (1852년), 이관용 (황족), 이근택, 이근호 (조선), 이노우에 가오루, 이달용, 이우, 이승만, 이재각, 이재곤 (1859년), 이재극, 이재선, 이재완, 이인구, 이조, 이종 (1940년), 이준용 (1938년), 이진완, 이지용, 이지현, 이청 (1936년), 이윤용, 이탈리아, 이선근, 이토 히로부미, 이항로, 이하영, 이홍장, 이완용, 일본, 일본 제국, 일본군, 일본인, 일본의 기념장, 일제 강점기, 음력 2월 8일, 음력 5월 16일, 음력 6월 25일, 음서, 의민태자, 의금부, 의친왕, 을미개혁, 을미사변, 을사조약, 전봉준, 전주 이씨, 정당, 정운복, 조병식, 조중응, 조선, 조선 장조, 조선 철종, 조선 태조, 조선총독부, 주교, 주세페 가리발디, 중추원, 지바현, 참의, 참판, , 청나라, 청일 전쟁, 청안군 (1851년), 총리, 춘추관,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 친일반민족행위자, 쿠데타, 판서, 유길준, 유교, 육군, 윤보선, 윤용구, 윤용선, 윤정구, 윤치오, 윤치호, 윤택영, 윤원선, 위안스카이, 숭정제, 순헌황귀비, 수상, 영국, 영의정, 영선사 (사절단), 오위, 오토리 게이스케, 호 (이름), 예문관, 예조, 형조, 최익현, 어용선, 양주군, 여관, 여흥부대부인, 허욱 (1827년), 사복시, 사회진화론, 사형, 프랑스, 프랑스 혁명, 프리드리히 2세 (프로이센), 성리학, 성균관, 세자익위사, 서광범, 서울특별시, 서재필, 소장, 쇼켄 황태후, 한국, 한국 통감, 한국방송공사, 한국인, 한일 병합 조약, 한성부, 안경수, 아마테라스 오미카미, 아소정, 학부, 신도비, 신궁봉경회, 신기선, 신장병, 심장병, 시호, 홍문관, 홍병주, 홍순형, 황태자, 황현, 화도면, 화도읍, 완친왕, , 왕공족, 10월, 10월 22일, 10월 26일, 10월 5일, 10월 8일, 11월, 11월 12일, 11월 1일, 11월 21일, 11월 27일, 12월, 12월 11일, 12월 17일, 12월 18일, 12월 20일, 12월 25일, 12월 28일, 1818년, 1820년, 1844년, 1845년, 1855년, 1868년, 1870년, 1874년, 1877년, 1878년, 1880년, 1881년, 1882년, 1883년, 1884년, 1885년, 1886년, 1887년, 1889년, 1890년, 1892년, 1893년, 1894년, 1895년, 1896년, 1898년, 1899년, 1900년, 1901년, 1904년, 1905년, 1906년, 1907년, 1908년, 1909년, 1910년, 1911년, 1912년, 1913년, 1914년, 1915년, 1916년, 1917년, 1918년, 1919년, 1926년, 1938년, 1945년, 1948년, 1955년, 1966년, 1971년, 1978년, 1995년, 1997년, 1월, 1월 18일, 1월 8일, 2001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월, 3성 장군, 3월, 3월 22일, 3월 23일, 3월 24일, 3월 25일, 3월 29일, 3월 30일, 4월, 4월 19일, 4월 25일, 4월 5일, 4월 7일, 5월, 5월 18일, 5월 20일, 5월 3일, 6월, 6월 11일, 6월 12일, 6월 16일, 6월 19일, 6월 20일, 6월 22일, 6월 23일, 6월 24일, 6월 2일, 6월 3일, 6월 8일, 7월, 7월 12일, 7월 13일, 7월 14일, 7월 15일, 7월 17일, 7월 19일, 7월 20일, 7월 22일, 7월 23일, 7월 27일, 8월, 8월 13일, 8월 14일, 8월 16일, 8월 17일, 8월 27일, 8월 5일, 9월, 9월 11일, 9월 12일, 9월 1일, 9월 20일, 9월 4일, 9월 9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23 더) »

러시아

시아 연방() 또는 러시아()는 동유럽과 북아시아에 걸쳐 있는 연방제 국가로, 세계에서 가장 영토가 넓은 국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러시아 · 더보기 »

런던

()은 잉글랜드와 영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런던 · 더보기 »

도승지

승지(都承旨)는 조선의 정3품 당상관직으로 도령(都令)으로도 불리었.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도승지 · 더보기 »

도쿄

신주쿠의 마천루들 도쿄()는 일본의 혼슈 동부에 있는, 메이지 시대 이후 사실상 일본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도쿄 · 더보기 »

도쿄 시

시청사(도쿄 부청과의 합동청사) 도쿄 시()는 1889년 도쿄 부의 동쪽 지역에 설치된 시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도쿄 시 · 더보기 »

독일

독일 연방공화국(), 줄여서 독일()은 중앙유럽에 있는 나라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독일 · 더보기 »

동학 농민 운동

동학 농민 혁명(東學農民革命), 동학 혁명(東學革命), 동학 농민 운동(東學農民運動) 또는 동학 농민 전쟁(東學農民戰爭)은 1894년 동학 지도자들과 동학 교도 및 농민들에 의해 일어난 민중의 무장 봉기를 가리.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동학 농민 운동 · 더보기 »

루이 14세

이 14세(1638년 9월 5일 ~ 1715년 9월 1일)는 프랑스의 왕이자 나바라의 군주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루이 14세 · 더보기 »

매천야록

매천야록(梅泉野錄)은 구한말 시기 유생 학자이자, 재야문인 황현이 1864년부터 1910년까지의 역사를 편년체로 쓴 기록물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매천야록 · 더보기 »

메이지 천황

메이지 천황(1852년 11월 3일 ~ 1912년 7월 30일)은 일본의 제122대 천황(재위: 1867년 1월 30일 ~ 1912년 7월 30일)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메이지 천황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명나라 · 더보기 »

명성황후

쪽.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명성황후 · 더보기 »

명성황후 (드라마)

《명성황후》(明成皇后)는 2001년 5월 9일부터 2002년 7월 18일까지 한국방송공사에서 방영한 특별기획 드라마.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명성황후 (드라마)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미국 · 더보기 »

미우라 고로

만년의 미우라 고로 미우라 고로(1847년 1월 1일 ~ 1926년 1월 28일)는 막부 말기 조슈 번사 출신의 유신지사로 호는 간주(観樹)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미우라 고로 · 더보기 »

민병석

민병석(閔丙奭, 1858년 ~ 1940년)은 조선 말기의 정치인으로 일제 강점기에 일제 통치에 적극 협조.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민병석 · 더보기 »

