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장면

색인 장면

장면(張勉 1899년 8월 28일 ~ 1966년 6월 4일)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종교가·번역가·출판인·문인·저술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가·외교관·교육자·정치인이.

771 처지: 도지사, 도쿄도, 도시락, 동대문운동장, 동성고등학교, 동아일보, 라디오, 라종일, 라틴 아메리카, 로마, 로마 가톨릭교회, 로마 교황청, 로스앤젤레스, 매슈 리지웨이, 매춘법, 마포형무소, 마산시, 막걸리, 멀미, 모윤숙, 명동성당, 무임소장관, 무풍지대, 무소속, 문화방송, 미 군정, 미국, 미국 국무부, 미국 국방부, 미국인, 미국의 대통령, 미군, 미소공동위원회, 민권과 참정권, 민의원,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민족일보, 민주국민당, 민주국민당 (1949년), 민주당, 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 민주당 (대한민국, 1963년), 민주주의, 백낙준, 백악관, 개신교, 반공주의, 반일 감정, 바둑, ..., 바티칸 시국, 박명림, 박병권, 박병윤, 박용만 (1924년), 박정희, 강준만, 박준호, 박지원 (1942년), 박순천, 박사, 강원도, 강원용, 박웅, 가쓰라-태프트 밀약, 가톨릭, 가톨릭평화방송, 건국훈장, 베이징 대학, 경기도, 경희대학교, 경찰기동대, 경상북도, 경향신문, 경향신문 폐간 사건, 경성, 경성부, 경성제국대학, 게이샤, 범우사, 법학, 고려대학교, 고등학교, 곽상훈, 공무원, 공산주의, 병원, 계광순, 봉두완, 관훈클럽, 부산 정치 파동, 부산광역시, 부통령, 극동, 극우, 극좌, 기독교, 기묘사화, 빌라노바 대학교, 비상국민회의, 김도연, 김도연 (정치인), 김동성, 김무생, 김병로, 김규식, 김대중, 김구, 김두봉, 김두한, 김포국제공항, 김일성, 김종필, 김준구, 김준연, 김창숙, 김수영, 김수환, 김영삼, 김영선 (1918년), 김옥윤, 김형일, 김삼웅, 김성진 (1931년 10월), 김성수, 김성수 (1891년), 김원만, 김활란, 대령, 대구광역시, 대주교, 대통령, 대한민국,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대한민국 대통령비서실, 대한민국 국무총리실, 대한민국 국무원,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국회, 대한민국 국토건설본부,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 제1공화국, 대한민국 제2공화국, 대한민국 제3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헌 국회,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정부,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대한민국 육군본부,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대한민국의 부통령, 대한민국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대한민국의 국회의장,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대한기독교청년회연맹, 대한적십자사, 대한제국, 대학, 교부들의 신앙, 교육학, 교토 시, 교황, 교황 비오 11세, 교황 비오 12세, 국무회의, 국무위원, 국민보도연맹, 국민장,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국가보안법, 국가재건최고회의, 국대안 파동, 국수, 군부 독재, 군정, 군수, 남조선로동당, 남조선과도입법의원,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 남한,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딘 애치슨, 네덜란드, 노기남, 뉴욕, 뉴욕 주, 뉴질랜드, 단발령, 단군기원, 담배, 당뇨병, 스위스, 용산, 용산구, 운석기념회, 요한, 자유, 자유민주주의, 자유당 (대한민국), 자유주의, 장덕수, 장도영, 장발 (화가), 장극, 장기빈, 장기영, 장기영 (1903년), 장익 (1933년), 장준하, 장진 (1927년), 장택상, 장순, 장수 황씨, 펜실베이니아주, 임병직, 임진왜란, 임영신, 포덤 대학교, 포덤 대학교 법학대학원, 포천시, 평양고등보통학교, 평양부, 평안도, 평안북도, 평안남도, 흡연, 흥사단, 이덕일, 이동하, 이묘묵, 이민우 (1915년), 이범석, 이범석 (1900년), 이기붕, 이기호, 이용문, 이용원, 이승만, 이인, 이종찬, 이종찬 (1916년), 이준 (1859년), 이철승, 이윤영, 이윤영 (1890년), 이탈리아, 이순용, 이순신, 이영훈, 이사관, 이한림, 이아주, 이시영, 이시영 (1868년), 이후락, 이홍렬 (정치인), 이홍규, 인도, 인도양, 인동, 인동 장씨, 인물과 사상, 인천박문초등학교, 인천본부세관, 인천광역시, 인천부, 인천항, 일본, 일본 천황, 일본인, 일제 강점기, 의민태자, 의회, 의사당, 의원내각제, 흑인, 제1공화국 (드라마), 제2공화국 (드라마), 제3공화국 (드라마), 전북대학교, 전규홍, 전두환, 전선애, 정민, 정대철, 정운현, 정일형, 정진석, 정지용, 정치 자금, 정윤재, 정헌주, 조병옥, 조광, 조광조, 조봉암, 조재천, 조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인민보, 조선인민군, 조선총독부, 존 무초, 존 F. 케네디, 좌우합작운동, 종로구,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주교, 주요한, 주한 미국 대사, 주한 미군, 중공, 중국인민지원군, 중앙대학교, 중앙정보국, 중화군, 중화인민공화국, 준장, 직접 선거, 직할시, 짜장면, 진명여자고등학교, 진보당 조봉암 사건, 진천군, 지방자치법, 지중해, 참모총장, 참배, 참의원, 참의원 (대한민국), 창씨개명, 청와대, 천보산, 천주교 평양교구, 천주교 인천교구, 총리, 초등학교, 춘천시, 추기경, 칠레, 친일반민족행위자, 쿠바, 유럽, 유교, 유네스코, 유진산, 유치원, 유엔, 유엔 본부, 유엔 평화유지군, 유엔 총회,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유원식 (군인), 육군, 윤보선, 윤치창, 윤치영, 윤치호, 윤치왕, 파리 (프랑스), 위궤양, 위장, 탁지부, 상투, 태음력, , 수도원, 수학, 수원농림전문학교, 영문학, 영국, 영어, 영어사전, 영한사전, 영웅시대 (2004년 드라마), 영화, 오마이뉴스,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오위영, 오키나와, 호 (이름), 호동, 호헌동지회, 예수회, 현석호, 최명수, 최경록, 최용건, 최영희 (1921년), 최훈 (정치인), 양유찬, 헤이그, 여운형, 여운홍, 연극, 연좌, 연탄, 연합뉴스, 허정, 엄상섭, 엄항섭, 푸단 대학, 사도 파울로스, 사령관, 사회주의, 사제, 사창, 살바도르 아옌데, 삼김시대 (드라마), 삼군부, 프랑스, 프롤레타리아 혁명, 석사, 선거관리위원회, 선우종원, 성리학, 성경, 성인, 성천군, 세례, 세크러트리 오브 스테이트, 세종로, 서민호, 서강대학교, 서북, 서울 용산구의 국회의원, 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 서울대학교,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의회,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서울역, 서울신문, 서재필, 서중석, 토요일, 송요찬, 송진우 (1890년), 송필만, 송원영, 송원영 (1928년), 소련, 소급입법금지, 소흘읍, 소총, 퇴역 군인, 쇼와 천황, 함경도, 함태영, 함석헌, 합리론, 해리 S. 트루먼, 야인시대, 한근조, 한글, 한국, 한국 전쟁, 한국독립당, 한국민주당, 한국방송공사, 한국인, 한국의 군정기, 한국어, 한인수, 한일 병합 조약, 한창우, 한표욱, 한성부, 안재홍, 하와이주, 필리핀, 아명, 학도병, 신궁, 신구, 신국 (배우), 신익희, 신창현, 신탁 통치 반대 운동, 신순범, 신약성경, 신학, 심양홍, 시장, 원주시, 홍명희, 외무부, SBS, 10월, 10월 10일, 10월 12일, 10월 15일, 10월 17일, 10월 18일, 10월 1일, 10월 20일, 10월 21일, 10월 30일, 10월 3일, 10월 4일, 10월 7일, 10월 8일, 10월 9일, 11월, 11월 10일, 11월 11일, 11월 12일, 11월 13일, 11월 14일, 11월 18일, 11월 19일, 11월 1일, 11월 20일, 11월 23일, 11월 27일, 11월 28일, 11월 2일, 11월 30일, 11월 3일, 11월 6일, 12월, 12월 10일, 12월 12일, 12월 14일, 12월 17일, 12월 1일, 12월 20일, 12월 22일, 12월 27일, 12월 29일, 12월 7일, 12월 8일, 1878년, 1899년, 1901년, 1904년, 1906년, 1908년, 1910년, 1912년, 1913년, 1914년, 1916년, 1917년, 1918년, 1919년, 1920년, 1921년, 1922년, 1925년, 1927년, 1928년, 1929년, 1930년, 1931년, 1932년, 1933년, 1934년, 1935년, 1936년, 1937년, 1938년, 1939년, 1941년, 1942년, 1944년, 1945년, 1946년, 1947년, 1948년, 1949년, 1950년, 1950년대, 1951년, 1952년, 1953년, 1954년, 1955년, 1956년, 1957년, 1958년, 1959년, 1960년, 1960년대, 1961년, 1962년, 1963년, 1964년, 1965년, 1966년, 1967년, 1970년, 1971년, 1972년, 1974년, 1975년, 1976년, 1981년, 1982년, 1987년, 1989년, 1990년, 1990년대, 1998년, 1999년, 1월, 1월 10일, 1월 12일, 1월 16일, 1월 18일, 1월 19일, 1월 1일, 1월 20일, 1월 23일, 1월 27일, 1월 2일, 1월 4일, 2000년, 2001년, 2002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8년, 2009년, 2011년, 2월, 2월 10일, 2월 11일, 2월 14일, 2월 15일, 2월 16일, 2월 17일, 2월 18일, 2월 19일, 2월 21일, 2월 22일, 2월 25일, 2월 26일, 2월 27일, 2월 28일, 2월 4일, 2월 8일, 3.15 부정선거, 3·1 운동, 3·15 마산 의거, 3성 장군, 3월, 3월 15일, 3월 16일, 3월 17일, 3월 18일, 3월 1일, 3월 23일, 3월 24일, 3월 27일, 3월 28일, 3월 29일, 3월 2일, 3월 30일, 3월 5일, 4.19 혁명, 4월, 4월 10일, 4월 12일, 4월 18일, 4월 19일, 4월 1일, 4월 20일, 4월 23일, 4월 24일, 4월 25일, 4월 26일, 4월 28일, 4월 3일, 4월 6일, 4월 7일, 4월 8일, 4월 9일, 5·16 군사 정변, 5월, 5월 10일, 5월 11일, 5월 12일, 5월 14일, 5월 15일, 5월 16일, 5월 17일, 5월 18일, 5월 19일, 5월 20일, 5월 21일, 5월 22일, 5월 24일, 5월 25일, 5월 26일, 5월 29일, 5월 30일, 5월 31일, 5월 3일, 5월 9일, 6월, 6월 10일, 6월 11일, 6월 12일, 6월 14일, 6월 15일, 6월 19일, 6월 1일, 6월 20일, 6월 25일, 6월 26일, 6월 27일, 6월 28일, 6월 30일, 6월 3일, 6월 4일, 6월 6일, 7월, 7월 11일, 7월 12일, 7월 13일, 7월 19일, 7월 20일, 7월 24일, 7월 27일, 7월 29일, 7월 2일, 7월 4일, 7월 5일, 7월 6일, 7월 7일, 8월, 8월 10일, 8월 15일, 8월 16일, 8월 17일, 8월 18일, 8월 19일, 8월 1일, 8월 20일, 8월 21일, 8월 22일, 8월 23일, 8월 26일, 8월 27일, 8월 28일, 8월 29일, 8월 2일, 8월 4일, 9·28 사건, 9월, 9월 10일, 9월 12일, 9월 13일, 9월 15일, 9월 18일, 9월 1일, 9월 20일, 9월 23일, 9월 26일, 9월 28일, 9월 29일, 9월 30일, 9월 7일, 9월 9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721 더) »

도지사

사(道知事) 또는 주지사(州知事)는 지방자치단체의 수장을 말.

새로운!!: 장면와 도지사 · 더보기 »

도쿄도

()는 일본의 47개 도도부현 중 하나로 메이지 시대 이후 사실상 일본의 수도이.

새로운!!: 장면와 도쿄도 · 더보기 »

도시락

시락 도시락()은 간편하게 휴대하여 다닐 수 있도록 만든 음식을 말. 그릇(용기)의 경우 도시락 상자를 참조.

새로운!!: 장면와 도시락 · 더보기 »

동대문운동장

동대문운동장(東大門運動場)은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7가에 있던 스포츠 경기장 종합 단지였.

새로운!!: 장면와 동대문운동장 · 더보기 »

동성고등학교

동성고등학교(東星高等學校)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동에 위치한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장면와 동성고등학교 · 더보기 »

동아일보

《동아일보》(東亞日報, Dong-A Ilbo)는 신문 발행 업체인 동아일보사가 서울에서 발행하는 대한민국의 일간 신문이.

새로운!!: 장면와 동아일보 · 더보기 »

라디오

휴대용 라디오 라디오(📻)는 전파의 변조를 통해서 신호를 전달하는 기술을 두루 일컫는 말이.

새로운!!: 장면와 라디오 · 더보기 »

라종일

종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라종일 · 더보기 »

라틴 아메리카

아메리카()는 인도유럽어족의 로망어가 사용되는 아메리카 내의 독립국 및 속령을 가리키는 지역이.

새로운!!: 장면와 라틴 아메리카 · 더보기 »

로마

마()는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라치오 주의 주도로, 테베레 강 연안에 있. 로마시의 행정구역 면적은 1,285km2로 서울시의 2배정도이고, 2014년 인구는 290여만명이.

새로운!!: 장면와 로마 · 더보기 »

로마 가톨릭교회

마 가톨릭교회(), 천주교(天主敎) 또는 가톨릭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명의 신자를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기독교 교파이.

새로운!!: 장면와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로마 교황청

마 교황청(~敎皇廳)은 기독교에서 성좌의 행정기관이며 교황과 더불어 로마 가톨릭교회 전체를 통솔하는 중앙통제기구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장면와 로마 교황청 · 더보기 »

로스앤젤레스

스앤젤레스(음차: 나성(羅城))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1290.6 평방 킬로미터이.

새로운!!: 장면와 로스앤젤레스 · 더보기 »

매슈 리지웨이

매슈 벙커 리지웨이(1895년 3월 3일 ~ 1993년 7월 26일)는 미국의 군인이.

새로운!!: 장면와 매슈 리지웨이 · 더보기 »

매춘법

이 문서는 세계 각국의 성매매 관련 정책을 서술하는 문서이.

새로운!!: 장면와 매춘법 · 더보기 »

마포형무소

8월 16일 오전 9시 마포형무소 앞에서 석방된 독립운동가들. 이 사진은 광복 직후 남아있는 유일한 사진이다.8월 15일 서대문 형무소로 알려졌으나 이는 잘못 알려진 것이다. 한편, 가운데 검은색 바지 입은 인물 뒤에 이마만 보이는 인물이 당시 22살의 나이로 마포형무소에서 수감한 이갑상 마포형무소(麻浦刑務所)는 일제 강점기에 일본 제국이 서울에 세워 대한민국 정부 수립 초까지 사용되었던 형무소이.

