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조선왕조 궁중음식

색인 조선왕조 궁중음식

조선왕조 궁중음식(朝鮮王朝宮中飮食)은 조선시대 궁궐에서 차리던 음식으로 전통적인 한국 음식을.

55 처지: 만두, , , 배숙, 강정, 경국대전, 볶음, 과편, 궁중음식연구원, 대추나무, 대한민국 문화재청,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구이, 구절판, 다식, 편육, 인절미, 응이, , 전 (요리), 전골, 조선, 조선왕조실록, 족편, 주악, , , 찌개, 육회, 육포, 율란, , 생채, , 수라, 수라상, 수단, 수정과, 숙회, 숙채, 석반, , 서울특별시, 약과, 약식, 한복려, 한국 요리, 한희순, 아침밥, 식혜, ..., 황혜성, 화면, 화전, 12월 30일, 1970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 더) »

만두

만두(饅頭)는 밀가루 등을 반죽하여 얇게 민 것에 소를 넣어 빚은 음식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만두 · 더보기 »

면은 다음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면 · 더보기 »

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밤 · 더보기 »

배숙

배숙 배숙은 배, 통후추, 생강, 꿀 또는 설탕, 물로 만드는 한국의 전통 화채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배숙 · 더보기 »

강정

보리강정 강정(취음: 羗釘 또는 強情)은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썰어 말렸다가 기름에 튀긴 한국의 과자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강정 · 더보기 »

경국대전

경국대전(經國大典)은 조선시대의 최고의 법전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경국대전 · 더보기 »

볶음

꼼장어 볶음 볶음은 한국 요리 중 재료를 양념과 함께 뜨거운 불에 볶는 조리법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볶음 · 더보기 »

과편

(果-) 또는 과실편(果實-)은 한과의 일종으로서 과일과 녹말, 설탕 등으로 만드는 후식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과편 · 더보기 »

궁중음식연구원

궁중음식연구원은 대한민국의 교육기관으로, 1971년 설립된 중요무형문화재 제38호 '조선왕조 궁중음식' 전수교육기관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궁중음식연구원 · 더보기 »

대추나무

매나무과 대추나무(Zizyphus jujuba Mill. var. inermis Bge.)의 열매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대추나무 · 더보기 »

대한민국 문화재청

문화재청(文化財廳,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약칭: CHA)은 문화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대한민국 문화재청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어 있는 판소리 국가무형문화재(國家無形文化財)는 보존 가치가 크다고 인정되는 문화적 소산 가운데 국가에서 문화재로서 지정한 것을 말.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온 무형의 문화적 유산은 전통적 공연·예술, 공예, 미술 등에 관한 전통기술, 한의약, 농경·어로 등에 관한 전통지식, 구전 전통 및 표현, 의식주 등 전통적 생활관습, 민간신앙 등 사회적 의식(儀式), 전통적 놀이·축제 및 기예·무예 분야로 나뉘어 있.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 더보기 »

구이

이의 종류인 갈비 생선구이 송이구이 구이란 불에 구워 조리한 음식을 뜻하는 용어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구이 · 더보기 »

구절판

절판 구절판(九折坂)은 찬합에 담아 먹는 한국 고유 음식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구절판 · 더보기 »

다식

식 (茶食)은 한국 요리에서 후식으로 먹는 과자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다식 · 더보기 »

편육

육 편육(片肉, Pyeonyuk)은 육류를 덩어리째 삶아 누른 다음, 식혀서 얇게 썬 음식으로 돼지고기와 쇠고기를 많이 이용.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편육 · 더보기 »

인절미

인절미 인절미는 찹쌀가루를 쪄서 절구에 찧은 뒤 찐 콩과 같은 것들을 잘게 만들거나 가루로 만들어서 고물로 묻혀 만드는 한국 떡의 한 종류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인절미 · 더보기 »

응이

응이는 곡물을 갈아 앙금을 가라앉힌 뒤, 그것을 말려 얻은 가루로 죽처럼 쑤는 음식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응이 · 더보기 »

적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적 · 더보기 »

전 (요리)

전은 생선이나 고기, 채소 등을 얇게 썰거나 썰지 않고 양념을 한 뒤, 밀가루와 달걀물을 씌워 기름에 지진 음식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전 (요리) · 더보기 »

전골

왕만두전골 전골은 전통적인 한국 음식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전골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조선 · 더보기 »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태조(1392년)부터 철종(1863년)까지 25대에 걸친 472년간 조선 왕조의 역사적 사실을 연월일순(年月日順)에 따라 편년체로 기술한 역사서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조선왕조실록 · 더보기 »

족편

족편은 한국의 명절인 설날에 먹는 전통음식으로 식감은 젤리와 비슷.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족편 · 더보기 »

주악

주악(周岳, ? ~ 893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무안군 절도사(武安軍節度使. 본거지는 현 후난 성 창사 시)로서 886년부터 893년까지 무안군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주악 · 더보기 »

죽 죽 죽(粥)은 곡식을 물에 묽게 풀어 오래 끓여 알갱이가 흠씬 무르게 만든 음식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죽 · 더보기 »