민승호

민승호(閔升鎬, 1830년 ~ 1874년 음력 11월 28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민치록의 양자이며, 명성황후의 양오라버니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민승호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民族問題硏究所)는 재야운동가 임종국의 유지를 잇는다는 명분으로 설립된 단체로서, 1991년 2월 27일 '반민족문제연구소'로 시작하여 1995년 '민족문제연구소'로 개칭한 민간 단체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민족문제연구소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이 문서는 민족문제연구소가 2009년 11월 8일에 편찬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자들에 관한 명단을.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더보기 »

민치구

민치구(閔致久, 1795년~1874년 12월 14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척신으로 흥선대원군의 장인이며 여흥부대부인의 친정아버지이고, 고종, 이재면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민치구 · 더보기 »

민영휘

민영휘(閔泳徽, 1852년 양력 5월 15일 ~ 1935년 양력 12월 30일)는 조선 말기의 정치인으로, 초명은 영준(泳駿)이며, 자는 군팔(君八), 호는 하정(荷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민영휘 · 더보기 »

개인주의

인주의(個人主義, Individualism)는 개인의 도덕적 가치를 중시하는 도덕적 입장, 이데올로기, 정치철학, 사회적 시각등을 의미.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개인주의 · 더보기 »

개화당

화당(開化黨)은 1874년(고종 11년) 경 김옥균(金玉均), 박영교(朴泳敎), 박영효(朴泳孝), 서광범(徐光範) 등이 중심이 되어 만들어졌.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개화당 · 더보기 »

갑오개혁

군국기무처 갑오개혁(甲午改革)은 1894년 7월 27일(음력 6월 25일)부터 1895년 7월 6일(음력 윤5월 14일)까지 조선 정부에서 전개한 제도 개혁을 말. 10년 전 갑신정변의 실패 후 망명했던 개화파들이 청일전쟁에 승리한 일본의 위세를 업고 돌아와 추진한 일본식 개혁으로서 갑오경장(甲午更張)이라고도 불. 내각의 변화에 따라 제1차 갑오개혁과 제2차 갑오개혁으로 세분하며, 이후 을미개혁(제3차 갑오개혁)으로 이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갑오개혁 · 더보기 »

갑신정변

김옥균 홍영식 갑신정변(甲申政變) 또는 갑신혁명(甲申革命)은 1884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쿠데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갑신정변 · 더보기 »

박정양

박정양, 1888년 박정양(朴定陽, 1842년 2월 4일(1841년 음력 12월 24일) ~ 1905년 12월 15일(음력 11월 1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교관, 내각총리대신, 대한제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박정양 · 더보기 »

박중양

박중양(朴重陽, 일본식 이름: 朴忠重陽 호추 시게요,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은 일본과 대한제국의 관료, 외교관이며, 일제시대의 관료, 사상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박중양 · 더보기 »

박찬주

박찬주는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박찬주 · 더보기 »

박영효

박영효(朴泳孝, 1861년 ~ 1939년 양력 9월 21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 사상가로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박영효 · 더보기 »

강화군

강화군(江華郡)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북부의 군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강화군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경기도 · 더보기 »

경연

명 신종 경연 경연(經筵)은 왕에게 유학의 경서(經書)와 사서(史書)를 진강(進講)해 드리고 논의(論議)를 받는 학술제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경연 · 더보기 »

경성

경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경성 · 더보기 »

경성부

경성부(京城府) 또는 게이조 부()는 일제 강점기 때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경성부 · 더보기 »

고양군

양군(高陽郡)은 경기도 고양시의 이전 행정구역으로, 조선 태종 13년(1413년) 고봉현과 덕양현을 합쳐서 만든 고양현에 기원.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고양군 · 더보기 »

보빙사

변수 앞줄 왼쪽부터 퍼시벌 로웰, 홍영식, 민영익, 서광범, 중국인 통역 우리탕. 보빙사(報聘使)는 1883년 조선에서 최초로 미국 등 서방 세계에 파견된 외교 사절단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보빙사 · 더보기 »

공덕리

공덕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공덕리 · 더보기 »

궁내부

궁내부(宮內府)는 조선 말기인 1894년 제1차 갑오개혁 때 신설되어 왕실 업무를 총괄한 관청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궁내부 · 더보기 »

권동진

이승만 귀국환영식에 참석(맨 오른쪽 테이블에 선 이가 권동진) 권동진(權東鎭, 1861년 12월 15일 ~ 1947년 3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권동진 · 더보기 »

부장

부장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부장 · 더보기 »

부제학

부제학(副提學)은 조선시대 정3품 당상관직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부제학 · 더보기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동남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부산광역시 · 더보기 »

부산항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19세기의 부산항 부산항(釜山港, Port of Busan)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대한민국 최대의 무역항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부산항 · 더보기 »

부통령

부통령(副統領, (副大統領))은 대통령제를 실시하는 국가 중 일부에서 채용하고 있는 직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부통령 · 더보기 »

규장각

창덕궁 후원 부용지 주변에 세워진 규장각(2층 건물의 1층)과 서향각 규장각(奎章閣)은 조선 후기의 왕실 학문 연구 기관이자 왕실 도서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규장각 · 더보기 »

귀스타브샤를마리 뮈텔

스타브샤를마리 뮈텔(1854년 ~ 1933년)은 조선에 파송되어 일제 강점기까지 활동한 프랑스의 로마 가톨릭교회 선교사로 한국이름은 민덕효(閔德孝)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귀스타브샤를마리 뮈텔 · 더보기 »

기독교

독교(基督敎)From Ancient Greek Khristós (Latinized as Christus), translating Hebrew מָשִׁיחַ, Māšîăḥ, meaning "the anointed one", with the Latin suffixes -ian and -itas.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기독교 · 더보기 »

기자 (고조선)

자(箕子, ? ~ ?)는 중국 상나라 문정(文丁)의 아들, 왕족이자 기자조선의 시조로 알려져 있는 전설상의 인물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기자 (고조선) · 더보기 »

기호흥학회

호흥학회(畿湖興學會)는 대한제국 시기에 결성된 애국계몽 운동 계열의 단체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기호흥학회 · 더보기 »

금강산

강산(金剛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금강군 · 고성군 · 통천군에 걸쳐있는 산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금강산 · 더보기 »

김가진

(金嘉鎭, 1846년 음력 1월 29일 ~ 1922년 7월 4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김가진 · 더보기 »

김광영 (배우)

광영(1970년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김광영 (배우) · 더보기 »

김두한

(金斗漢, 1918년 5월 15일 ~ 1972년 11월 21일)은 일제강점기 조선의 건달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상사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김두한 · 더보기 »

김인규

인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김인규 · 더보기 »

김윤식

윤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김윤식 · 더보기 »

김윤식 (1835년)

윤식(金允植, 1835년 ~ 1922년 1월 22일)은 문장가로 이름이 높던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문인, 학자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김윤식 (1835년) · 더보기 »

김영욱

영욱은 다음과 같은 사람이 있.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김영욱 · 더보기 »

김옥균

옥균(金玉均, 1851년 2월 23일 ~ 1894년 3월 28일)은 조선 말기의 정치가, 사상가,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김옥균 · 더보기 »

김성근

성근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김성근 · 더보기 »