새로운!!: 장면와 마포형무소 · 더보기 »

마산시

마산항의 공중 전망 2010년 7월 1일 통합 이전의 마산시 마산시(馬山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중남부에 1949년부터 2010년까지 존재했던 시이.

새로운!!: 장면와 마산시 · 더보기 »

막걸리

막걸리 막걸리를 따르고 있는 모습 평창 오대산 옥수수 막걸리 막걸리는 한국의 전통주로, 탁주(濁酒)나 농주(農酒), 재주(滓酒), 회주(灰酒).

새로운!!: 장면와 막걸리 · 더보기 »

멀미

멀미(motion sickness)는 몸이 교통의 흔들림을 받아 속이 메스껍고 머리가 어지러운 상태인 현기증을 비유하는 말이.

새로운!!: 장면와 멀미 · 더보기 »

모윤숙

모윤숙(毛允淑, 1910년 3월 5일 ~ 1990년 6월 7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시인이며 수필가이.

새로운!!: 장면와 모윤숙 · 더보기 »

명동성당

국 천주교 서울대교구 주교좌 명동대성당, 통칭 명동성당(明洞聖堂)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2가에 있는 천주교 서울대교구의 대성당이.

새로운!!: 장면와 명동성당 · 더보기 »

무임소장관

무임소장관(無任所長官)은 국무위원으로 내각을 구성하는 일원이이면서도 정부의 특정한 행정 업무를 담당하지 않는 장관이.

새로운!!: 장면와 무임소장관 · 더보기 »

무풍지대

《무풍지대》(無風地帶)는 1989년 6월 28일부터 1989년 9월 7일까지 매주 수요일, 목요일 밤 9시 50분에 KBS 2TV에서 방송되었던 미니 시리즈로, 유지광의 참회록 자서전적 소설인 "대명"을 토대로 만든 드라마이.

새로운!!: 장면와 무풍지대 · 더보기 »

무소속

무소속(無所屬)이란 일반적으로 어느 곳에도 소속되지 않음을 의미.

새로운!!: 장면와 무소속 · 더보기 »

문화방송

문화방송(文化放送)은 대한민국 수도권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공영방송사이.

새로운!!: 장면와 문화방송 · 더보기 »

미 군정

미 군정(美軍政, 米軍政)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장면와 미 군정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장면와 미국 · 더보기 »

미국 국무부

국무부(國務部, The Department of State)는 미국 정부의 외교 정책을 주관하는 중앙 행정 기관이.

새로운!!: 장면와 미국 국무부 · 더보기 »

미국 국방부

미국 국방부 건물. 단일건물로는 세계 최대. 미국 국방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 DoD)는 미국의 방위를 담당하는 정부 기관으로, 이전의 육군부및 해군부가 있었으나 공군부가 설치되면서 이를 통솔할 국방부가 설치되었고 육, 해, 공군부 장관은 국방부 산하부서로 배치 되었.

새로운!!: 장면와 미국 국방부 · 더보기 »

미국인

미국인은 미국 국적을 취득한 북아메리카인이.

새로운!!: 장면와 미국인 · 더보기 »

미국의 대통령

미국 대통령(약칭: POTUS)은 미국의 국가원수이자 정부수반이.

새로운!!: 장면와 미국의 대통령 · 더보기 »

미군

주한 미군의 기계화 보병. 공군의 기초군사훈련 모습. 1991년 사막의 폭풍 작전에 참가한 미군 F-15E. 일본에 배치된 F-22. 미합중국 군대() 또는 미국군(美國軍) 혹은 단순히 미군(美軍)은 미국의 군대이.

새로운!!: 장면와 미군 · 더보기 »

미소공동위원회

미소공동위원회(美蘇共同委員會, US-Soviet Joint Commission)는 1946년 3월 20일부터 1947년 10월 21일까지 한반도의 임시정부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과 소련이 개최한 회의이.

새로운!!: 장면와 미소공동위원회 · 더보기 »

민권과 참정권

민권(Civil rights)과 참정권(Political rights)은 어떤 개인의 자유를 정부를 비롯한 사회 기관이나 다른 개인으로부터 지키기 위한 권리들이.

새로운!!: 장면와 민권과 참정권 · 더보기 »

민의원

민의원(民議院)은 대한민국의 제2공화국에서 설치되었던 국회의 하원(下院)으로, 정원은 233명이었.

새로운!!: 장면와 민의원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民族問題硏究所)는 재야운동가 임종국의 유지를 잇는다는 명분으로 설립된 단체로서, 1991년 2월 27일 '반민족문제연구소'로 시작하여 1995년 '민족문제연구소'로 개칭한 민간 단체이.

새로운!!: 장면와 민족문제연구소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이 문서는 민족문제연구소가 2009년 11월 8일에 편찬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자들에 관한 명단을.

새로운!!: 장면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더보기 »

민족일보

조용수 민족일보(民族日報)는 1961년 2월 13일부터 1961년 5월 19일까지 발행되었던 대한민국의 진보성향 일간지였.

새로운!!: 장면와 민족일보 · 더보기 »

민주국민당

민주국민당(民主國民黨).

새로운!!: 장면와 민주국민당 · 더보기 »

민주국민당 (1949년)

민주국민당(民主國民黨, Democratic National Party)은 1949년 2월 10일에 조직된 정당이.

새로운!!: 장면와 민주국민당 (1949년) · 더보기 »

민주당

민주당(民主黨, Democratic Party)은 정당 이름으로 많이 쓰이는 이름으로, 다음을 가리.

새로운!!: 장면와 민주당 · 더보기 »

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

민주당(民主黨, Democratic Party)은 1955년 자유당의 사사오입개헌 사건을 계기로, 민주국민당의 보수파와 자유당의 탈당파, 흥사단등의 반이승만 세력이 모여, 1955년 9월 18일에 창당 되었.

새로운!!: 장면와 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 · 더보기 »

민주당 (대한민국, 1963년)

민주당(民主黨, Democratic Party)은 1963년에 창당.

새로운!!: 장면와 민주당 (대한민국, 1963년) · 더보기 »

민주주의

민주주의(民主主義)는 국가의 주권이 국민에게 있고 국민이 권력을 가지고 그 권력을 스스로 행사하며 국민을 위하여 정치를 행하는 제도, 또는 그러한 정치를 지향하는 사상이.

새로운!!: 장면와 민주주의 · 더보기 »

백낙준

백낙준(白樂濬, 1895년 3월 9일 ~ 1985년 1월 13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교육자, 국문학자이자 한글학자, 기독교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장면와 백낙준 · 더보기 »

백악관

미국의 대통령들이 임기 중에 있는 백악관 중 백악관 북현관의 사진 백악관(白堊館)은 미국 워싱턴 D.C. 펜실베이니아 거리 NW에 위치한 미국 대통령의 공식 거처이자 주요 업무지이.

새로운!!: 장면와 백악관 · 더보기 »

개신교

신교(改新敎) 또는 프로테스탄트(Protestantism)는 16세기 교회의 개혁가들의 종교개혁을 통해 생겨난 기독교의 한 전통이.

새로운!!: 장면와 개신교 · 더보기 »

반공주의

반공주의(反共主義, Anti-communism) 또는 반공산주의(反共産主義)는 공산주의를 반대하는 정치 이념이.

새로운!!: 장면와 반공주의 · 더보기 »

반일 감정

반일감정(反日感情)이란 일본이나 일본인에 대해 느끼는 반감을 말. 이러한 반일 감정은 러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부터 일본의 식민 지배하에 있었거나 대립되었던 국가들(미국, 중국, 러시아, 한국)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 일본 정부에 국한된 반감에서부터 일본 문화 또는 일본인 자체에 대한 반감 등 정도가 다양.

새로운!!: 장면와 반일 감정 · 더보기 »

바둑

바둑(圍棋)은 두 사람이 흑과 백의 돌을 사각의 판 위에 번갈아 놓으며 집을 차지하는 것을 겨루는 놀이.

새로운!!: 장면와 바둑 · 더보기 »

바티칸 시국

바티칸 시국(Vatican 市國), 약칭 바티칸()은 이탈리아의 로마 시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국경 역할을 하는 장벽으로 둘러싸인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는 내륙국이자 도시국가이.

새로운!!: 장면와 바티칸 시국 · 더보기 »

박명림

박명림(朴明林, 1963년 7월 29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

새로운!!: 장면와 박명림 · 더보기 »

박병권

박병권(朴炳權, 1920년 1월 8일 ~ 2005년 9월 20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장면와 박병권 · 더보기 »

박병윤

박병윤 (朴炳潤, 1941년 4월 19일 ~, 전라남도 나주시 출생)은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박병윤 · 더보기 »

박용만 (1924년)

박용만(朴容萬, 1924년 ~ 1996년)은 9·10·12·13대 4선 국회의원과 대통령 이승만 비서관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 보수주의 운동가이.

새로운!!: 장면와 박용만 (1924년) · 더보기 »

박정희

박정희(朴正熙, 1917년 11월 14일 ~ 1979년 10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이.

새로운!!: 장면와 박정희 · 더보기 »

강준만

강준만(康俊晩, 1956년 1월 5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평론가·사회과학자·언론인이자 대학교수이.

새로운!!: 장면와 강준만 · 더보기 »

박준호

박준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박준호 · 더보기 »

박지원 (1942년)

박지원(朴智元, 1942년 6월 5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장면와 박지원 (1942년) · 더보기 »

박순천

박순천(朴順天, 1898년 10월 24일(음력 9월 10일) ~ 1983년 1월 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이며 대한민국의 저술가, 여성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박순천 · 더보기 »

박사

박사(博士, Doctor)는 대학교나 학술전문연구기관에서 가장 높은 학위를 소지한자 또는 특정 분야(이를테면 철학박사)의 전문가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장면와 박사 · 더보기 »

강원도

조선 후기 강원도 강원도(江原道)는 관동 지방(關東地方)에 해당하는 지역이.

새로운!!: 장면와 강원도 · 더보기 »

강원용

강원용(姜元龍, 1917년 7월 3일 ~ 2006년 8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 기독교 신학자이자 정치가·철학자·통일운동가·교육자·반일반공운동가·시민사회운동가이.

새로운!!: 장면와 강원용 · 더보기 »

박웅

박웅(朴雄, 본명은 박광웅(朴光雄), 1940년 9월 23일 ~)은 대한민국의 성우 겸 연기자이.

새로운!!: 장면와 박웅 · 더보기 »

가쓰라-태프트 밀약

쓰라-태프트 밀약(桂・タフト密約) 또는 가쓰라-태프트 협정()은 러일 전쟁 직후 미국의 필리핀에 대한 지배권과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에 대한 지배권을 상호 승인하는 문제를 놓고 1905년 7월 29일 당시 미국 육군 장관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와 일본 제국 내각총리대신 가쓰라 다로가 도쿄에서 회담한 내용을 담고 있는 대화 기록이.

새로운!!: 장면와 가쓰라-태프트 밀약 · 더보기 »

가톨릭

릭(Catholic)은 공통적, 보편적, 보편된, 공번적, 일반적, 널리 알려진 등의 뜻을 가진 단어로 코이네 그리스어 형용사 '카톨리코스'(καθολικός)에서 유래했으며 기독교에서 '교회'와 함께 주로 사용되어 왔. 영어로는 라틴어 어원에서 온 동일한 의미 단어인 'universal'로 번역.

새로운!!: 장면와 가톨릭 · 더보기 »

가톨릭평화방송

릭평화방송(가톨릭平和放送, Catholic Peace Broadcasting Corporation)은 천주교 서울대교구에서 직영하는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계통 케이블 텔레비전·위성방송 및 FM 라디오 방송국이.

새로운!!: 장면와 가톨릭평화방송 · 더보기 »

건국훈장

여운형의 건국훈장 훈장증 건국훈장(建國勳章)은 〈상훈법〉 제11조에 따라 대한민국의 건국에 공로가 뚜렷하거나, 국가의 기초를 공고히 하는 데에 이바지한 공적이 뚜렷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대한민국의 훈장이.

새로운!!: 장면와 건국훈장 · 더보기 »

베이징 대학

베이징 대학(북경대학,, Peking University)은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 있는 대학이.

새로운!!: 장면와 베이징 대학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장면와 경기도 · 더보기 »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 Kyung Hee University)는 1911년에 개교한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의 후신으로 대한민국의 4년제 사립대학이.

새로운!!: 장면와 경희대학교 · 더보기 »

경찰기동대

일본 경시청 기동대 경찰관기동대는 집회시위 관리 등을 위하여 경찰공무원으로 편성된 기동부대를 말. (경찰관기동대 운영규칙, 경찰청훈령 제544호).

새로운!!: 장면와 경찰기동대 · 더보기 »

경상북도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장면와 경상북도 · 더보기 »

경향신문

1982년의 경향신문사 건물.당시 문화방송과 공동으로 사용하였다. 《경향신문》(京鄕新聞)은 대한민국에서 발매하는 일간 조간 신문이.

새로운!!: 장면와 경향신문 · 더보기 »

경향신문 폐간 사건

경향신문 폐간 사건(京鄕新聞廢刊事件)은 1959년 대한민국 신문 《경향신문》의 컬럼 '여적'(餘滴)에 실린 글로 인해 관련자들이 내란선동 혐의로 기소되고 경향신문이 폐간 명령을 받은 사건이.

새로운!!: 장면와 경향신문 폐간 사건 · 더보기 »

경성

경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경성 · 더보기 »

경성부

경성부(京城府) 또는 게이조 부()는 일제 강점기 때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경성부 · 더보기 »

경성제국대학

경성제국대학 혹은 게이조 제국대학()은 경성부에 있었던 대학으로, 1924년에 일본 제국의 6번째 제국대학으로 설립되었.

새로운!!: 장면와 경성제국대학 · 더보기 »

게이샤

교토의 마이코. 게이샤(), 또는 게이기()는 예능에 종사하는 일본의 전통적인 기생이.

새로운!!: 장면와 게이샤 · 더보기 »

범우사

범우사(汎友社)는 범우 윤형두 회장이 설립한 대한민국의 문학출판사이.

새로운!!: 장면와 범우사 · 더보기 »

법학

학자들은 "법이 무엇이고,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를 질문한다. 법학(法學)은 법률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

새로운!!: 장면와 법학 · 더보기 »

고려대학교

학교(高麗大學校, Korea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이.

새로운!!: 장면와 고려대학교 · 더보기 »

고등학교

등학교(高等學校)는 최상위 중등 교육 기관으로, 중학교를 졸업하고 진학하는 학교이.

새로운!!: 장면와 고등학교 · 더보기 »

곽상훈

곽상훈(郭尙勳, 1896년 10월 21일 ~ 1980년 1월 19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1~5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곽상훈 · 더보기 »

공무원

공무원(公務員)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또는 공공 단체의 사무를 맡아보는 사람을 이른.