안동찜닭 찜은 어패류, 육류, 채소 등을 비롯한 각종 재료를 약간의 물과 함께 오랫동안 끓이거나 뜨거운 수증기로 쪄서 만드는 음식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찜 · 더보기 »

찌개

순두부찌개 찌개(찌게는 비표준어)는 육수를 국·탕이나 지짐이보다 적게 잡아 고기, 채소, 어패류 등 각종 식재료를 넣어 끓인 반찬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찌개 · 더보기 »

육회

육회(肉膾)는 한국 요리에서 회의 일종으로 흔히 채를 친 쇠고기를 익히지 않고, 갖은 양념으로 버무려 먹는 음식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육회 · 더보기 »

육포

육포(肉脯)는 쇠고기를 얇게 저미어 말린 음식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육포 · 더보기 »

율란

율란(栗卵)은 대한민국의 전통 과자의 하나로 밤가루에 계핏가루와 꿀을 넣고 밤 모양으로 빚어 꿀과 잣가루를 묻혀 만. 원래 이 음식은 황해도 안악 지방의 향토 음식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율란 · 더보기 »

300px 쌈은 밥이나 고기 등을 채소에 얹어 싸 먹는 한국 요리를 말. 쌈에 들어가는 채소로는 상추, 배추, 치커리, 깻잎 등이 있. 21세기 초 웰빙 열풍이 불면서 채식 식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자 외식 식단으로 '쌈밥'이라는 메뉴가 등장하였으며 '쌈밥'을 전문으로 하는 식당도 많이 생.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쌈 · 더보기 »

생채

무로 만든 생채 생채는 계절에 따라 나오는 싱싱한 채소를 익히지 않고, 초장·고추장·겨자장 등으로 무친 것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생채 · 더보기 »

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탕 · 더보기 »

수라

수라()는 "꾸란의 장"에 대한 아랍어 표기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수라 · 더보기 »

수라상

수라상(水刺床)은 고려 말과 조선시대의 궁중 음식에서 왕에게 올리던 밥상을 높여 부르는 말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수라상 · 더보기 »

수단

수단 공화국(), 약칭 북수단은 아프리카 북동부에 있는 나라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수단 · 더보기 »

수정과

273x273픽셀 캔 형태로 만들어진 수정과(오른쪽) 수정과(水正果)는 한국의 전통 음료로 생강, 곶감, 계피를 이용해 만. 생강을 달인 물에 곶감은 식힌 뒤에 넣으며, 설탕이나 꿀로 단 맛을.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수정과 · 더보기 »

숙회

숙회(熟鱠)는 육류 내장이나 생선, 채소 등을 살짝 익혀 먹는 음식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숙회 · 더보기 »

숙채

숙채는 채소를 데치거나 삶아서 양념에 무치거나, 기름에 볶아 양념하는 반찬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숙채 · 더보기 »

석반

석반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석반 · 더보기 »

선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선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약과

약과 약과(藥果)는 꿀과 밀가루, 참기름, 꿀, 술을 섞어 반죽하여 약과틀에 넣어 모양을 낸 뒤, 기름에 튀겨 낸 한국의 전통 과자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약과 · 더보기 »

약식

약식 (藥食) 한국 요리 중 떡의 일종으로, 찹쌀에 밤, 대추, 잣을 섞어 찐 후에, 참기름, 꿀, 간장 등으로 버무려 만든 음식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약식 · 더보기 »

한복려

복려(韓福麗, 1947년 5월 13일 ~)는 대한민국의 조선왕조 궁중음식 연구가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한복려 · 더보기 »

한국 요리

국 요리(韓國料理)는 한국의 음식을 뜻. 복잡한 궁중 요리에서부터 지방의 특색 요리와 현대의 퓨전 요리에 이르기까지 재료와 조리법이 매우 다양.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한국 요리 · 더보기 »

한희순

희순 상궁(韓熙順 尙宮, 1889년 ~ 1972년 1월 5일)은 대한제국 조선 시대 마지막 주방 상궁으로, 사라질 뻔한 궁중 요리를 현대적으로 되살리고 계승, 발전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한희순 · 더보기 »

아침밥

아침밥은 아침에 끼니로 먹는 식사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아침밥 · 더보기 »

식혜

식혜 안동 식혜, 곶감 말이와 딸기 식혜(食醯)는 한국의 전통 음료로, 후식으로 마시는 단맛의 음료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식혜 · 더보기 »

황혜성

황혜성(黃慧性, 1920년 7월 5일 ~ 2006년 12월 14일)은 조선왕조 궁중음식의 연구가이자 대학 교수였.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황혜성 · 더보기 »

화면

화면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화면 · 더보기 »

화전

화전에는 다음 뜻이 있.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화전 · 더보기 »

12월 30일

12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4번째(윤년일 경우 36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12월 30일 · 더보기 »

1970년

197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왕조 궁중음식와 1970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궁중음식, 궁중요리, 조선왕조궁중음식, 한국의 궁중 음식, 한국의 궁중 요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