김학우

학우(金鶴羽, 1862년 ~ 1894년 10월 3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김학우 · 더보기 »

김홍집 (1842년)

홍집(金弘集, 1842년 ~ 1896년 2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 정치가이다. 자(字)는 경능(敬能), 호는 도원(道園)·이정학재(以政學齋), 시호는 충헌(忠獻), 본관은 경주이다. 1880년 수신사 일행으로 일본을 방문한 뒤, 신문물을 견학하고 돌아와 개화, 개항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한편으로 위정척사파 계열 인사들도 중용하는 등의 정책을 펼쳤으나 급진 개화파로 몰렸고, 1884년 갑신정변(甲申政變) 진압 후 우의정, 좌의정 등으로 전권대신(全權大臣)이 되어 한성조약(漢城條約)을 체결하였다. 그 뒤 1896년 관제 개정 이후 동학 농민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끌어들인 일본측의 지원으로 총리대신이 되었으며, 총리대신 재직 중 신분제 폐지, 단발령 등을 강행하는 한편, 함께 일본의 도움으로 개혁, 개방을 단행한 뒤에는 친일파로 몰려 아관파천 때 친러파의 군인들에게 살해당하였다. 원래 이름은 김홍집(金弘集)이었으나, 청 고종(高宗) 건륭황제의 휘가 ‘홍력’(弘歷)이었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김굉집(金宏集)으로 가운데 자(字)를 바꾸었다. 조선말기의 문신이자 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부통령을 지낸 이시영은 그의 사위였다. 박규수, 오경석, 강위의 문인이다.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김홍집 (1842년) · 더보기 »

대동학회

동학회(大東學會)는 1907년 2월에 조직된 유교 계열의 친일단체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대동학회 · 더보기 »

대사성

사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대사성 · 더보기 »

대통령

통령(大統領, president)은 공화제 국가의 국가원수로서 나라에 따라 임기가 다르고, 선출하는 방식도 국민의 직접 투표 혹은 의회에서 선출하는 방식으.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대통령 · 더보기 »

대통령중심제

일당독재국 대통령중심제(大統領中心制)는 정부 형태 중의.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대통령중심제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반민규명위 보고서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大韓民國 親日反民族行爲眞相糾明委員會, 약칭 반민규명위)는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이 2004년 3월 22일 공포되면서 이 법률의 시행령에 따라 2005년 5월 31일 대통령 소속으로 발족한 기구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 더보기 »

대한적십자사

적십자사(大韓赤十字社, Korean Red Cross)는 대한민국의 비영리 특수법인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대한적십자사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대한제국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대한제국 육군

제국 육군(大韓帝國陸軍, Korean Empire Army)은 대한제국의 육군이었.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대한제국 육군 · 더보기 »

대한제국 순종

순종(純宗, 1874년 3월 25일(음력 2월 8일) ~ 1926년 4월 25일)은 대한제국 제2대 황제이자, 한반도 역사상 마지막 군주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대한제국 순종 · 더보기 »

대원군

원군(大院君)은 조선 시대 적통인 임금의 자손이나 전임 임금의 대가 끊겨 방계(傍系)인 종친 중에서 왕위를 이어받을 때, 그 임금의 친아버지에게 주는 칭호 및 관직으로서, 군호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대원군 · 더보기 »

대훈위 금척대수장

종 (1904년) 순종 (1909년) 대훈위금척대수장(大勳位金尺大綬章)은 대한제국의 훈장 가운데 최고 훈장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대훈위 금척대수장 · 더보기 »

대훈위 이화대수장

이화대수장과 서성대수장, 태극대수장을 패용한 민병석 대훈위이화대수장(大勳位李花大綬章)은 대한제국의 훈장 가운데 하나이며 7종류의 훈장 중에서 세 번째 훈격의 훈장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대훈위 이화대수장 · 더보기 »

대훈위 서성대수장

척대수장(윗줄 왼쪽에서 세 번째)과 서성대수장(아랫줄 왼쪽에서 첫 번째)을 패용한 하세가와 요시미치 대훈위서성대수장 (부장) 대훈위서성대수장(大勳位瑞星大綬章)은 대한제국의 훈장 가운데 최고 훈장인 대훈위금척대수장 다음가는 훈장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대훈위 서성대수장 · 더보기 »

교동도

동도(喬桐島)는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의 북서쪽, 38선 근처 황해상에 있는 섬으로 강화도보다 서쪽에 있. 행정구역상으로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에 속해 있. 2014년 완공된 교동대교를 통해 강화도와 연결되어 있으며, 민간인출입통제구역 이기는 하나 누구나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교동도 · 더보기 »

군국기무처

군국기무처 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는 1894년 1차 갑오개혁 때 만들어진 관청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군국기무처 · 더보기 »

남양주시

양주시청 1청사(구 미금시청) 남양주시(南楊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중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남양주시 · 더보기 »

내무부

무부(內務部, Ministry of Internal Affairs)는 국가 내정을 담당하는 행정기관으로, 일반적으로 쓰이는 행정부 부처 이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내무부 · 더보기 »

내부

부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내부 · 더보기 »

다이쇼 천황

이쇼 천황(1879년 8월 31일 ~ 1926년 12월 25일)은 일본의 제123대 천황으로 본명은 요시히토(), 어릴 적 칭호는 하루노미야()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다이쇼 천황 · 더보기 »

단군

(檀君 또는 壇君) 또는 단군왕검(檀君王儉)은 한민족의 신화적인 시조이자 고조선의 국조(國祖)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단군 · 더보기 »

용강면

용강면은 경기도 고양군에 있었던 행정 구역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용강면 · 더보기 »

운현궁

운현궁(雲峴宮)은 조선 제26대 임금인 고종의 생부인 흥선대원군의 저택으로서, 고종이 탄생하여 즉위하기 전 12살까지 살았던 잠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운현궁 · 더보기 »

승정원

승정원(承政院)은 정삼품아문으로, 조선과 대한제국(승선원으로 개칭)에서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던 행정기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승정원 · 더보기 »

장성급 장교

장성급 장교(將星級 將軍)는 군대를 지휘, 통솔하는 우두머리의 장교 계급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장성급 장교 · 더보기 »

히로시마 시

히로시마 시(광도시)는 히로시마현의 현청 소재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히로시마 시 · 더보기 »

임오군란

임오군란(壬午軍亂)은 1882년 훈련도감에서 해고된 구식 군인들의 13개월 동안 연체된 봉급에 대해 정부가 불량쌀을 지급해 일어난 난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임오군란 · 더보기 »

평양부

평양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평양부 · 더보기 »

평양직할시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평양직할시 · 더보기 »

흥친왕

흥친왕 이재면(興親王 李載冕, 완흥군(完興君), 1845년 8월 22일(음력 7월 20일) ~ 1912년 9월 9일)은 조선 말기의 왕족·군인·정치인이자 대한제국의 황족·군인으로, 흥선대원군의 적장자(嫡長子)이자 고종의 친형이며 영선군 이준의 아버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흥친왕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문용