새로운!!: 장면와 공무원 · 더보기 »

공산주의

공산주의(共産主義, Communism)는 자본가 계급이 소멸되고, 노동자 계급이 주체가 된 생산수단의 공공 소유에 기반을 둔 무계급 사회 조직, 공동체 형성에 관한 이론, 또는 그러한 체제를 목표로 삼는다고 주장하는 다양한 정치 운동들을 일컫.

새로운!!: 장면와 공산주의 · 더보기 »

병원

병원 - 브라질 병원()은 질병이나 질환에 대해 의료를 제공하고 환자가 입원하는 시설이.

새로운!!: 장면와 병원 · 더보기 »

계광순

광순(桂珖淳, 1909년 2월 16일 ~ 1990년 3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계광순 · 더보기 »

봉두완

봉두완(奉斗玩, 1935년 12월 8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가, 언론인, 기업가이.

새로운!!: 장면와 봉두완 · 더보기 »

관훈클럽

훈클럽은 대한민국 언론인 단체이.

새로운!!: 장면와 관훈클럽 · 더보기 »

부산 정치 파동

부산 정치 파동(釜山政治波動,1952년 5월 26일)은 이승만 대통령이 자신의 재선을 확실히 하고, 독재정권 기반을 굳히기 위해 한국 전쟁 중에 임시 수도인 부산에서 폭력을 동원하여 강제로 국회의원을 연행하고 구속한, 일련의 정치적 파행이.

새로운!!: 장면와 부산 정치 파동 · 더보기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동남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장면와 부산광역시 · 더보기 »

부통령

부통령(副統領, (副大統領))은 대통령제를 실시하는 국가 중 일부에서 채용하고 있는 직위이.

새로운!!: 장면와 부통령 · 더보기 »

극동

극동(極東, Far East)은 때때로 러시아의 동쪽 끝 지방까지를 포함하면서 (예를 들면 러시아 극동과 서태평양 지역)과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섞어서 부정확하게 사용되곤 하는 용어이.

새로운!!: 장면와 극동 · 더보기 »

극우

오나치 운동 당원 극우() (極右) 또는 급진우파(急進右派)는 극단적으로 우익적인 생각, 사람, 당파 세력을 가리.

새로운!!: 장면와 극우 · 더보기 »

극좌

시위하는 생디칼리스트들 극좌() (極左), 급진좌파(急進左派) 또는 혁명적 좌파는 극단적으로 좌파적인 생각, 사람, 당파 세력을 가리.

새로운!!: 장면와 극좌 · 더보기 »

기독교

독교(基督敎)From Ancient Greek Khristós (Latinized as Christus), translating Hebrew מָשִׁיחַ, Māšîăḥ, meaning "the anointed one", with the Latin suffixes -ian and -itas.

새로운!!: 장면와 기독교 · 더보기 »

기묘사화

묘사화(己卯士禍)는 1519년(중종 14) 음력 11월에 조선에서 남곤(南袞), 심정(沈貞), 홍경주(洪景舟), 김전(金詮), 중종(中宗) 등이 조광조(趙光祖), 김식 등 신진사림의 핵심인물들을 몰아내어 죽이거나 혹은 귀양보낸 사건이.

새로운!!: 장면와 기묘사화 · 더보기 »

빌라노바 대학교

빌라노바 대학교(Villanova University)는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 교외 래드너에 위치한 대학교이.

새로운!!: 장면와 빌라노바 대학교 · 더보기 »

비상국민회의

비상국민회의는 1946년 2월 1일 우익진영이 독립촉성중앙협의회와 비상정치회의주비회를 통합하여 조직한 단체이.

새로운!!: 장면와 비상국민회의 · 더보기 »

김도연

연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장면와 김도연 · 더보기 »

김도연 (정치인)

연(金度演, 1894년 6월 16일 ~ 1967년 7월 19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김도연 (정치인) · 더보기 »

김동성

동성은 다음과 같은 사람이 있.

새로운!!: 장면와 김동성 · 더보기 »

김무생

무생(金茂生, 1943년 3월 16일 ~ 2005년 4월 16일)은 대한민국의 배우이었.

새로운!!: 장면와 김무생 · 더보기 »

김병로

병로(金炳魯, 1888년 1월 27일(1887년 음력 12월 15일) ~ 1964년 1월 13일)는 본관(本館)이 울산(蔚山)이며, 호가 가인(街人)이.

새로운!!: 장면와 김병로 · 더보기 »

김규식

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

새로운!!: 장면와 김규식 · 더보기 »

김대중

중(金大中, 1924년 1월 6일 ~ 2009년 8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15대 대통령이.

새로운!!: 장면와 김대중 · 더보기 »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김구 · 더보기 »

김두봉

봉(金枓奉, 1889년 2월 16일 ~ 1961년?)은 공산주의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한글학자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김두봉 · 더보기 »

김두한

(金斗漢, 1918년 5월 15일 ~ 1972년 11월 21일)은 일제강점기 조선의 건달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상사이.

새로운!!: 장면와 김두한 · 더보기 »

김포국제공항

국제공항(金浦國際空港, Gimpo International Airport)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있는 국제공항이.

새로운!!: 장면와 김포국제공항 · 더보기 »

김일성

일성(金日成, 1912년 4월 15일 ~ 1994년 7월 8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독재자.

새로운!!: 장면와 김일성 · 더보기 »

김종필

종필(金鍾泌, 1926년 1월 7일 ~ 2018년 6월 23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김종필 · 더보기 »

김준구

준구(1985년 11월 13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장면와 김준구 · 더보기 »

김준연

준연(金俊淵, 1895년 3월 14일 ∼ 1971년 12월 31일)은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이자 독립운동가였고,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장면와 김준연 · 더보기 »

김창숙

창숙(金昌淑, 1879년 8월 27일(음력 7월 10일) ~ 1962년 5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시인 겸 교육자이.

새로운!!: 장면와 김창숙 · 더보기 »

김수영

수영(金洙暎, 1921년 11월 27일 ~ 1968년 6월 16일)은 대한민국의 시인이.

새로운!!: 장면와 김수영 · 더보기 »

김수환

수환(金壽煥, 1922년 7월 2일 ~ 2009년 2월 16일)은 대한민국의 천주교 성직자이자 사회운동가이.

새로운!!: 장면와 김수환 · 더보기 »

김영삼

영삼(金泳三, 1927년 12월 20일 ~ 2015년 11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제14대 대통령이.

새로운!!: 장면와 김영삼 · 더보기 »

김영선 (1918년)

영선(金永善, 일본식 이름: 金山永善, 1918년 4월 25일 보령 ~ 1987년 2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제2·3·5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정치인이었.

새로운!!: 장면와 김영선 (1918년) · 더보기 »

김옥윤

옥윤(金玉允, 1901년 ~ 1990년 1월 27일)은 대한민국의 제4대 부통령 및 제2, 7대 국무총리를 지낸 장면의 아내이.

새로운!!: 장면와 김옥윤 · 더보기 »

김형일

형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김형일 · 더보기 »

김삼웅

삼웅(金三雄, 1943년 3월 3일 ~)은 대한민국의 작가·언론인으로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겸임교수이며, 독립기념관장을 역임하였.

새로운!!: 장면와 김삼웅 · 더보기 »

김성진 (1931년 10월)

성진(1931년 10월 14일 ~ 2009년 9월 17일)은 대한민국의 언론인이.

새로운!!: 장면와 김성진 (1931년 10월) · 더보기 »

김성수

성수라는 이름을 가진 인물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김성수 · 더보기 »

김성수 (1891년)

성수(金性洙, 1891년 10월 11일 ~ 1955년 2월 18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인 겸 언론인·기업인·근대주의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말기에 친일 행적 논란이 있. 대한민국 초기 정치인, 언론인, 교육인, 서예가였.

새로운!!: 장면와 김성수 (1891년) · 더보기 »

김원만

원만(金元萬, 1908년 8월 11일 ~ 2001년 10월 22일, 서울)은 대한민국 정치가이.

새로운!!: 장면와 김원만 · 더보기 »

김활란

활란(金活蘭, 일본식 이름: 天城活蘭(아마기 가쓰란), 1899년 1월 18일 ~ 1970년 2월 10일)은 일제 강점기 친일파이며 아호는 '우월'(又月)이.

새로운!!: 장면와 김활란 · 더보기 »

대령

령(大領) 또는 대좌(大佐)는 준장보다는 아래, 중령보다는 위인 군사 계급이.

새로운!!: 장면와 대령 · 더보기 »

대구광역시

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장면와 대구광역시 · 더보기 »

대주교

른 대주교 페르디난트 아우구스트 폰 슈피겔. 대주교(大主敎,,, 또는)는 기독교에서 대교구라고 불리는 교구를 관리하는 직위에 있는 고위 성직자이.

새로운!!: 장면와 대주교 · 더보기 »

대통령

통령(大統領, president)은 공화제 국가의 국가원수로서 나라에 따라 임기가 다르고, 선출하는 방식도 국민의 직접 투표 혹은 의회에서 선출하는 방식으.

새로운!!: 장면와 대통령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획재정부(企劃財政部,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약칭: 기재부, MOSF)는 중장기 국가발전전략수립, 경제·재정정책의 수립·총괄·조정, 예산·기금의 편성·집행·성과관리, 화폐·외환·국고·정부회계·내국세제·관세·국제금융, 공공기관 관리, 경제협력·국유재산·민간투자 및 국가채무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 더보기 »

대한민국 대통령비서실

통령비서실(大統領秘書室, Office of President)은 대통령의 직무를 보좌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 대통령비서실 · 더보기 »

대한민국 국무총리실

국무총리실(國務總理室, Prime Minister's Office)은 국무총리의 직무를 보좌하고, 각 행정기관의 지휘·감독, 사회위험·갈등·현안과제의 관리, 규제 개혁 및 국무총리가 특별히 지시하는 사항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었.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 국무총리실 · 더보기 »

대한민국 국무원

국무원(國務院)은 대통령과 국무총리, 기타의 국무위원으로 조직되는 합의체로서 대통령의 권한에 속한 중요 국책을 의결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었.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 국무원 · 더보기 »

대한민국 국방부

국방부(國防部,, 약칭: MND)는 국방에 관련된 군정 및 군령과 그 밖에 군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 국방부 · 더보기 »

대한민국 국회

민국 국회(大韓民國 國會)는 대한민국의 의회이며 대한민국 입법부의 주축이.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 국회 · 더보기 »

대한민국 국토건설본부

1961년 2월 27일 중앙청에서 개최한 국토건설단 제1기생 수료식 대한민국 국토건설본부(國土建設本部, National Construction Center of Korea) 또는 국토건설단(國土建設團)은 대한민국 국무총리 장면이 미취업 대학생과 인력을 구제할 목적으로 1960년 11월 28일 설치하였.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 국토건설본부 · 더보기 »

대한민국 임시 정부

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1919년 ~ 1948년)는 1919년 3월 1일 경성(京城)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1919년 4월 11일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정부이.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 임시 정부 · 더보기 »

대한민국 제1공화국

민국 제1공화국(第一共和國)은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 의해 1948년 8월 15일 이승만 정부가 수립되어 1960년 4·19 혁명으로 대한민국 제2공화국이 탄생하기 전까지 지속된 첫 번째 공화 헌정 체제이.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 제1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제2공화국

제2공화국을 이끌었던 장면 총리 제2공화국(第二共和國)은 1960년 6월 15일부터 1961년 5월 16일까지 불과 11개월간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두 번째 공화 헌정체제이.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 제2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제3대 대통령 선거

1956년 5월 15일 국민들의 직접선거에 의해 실시된 제3대 대통령 선거 및 제4대 부통령 선거로 이승만 후보를 제3대 대통령으로 선. 한국 전쟁의 결과 대한민국으로 편입된 수복지구 유권자들이 참여한 첫 선거이.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 제3대 대통령 선거 · 더보기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민국 제5대 총선(大韓民國第五代總選)은 1960년 4·19 혁명으로 이승만 정부가 붕괴된 후 대한민국 제2공화국 헌법(大韓民國第二共和國)에 따라 1960년 7월 29일에 실시된 선거이.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 더보기 »

대한민국 제헌 국회

제헌 국회 총선 투표 광경 대한민국의 제1대 국회인 대한민국 제헌 국회(大韓民國 制憲國會)는 대한민국 헌법을 제정한 국회를 뜻하며 1948년 5월 31일 구성되고 1950년 5월 30일까지 활동한 국회를 말.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국민의 직접 투표로 선출된 국회의원을 구성원으로 한 국회이.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 제헌 국회 · 더보기 »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5월 10일에 실시된 남한 총선거의 벽보용 선거 홍보물. 낱장 칼라본. 전면에 태극기를 가로질러 건 독립문과 당시 군정청 건물로 선거하러 가는 인물들이 그려지고, 상단에 총선거 일시(5월 10일)가 표시됨. 중앙에 ‘총선거로 독립문이 열린다’, ‘중앙정부수립’, 좌우로 ‘기권은 국민의 수치’, ‘투표는 애국민의 의무’라는 표어가 인쇄됨.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또는 9.99 총선거는 1999년 9월 9일에 제헌 국회를 구성할 국회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된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적 선거이.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 더보기 »

대한민국 정부

정부서울청사 대한민국 정부(大韓民國 政府)는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의 헌법기관으로 구성되어 있. 넓은 의미로는 이 3부 기관을 통틀어 일컫는 개념이지만, 좁은 의미로는 행정부만을 일컫.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 정부 · 더보기 »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반민규명위 보고서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大韓民國 親日反民族行爲眞相糾明委員會, 약칭 반민규명위)는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이 2004년 3월 22일 공포되면서 이 법률의 시행령에 따라 2005년 5월 31일 대통령 소속으로 발족한 기구이.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본부

육군본부(陸軍本部, Republic of Korea Army Headquarters, 약칭: 육본)는 대한민국 육군을 총괄하는 기구이.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 육군본부 · 더보기 »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

1920년 3월1일 미국 워싱턴에서 3·1절 1주년 기념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한 임정 구미위원부 간부들.(앞줄 가운데가 이승만 박사, 그 오른쪽이 김규식 박사)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구미외교위원회)는 1919년 8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미국 워싱턴 D.C.에 설치한 미국, 유럽 각국을 대상으로 한 외교행정업무를 주관하는 부서였.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민국의 민주당계 정당은 대한민국 정당사에서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자유주의, 사회자유주의, 진보주의, 자유보수주의, 민주주의, 운동권 세력 등이 서로 이합집산하면서 수차례 정계개편을 통해 이어져 온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정당 계통이.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부통령

민국의 부통령(大韓民國의 副統領)은 대한민국 제1공화국 헌법에 규정된 대통령 다음의 직책으로, 대통령이 사고로 인하여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대통령의 권한을 대행하는 권한을 가졌.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의 부통령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대통령

민국 대통령(大韓民國 大統領)은 대한민국의 국가원수이자 정부수반으로서 임기는 5년이며 연임과 중임이 불가능.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의 대통령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국무총리의 휘장 국무총리(國務總理)는 대한민국의 정무직 공무원으로 현행 대한민국 헌법 하에서 대통령을 보좌하며, 행정에 관하여 대통령의 명령을 받아 행정 각부를 통할(통괄 및 관할)하는 역할을 맡는다(헌법 제86조 제2항).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회의장

국회의장(國會議長, Speaker of National Assembly)은 대한민국 입법부의 장이.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의 국회의장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국회의원(國會議員)은 대한민국 국회의 의원으로, 국회의 구성원이.