이문용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문용 · 더보기 »

이문용 (1882년)

이문용(李鎔, 1882년 9월 4일 ~ 1901년 10월 8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숙종의 서3남 연령군의 6대손이자 장조의 서2남 은신군(恩信君)의 현손이며, 흥선 대원왕의 손자이자 흥친왕의 차남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문용 (1882년) · 더보기 »

이건 (대한제국 황족)

이건(李鍵, 1909년 10월 28일 ~ 1990년 12월 21일) 는 일본의 육군 군인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건 (대한제국 황족) · 더보기 »

이범진 (1852년)

이범진(李範晋, 1852년 9월 3일 ~ 1911년 1월 26일)은 조선 말기의 정치가이며 순국지사로 자(字)는 성삼(聖三)이며 세종대왕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의 17대손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범진 (1852년) · 더보기 »

이관용 (황족)

이관용(李土+灌鎔, 생몰년 미상)은 조선시대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관용 (황족) · 더보기 »

이근택

이근택(李根澤, 1865년 9월 30일(음력 8월 11일) ~ 1919년 12월 16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관료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근택 · 더보기 »

이근호 (조선)

이근호(李根澔, 1860년 ~ 1923년)는 조선 말기의 무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근호 (조선) · 더보기 »

이노우에 가오루

이노우에 가오루(1836년 1월 16일 ~ 1915년 9월 1일) 는 일본 메이지 유신의 활동가로 근대 일본의 교육자, 정치가, 외교관, 사상가, 기업인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노우에 가오루 · 더보기 »

이달용

이달용(李達鎔, 1883년 음력 9월 11일 ~ 1948년 1월 27일)은 조선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관료, 교육인으로 흥선대원군의 종손(從孫)이며 남연군의 증손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달용 · 더보기 »

이우

이우(李鍝, 1912년 11월 15일 ~ 1945년 8월 7일)는 일본 제국의 왕공족, 육군 군인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우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승만 · 더보기 »

이재각

의양군 이재각(義陽君 李載覺, 1874년 음력 2월 18일 ~ 1935년 양력 5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으로, 장조의 3남 은전군의 증손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재각 · 더보기 »

이재곤 (1859년)

이재곤(李載崑 또는 李載崐, 1859년 4월 8일(음력 3월 6일) ~ 1943년 양력 7월 11일)은 조선 말기의 왕족이자 정치인,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정미칠적의 한 사람이며, 1907년부터 1909년까지 이완용 내각의 학부대신을.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재곤 (1859년) · 더보기 »

이재극

이재극(李載克, 1864년 11월 6일 ~ 1931년)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자 왕족,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재극 · 더보기 »

이재선

완은군 이재선(完恩君 李載先, 1842년/1841년 8월 1일 ~ 1881년 10월 28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겸 정치가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서자이자, 흥친왕 이재면과 고종의 서형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재선 · 더보기 »

이재완

이재완(李載完, 1855년 음력 12월 5일 ~ 1922년 양력 8월 11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왕족이며 대한제국의 황족, 관료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재완 · 더보기 »

이인구

이인구는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인구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조 · 더보기 »

이종 (1940년)

이종(李淙, 1940년 11월 9일(음력 10월 10일) ~ 1966년 12월 25일)은 일본과 대한민국 사람으로, 대한제국의 황족 출신 인물로, 흥선대원군의 5대손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종 (1940년) · 더보기 »

이준용 (1938년)

이준용(李埈鎔, 서울특별시, 1938년 7월 9일 ~)은 대한민국의 기업인, 경영인으로 대림산업의 사장과 대림그룹의 회장을 거쳐서 현재는 명예회장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준용 (1938년) · 더보기 »

이진완

이진완(李辰琬, 1916년 5월 18일 ~ 1997년)은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고종황제의 종손녀이며 흥친왕가의 최후의 직계손이었.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진완 · 더보기 »

이지용

이지용(李址鎔, 1870년 10월 23일 ~ 1928년 6월 28일)은 조선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관료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지용 · 더보기 »

이지현

이지현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지현 · 더보기 »

이청 (1936년)

이청(李淸, 미국 거주 시절 영어 이름은 셔먼 리(Scherman Lee), 1936년 4월 23일 ~)은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흥선대원군의 현손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청 (1936년) · 더보기 »

이윤용

이윤용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윤용 · 더보기 »

이탈리아

이탈리아 공화국(음역어: 이태리(伊太利))은 남유럽의 이탈리아 반도와 지중해의 두 섬 시칠리아 및 사르데냐로 이루어진 단일 의회 공화국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탈리아 · 더보기 »

이선근

이선근(李瑄根 1905년∼1983년 1월 9일)은 대한민국의 관료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선근 · 더보기 »

이토 히로부미

이토 히로부미(1841년 10월 16일 ~ 1909년 10월 26일)는 에도 시대 후기의 무사(조슈 번사)이자 일본 제국의 헌법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토 히로부미 · 더보기 »

이항로

이항로(李恒老, 1792년~1868년)는 조선의 유학자이자 문신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항로 · 더보기 »

이하영

이하영(李夏榮, 1858년 8월 15일 ~ 1929년 2월 27일)은 조선 말기의 통역관, 외교관이자 대한제국의 정치인, 일제 강점기의 기업인으로 일제로부터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하영 · 더보기 »

이홍장

이홍장의 초상 이홍장(1823년 2월 15일 ~ 1901년 11월 7일)은 청 말기의 한족계 거물급 중신 정치가이며 청의 부국강병을 위한 양무운동 등을 주도한 사람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홍장 · 더보기 »

이완용

이완용(李完用, 1858년 7월 17일(음력 6월 7일) ~ 1926년 양력 2월 12일)은 대한제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이완용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일본 · 더보기 »

일본 제국

일본 제국(日本 帝國)은 1868년 1월 3일부터 1947년 5월 3일 사이의 일본의 입헌 군주제를 기반으로 한 특수한 정치 체제(국가 체제), 혹은 일본 제국주의 시기를 의미.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일본군

일본군(日本軍,)은 일본 제국의 군대를 가리.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일본군 · 더보기 »

일본인

일본인(にっぽんじん; 닛폰진으로도 읽힘)은 일본 열도에 사는 야마토 민족, 류큐 민족, 아이누 민족, 윌타 민족, 니브히 민족, 오로치 민족 등을 총칭.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일본인 · 더보기 »

일본의 기념장

일본의 기념장(日本의 記念章)은 일본국 정부가 행하는 표창의 일종으로 국가적 행사 참가자나 관계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훈국이 관련 법령에 따라 발행하는 기장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일본의 기념장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음력 2월 8일

음력 2월 8일은 음력 2월의 8번째 날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음력 2월 8일 · 더보기 »

음력 5월 16일

음력 5월 16일은 음력 5월의 16번째 날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음력 5월 16일 · 더보기 »

음력 6월 25일

음력 6월 25일은 음력 6월의 25번째 날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음력 6월 25일 · 더보기 »

음서

음서(蔭敍) 또는 음서제(蔭敍制)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중신 및 양반의 신분을 우대하여 친족 및 처족을 과거와 같은 선발 기준이 아닌 출신을 고려하여 관리로 사용하는 제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음서 · 더보기 »

의민태자

의민태자(懿愍太子, 1897년 10월 20일 ~ 1970년 5월 1일)는 대한제국의 황태자이자 일본 제국의 군인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의민태자 · 더보기 »

의금부

의금부 터 의금부(義禁府)는 고려와 조선의 수사기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의금부 · 더보기 »

의친왕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 1877년 3월 30일 ~ 1955년 8월 16일)은 조선의 왕족이고 대한제국 황족 종실이며 고종의 다섯째 아들(서자)이자 대한민국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의친왕 · 더보기 »

을미개혁

을미개혁(乙未改革)은 1895년 10월 8일(음력 8월 20일) 을미사변 직후부터 1896년 2월 11일(을미년 음력 12월 28일) 아관파천 직전까지 추진된 조선의 제도 개혁을 말. 제1·2차 갑오개혁을 주도한 김홍집이 내각의 수반이었고 갑오개혁의 연장선에 있다고 보아 제3차 갑오개혁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을미개혁 · 더보기 »

을미사변

명성황후 추정 사진 을미사변(乙未事變)은 1895년 10월 8일 경복궁(景福宮)에서 명성황후 민씨가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의 지휘 아래 일본군 한성 수비대 미야모토 다케타로(宮本竹太郞) 등에게 암살된 사건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을미사변 · 더보기 »

을사조약

중명전에 전시된 을사조약 문서 을사조약(乙巳條約) 혹은 제2차 한일 협약(第二次韓日協約)은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의 외부대신 박제순과 일본 제국의 주한 공사 하야시 곤스케에 의해 체결된 불평등 조약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을사조약 · 더보기 »

전봉준

전봉준(全琫準, 1854년 ~ 1895년 4월 24일(음력 3월 30일))은 조선의 농민 운동가이자 동학의 종교 지도자였.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전봉준 · 더보기 »

전주 이씨

전주 이씨(全州 李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전주 이씨 · 더보기 »

정당

정당(政黨)은 공공 이익의 실현을 목표로 하여 정치적 견해를 같이 하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조직한 집단을 일컫.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정당 · 더보기 »

정운복

정운복(鄭雲復, 1870년 8월 ~ 1920년 12월 5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으로, 호는 극재(克齋)이며 소설가 정인택의 아버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정운복 · 더보기 »

조병식

조병식(趙秉式, 1832년 ~ 1907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조병식 · 더보기 »

조중응

조중응(趙重應, 1860년 11월 4일(음력 9월 22일) ~ 1919년 양력 8월 25일)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정미칠적과 경술국적에 포함된 인물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조중응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장조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조선 장조 · 더보기 »

조선 철종

종(哲宗, 1831년 7월 25일(음력 6월 17일) ~ 1864년 1월 16일(1863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의 제25대 왕(재위 1849년 7월 28일 ~ 1864년 1월 16일)이자 대한제국 추존황제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조선 철종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조선 태조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의 휘장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거버먼트 제네럴 오브 코리아)는 일본 제국이 1910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이었.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조선총독부 · 더보기 »

주교

카를로 세레사. 주교(主敎)는 교구나 관구의 사목 책임을 지고 감독하는 기독교의 성직자를 말. 사교(司敎)라고도 하며, 영어로는 Bishop, Right Rev..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주교 · 더보기 »

주세페 가리발디

주세페 가리발디(Giuseppe Garibaldi, 1807년 7월 4일 ~ 1882년 6월 2일)는 이탈리아의 혁명가,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주세페 가리발디 · 더보기 »

중추원

중추원(中樞院)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중추원 · 더보기 »

지바현

바 현()은 일본 간토 지방 남동부에 위치하며 도쿄도 동쪽에 인접하는 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지바현 · 더보기 »

참의

의(參議)는 관직의 이름으로, 조선과 전근대 및 메이지 시대의 일본에 존재.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참의 · 더보기 »

참판

(參判)은 조선의 종2품 당상관직으로 각 조의 수장인 판서를 보좌하는 역할을 하였.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참판 · 더보기 »

청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청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청나라 · 더보기 »

청일 전쟁

청일 전쟁(淸日戰爭)은 청나라와 일본 제국이 조선의 지배권을 놓고 1894년 7월 25일부터 1895년 4월까지 벌인 전쟁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청일 전쟁 · 더보기 »

청안군 (1851년)

청안군 이재순(淸安君 李載純, 1851년 10월 24일 ~ 1904년 3월 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으로, 장조의 서장남이었던 은언군(恩彦君)의 양증손이며, 철종의 조카이자 누동궁(樓洞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청안군 (1851년) · 더보기 »

총리

총리(總理)는 한자 문화권에서 '전체를 모두 관리한다'는 의미를.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총리 · 더보기 »

춘추관

(春秋館)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관청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춘추관 · 더보기 »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

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親日反民族行爲106人名單)은 2006년 12월 7일 대한민국의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반민규명위, 위원장 강만길)가 노무현 대통령과 국회에 보고한 일제 강점기 초기 친일반민족행위 관련자 106명에 관한 명단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 · 더보기 »

친일반민족행위자

일파 이완용 친일반민족행위자(親日反民族行爲者), 간단히 친일파(親日派)는 동아시아 역사에서 일본 제국이 동아시아 각국을 침탈할 무렵에 일본 제국에 가담하여 그들의 침략과 약탈 정책을 지지하거나 옹호하여 추종한 무리를 가리.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친일반민족행위자 · 더보기 »

쿠데타

붉은색은 성공한 쿠데타 경험이 있는 국가, 주황색은 쿠데타 경험은 있으나 모두 진압된 국가, 노란색은 쿠데타 음모는 있으나 실행에 옮겨진 적이 없는 국가이다. 쿠데타()는 프랑스어로 정부에 일격을 가한다는 뜻으로, 무력(武力)으로 정권을 무너뜨리거나 빼앗는 일을 통상적으로 지칭하는 단어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쿠데타 · 더보기 »

판서

서(判書)는 조선의 정 2품 당상관직이며, 행정을 맡아보는 주요 관서인 육조의 우두머리 관직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판서 · 더보기 »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유길준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유교 · 더보기 »

육군

육군(陸軍)은 지상 전투를 주임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육군 · 더보기 »

윤보선

윤보선(尹潽善, 1897년 8월 26일 ~ 1990년 7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윤보선 · 더보기 »

윤용구

윤용구는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윤용구 · 더보기 »

윤용선

윤용선(尹容善, 1829년(순조 2년) ~ 1904년(광무 8년))는 조선 후기의 정치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윤용선 · 더보기 »

윤정구

윤정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윤정구 · 더보기 »

윤치오

윤치오(尹致旿, 1869년 9월 10일 ~ 1950년 12월 22일)는 구한말의 교육자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윤치오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윤치호 · 더보기 »