새로운!!: 장면와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 더보기 »

대한기독교청년회연맹

독교청년회연맹(大韓基督敎靑年會聯盟, National Council of the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s of Korea) 또는 한국YMCA는 대한민국에서 조직된 기독교 민간단체 기독교청년회를 망라한 청년운동 단체이.

새로운!!: 장면와 대한기독교청년회연맹 · 더보기 »

대한적십자사

적십자사(大韓赤十字社, Korean Red Cross)는 대한민국의 비영리 특수법인이.

새로운!!: 장면와 대한적십자사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새로운!!: 장면와 대한제국 · 더보기 »

대학

학교 졸업식. 학사모는 대학 수료의 상징이다 대학(大學,,: "전체"라는 의미)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학위를 수여하는 고등교육 및 연구기관 이. 교육기관을 초등·중등·고등으로 나눠보았을 때 최고 교육기관이.

새로운!!: 장면와 대학 · 더보기 »

교부들의 신앙

부들의 신앙()은 미국 볼티모어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이자 추기경으로 재직하였던 제임스 기본스에 의해 1876년 첫 출간된, 개신교를 중심으로 비가톨릭 기독교인에 대해 가톨릭 신앙을 변호하는 신학 호교론서이.

새로운!!: 장면와 교부들의 신앙 · 더보기 »

교육학

김나지움에서의 영어수업(1988년 6월 본) 교육학(敎育學, pedagogy)은 교사가 지도하는 일에 대한 기술과 연구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교수(敎授)의 전략이나 방법을 가리.

새로운!!: 장면와 교육학 · 더보기 »

교토 시

시()는 일본 혼슈 중앙부에 있는 일본 10대 도시중 하나이.

새로운!!: 장면와 교토 시 · 더보기 »

교황

황(敎皇)은 《교황청 연감》에 따르면 로마의 주교이자 가톨릭교회 전체의 영적 지도자이며 바티칸 시국의 국가원수이.

새로운!!: 장면와 교황 · 더보기 »

교황 비오 11세

황 비오 11세(라틴어: Pius PP. XI, 이탈리아어: Papa Pio XI)는 제259대 교황(재위: 1922년 2월 6일 ~ 1939년 2월 10일)이.

새로운!!: 장면와 교황 비오 11세 · 더보기 »

교황 비오 12세

황 비오 12세(라틴어: Pius PP. XII, 이탈리아어: Papa Pio XII)는 제260대 교황(재위: 1939년 3월 2일 ~ 1958년 10월 9일)이.

새로운!!: 장면와 교황 비오 12세 · 더보기 »

국무회의

국무회의(國務會議)는 대한민국 정부의 권한에 속하는 중요정책을 심의하는 최고정책심의기관이.

새로운!!: 장면와 국무회의 · 더보기 »

국무위원

국무위원(國務委員)은 대한민국 행정부의 국무회의의 구성원으로, 대통령을 보좌하고 국정을 심의하며 대통령이 서명한 뒤에 각 국무위원이 서명하는 부서(副署)권을 가지고 있. 그리고 행정 각부의 장관은 국무위원 중에서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

새로운!!: 장면와 국무위원 · 더보기 »

국민보도연맹

국민보도연맹(國民保導聯盟)은 1948년 12월 시행된 국가보안법에 따라 ‘좌익사상에 물든 사람들을 사상전향시켜 이들을 보호하고 인도한다’는 취지와 국민의 사상을 국가가 나서서 통제하려는 이승만 정권이 대국민 사상통제를 목적으로 1949년 6월 5일에 조직했던 대한민국 반공 단체로, 흔히 보도연맹이라고 부른.

새로운!!: 장면와 국민보도연맹 · 더보기 »

국민장

국민장 중 노무현 대통령 대한문 추도 국민장(國民葬)은 「국장·국민장에 관한 법률」(제정 법률 제1884호 1967년 1월 16일)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가 공식 주관하는 장례 의전 가운데 하나였.

새로운!!: 장면와 국민장 · 더보기 »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國民精神總動員朝鮮聯盟)는 1938년에 동아일보의 김성수, 조선일보의 방응모, 이화여대의 김활란 등이 결성한 전시동원 선전조직으로 그 회원의 수가 삼만여 명에 이루었.

새로운!!: 장면와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 더보기 »

국가보안법

국가보안법(國家保安法, National Security Act)은 1948년 12월 1일 대한민국 정부가 일본 제국의 치안유지법을 기반으로 하여 대한민국 내에서 자본주의적 기본질서를 위태롭게 하는 반국가 단체의 활동을 규제하기 위해 제정한 법률이.

새로운!!: 장면와 국가보안법 · 더보기 »

국가재건최고회의

5월 20일, 중앙청 광장에서 포고하는 장도영과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國家再建最高會議)는 대한민국에서 5·16 군사 정변 이후 정변 주도세력이 5월 18일에 '군사혁명위원회'에서 이름을 바꾸어 발족시킨 입법·행정·사법의 3권을 행사했던 통치기구이.

새로운!!: 장면와 국가재건최고회의 · 더보기 »

국대안 파동

국대안 파동(國大案波動)은 군정기인 1946년 미군정청 학무국이 일제시대의 여러 단과대학들을 통폐합하여 단일 종합대학인 국립서울대학교를 설립하겠다는 안을 발표하자 1948년까지 2년간 통폐합 대상 학교들의 교수, 학생들이 격렬히 반대한 사건이.

새로운!!: 장면와 국대안 파동 · 더보기 »

국수

서울에서 국수를 말리는 모습 국수 혹은 면(麵)은 주로 밀가루로 만든 반죽을 말거나, 틀에 누르거나, 밀어서 얇게 한 다음 써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가늘고 길게 뽑아 낸 것을 말. 또는 그것을 삶아서 먹는 음식을 가리.

새로운!!: 장면와 국수 · 더보기 »

군부 독재

부 독재(軍部獨裁)는 한 나라나 지방의 군사력을 통솔하는 군부 출신 지도자 또는 군부 출신 인사가 주도권을 쥐고 있는 독재 정치를 시행하는 형태의 정권이.

새로운!!: 장면와 군부 독재 · 더보기 »

군정

정(軍政)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장면와 군정 · 더보기 »

군수

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군수 · 더보기 »

남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南朝鮮勞動黨), 줄여서 남로당은 1946년 11월 23일 서울에서 조선공산당, 남조선신민당, 조선인민당의 합당으로 결성된 공산주의 정당이.

새로운!!: 장면와 남조선로동당 · 더보기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조선과도입법의원(南朝鮮過渡立法議院) 또는 남조선과도입법위원회(南朝鮮過渡立法委員會)는 1946년 12월 12일 미 군정 한국에서 개원한 미군정 시대의 입법기관으로서 1946년 5월 미소공동위원회가 무기한 휴회(休會)하자 미군정에서 구성한 과도입법의원이었.

새로운!!: 장면와 남조선과도입법의원 · 더보기 »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

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南朝鮮大韓國民代表民主議院) 또는 민주의원이란, 미군정기 1946년 2월 14일에 설립된 미군정청의 의회 형식의 입법, 자문기관을 말. 미군정은 민주의원을 군정 하의 입법 기관의 형태로 구성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

새로운!!: 장면와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 · 더보기 »

남한

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장면와 남한 · 더보기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와이트 데이비드 "아이크" 아이젠하워(Dwight David "Ike" Eisenhower, 1890년 10월 14일 ~ 1969년 3월 28일)는 미국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미국 육군 원수이었고 1953년부터 1961년까지 미국의 34번째 대통령을.

새로운!!: 장면와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더보기 »

딘 애치슨

애치슨(Dean Gooderham Acheson, 1893년 4월 11일 - 1971년 10월 12일)은 미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장면와 딘 애치슨 · 더보기 »

네덜란드

()는 서유럽과 카리브 제도에 걸쳐 있는 네덜란드 왕국의 구성국으로 수도는 암스테르담이나, 정부 및 각종 행정기관이 밀집한 도시는 헤이그이.

새로운!!: 장면와 네덜란드 · 더보기 »

노기남

200px 노기남(盧基南, 1902년 1월 22일(음력 1901년 12월 13일) ~ 1984년 6월 25일)은 한국의 가톨릭 성직자이며 한국천주교 최초의 한국인 주교이.

새로운!!: 장면와 노기남 · 더보기 »

뉴욕

욕(뉴욕 시티; 시티 오브 뉴욕; NYC)은 미국 북동부, 뉴욕 주의 남쪽 끝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장면와 뉴욕 · 더보기 »

뉴욕 주

욕 주(State of New York, /nuːˈjɔrk/)는 미국 북동부에 자리한 주이.

새로운!!: 장면와 뉴욕 주 · 더보기 »

뉴질랜드

(), 아오테아로아()는 태평양 남서부에 위치한 섬나라이.

새로운!!: 장면와 뉴질랜드 · 더보기 »

단발령

발령(斷髮令)은 김홍집 내각이 고종 32년인 1895년 12월 30일(음력 11월 15일)에 공포한 성년 남자의 상투를 자르고 서양식 머리를 하라는 내용의 고종의 칙령이.

새로운!!: 장면와 단발령 · 더보기 »

단군기원

원(檀君紀元) 또는 단기(檀紀)는 한민족의 역사가 시작되는 시점인 단군의 고조선 건국 연대를 기준으로 하는 상징적인 기년이.

새로운!!: 장면와 단군기원 · 더보기 »

담배

배잎. 담배()는 담뱃잎을 주 재료로 하여 만들어진 흡연 제품이.

새로운!!: 장면와 담배 · 더보기 »

당뇨병

당뇨병(糖尿病, diabetes mellitus, DM, diabetes)은 높은 혈당 수치가 오랜 기간 지속되는 대사 질환군을 말. 혈당이 높을 때의 증상으로는 소변이 잦아지고, 갈증과 배고픔이 심. 이를 치료하지 않으면 다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 급성의 합병증으로는 당뇨병케톤산증, 고혈당성 고삼투성 비케톤성 혼수 등이 포함된다 심각한 장기간 합병증으로는 심혈관질환, 뇌졸중, 만성신부전, 당뇨병성 궤양, 당뇨망막병 등이.

새로운!!: 장면와 당뇨병 · 더보기 »

스위스

스위스()는 중앙유럽에 있는 연방 공화국이며, 내륙국이.

새로운!!: 장면와 스위스 · 더보기 »

용산

용산(龍山)은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장면와 용산 · 더보기 »

용산구

용산구(龍山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한강 위쪽 중간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장면와 용산구 · 더보기 »

운석기념회

운석기념회는 운석 장면 선생의 정신․사상 및 업적의 연구, 발전, 계승으로 민족문화 창달을 도모하기 위하여 1999년 10월 11일 설립된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사단법인이.

새로운!!: 장면와 운석기념회 · 더보기 »

요한

요한은 유대교에서 기원한 이름이.

새로운!!: 장면와 요한 · 더보기 »

자유

자유(自由)는 일반적으로 어떤 존재가 내부나 외부로부터 구속이나 지배를 받지 않고 하고자 하는 것을 하거나 있는 그대로 존재할 수 있는 상태를 말. 서구 학술사의 맥락에서는 영어 리버티(liberty)와 프리덤(freedom)의 번역어로 사용되고 있. 단정할 수는 없으나 일반적으로 liberty는 freedom과 뚜렷한 차이를 갖. freedom은 주로 누군가가 의지한 대로 할 수 있는 능력이며, 누군가가 행위 할 수 있는 힘을 가짐을 말. 반면 liberty는 원칙 혹은 법이 아닌 자의적인 의지로 행해지는 억압을 봉쇄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며 연루된 모든 이의 권리를.

새로운!!: 장면와 자유 · 더보기 »

자유민주주의

자유민주주의(自由民主主義) 또는 정치적 민주주의는 자유주의와 민주주의가 결합된 정치원리 및 공화제 입헌 정부형태이.

새로운!!: 장면와 자유민주주의 · 더보기 »

자유당 (대한민국)

자유당(自由黨)은 1951년 12월에 대한민국에서 창당된 보수정당이며 대통령 이승만을 당수로 하였으며, 장택상 · 이범석 · 장면 · 배은희 · 이기붕 · 함태영, 이갑성, 백성욱이 주요 간부였.

새로운!!: 장면와 자유당 (대한민국) · 더보기 »

자유주의

자유주의(自由主義, Liberalism)는 자유 사상을 최상의 정치·사회적 가치로 삼는 역사적 전통이며, 사회철학적 관점이자 이데올로기이.

새로운!!: 장면와 자유주의 · 더보기 »

장덕수

장덕수(張德秀, 1894년 12월 10일 ~ 1947년 12월 2일)는 한국의 친일파, 정치인, 교육자, 학자, 언론인이.

새로운!!: 장면와 장덕수 · 더보기 »

장도영

장도영(張都暎, 1923년 1월 23일 ~ 2012년 8월 3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장면와 장도영 · 더보기 »

장발 (화가)

장발(張勃, Thomas Chang, 1901년 4월 3일 ~ 2001년 4월 8일)은 대한민국의 미술가이며 서양화가 겸 외교관이.

새로운!!: 장면와 장발 (화가) · 더보기 »

장극

장극(張勀, 초명(初名)은 張剋, 영문명(英文名)은 Paul Chang, 1913년 4월 8일 ~ 2008년 2월 21일)은 대한민국의 항공공학자이자 대학 교수 겸 저술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공군 소령이.

새로운!!: 장면와 장극 · 더보기 »

장기빈

장기빈(張箕彬, 1874년 9월 9일 ~ 1959년 7월 24일)은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의 기업가였고 때때로 시인과 번역가, 평론가로도 활동하였.

새로운!!: 장면와 장기빈 · 더보기 »

장기영

장기영에는 에는 다음의 동명이인이 있.

새로운!!: 장면와 장기영 · 더보기 »

장기영 (1903년)

장기영(張基永, 1903년 10월 20일 영월 - 1981년 5월 17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외교관,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장기영 (1903년) · 더보기 »

장익 (1933년)

장익(張益, 1933년 11월 20일 ~)은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성직자이자 시민사회단체인이.

새로운!!: 장면와 장익 (1933년) · 더보기 »

장준하

장준하(張俊河, 1918년 8월 27일 ~ 1975년 8월 17일)는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종교인, 언론인, 사회운동가이.

새로운!!: 장면와 장준하 · 더보기 »

장진 (1927년)

장진(張震, 1927년 2월 10일 ~ 2011년 9월 30일)은 대한민국의 생물학자이며 대학 교수이.

새로운!!: 장면와 장진 (1927년) · 더보기 »

장택상

장택상(張澤相, 1893년 10월 22일 ~ 1969년 8월 1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작가이.

새로운!!: 장면와 장택상 · 더보기 »

장순

장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장순 · 더보기 »

장수 황씨

장수 황씨(長水 黃氏)는 전라북도 장수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장면와 장수 황씨 · 더보기 »

펜실베이니아주

실베이니아 주(펜실베이니아 독일어: Pennsylvaani  또한Pennsilfaani) 미국 북동부의 주이.

새로운!!: 장면와 펜실베이니아주 · 더보기 »

임병직

임병직(林炳稷, 1893년 10월 26일 ~ 1976년 9월 21일)은 한때 미국 영구거주권을 취득한 전력이 있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며 정치가 겸 외교관이었.

새로운!!: 장면와 임병직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장면와 임진왜란 · 더보기 »

임영신

임영신(任永信, 1899년 11월 20일 ~ 1977년 2월 17일)은 한국의 교육자 및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임영신 · 더보기 »

포덤 대학교

학교의 키팅 홀 포덤 대학교(Fordham University)는 미국 뉴욕에 위치한 예수회 계열의 사립 대학이.

새로운!!: 장면와 포덤 대학교 · 더보기 »

포덤 대학교 법학대학원

학교 법학대학원(Fordham University School of Law)은 포덤 대학교내 법학전문대학원이.

새로운!!: 장면와 포덤 대학교 법학대학원 · 더보기 »

포천시

시(抱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북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장면와 포천시 · 더보기 »

평양고등보통학교

평양고등보통학교 평양고등보통학교(平壤高等普通學校)는 대한제국 말기인 1909년 평양에 설립된 근대 교육 기관이.

새로운!!: 장면와 평양고등보통학교 · 더보기 »

평양부

평양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평양부 · 더보기 »

평안도

조선후기 평안도 평안도(平安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장면와 평안도 · 더보기 »

평안북도

평안북도(平安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장면와 평안북도 · 더보기 »

평안남도

평안남도(平安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장면와 평안남도 · 더보기 »

흡연

300px 흡연(吸煙,喫煙)은 담배 등을 태워서 그 연기를 흡입하는 행위, 곧 담배 등을 피우는 행위이.

새로운!!: 장면와 흡연 · 더보기 »

흥사단

흥사단 창립자 도산 안창호 흥사단(興士團)은 1913년 5월 13일 도산(島山) 안창호(安昌浩)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창립한 민족운동단체이.

새로운!!: 장면와 흥사단 · 더보기 »

이덕일

이덕일(李德一, 1961년 10월 7일 ~)은 대한민국의 작가, 언론인이.

새로운!!: 장면와 이덕일 · 더보기 »

이동하

이동하(李東河, 1942년~)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

새로운!!: 장면와 이동하 · 더보기 »

이묘묵

이묘묵(李卯默, 일본식 이름: 李宮卯默, 1902년 12월 9일 ~ 1957년 2월 27일)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인으로, 본관은 전주이며 평안남도 중화군 상원면 출신이.

새로운!!: 장면와 이묘묵 · 더보기 »

이민우 (1915년)

이민우(李敏雨, 1915년 9월 5일 충남 논산- 2004년 12월 9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이민우 (1915년) · 더보기 »

이범석

이범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이범석 · 더보기 »

이범석 (1900년)

이범석(李範奭, 1900년 10월 20일 ~ 1972년 5월 11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겸 저술가이.

새로운!!: 장면와 이범석 (1900년) · 더보기 »

이기붕

이기붕(李起鵬, 1896년 12월 20일 ~ 1960년 4월 28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장면와 이기붕 · 더보기 »

이기호

이기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이기호 · 더보기 »

이용문

이용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이용문 · 더보기 »

이용원

이용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이용원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새로운!!: 장면와 이승만 · 더보기 »

이인

이인(李仁, 1896년 10월 26일 ~ 1979년 4월 5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법률가,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이인 · 더보기 »

이종찬

이종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이종찬 · 더보기 »

이종찬 (1916년)

이종찬(李鐘贊, 1916년 3월 10일 ~ 1983년 2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일본군 장교 출신의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이종찬 (1916년) · 더보기 »

이준 (1859년)

이준(李儁, 1859년 12월 18일 ~ 1907년 7월 14일)은 구한말의 검사이자 외교관이.

새로운!!: 장면와 이준 (1859년) · 더보기 »

이철승

이철승(李哲承, 1922년 5월 15일 ~ 2016년 2월 27일)은 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 정치인, 시민사회기관단체인이.

새로운!!: 장면와 이철승 · 더보기 »

이윤영

이윤영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이윤영 · 더보기 »

이윤영 (1890년)

이윤영(李允榮,1890년 8월 19일 ~ 1975년 10월 15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의 독립운동가, 교육자이며 기독교 감리교 목사이고, 대한민국의 목회자, 정치가이.

새로운!!: 장면와 이윤영 (1890년) · 더보기 »

이탈리아

이탈리아 공화국(음역어: 이태리(伊太利))은 남유럽의 이탈리아 반도와 지중해의 두 섬 시칠리아 및 사르데냐로 이루어진 단일 의회 공화국이.

새로운!!: 장면와 이탈리아 · 더보기 »

이순용

이순용(李淳鎔, 1897년~1988년 10월 9일, 서울)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이.

새로운!!: 장면와 이순용 · 더보기 »

이순신

광화문 광장의 이순신 동상 이순신(李舜臣, 1545년 4월 28일 ~ 1598년 12월 16일 (음력 11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장면와 이순신 · 더보기 »

이영훈

이영훈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이영훈 · 더보기 »

이사관

이사관(1705년 ~ 177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본관은 한산으로, 영조 때 좌의정을.

새로운!!: 장면와 이사관 · 더보기 »

이한림

이한림(李翰林, 1921년 2월 10일 ~ 2012년 4월 29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기업가, 정치가, 외교관이.

새로운!!: 장면와 이한림 · 더보기 »

이아주

이아주(李娥珠, 리아주, 1899년 음력 7월 19일 ~ 1968년 9월 11일)는 일제 강점기 평안북도 출신이며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장면와 이아주 · 더보기 »

이시영

이시영은 다음의 인물이 있.

새로운!!: 장면와 이시영 · 더보기 »

이시영 (1868년)

이시영(李始榮, 문화어: 리시영, 1868년 12월 3일 한성부 ~ 1953년 4월 17일)은 조선,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이시영 (1868년) · 더보기 »

이후락

이후락(李厚洛, 1924년 2월 23일 ~ 2009년 10월 31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을 지낸 외교관 겸 정치가이.

새로운!!: 장면와 이후락 · 더보기 »

이홍렬 (정치인)

이홍렬(李泓烈)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외교관이었.

새로운!!: 장면와 이홍렬 (정치인) · 더보기 »

이홍규

이홍규(李弘圭, 1905년 5월 10일 ~ 2002년 10월 31일, 일본식 이름: 마루야마 아키오, 丸山晃生)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새로운!!: 장면와 이홍규 · 더보기 »

인도

인도 공화국()은 남아시아에 있는 나라로, 인도 아대륙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 국가 면적은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넓으며, 인구는 약 13억 명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 북쪽과, 북동쪽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 북쪽으로는 네팔, 부탄, 서쪽에는 파키스탄, 동쪽으로는 미얀마와 방글라데시, 남동쪽에는 벵골 만, 남서쪽으로는 아라비아 해, 남쪽으로는 인도양와 맞닿아 있으며 스리랑카, 몰디브가 있으며,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의 해상경계는 태국, 인도네시아와 접해 있. 수도는 뉴델리이.주요 도시로는 뉴델리, 뭄바이, 첸나이, 벵갈루루, 하이데라바드, 콜카타등이 있. 고대 인더스 문명의 발상지이자 역사적인 무역로였으며 거대한 제국이 있었던 인도 아대륙은 오랫동안 그 지정학적 지위와 경제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왔.

새로운!!: 장면와 인도 · 더보기 »

인도양

인도양(印度洋, Indian Ocean)은 세계에서 3번째로 큰 바다이며 전체 바다 면적의 20%를.

새로운!!: 장면와 인도양 · 더보기 »

인동

인동은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장면와 인동 · 더보기 »

인동 장씨

인동 장씨(仁同 張氏)는 경상북도 구미시 인동동(仁同洞)을 관향(貫鄕)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장면와 인동 장씨 · 더보기 »

인물과 사상

월간 인물과사상은 대한민국의 월간지이.

새로운!!: 장면와 인물과 사상 · 더보기 »

인천박문초등학교

인천박문초등학교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동춘1동에 있는 사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장면와 인천박문초등학교 · 더보기 »

인천본부세관

인천본부세관(仁川本部稅關, Incheon Main Customs) 또는 인천세관 은 대한민국 관세청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장면와 인천본부세관 · 더보기 »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서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장면와 인천광역시 · 더보기 »

인천부

인천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인천부 · 더보기 »

인천항

인천항(仁川港)은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서해안 제1의 무역항구로 수도권 지방의 해상 관문이.

새로운!!: 장면와 인천항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장면와 일본 · 더보기 »

일본 천황

국화문장은 공식 국장은 아니지만 일본 천황의 상징이며, 국장처럼 쓰이기도 한다 일본 천황() 또는 일왕(日王)은 일본의 군주로 일본 황실의 대표이.

새로운!!: 장면와 일본 천황 · 더보기 »

일본인

일본인(にっぽんじん; 닛폰진으로도 읽힘)은 일본 열도에 사는 야마토 민족, 류큐 민족, 아이누 민족, 윌타 민족, 니브히 민족, 오로치 민족 등을 총칭.

새로운!!: 장면와 일본인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장면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의민태자

의민태자(懿愍太子, 1897년 10월 20일 ~ 1970년 5월 1일)는 대한제국의 황태자이자 일본 제국의 군인이.

새로운!!: 장면와 의민태자 · 더보기 »

의회

의회(議會) 혹은 국회(國會)는 현대 민주국가 정치체제에서 입법부, 다시 말해 법을 심의하고 제정하는 기관을 일컫.

새로운!!: 장면와 의회 · 더보기 »

의사당

의사당(議事堂)은 입법부가 있는 건물을 총칭.

새로운!!: 장면와 의사당 · 더보기 »

의원내각제

의원내각제(議院內閣制)란 행정부의 성립과 존속이 의회(입법부)의 신임에 근거하는 정부 형태를 말. 원어(Parliamentary system)의 의미 및 의회가 정부를 구성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의회정부제(議會政府制)라고 부르기도 하고, 내각(정부)이 국정에 관하여 의회에 책임을 진다는 점(내각불신임권의 존재)에 주목하여 내각책임제 또는 책임정부(responsible government)라고 부르.

새로운!!: 장면와 의원내각제 · 더보기 »

흑인

흑인(黑人)은 보편적 인종 구별에 따라 피부가 검은 사람을 통틀어 일컫는 말로, 주로 아프리카계 사람을 가리.

새로운!!: 장면와 흑인 · 더보기 »

제1공화국 (드라마)

《제1공화국》(第一共和國)은 문화방송이 제1공화국을 배경으로 다룬 정치드라마로서 1981년 4월 2일 첫 방송을 시작해 1982년 2월 11일까지 매주 목요일 밤에 방송된 드라마이.

새로운!!: 장면와 제1공화국 (드라마) · 더보기 »

제2공화국 (드라마)

《제2공화국》은 MBC가 제2공화국을 배경으로 1960년 4·19 혁명에서부터, 1961년 5·16 군사정변, 그리고 군정과 제3공화국의 성립까지를 그린 정치 드라마로 1989년 7월 16일부터 1990년 4월 29일까지 매주 일요일 밤에 방영되었으며, 총 41부작 드라마이.

새로운!!: 장면와 제2공화국 (드라마) · 더보기 »

제3공화국 (드라마)

《제3공화국》(第三共和國)은 문화방송이 제3공화국을 배경으로 다룬 정치드라마로서 박정희의 출생과 성장 과정, 그리고 1961년 5·16 군사정변과 군정, 그리고 1972년 10월 17일 10월 유신이 선포되는 것까지 다룬 드라마로 매주 일요일에 방영되었으며, 1993년 2월에서부터 8월까지 방영된 총 26부작 드라마이.

새로운!!: 장면와 제3공화국 (드라마) · 더보기 »

전북대학교

전북대학교(全北大學校, Chonbuk National University)는 전라북도 전주시에 소재한 대한민국의 지방거점 국립대학교이.

새로운!!: 장면와 전북대학교 · 더보기 »

전규홍

전규홍(全奎弘, 1906년 ~ 2001년 5월 29일)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이.

새로운!!: 장면와 전규홍 · 더보기 »

전두환

전두환 (全斗煥, 1931년 1월 18일 ~)은 대한민국 제11•12대 대통령이.

새로운!!: 장면와 전두환 · 더보기 »

전선애

전선애(田善愛, 1904년~2000년 3월 29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겸 교육자이.

새로운!!: 장면와 전선애 · 더보기 »

정민

정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정민 · 더보기 »

정대철

정대철(鄭大哲, 1944년 1월 4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장면와 정대철 · 더보기 »

정운현

정운현(1959년 9월 2일 ~)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작가이자 역사학자, 평론가이.

새로운!!: 장면와 정운현 · 더보기 »

정일형

정일형(鄭一亨, 1904년 2월 23일 ~ 1982년 4월 25일)은 대한민국의 관료이며 정치인이다. 미군정기 때 미군정청 인사행정처장과 물자행정처장을 지냈으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야당에서 활약하였다. 제2공화국의 두 번째 외무부 장관이었으며, 5·16 군사 정변 이후 실각하였다. 한민당의 창당 멤버이자 민주당의 당원이었으나, 민주당 신파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신파의 영수였던 국무총리 장면과의 사이는 원만하지 못했다. 한국 초기 여성 변호사인 이태영의 남편이자, 정치인 정대철의 아버지이자 정치인 정호준의 할아버지이며, 이윤영의 처조카였다. 호(號)는 금연(錦淵)이다.

새로운!!: 장면와 정일형 · 더보기 »

정진석

정진석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장면와 정진석 · 더보기 »

정지용

정지용(鄭芝溶, 1902년 6월 20일 (음력 5월 15일) ~ 1950년)은 대한민국의 대표적 서정시인이.

새로운!!: 장면와 정지용 · 더보기 »

정치 자금

정치 자금(政治資金)은 정치를 하는 데 소요되는 자금이.

새로운!!: 장면와 정치 자금 · 더보기 »

정윤재

정윤재(鄭允在, 1963년 8월 20일 ~)는 대한민국의 노무현재단 사무처장이.

새로운!!: 장면와 정윤재 · 더보기 »

정헌주

정헌주(鄭憲柱, 1915년 9월 23일 ~ 1999년 5월 21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정헌주 · 더보기 »

조병옥

조병옥(趙炳玉, 1894년 5월 21일 충청남도 천안 ~ 1960년 2월 15일 미국)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경찰관, 정치가이.

새로운!!: 장면와 조병옥 · 더보기 »

조광

《조광》(朝光)은 일제 강점기인 1935년 10월에 창간된 월간 잡지이.