윤택영

윤택영(尹澤榮, 1876년 ~ 1935년 10월 24일)은 조선의 문신이자 정치인이며 대한제국의 관료, 일제 강점기의 조선 귀족이었.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윤택영 · 더보기 »

윤원선

윤원선(尹源善, 1910년 10월 27일 - 1971년 12월 16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행정공무원, 정치인, 기업인이었.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윤원선 · 더보기 »

위안스카이

위안스카이(1859년 8월 20일 ~ 1916년 6월 6일)는 중국 허난 성 쉬창 부 샹청 현 출신으로, 중국 청나라 말기의 무관(武官), 군인이며 중화민국 초기의 정치가이자 중화제국의 황제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위안스카이 · 더보기 »

숭정제

숭정제(崇禎帝, 1611년 2월 6일 ~ 1644년 4월 25일)는 중국 명나라의 제16대 황제(재위: 1628년 ~ 1644년).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숭정제 · 더보기 »

순헌황귀비

순헌황귀비 엄씨(純獻皇貴妃 嚴氏, 1854년 2월 2일/음력 1월 5일 ~ 1911년 7월 20일)는 대한제국 황제 고종의 후궁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순헌황귀비 · 더보기 »

수상

수상(首相, Prime Minister)은 내각 또는 정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각료(Minister) 중 수석(首席, Prime)인 자를 의미.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수상 · 더보기 »

영국

이트 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聯合王國), 약칭 브리튼() 또는 연합왕국(聯合王國,, UK) 혹은 영국(英國)은 유럽 북서부 해안의 브리튼 제도에 위치한 주권국이자 섬나라로, 북해, 영국 해협, 아일랜드 해 및 대서양에 접하여 있으며 그레이트 브리튼 섬의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및 아일랜드 섬 북부의 북아일랜드로 네 개의 구성국으로 이루어져 있는 연합국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영국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영의정 · 더보기 »

영선사 (사절단)

영선사(領選使)는 조선 고종 때 청나라에 파견된 사절단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영선사 (사절단) · 더보기 »

오위

오위(五衛)는 조선시대 중앙군으로 세조 3년(1457년) 삼군부를 5위로 개편하고 5위진무소가 이를 총괄케 했는데 그 후 5위진무소(五衛鎭撫所)는 5위도총부(五衛都摠府)로 개칭되었.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오위 · 더보기 »

오토리 게이스케

오토리 게이스케 오토리 게이스케(1833년 4월 14일 ~ 1911년 6월 15일)는 일본의 서양 군사학자, 막부 대신, 군인, 관료, 외교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오토리 게이스케 · 더보기 »

호 (이름)

호(號)는 유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에서 본명이나 자 이외에 따로 지어 부르는 이름으로, 사람의 별칭이나 필명 또는 별호(別號)나 아호(雅號) 등을 가리.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호 (이름) · 더보기 »

예문관

예문관(藝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예문관 · 더보기 »

예조

예조(禮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예조 · 더보기 »

형조

형조(刑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형조 · 더보기 »

최익현

익현(崔益鉉, 양력 1834년 1월 14일 / 1833년 음력 12월 5일 ~ 1907년 1월 1일)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정치인이며 독립운동가이자, 1905년 을사늑약에 저항한 대표적 의병장이었.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최익현 · 더보기 »

어용선

어용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어용선 · 더보기 »

양주군

양주군(楊州郡)은 경기도 양주시의 이전 행정구역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양주군 · 더보기 »

여관

여관(旅館)은 한국의 숙박시설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여관 · 더보기 »

여흥부대부인

여흥부대부인 민씨(驪興府大夫人 閔氏, 1818년 2월 3일 ~ 1898년 1월 8일/1897년 음력 12월 16일)는 조선의 왕족이며, 대한제국 고종황제의 어머니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여흥부대부인 · 더보기 »

허욱 (1827년)

욱(許煜, 1827년 ~ 1883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유학자이자 흥선대원군의 가인, 측근이었.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허욱 (1827년) · 더보기 »

사복시

사복시(司僕寺)는 조선시대 왕이 타는 말, 수레 및 마구와 목축에 관한 일을 맡던 관청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사복시 · 더보기 »

사회진화론

버트 스펜서 사회진화론(社會進化論)은 19세기 찰스 다윈이 발표한 생물진화론에 입각하여, 사회의 변화와 모습을 해석하려는 견해로 허버트 스펜서가 처음 사용한 개념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사회진화론 · 더보기 »

사형

Cesare Beccaria, ''Dei delitti e delle pene'' 사형(死刑)은 사람의 생명을 박탈하는 형벌로, 생명형(生命刑) 또는 극형(極刑)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사형 · 더보기 »

프랑스

랑스 공화국() 또는 프랑스()는 서유럽의 본토와 남아메리카의 프랑스령 기아나를 비롯해 여러 대륙에 걸쳐 있는 해외 레지옹과 해외 영토로 이루어진 국가로서, 유럽 연합 소속 국가 중 가장 영토가 넓. 수도는 파리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프랑스 · 더보기 »

프랑스 혁명

랑스 혁명(Révolution française, 1789년 7월 14일~1794년 7월 27일)은 프랑스에서 일어난 자유주의 혁명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프랑스 혁명 · 더보기 »

프리드리히 2세 (프로이센)

리드리히 2세(1712년 1월 24일 - 1786년 8월 17일)는 독일 프로이센 왕국의 제3대 프로이센 국왕이다(재위: 1740년 5월 31일 - 1786년 8월 17일).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프리드리히 2세 (프로이센)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성리학 · 더보기 »

성균관

성균관(成均館)은 한국의 옛 대학(大學)으로 그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 국학(國學)을 성균관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성균관 · 더보기 »

세자익위사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또는 계방(桂坊)은 1418년 설치되어 조선시대 세자의 호위를 맡던 관청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세자익위사 · 더보기 »

서광범

서광범(徐光範, 1859년 11월 8일 ~ 1897년 7월 17일 또는 8월)은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가이며 개화파 사상가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서광범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서재필 · 더보기 »

소장

소장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소장 · 더보기 »

쇼켄 황태후

쇼켄 황태후 쇼켄 황태후(1849년 4월 17일~1914년 4월 9일, 재위:1869년 2월 9일~1912년 7월 30일)은 일본 메이지 천황의 황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쇼켄 황태후 · 더보기 »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한국 · 더보기 »

한국 통감

국 통감(韓國 統監)은 1906년 2월 23일을 기하여 4년 후 1910년 8월 29일까지 일본 제국이 대한제국을 완전히 병탄키 위한 작전으로써 설치한 감독기관인 통감부의 수장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한국 통감 · 더보기 »

한국방송공사

서울에 있는 KBS 사옥 KBS 업무용차량 KBS 전용차 한국방송공사(韓國放送公社,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공영 방송을 운영하는 기업이며, 대한민국의 재난방송 및 민방위방송 주관방송사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한국방송공사 · 더보기 »