새로운!!: 장면와 조광 · 더보기 »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장면와 조광조 · 더보기 »

조봉암

조봉암(曺奉岩, 1898년 9월 25일 ~ 1959년 7월 31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조봉암 · 더보기 »

조재천

조재천(曺在千, 1912년 11월 19일 ~ 1970년 7월 5일, 전남 광양)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조재천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장면와 조선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장면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조선인민보

《조선인민보(朝鮮人民報)》는 대한민국의 신문이.

새로운!!: 장면와 조선인민보 · 더보기 »

조선인민군

조선인민군(朝鮮人民軍)은 조선로동당의 군대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장면와 조선인민군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의 휘장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거버먼트 제네럴 오브 코리아)는 일본 제국이 1910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이었.

새로운!!: 장면와 조선총독부 · 더보기 »

존 무초

존 조지프 무초(John Joseph Muccio, 1900년 3월 19일 ~ 1989년 5월 19일)는 미국의 외교관이.

새로운!!: 장면와 존 무초 · 더보기 »

존 F. 케네디

존 피츠제럴드 "잭" 케네디(John Fitzgerald "Jack" Kennedy, 1917년 5월 29일 ~ 1963년 11월 22일) 또는 약어로 JFK는 미국의 제35대 대통령이.

새로운!!: 장면와 존 F. 케네디 · 더보기 »

좌우합작운동

좌우합작운동(左右合作運動) 혹은 좌우합작위원회(左右合作委員會)는 1946년에 일제 강점기 이후의 정부를 수립하기 위한, 조선의 좌우 세력이 합작하여 연대를 추진하였던 운동을 말. 이 운동에는 중도파 세력 인사들이 주축으로 구성되어 전개되었.

새로운!!: 장면와 좌우합작운동 · 더보기 »

종로구

종로구(鐘路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중북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장면와 종로구 · 더보기 »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는 대한민국 외교부 산하에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관의 수장이.

새로운!!: 장면와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 · 더보기 »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駐美國大韓民國大使館; Embassy of South Korea, Washington, D.C.)은 1949년 미국 워싱턴 D.C.에 개설된 대한민국 외교부 소속의 대사관이.

새로운!!: 장면와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 더보기 »

주교

카를로 세레사. 주교(主敎)는 교구나 관구의 사목 책임을 지고 감독하는 기독교의 성직자를 말. 사교(司敎)라고도 하며, 영어로는 Bishop, Right Rev..

새로운!!: 장면와 주교 · 더보기 »

주요한

주요한(朱曜翰, 일본식 이름: 松村紘一(마쓰무라 고이치), 1900년 12월 5일 ~ 1979년 11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사회운동가·시인·언론인, 개신교 목사이며 극작가이고,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주요한 · 더보기 »

주한 미국 대사

주한 미국 대사(Chief of Mission Ambassador in Korea)는 1883년 5월 20일 루시어스 푸트 특명전권공사를 시작으로 하여, 격동의 대한민국 근대사와 현대사를 같이 지켜본 미합중국 국무부의 주한 대사관의 수장이.

새로운!!: 장면와 주한 미국 대사 · 더보기 »

주한 미군

주한 미군(駐韓美軍)은 대한민국에 주둔하는 미국의 군대이.

새로운!!: 장면와 주한 미군 · 더보기 »

중공

중공 (中共)은 다음 두가지 의미를.

새로운!!: 장면와 중공 · 더보기 »

중국인민지원군

전쟁기념관에 전시된 중국인민지원군의 무기들 중국인민지원군(中國人民志願軍)는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지원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새로운!!: 장면와 중국인민지원군 · 더보기 »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中央大學校, Chung-Ang University)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에 있으며,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에 있는 대한민국의 사립대학이.

새로운!!: 장면와 중앙대학교 · 더보기 »

중앙정보국

버지니아 랭리 CIA 본부의 항공사진 중앙정보국(中央情報局)은 미국의 정보 부처 중 하나(정보기관)로서, 외국 정부, 기업, 사이버 공간 등과 개인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미국 정부의 여러 부처에 보고하는 임무를.

새로운!!: 장면와 중앙정보국 · 더보기 »

중화군

중화군(中和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장면와 중화군 · 더보기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은 동아시아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장면와 중화인민공화국 · 더보기 »

준장

준장(准將)은 군대 계급 중 하나이.

새로운!!: 장면와 준장 · 더보기 »

직접 선거

직접 선거(直接選擧)는 선거권자가 중간선거인을 선정하지 않고 직접 피선거권자를 선출하는 것으로, 간접선거에 대응하는 말이.

새로운!!: 장면와 직접 선거 · 더보기 »

직할시

직할시(直轄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베트남의 행정구역 이름이.

새로운!!: 장면와 직할시 · 더보기 »

짜장면

장면 또는 자장면()은 양파, 양배추 등 채소와 돼지고기에 춘장을 넣어 식용유와 함께 볶은 양념을 굵은 국수에 비벼서 먹는 한국식 중화요리이.

새로운!!: 장면와 짜장면 · 더보기 »

진명여자고등학교

명여자고등학교(進明女子高等學校)는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장면와 진명여자고등학교 · 더보기 »

진보당 조봉암 사건

보당 조봉암 사건(進步黨曺奉岩事件)은 1958년 대한민국 검찰이 조봉암 등 진보당 간부들을 국가변란 혐의로 기소하고 양이섭의 자백을 근거로 조봉암을 간첩죄로 기소, 사형시킨 사건이.

새로운!!: 장면와 진보당 조봉암 사건 · 더보기 »

진천군

(鎭川郡)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서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장면와 진천군 · 더보기 »

지방자치법

방자치법(地方自治法)은 지방자치단체의 종류와 조직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을 정하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사이의 기본적인 관계를 정함으로써 지방자치행정을 민주적이고 능률적으로 수행하고, 지방을 균형있게 발전시키며, 대한민국을 민주적으로 발전시키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법률이.

새로운!!: 장면와 지방자치법 · 더보기 »

지중해

중해의 위성 사진 지중해(地中海)는 대서양으로 이어지는 바다로, 해역 대부분이 세 개의 주요 대륙에 둘러싸여 있는 것이 특징이.

새로운!!: 장면와 지중해 · 더보기 »

참모총장

모총장(參謀總長)은 육해공의 선임 장교이.

새로운!!: 장면와 참모총장 · 더보기 »

참배

신사에서 참배하는 노인 참배(參拜)는 신사, 사원 등의 종교 시설을 방문하여 신불과 죽음에 경배, 기도하는 행위이.

새로운!!: 장면와 참배 · 더보기 »

참의원

의원(參議院)은 상원에 대응하는 의원이.

새로운!!: 장면와 참의원 · 더보기 »

참의원 (대한민국)

의원(參議院)은 대한민국 제2공화국에서 설치해 5·16 군사 정변 전까지 약 9개월 간 유지되었던 당시 국회의 상원(上院)이.

새로운!!: 장면와 참의원 (대한민국) · 더보기 »

창씨개명

와 한글이 혼용되어 있다. 일본식 성명 강요() 또는 창씨개명()은 1940년 2월부터 1945년 8월 광복 직전까지 일본 제국이 조선인에게 일본식 성씨를 정하여 쓰도록 강요한 것을 말. 1939년 11월 10일, 조선총독부는 '조선민사령(朝鮮民事令)'을 개정(제령 제19호)하여 조선에서도 일본식 씨명제(氏名制)를 따르도록 규정하고, 1940년 2월 11일부터 8월 10일까지 '씨(氏)'를 정해서 제출할 것을 명령하였.

새로운!!: 장면와 창씨개명 · 더보기 »

청와대

청와대 정문 청와대(靑瓦臺, Cheongwadae, Blue House)는 대한민국의 대통령과 관계된 행정기관을 말. 집무공간인 본관, 공식행사공간인 영빈관, 주거공간인 관저, 외빈 접견 장소인 상춘재, 비서 부속기구인 대통령비서실, 경호 부속기구인 대통령경호처, 대언론 창구인 춘추관을.

새로운!!: 장면와 청와대 · 더보기 »

천보산

보산은 의정부 양주 포천지역에 걸쳐져있는 산으로, 높이는 337m 이. 서쪽으로는 중랑천, 호명산이 있으며 남쪽으로는 경기도제2청사, 동쪽으로는 용암산, 동남쪽으로는 부용산 서남쪽으로는 사패산, 도봉산 이 있. 한국전쟁 당시 큰 산불이 일어나서 나무가 한때 듬성듬성했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는 빡빡산이라고도 불렸었.

새로운!!: 장면와 천보산 · 더보기 »

천주교 평양교구

주교 평양교구(天主敎 平壤敎區)는 평안도를 관할하는 한국 로마 가톨릭교회 교구이.

새로운!!: 장면와 천주교 평양교구 · 더보기 »

천주교 인천교구

주교 인천교구(天主敎仁川敎區)는 인천광역시를 비롯하여, 경기도 부천시, 김포시, 시흥시(구 소래읍), 안산시 대부도를 관할하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구 중 하나이.

새로운!!: 장면와 천주교 인천교구 · 더보기 »

총리

총리(總理)는 한자 문화권에서 '전체를 모두 관리한다'는 의미를.

새로운!!: 장면와 총리 · 더보기 »

초등학교

등학교(初等學校, (小學校))는 초등교육기관이.

새로운!!: 장면와 초등학교 · 더보기 »

춘천시

시(春川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자, 강원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장면와 춘천시 · 더보기 »

추기경

경의 문장. 상단의 갈레로와 가운데의 방패, 그 사이에 있는 십자가, 그리고 양 옆의 술과 맨 밑의 사목표어로 구성되어 있다. 갈레로는 주교가 교구를 방문할 때 전통적으로 쓰고 다녔던 모자로, 주교의 사목 책임을 표현한다. 붉은 갈레로와 그 아래 술 5단은 추기경임을 암시한다. 방패 아래쪽의 띠에는 사목표어가 라틴어로 새겨진다. 추기경(樞機卿)은 교황 다음의 권위와 명예를 누리는 가톨릭의 고위 성직자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장면와 추기경 · 더보기 »

칠레

공화국(), 줄여서 칠레()는 태평양과 남아메리카의 안데스 산맥 사이에 남북으로 긴 영토를 가진 나라이.

새로운!!: 장면와 칠레 · 더보기 »

친일반민족행위자

일파 이완용 친일반민족행위자(親日反民族行爲者), 간단히 친일파(親日派)는 동아시아 역사에서 일본 제국이 동아시아 각국을 침탈할 무렵에 일본 제국에 가담하여 그들의 침략과 약탈 정책을 지지하거나 옹호하여 추종한 무리를 가리.

새로운!!: 장면와 친일반민족행위자 · 더보기 »

쿠바

바 공화국(쿠바共和國, República de Cuba 레뿌블리까 데 꾸바), 줄여서 쿠바(Cuba 꾸바)는 카리브 해의 카리브 제도에 있는 가장 큰 섬과 인근 섬들로 이루어진 아메리카 유일의 사회주의 국가이며, 수도는 아바나, 공용어는 에스파냐어이.

새로운!!: 장면와 쿠바 · 더보기 »

유럽

리 받아들여지는 '''유럽'''의 정의:- 녹색은 지리적 유럽- 진한 파랑색은 문화적 유럽 (옅은 파랑색은 유럽 국가의 아시아 부분) 유럽() 또는 구주(한자: 歐洲), 구라파(한자: 歐羅巴)는 대륙 중 하나로, 우랄 산맥과 캅카스 산맥, 우랄 강, 카스피 해, 흑해와 에게 해의 물길을 분수령으로 하여 아시아와 구분한 지역을 일컫.

새로운!!: 장면와 유럽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장면와 유교 · 더보기 »

유네스코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는 유네스코(UNESCO)로도 더 널리 알려져 있는 1945년 창설된 유엔의 전문 기구이.

새로운!!: 장면와 유네스코 · 더보기 »

유진산

유진산(柳珍山, 1905년 10월 18일 ~ 1974년 4월 2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청년운동가이자 7선 의원을 지낸 정치인으로 전라북도 진산군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문화이고 해방 정국에서는 우익청년단체를 운용하였.

새로운!!: 장면와 유진산 · 더보기 »

유치원

미국의 유치원 어린이들 유치원(幼稚園)은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기관이.

새로운!!: 장면와 유치원 · 더보기 »

유엔

유엔() 또는 국제 연합(國際 聯合)은 세계 거의 모든 나라를 아우르는 국제 기구이.

새로운!!: 장면와 유엔 · 더보기 »

유엔 본부

유엔 본부()는 미국 뉴욕에 있는 유엔의 본부 건물이며, 1952년 완공 이래 유엔의 공식 본부로 쓰여왔.

새로운!!: 장면와 유엔 본부 · 더보기 »

유엔 평화유지군

유엔 평화유지군(UN -) 또는 국제 연합 평화유지군 (國際聯合平和維持軍, United Nations Peacekeeping Force) 은 유엔의 유사 상태시 평화와 회복을 유지하기 위해 각국의 정부가 자발적으로 파병한 병사이.

새로운!!: 장면와 유엔 평화유지군 · 더보기 »

유엔 총회

유엔 총회의 내부 유엔 총회()는 5개의 중요한 유엔 기구 중 하나이.

새로운!!: 장면와 유엔 총회 · 더보기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또는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는 회원국의 평화와 안보를 담당하는 유엔의 한 기관이.

새로운!!: 장면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 더보기 »

유원식 (군인)

유원식(柳原植, 1914년? ~ 1987년 1월 31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장면와 유원식 (군인) · 더보기 »

육군

육군(陸軍)은 지상 전투를 주임무.

새로운!!: 장면와 육군 · 더보기 »

윤보선

윤보선(尹潽善, 1897년 8월 26일 ~ 1990년 7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윤보선 · 더보기 »

윤치창

윤치창 (1961년 이전) 윤치창(尹致昌, 1899년 3월 5일 ~ 1973년 10월 1일)은 일제 강점기의 상인이자 기업인이자 미군정의 관료, 대한민국의 은행원, 공무원, 외교관이.

새로운!!: 장면와 윤치창 · 더보기 »

윤치영

윤치영(尹致暎, 1898년 2월 10일 ~ 1996년 2월 9일)은 대한민국의 친일파겸 사상가, 정치인, 언론인이.

새로운!!: 장면와 윤치영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장면와 윤치호 · 더보기 »

윤치왕

윤치왕(尹致旺, 일본식 이름: 이토 지오(伊東致旺), 1895년 2월 17일 ~ 1982년 12월 21일)은 일제 강점기의 산부인과, 외과 의사이자 의학자, 의학 교육자이며 대한민국의 산부인과 의사, 군의관이.

새로운!!: 장면와 윤치왕 · 더보기 »

파리 (프랑스)

리()는 프랑스의 수도로, 프랑스 북부 일드프랑스 지방의 중앙에 있. 센 강 중류에 있으며, 면적은 105km2.

새로운!!: 장면와 파리 (프랑스) · 더보기 »

위궤양

위궤양(胃潰瘍, gastric ulcer, peptic ulcer)은 위 내벽이 부분적으로 허는 질환을 말. 십이지장에 발생한 궤양은 십이지장 궤양(十二指腸潰瘍, duodenal ulcer)이.

새로운!!: 장면와 위궤양 · 더보기 »

위장

위장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장면와 위장 · 더보기 »

탁지부

탁지부(度支部) 또는 탁지아문(度支衙門)은 대한제국 당시 정부의 재무(財務)를 총괄하여 회계, 출납, 조세, 국채(國債), 화폐, 은행 등에 관한 일체의 사무를 맡아 처리하며 각 지방의 재무를 감독.

새로운!!: 장면와 탁지부 · 더보기 »

상투

상투는 성인 남자가 머리털을 끌어올려서 정수리 위에 틀어 감아 삐죽하게 올려 맨 것이.

새로운!!: 장면와 상투 · 더보기 »

태음력

음력(太陰曆)은 달의 차고 기욺을 기준으로 한 달을 정하는 역법을 말. 계절의 변화(즉, 태양의 일주)까지 고려한 달력은 태음태양력이.

새로운!!: 장면와 태음력 · 더보기 »

술(酒)은 에탄올을 1% 이상 함유한 음료의 총칭이.

새로운!!: 장면와 술 · 더보기 »

수도원

브로디 수도원. 수도원(修道院)은 기독교의 수도사나 수녀들이 생활하는 장소이.

새로운!!: 장면와 수도원 · 더보기 »

수학

수학(數學)은 양, 구조, 공간, 변화 등의 개념을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장면와 수학 · 더보기 »

수원농림전문학교

수원농림전문학교(水原農林專門學校)는 1918년에 개교한 전문학교였.

새로운!!: 장면와 수원농림전문학교 · 더보기 »

영문학

영문학(英文學)은 주로 영어로 쓰인 문학을 의미.

새로운!!: 장면와 영문학 · 더보기 »

영국

이트 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聯合王國), 약칭 브리튼() 또는 연합왕국(聯合王國,, UK) 혹은 영국(英國)은 유럽 북서부 해안의 브리튼 제도에 위치한 주권국이자 섬나라로, 북해, 영국 해협, 아일랜드 해 및 대서양에 접하여 있으며 그레이트 브리튼 섬의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및 아일랜드 섬 북부의 북아일랜드로 네 개의 구성국으로 이루어져 있는 연합국가이.

새로운!!: 장면와 영국 · 더보기 »

영어

영어(英語)는 영국의 잉글랜드에서 기원한 서게르만어군 언어이.

새로운!!: 장면와 영어 · 더보기 »

영어사전

영어사전(英語辭典)은 영어 단어를 설명하기 위해 제작된 사전이.

새로운!!: 장면와 영어사전 · 더보기 »

영한사전

영한사전(英韓辭典)은 영어를 한국어로 풀이한 사전이.hermit.

새로운!!: 장면와 영한사전 · 더보기 »

영웅시대 (2004년 드라마)

《영웅시대》(英雄時代)는 2004년 7월 5일부터 2005년 3월 1일까지 방송된 대한민국의 경제사를 다룬 문화방송 월화 드라마인데 당초 100부작으로 기획되었으나 "제작비 대비 시청률이 낮다'는 이유 탓인지 70부작으로 조기종영.

새로운!!: 장면와 영웅시대 (2004년 드라마) · 더보기 »

영화

영화(映畵, film)는 순간을 기록한 장면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기록한 동영상을 같이 기록한 음성과 함께 편집하여 어떤 내용을 전달하게끔 꾸며서 만든 영상물이.

새로운!!: 장면와 영화 · 더보기 »

오마이뉴스

설립자 오연호, 2005년 오마이뉴스(Ohmynews)는 대한민국의 언론이자 인터넷 신문이.

새로운!!: 장면와 오마이뉴스 · 더보기 »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줄여서 오스트레일리아() 또는 호주는 오세아니아에 속하는 나라로,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본토와 태즈메이니아 섬, 그리고 인도양과 태평양의 많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 세계에서 6번째로 면적이 넓은 나라이.

새로운!!: 장면와 오스트레일리아 · 더보기 »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공화국(), 줄여서 오스트리아()는 847만명의 인구가 살고 있는 중앙유럽 알프스 산맥에 있는 내륙국이.

새로운!!: 장면와 오스트리아 · 더보기 »

오위영

오위영(吳緯泳, 1901년 5월 5일 ~ 1978년 10월 2일, 울산)은 일제 강점기의 금융인이자 대한민국의 금융인, 정치인으로 제2·4·5대 국회의원이었.

새로운!!: 장면와 오위영 · 더보기 »

오키나와

오키나와() 또는 우치나()는 다음과 같은 대상을 가리.

새로운!!: 장면와 오키나와 · 더보기 »

호 (이름)

호(號)는 유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에서 본명이나 자 이외에 따로 지어 부르는 이름으로, 사람의 별칭이나 필명 또는 별호(別號)나 아호(雅號) 등을 가리.

새로운!!: 장면와 호 (이름) · 더보기 »

호동

호동(好童, ? ~ 32년 음력 11월)은 고구려의 제3대 국왕 대무신왕의 아들이.

새로운!!: 장면와 호동 · 더보기 »

호헌동지회

호헌동지회(護憲同志會)는 제1공화국 시기 1954년 11월 30일 당시 대통령 이승만의 종신집권을 노리고 위헌적으로 강행한 사사오입 개헌을 반대하기 위해 결집된 범야당 연합을 말. 주로 민국당, 자유당 탈퇴파, 무소속 동지회 등 60명의 정치인들이 결집.

새로운!!: 장면와 호헌동지회 · 더보기 »

예수회

예수회(S.J., SJ, SI)는 로마 가톨릭교회 소속 수도회이.

새로운!!: 장면와 예수회 · 더보기 »

현석호

현석호(玄錫虎, 1907년 5월 23일 ~ 1988년 12월 2일)는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장면와 현석호 · 더보기 »

최명수

명수(1924년 9월 14일 ~ 2015년 12월 6일)은 대한민국의 연극배우이.

새로운!!: 장면와 최명수 · 더보기 »

최경록

경록(崔慶祿, 1920년 9월 21일 ~ 2002년 9월 3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장면와 최경록 · 더보기 »

최용건

용건(崔庸健, 1900년 6월 21일 ~ 1976년 9월 19일)은 조선의 공산주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 중국, 소련의 군인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최용건 · 더보기 »

최영희 (1921년)

영희(崔榮喜, 1921년 3월 1일 ~ 2006년 1월 11일)는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 외교관으로 한국 전쟁의 지휘관이었으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중장 전역 이후, 대한민국에서 국방부 장관과 국회의원을 지낸 인물이.

새로운!!: 장면와 최영희 (1921년) · 더보기 »

최훈 (정치인)

훈(崔薰, 1928년 7월 8일 ~ 2000년 7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전 국회의원이.

새로운!!: 장면와 최훈 (정치인) · 더보기 »

양유찬

양유찬 양유찬(梁裕燦, You Chan Yang, 1897년 - 1975년 10월 20일)은 대한민국의 의사, 외교,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양유찬 · 더보기 »

헤이그

헤이그()는 네덜란드의 정부 소재지이.

새로운!!: 장면와 헤이그 · 더보기 »

여운형

여운형(呂運亨, 1886년 5월 25일 ~ 1947년 7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저술가이.

새로운!!: 장면와 여운형 · 더보기 »

여운홍

여운홍(呂運弘, 1891년 9월 1일 ~ 1973년 2월 3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며 아호는 근농(勤農)이.

새로운!!: 장면와 여운홍 · 더보기 »

연극

공연 중인 배우들 연극(演劇) 또는 극(劇)은 배우가 무대 장치조명음악 등의 도움을 받아, 연출자의 지도 아래 각본에 의해서 연기를 하여 관객에게 보이는 종합예술이.

새로운!!: 장면와 연극 · 더보기 »

연좌

연좌(連坐)는 죄인의 죄를 가족·친지들에게도 함께 묻는 제도이.

새로운!!: 장면와 연좌 · 더보기 »

연탄

연탄 ''(사진:일본제 연탄)'' 연탄(煉炭)은 대한민국에서 요리나 난방용으로 사용되는 가공된 무연탄이.

새로운!!: 장면와 연탄 · 더보기 »

연합뉴스

연합뉴스(聯合뉴스, Yonhap News Agency)는 방송과 신문, 정부, 포털 사이트, 기타 예약 구독자에게 기사를 공급하는 뉴스통신사.

새로운!!: 장면와 연합뉴스 · 더보기 »

허정

정(許政, 1896년 4월 8일 ~ 1988년 9월 1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허정 · 더보기 »

엄상섭

엄상섭(嚴詳燮, 1907년 5월 23일 ~ 1960년 5월 3일)은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엄상섭 · 더보기 »

엄항섭

엄항섭, 여운형, 장면1947년 미소공동위원회 회의장에서(앞줄 왼쪽 선글라스를 낀 남자가 엄항섭, 바로 옆은 여운형, 엄항섭의 뒷쪽 왼편에 흰 양복에 흰 중절모를 쓴 이는 장면‎ 엄항섭(嚴恒燮, 1898년 음력 9월 1일 ~ 1962년 7월 30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중화민국의 공무원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엄항섭 · 더보기 »

푸단 대학

학(부단대학,, Fudan University)은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에 있는 국립대학이며, 국가중점대학 중 하나이.

새로운!!: 장면와 푸단 대학 · 더보기 »

사도 파울로스

울로(가톨릭: 바오로 공동번역: 바울로 개역성경: 바울)는 초기 기독교의 전파와 신학에 주춧돌을 놓은 사도이며, 신약성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파울로스 서신을 저술했다고 전해지는 인물이.

새로운!!: 장면와 사도 파울로스 · 더보기 »

사령관

사령관(司令官)은 주로 육군이라면 군단 이상 해군이라면 함대 이상 등 어느 정도의 큰 규모를 갖는 단위 부대를 지휘 하는 지휘관에 배당된 직책이.

새로운!!: 장면와 사령관 · 더보기 »

사회주의

사회주의(社會主義, Socialism)는 생산 수단의 사적 소유와 소수 관리에 반대하고 공동체주의와 최대 다수의 행복 실현을 최고 가치로 하는 공동 이익 인간관 을 사회 또는 윤리관의 기반으로 삼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며 생산수단을 공동으로 운영하는 협동 경제와 모든 민중이 노동의 대가로서 정당하고 평등하게 분배받는 사회를 지향하는 다양한 사상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며, 또는 그 과정을 의미.

새로운!!: 장면와 사회주의 · 더보기 »

사제

신부(神父) 또는 사제(司祭)는 흔히 로마 카톨릭교회의 성직자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장면와 사제 · 더보기 »

사창

사창(社倉)은 조선시대 지방의 각 촌락에 설치된 일종의 곡물 대여기관(貸與機關)이.

새로운!!: 장면와 사창 · 더보기 »

살바도르 아옌데

살바도르 기예르모 아옌데 고센스(1908년 7월 26일 ~ 1973년 9월 11일)는 칠레의 소아과 의사 출신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살바도르 아옌데 · 더보기 »

삼김시대 (드라마)

《삼김시대》(三金時代)는 1998년 2월 28일부터 1998년 5월 17일까지 SBS에서 방영한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장면와 삼김시대 (드라마) · 더보기 »

삼군부

삼군부(三軍府)는 조선 초기의 군무(軍務)를 통할하던 관청이.

새로운!!: 장면와 삼군부 · 더보기 »

프랑스

랑스 공화국() 또는 프랑스()는 서유럽의 본토와 남아메리카의 프랑스령 기아나를 비롯해 여러 대륙에 걸쳐 있는 해외 레지옹과 해외 영토로 이루어진 국가로서, 유럽 연합 소속 국가 중 가장 영토가 넓. 수도는 파리이.

새로운!!: 장면와 프랑스 · 더보기 »

프롤레타리아 혁명

리아 혁명(독일어: Proletariat revolution, 영어: Proletarian revolution)은 노동자를 비롯한 무산계급이 주도하는 혁명세력이 자본주의 체제를 전복시키고 사회주의 체제의 공산주의를 이념으로 하는 사회를 건설하는 과정 또는 투쟁을 말. 다른 말로는 사회주의 혁명 또는 공산주의 혁명이.

새로운!!: 장면와 프롤레타리아 혁명 · 더보기 »

석사

석사(碩士)는 대학원에서 학업 및 연구를 어느 정도 성취한 자를 인정하는 하나의 학위이.

새로운!!: 장면와 석사 · 더보기 »

선거관리위원회

선거관리위원회(選擧管理委員會)는 선거와 국민투표의 공정한 관리, 정당 및 정치자금에 관한 사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된 국가기관으로 국회ㆍ정부ㆍ법원ㆍ헌법재판소와 같은 지위를 갖는 독립된 합의제헌법기관이.

새로운!!: 장면와 선거관리위원회 · 더보기 »

선우종원

선우종원(鮮于宗源, 1918년 2월 17일 ~ 2014년 3월 8일)은 사상검사로 활약한 법조인이.

새로운!!: 장면와 선우종원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장면와 성리학 · 더보기 »

성경

성경 또는 성서 (聖經, 聖書, Bible)은 유대교 및 기독교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이.

새로운!!: 장면와 성경 · 더보기 »

성인

성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성인 · 더보기 »

성천군

성천군(成川郡)은 평안남도 남단에 있는 군이.

새로운!!: 장면와 성천군 · 더보기 »

세례

독교 예술에서의 침례. 대한민국 개신교회에서 이루어진 세례식의 예 세례(洗禮) 또는 세례 성사(洗禮聖事)는 물을 이용하는 정화의식이.

새로운!!: 장면와 세례 · 더보기 »

세크러트리 오브 스테이트

세크러트리 오브 스테이트(secretary of State) 또는 스테이트 세크러트리(state secretary)는 여러 나라에서 공직자 직함으로 사용되는 표현이.

새로운!!: 장면와 세크러트리 오브 스테이트 · 더보기 »

세종로

세종로(世宗路)의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세종로 · 더보기 »

서민호

서민호(徐珉濠, 1903년 ~ 1974년 1월 24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서민호 · 더보기 »

서강대학교

서강대 앞 전경 서강대학교(西江大學校, Sogang University)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있는 사립 대학이.

새로운!!: 장면와 서강대학교 · 더보기 »

서북

서북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서북 · 더보기 »

서울 용산구의 국회의원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장면와 서울 용산구의 국회의원 · 더보기 »

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장면와 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 · 더보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정장(Emblem)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Seoul National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국립대학이.

새로운!!: 장면와 서울대학교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장면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서울특별시의회

서울특별시의회는 서울특별시에 제출된 의견이나 법안을 처리하기 위해 설치된 의회이.

새로운!!: 장면와 서울특별시의회 · 더보기 »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서울중앙지방검찰청(-中央地方檢察廳)은 서울중앙지방법원에 대응하여 각종 범죄에 대한 수사와 공소, 형벌의 집행과 피해자 지원업무 등을 처리하기 위하여 설립된 대한민국 검찰청 서울고등검찰청 소속의 특별지방행정기관이.

새로운!!: 장면와 서울중앙지방검찰청 · 더보기 »

서울역

서울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와 중구에 있는 경부선과 경의선,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철도역이.