한국인

국인(韓國人)은 대한민국 국적자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적을 가진 사람을 말하며, 정식 국적이 아닌 조선적(朝鮮籍)재일 한국인 가운데 대한민국으로 국적을 변경하지 않은 사람을 말. 연합뉴스, 2014.12.29.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한국인 · 더보기 »

한일 병합 조약

일 병합 조약() 또는 한국 병합에 관한 조약()은 1910년 8월 22일에 조인되어 8월 29일 발효된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일방적인 위력에 의해 이루어진 합병조약(合倂條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한일 병합 조약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한성부 · 더보기 »

안경수

안경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안경수 · 더보기 »

아마테라스 오미카미

동굴에서 모습을 드러내는 아마테라스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는 일본 고유 종교인 신토 최고의 신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아마테라스 오미카미 · 더보기 »

아소정

아소정(我笑亭)은 흥선대원군이 사용하던 별장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아소정 · 더보기 »

학부

학부(學部)는 대학의 학사 과정을 일컫는 말로, 대학원 과정에 대비되는 말로 현재 한국에서 통용되나 본래는 일본에서 건너온 말로써 현재 한국 대학의 "대학" 혹은 "칼리지"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학부 · 더보기 »

신도비

신도비(神道碑)는 사자(死者)의 묘로(墓路), 즉 신령의 길(신도:神道)인 무덤 남동쪽에 남쪽을 향하여 묘 앞에 사람의 삶을 기록하여 세운 비를 말.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신도비 · 더보기 »

신궁봉경회

신궁봉경회(神宮奉敬會)는 대한제국 말기에 조직되었던 신토 단체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신궁봉경회 · 더보기 »

신기선

신기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신기선 · 더보기 »

신장병

신장병(腎臟病)은 신장에 생기는 모든 병을 일컫.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신장병 · 더보기 »

심장병

심장병(心腸病)은 심장과 관련된 질환을 모두 아우르는 말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심장병 · 더보기 »

시호

시호(諡號)는 죽은 인물에게 국가에서 내려주거나 죽은 군주에게 다음 군주가 올리는 특별한 이름으로, 동양의 군주제 국가에서 시행되었.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시호 · 더보기 »

홍문관

홍문관(弘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홍문관 · 더보기 »

홍병주

홍병주(洪秉周, 1798년 ~ 1840년 1월 3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홍병주 · 더보기 »

홍순형

홍순형(洪淳馨, 1858년 ~ ?)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여문(汝聞), 본관은 남양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홍순형 · 더보기 »

황태자

황태자(皇太子) 또는 왕태자(王太子)는 제국과 독립 왕국의 제위계승이나 왕위 계승의 제1순위에 있는 황자나 왕자를 가리키는 칭호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황태자 · 더보기 »

황현

황현(黃玹, 1855년 음력 12월 11일(양력 1856년 1월 18일) ~ 1910년 9월 7일)은 대한제국 조선 왕조 말기의 선비로 시인, 문장가, 역사가, 우국지사이며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황현 · 더보기 »

화도면

화도면(華道面)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면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화도면 · 더보기 »

화도읍

화도읍(和道邑)은 경기도 남양주시의 동부에 있는 읍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화도읍 · 더보기 »

완친왕

완친왕(完親王, 1868년 5월 31일 ~ 1880년 1월 12일)은 조선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자이며 추존 친왕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완친왕 · 더보기 »

국왕(國王) 또는 왕(王) (영어;king)은 군주 칭호의 일종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왕 · 더보기 »

왕공족

왕공족(王公族)은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일본제국 정부에서 대한제국 황족에 대해 규정한 신분으로, 일본 황족에 준하는 것이었.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왕공족 · 더보기 »

10월

10월(十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평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1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나고 2월하고도 항상 같은 요일로 끝. 그 다음 해가 윤년일 경우에는 그 다음해 9월과 12월과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0월 · 더보기 »

10월 22일

10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5번째(윤년일 경우 29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0월 22일 · 더보기 »

10월 26일

10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9번(윤년일 경우 30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0월 26일 · 더보기 »

10월 5일

10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8번째(윤년일 경우 27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0월 5일 · 더보기 »

10월 8일

10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1번째(윤년일 경우 28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0월 8일 · 더보기 »

11월

11월(十一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한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8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고, 그 다음 해가 윤년인 경우 2월과 마지막 요일이 같. 또한, 이 달과 그 해의 3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평년인 경우 그 해의 2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1월 · 더보기 »

11월 12일

11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6번째(윤년일 경우 31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1월 12일 · 더보기 »

11월 1일

11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5번째(윤년일 경우 30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1월 1일 · 더보기 »

11월 21일

11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5번째(윤년일 경우 32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1월 21일 · 더보기 »

11월 27일

11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1번째(윤년일 경우 33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1월 27일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2월 · 더보기 »

12월 11일

12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5번째(윤년일 경우 34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2월 11일 · 더보기 »

12월 17일

12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1번째(윤년일 경우 35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2월 17일 · 더보기 »

12월 18일

12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2번째(윤년일 경우 35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2월 18일 · 더보기 »

12월 20일

12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4번째(윤년일 경우 35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2월 20일 · 더보기 »

12월 25일

12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9번째(윤년일 경우 36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2월 25일 · 더보기 »

12월 28일

12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2번째(윤년일 경우 36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2월 28일 · 더보기 »

1818년

181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18년 · 더보기 »

1820년

182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20년 · 더보기 »

1844년

184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44년 · 더보기 »

1845년

1845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45년 · 더보기 »

1855년

185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55년 · 더보기 »

1868년

186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68년 · 더보기 »

1870년

187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70년 · 더보기 »

1874년

187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74년 · 더보기 »

1877년

187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77년 · 더보기 »

1878년

187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78년 · 더보기 »

1880년

188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80년 · 더보기 »

1881년

188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81년 · 더보기 »

1882년

188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82년 · 더보기 »

1883년

188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83년 · 더보기 »

1884년

188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84년 · 더보기 »

1885년

188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85년 · 더보기 »

1886년

188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86년 · 더보기 »

1887년

188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87년 · 더보기 »

1889년

188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89년 · 더보기 »

1890년

189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90년 · 더보기 »

1892년

189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92년 · 더보기 »

1893년

189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93년 · 더보기 »

1894년

189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94년 · 더보기 »

1895년

189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95년 · 더보기 »

1896년

189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96년 · 더보기 »

1898년

189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98년 · 더보기 »

1899년

189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899년 · 더보기 »

1900년

190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00년 · 더보기 »

1901년

190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01년 · 더보기 »

1904년

190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04년 · 더보기 »

1905년

190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05년 · 더보기 »

1906년

190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06년 · 더보기 »

1907년

190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07년 · 더보기 »

1908년

190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08년 · 더보기 »

1909년

190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09년 · 더보기 »

1910년

191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10년 · 더보기 »

1911년

191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11년 · 더보기 »

1912년

191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12년 · 더보기 »

1913년

191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13년 · 더보기 »

1914년

191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14년 · 더보기 »

1915년

191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15년 · 더보기 »

1916년

191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16년 · 더보기 »

1917년

191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17년 · 더보기 »

1918년

191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18년 · 더보기 »

1919년

191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19년 · 더보기 »

1926년

192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26년 · 더보기 »

1938년

193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38년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45년 · 더보기 »

1948년

194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48년 · 더보기 »

1955년

195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55년 · 더보기 »

1966년

196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66년 · 더보기 »

1971년

1971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71년 · 더보기 »

1978년

197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78년 · 더보기 »

1995년

19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95년 · 더보기 »

1997년

199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997년 · 더보기 »

1월

1월(一月)은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첫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월 · 더보기 »

1월 18일

1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번째(윤년일 경우도 1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월 18일 · 더보기 »

1월 8일

1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번째(윤년일 경우도 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1월 8일 · 더보기 »

2001년

9·11 테러로 세계무역센터가 불타는 장면 200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와 제3천년기의 첫 번째 해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2001년 · 더보기 »

2006년

200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2006년 · 더보기 »

2007년

20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2007년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2008년 · 더보기 »

2009년

20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2009년 · 더보기 »

2월

2월(二月, February)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두 번째 달이며, 평년일 때에는 28일, 윤년일 때에는 29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0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며, 이 달과 작년의 6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2월 · 더보기 »

3성 장군

NATO 중장 계급의 휘장Note: This rank insignia is not worn in all NATO armed forces. 3성 장군(3 star general), 3성 제독(3 star admiral) 또는 3성 계급(3 star rank)은 나토 계급 부호 OF-8로 대부분의 군대에서 상급 지휘관을 가리키는데 사용하는 용어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3성 장군 · 더보기 »

3월

3월(三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세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북반구에서는 3월이 되면서 날씨가 풀리기 때문에, 대체로 이 달을 봄의 시작으로 본. 남반구는 가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3월 · 더보기 »

3월 22일

3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1번째(윤년일 경우 8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3월 22일 · 더보기 »

3월 23일

3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2번째(윤년일 경우 8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3월 23일 · 더보기 »

3월 24일

3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3번째(윤년일 경우 8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3월 24일 · 더보기 »

3월 25일

3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4번째(윤년일 경우 8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3월 25일 · 더보기 »

3월 29일

3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8번째(윤년일 경우 8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3월 29일 · 더보기 »

3월 30일

3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9번째(윤년일 경우 9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3월 30일 · 더보기 »

4월

4월(四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네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대한민국에서는 4월이 과학의 달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4월 · 더보기 »

4월 19일

4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9번째(윤년일 경우 11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4월 19일 · 더보기 »

4월 25일

4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5번째(윤년일 경우 11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4월 25일 · 더보기 »

4월 5일

4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5번째(윤년일 경우 9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4월 5일 · 더보기 »

4월 7일

4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7번째(윤년일 경우 9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4월 7일 · 더보기 »

5월

5월(五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다섯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5월 · 더보기 »

5월 18일

5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8번째(윤년일 경우 13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5월 18일 · 더보기 »

5월 20일

5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0번째(윤년일 경우 14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5월 20일 · 더보기 »

5월 3일

5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3번째(윤년일 경우 124번째), 뒤에서부터는 24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5월 3일 · 더보기 »

6월

6월(六月)은 에서 한 해의 여섯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는 네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6월 · 더보기 »

6월 11일

6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2번째(윤년일 경우 16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6월 11일 · 더보기 »

6월 12일

6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3번째(윤년일 경우 1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6월 12일 · 더보기 »

6월 16일

6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7번째(윤년일 경우 16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6월 16일 · 더보기 »

6월 19일

6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0번째(윤년일 경우 17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6월 19일 · 더보기 »

6월 20일

6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1번째(윤년일 경우 17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6월 20일 · 더보기 »

6월 22일

6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3번째(윤년일 경우 17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6월 22일 · 더보기 »

6월 23일

6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4번째(윤년일 경우 17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6월 23일 · 더보기 »

6월 24일

6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5번째(윤년일 경우 17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6월 24일 · 더보기 »

6월 2일

6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3번째(윤년일 경우 15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6월 2일 · 더보기 »

6월 3일

6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4번째(윤년일 경우 15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6월 3일 · 더보기 »

6월 8일

6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9번째(윤년일 경우 16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6월 8일 · 더보기 »

7월

7월(七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일곱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4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윤년인 경우 그 해의 1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 400년 동안 이 달은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에 58번, 월요일과 화요일에 57번,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56번 시작.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7월 · 더보기 »

7월 12일

7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3번째(윤년일 경우 19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7월 12일 · 더보기 »

7월 13일

7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4번째(윤년일 경우 19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7월 13일 · 더보기 »

7월 14일

7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5번째(윤년일 경우 19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7월 14일 · 더보기 »

7월 15일

7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6번째(윤년일 경우 19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7월 15일 · 더보기 »

7월 17일

7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8번째(윤년일 경우 19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7월 17일 · 더보기 »

7월 19일

7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0번째(윤년일 경우 20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7월 19일 · 더보기 »

7월 20일

7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1번째(윤년일 경우 20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7월 20일 · 더보기 »

7월 22일

7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3번째(윤년일 경우 20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7월 22일 · 더보기 »

7월 23일

7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4번째(윤년일 경우 20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7월 23일 · 더보기 »

7월 27일

7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8번째(윤년일 경우 20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7월 27일 · 더보기 »

8월

8월(八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여덟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부터 연말까지는 2의 배수가 오는 달마다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1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 또한, 윤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2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되며, 다음 해도 평년인 경우 다음 해 5월과 같은 요일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8월 · 더보기 »

8월 13일

8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5번째(윤년일 경우 22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8월 13일 · 더보기 »

8월 14일

8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6번째(윤년일 경우 22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8월 14일 · 더보기 »

8월 16일

8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8번째(윤년일 경우 22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8월 16일 · 더보기 »

8월 17일

8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9번째(윤년일 경우 23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8월 17일 · 더보기 »

8월 27일

8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9번째(윤년일 경우 24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8월 27일 · 더보기 »

8월 5일

8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7번째(윤년일 경우 21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8월 5일 · 더보기 »

9월

9월(九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아홉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한국,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북반구에는 가을이 되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과 같은 남반구에는 봄이.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9월 · 더보기 »

9월 11일

9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4번째(윤년일 경우 25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9월 11일 · 더보기 »

9월 12일

9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5번째(윤년일 경우 25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9월 12일 · 더보기 »

9월 1일

9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4번째(윤년일 경우 24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9월 1일 · 더보기 »

9월 20일

9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3번째(윤년일 경우 2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9월 20일 · 더보기 »

9월 4일

9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7번째(윤년일 경우 24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9월 4일 · 더보기 »

9월 9일

9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2번째(윤년일 경우 25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용 (1870년)와 9월 9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한제국 영선군, 이준 (1870년), 이준 공, 이준용 공, 조선 영선군, 준용 공, 영선군, 영선군 이준, 영선군 이준용, 석정 이준용, 송정 이준용, 왕자 준용.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