새로운!!: 장면와 서울역 · 더보기 »

서울신문

《서울신문》(서울新聞)은 현재 발간 중인 대한민국 신문 중 하나로, 일시적으로 《대한매일》(大韓每日) 제호로 발간하였.

새로운!!: 장면와 서울신문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새로운!!: 장면와 서재필 · 더보기 »

서중석

서중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서중석 · 더보기 »

토요일

요일(土曜日)은 금요일 뒤의 날, 일요일 앞의 날이.

새로운!!: 장면와 토요일 · 더보기 »

송요찬

송요찬(宋堯讚, 1918년 2월 13일 ~ 1980년 10월 18일 오후 9시 (미국 시카고 현지 시간))은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며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장면와 송요찬 · 더보기 »

송진우 (1890년)

송진우(宋鎭禹, 1890년 5월 8일 ~ 1945년 12월 30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이며 일제 강점기와 해방 직후에 언론인, 교육자, 사상가, 정치인으로 활동하였.

새로운!!: 장면와 송진우 (1890년) · 더보기 »

송필만

송필만(宋必滿, 1890년 진천 ~ 1978년 7월 15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법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송필만 · 더보기 »

송원영

송원영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송원영 · 더보기 »

송원영 (1928년)

송원영(宋元英, 1928년 11월 14일 ~ 1995년 7월 23일)은 대한민국의 언론인·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송원영 (1928년) · 더보기 »

소련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약칭 소비에트 연방()또는 소련(蘇聯) 은 1922년 12월 30일부터 1991년 12월 26일까지 유라시아 북부에 존재하였던 세계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였.

새로운!!: 장면와 소련 · 더보기 »

소급입법금지

소급입법금지(遡及立法禁止)란 공법상의 원리로 법령을 이미 종결된 사실관계 또는 법률관계에 적용하는 것으로 입법하는 것을 금지하는 헌법원칙을 말. 형법에서는 형벌불소급의 원칙이.

새로운!!: 장면와 소급입법금지 · 더보기 »

소흘읍

소흘읍(蘇屹邑)은 경기도 포천시 최남부의 읍이.

새로운!!: 장면와 소흘읍 · 더보기 »

소총

소총(小銃, 라이플)은 이란 어깨에 견착해서 사용하는, 총열 내부에 나선형의 강선(라이플링)이 파여 있는 화기이.

새로운!!: 장면와 소총 · 더보기 »

퇴역 군인

역 군인(退役軍人) 또는 베터런(veteran)은 전쟁이나 특수 직책을 오랜 기간 수행한 뒤 퇴역한 군인을 가리.

새로운!!: 장면와 퇴역 군인 · 더보기 »

쇼와 천황

쇼와 천황(1901년 4월 29일 ~ 1989년 1월 7일)은 일본의 제124대 천황이.

새로운!!: 장면와 쇼와 천황 · 더보기 »

함경도

조선후기 함경도 함경도(咸鏡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장면와 함경도 · 더보기 »

함태영

영(咸台永, 1873년 10월 22일 ~ 1964년 10월 24일)은 대한제국의 법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종교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함태영 · 더보기 »

함석헌

석헌(咸錫憲, 1901년 3월 13일 ~ 1989년 2월 4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종교인, 언론인, 출판인이며 기독교운동가, 시민사회운동가였.

새로운!!: 장면와 함석헌 · 더보기 »

합리론

인식론에서 합리론(合理論), 합리주의(合理主義) 또는 이성주의(理性主義)는 이성을 지식의 제일의 근원으로 보는 견해를 말. 합리론에서의 진리의 기준은 감각적인 것이 아니라 이성적이고 연역적인 방법론이나 이론으로 정의.

새로운!!: 장면와 합리론 · 더보기 »

해리 S. 트루먼

리 S. 트루먼(Harry S. Truman,, 1884년 5월 8일 ~ 1972년 12월 26일)은 미국의 제34대 부통령(1945년), 33번째 대통령(1945년 4월 12일~1953년)이었.

새로운!!: 장면와 해리 S. 트루먼 · 더보기 »

야인시대

《야인시대(野人時代)》는 SBS에서 2002년 7월 29일부터 2003년 9월 30일까지 총 124부작 방송한 김두한의 일대기를 그린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장면와 야인시대 · 더보기 »

한근조

조(韓根朝, 평안남도 강서군 1895년 7월 19일 ~ 1972년 2월 8일)는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이며 한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한근조 · 더보기 »

한글

은 조선 제 4대 임금 세종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는 이름으로 창제하여 1446년에 반포한 문자로,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졌.

새로운!!: 장면와 한글 · 더보기 »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장면와 한국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새로운!!: 장면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한국독립당

국독립당(韓國獨立黨)은 1930년 1월 25일 중화민국 장쑤성 상하이에서 결성된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여당이며, 대한의 독립을 위하여 일본과 맞써 싸운 단체로 조소앙, 홍진, 조시원이 중심이 되어 창립되었.

새로운!!: 장면와 한국독립당 · 더보기 »

한국민주당

국민주당(韓國民主黨, Korea Democratic Party, 영문약칭 KDP)은 미군정기와 대한민국의 보수주의적, 부르주아적 자유주의 정치 정당의 하나이.

새로운!!: 장면와 한국민주당 · 더보기 »

한국방송공사

서울에 있는 KBS 사옥 KBS 업무용차량 KBS 전용차 한국방송공사(韓國放送公社,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공영 방송을 운영하는 기업이며, 대한민국의 재난방송 및 민방위방송 주관방송사이.

새로운!!: 장면와 한국방송공사 · 더보기 »

한국인

국인(韓國人)은 대한민국 국적자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적을 가진 사람을 말하며, 정식 국적이 아닌 조선적(朝鮮籍)재일 한국인 가운데 대한민국으로 국적을 변경하지 않은 사람을 말. 연합뉴스, 2014.12.29.

새로운!!: 장면와 한국인 · 더보기 »

한국의 군정기

반도 분단의 원인이 된 미국과 소련의 점령 한국의 군정기(韓國의 軍政期)는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 제국이 연합국에 항복하면서 독립이 확정된 한반도를 북위 38도선 이북에서 소련군이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 수립 전까지 38도선 이남에서는 미군이 1945년 9월 9일부터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전까지 다스린 기간을 총칭.

새로운!!: 장면와 한국의 군정기 · 더보기 »

한국어

국어의 세계 분포를 나타낸 그림. 한국어(韓國語) 또는 조선말(朝鮮말)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라고 부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말,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에서는 조선어(朝鮮語)라고 부르며,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는 고려말(高麗말)이라고 부른.

새로운!!: 장면와 한국어 · 더보기 »

한인수

인수(韓仁守, 1947년 7월 30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장면와 한인수 · 더보기 »

한일 병합 조약

일 병합 조약() 또는 한국 병합에 관한 조약()은 1910년 8월 22일에 조인되어 8월 29일 발효된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일방적인 위력에 의해 이루어진 합병조약(合倂條約)이.

새로운!!: 장면와 한일 병합 조약 · 더보기 »

한창우

창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한창우 · 더보기 »

한표욱

1954년 유엔총회에 참석한 한국 대표들. 왼쪽부터 양유찬, 한표욱, 변영태, 임병직 한표욱(韓豹頊, 1916년 8월 17일 - 2003년 8월 25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외교관, 교육자이.

새로운!!: 장면와 한표욱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장면와 한성부 · 더보기 »

안재홍

안재홍(安在鴻, 1891년 12월 30일 ~ 1965년 3월 1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이며 언론인, 역사가, 언어학자이.

새로운!!: 장면와 안재홍 · 더보기 »

하와이주

와이 주(모쿠아이나 오 하와이이)는 태평양의 하와이 제도에 위치하고 있. 본래는 폴리네시아 민족의 땅으로 여왕이 다스린 왕국이었으나, 사탕수수 상인과 군대를 앞세운 미국의 식민지가 되었고, 1959년 8월 21일 미국의 50번째 주로 편입되었.

새로운!!: 장면와 하와이주 · 더보기 »

필리핀

리핀 공화국(), 약칭 필리핀()은 서태평양에 있는 동남아시아의 섬나라이.

새로운!!: 장면와 필리핀 · 더보기 »

아명

아명(兒名)은 어린이 시절의 이름이.

새로운!!: 장면와 아명 · 더보기 »

학도병

학도병(學徒兵, student soldier) 또는 학도 의용군(學徒義勇軍)은 학생의 신분으로 전쟁에 참가한 병사이.

새로운!!: 장면와 학도병 · 더보기 »

신궁

신궁은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

새로운!!: 장면와 신궁 · 더보기 »

신구

신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신구 · 더보기 »

신국 (배우)

신국(1947년 12월 14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장면와 신국 (배우) · 더보기 »

신익희

신익희(申翼熙, 1892년 6월 9일 ~ 1956년 5월 5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새로운!!: 장면와 신익희 · 더보기 »

신창현

신창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면와 신창현 · 더보기 »

신탁 통치 반대 운동

신탁 통치 반대 운동(信託統治反對運動)은 1945년 12월 모스크바 3상회의의 결과가 알려지자 신탁 통치에 반대하여 일어난 국민운동이.

새로운!!: 장면와 신탁 통치 반대 운동 · 더보기 »

신순범

신순범(愼順範, 1933년 2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었.

새로운!!: 장면와 신순범 · 더보기 »

신약성경

신약성경(新約聖經) 또는 신약성서(新約聖書)는 기독교의 경전이.

새로운!!: 장면와 신약성경 · 더보기 »

신학

신학(神學)은 전통적으로 하나님(신, The Divine, The God) 그 자체를 정경이나 이성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연구하거나 신과 관련된 교리와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장면와 신학 · 더보기 »

심양홍

심양홍(沈洋弘, 1944년 1월 14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장면와 심양홍 · 더보기 »

시장

시장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장면와 시장 · 더보기 »

원주시

원주시(原州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서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장면와 원주시 · 더보기 »

홍명희

홍명희(洪命憙, 1888년 5월 23일 ~ 1968년 3월 5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장면와 홍명희 · 더보기 »

외무부

외무부(外務部, Ministry of Foreign Affairs) 또는 외교부(外交部)는 외교를 담당하는 행정기관으로, 일반적으로 쓰이는 행정부 부처 이름이.

새로운!!: 장면와 외무부 · 더보기 »

SBS

SBS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방송.

새로운!!: 장면와 SBS · 더보기 »

10월

10월(十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평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1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나고 2월하고도 항상 같은 요일로 끝. 그 다음 해가 윤년일 경우에는 그 다음해 9월과 12월과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장면와 10월 · 더보기 »

10월 10일

10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3번째(윤년일 경우 28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0월 10일 · 더보기 »

10월 12일

10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5번째(윤년일 경우 28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0월 12일 · 더보기 »

10월 15일

10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8번째(윤년일 경우 28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0월 15일 · 더보기 »

10월 17일

10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0번째(윤년일 경우 29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0월 17일 · 더보기 »

10월 18일

10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1번째(윤년일 경우 29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0월 18일 · 더보기 »

10월 1일

10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4번째(윤년일 경우 27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0월 1일 · 더보기 »

10월 20일

10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3번째(윤년일 경우 29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0월 20일 · 더보기 »

10월 21일

10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4번째(윤년일 경우 29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0월 21일 · 더보기 »

10월 30일

10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3번째(윤년일 경우 30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0월 30일 · 더보기 »

10월 3일

10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6번째(윤년일 경우 27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0월 3일 · 더보기 »

10월 4일

10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7번째(윤년일 경우 27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0월 4일 · 더보기 »

10월 7일

10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0번째(윤년일 경우 28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0월 7일 · 더보기 »

10월 8일

10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1번째(윤년일 경우 28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0월 8일 · 더보기 »

10월 9일

10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2번째(윤년일 경우 28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0월 9일 · 더보기 »

11월

11월(十一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한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8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고, 그 다음 해가 윤년인 경우 2월과 마지막 요일이 같. 또한, 이 달과 그 해의 3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평년인 경우 그 해의 2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장면와 11월 · 더보기 »

11월 10일

11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4번째(윤년일 경우 31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1월 10일 · 더보기 »

11월 11일

11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5번째(윤년일 경우 31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1월 11일 · 더보기 »

11월 12일

11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6번째(윤년일 경우 31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1월 12일 · 더보기 »

11월 13일

11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7번째(윤년일 경우 31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1월 13일 · 더보기 »

11월 14일

11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8번째(윤년일 경우 31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1월 14일 · 더보기 »

11월 18일

11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2번째(윤년일 경우 32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1월 18일 · 더보기 »

11월 19일

11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3번째(윤년일 경우 32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1월 19일 · 더보기 »

11월 1일

11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5번째(윤년일 경우 30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1월 1일 · 더보기 »

11월 20일

11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4번째(윤년일 경우 32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1월 20일 · 더보기 »

11월 23일

11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7번째(윤년일 경우 32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1월 23일 · 더보기 »

11월 27일

11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1번째(윤년일 경우 33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1월 27일 · 더보기 »

11월 28일

11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2번째(윤년일 경우 33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1월 28일 · 더보기 »

11월 2일

11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6번째(윤년일 경우 30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1월 2일 · 더보기 »

11월 30일

11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4번째(윤년일 경우 33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1월 30일 · 더보기 »

11월 3일

11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7번째(윤년일 경우 30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1월 3일 · 더보기 »

11월 6일

11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0번째(윤년일 경우 31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1월 6일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새로운!!: 장면와 12월 · 더보기 »

12월 10일

12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4번째(윤년일 경우 34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2월 10일 · 더보기 »

12월 12일

12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6번째(윤년일 경우 34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2월 12일 · 더보기 »

12월 14일

12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8번째(윤년일 경우 34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2월 14일 · 더보기 »

12월 17일

12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1번째(윤년일 경우 35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2월 17일 · 더보기 »

12월 1일

12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5번째(윤년일 경우 33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2월 1일 · 더보기 »

12월 20일

12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4번째(윤년일 경우 35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2월 20일 · 더보기 »

12월 22일

12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6번째(윤년일 경우 35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2월 22일 · 더보기 »

12월 27일

12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1번째(윤년일 경우 36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2월 27일 · 더보기 »

12월 29일

12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3번째(윤년일 경우 3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2월 29일 · 더보기 »

12월 7일

12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1번째(윤년일 경우 34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2월 7일 · 더보기 »

12월 8일

12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2번째(윤년일 경우 34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2월 8일 · 더보기 »

1878년

187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878년 · 더보기 »

1899년

189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899년 · 더보기 »

1901년

190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01년 · 더보기 »

1904년

190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면와 1904년 · 더보기 »

1906년

190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06년 · 더보기 »

1908년

190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면와 1908년 · 더보기 »

1910년

191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10년 · 더보기 »

1912년

191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면와 1912년 · 더보기 »

1913년

191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13년 · 더보기 »

1914년

191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14년 · 더보기 »

1916년

191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면와 1916년 · 더보기 »

1917년

191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17년 · 더보기 »

1918년

191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18년 · 더보기 »

1919년

191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19년 · 더보기 »

1920년

192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면와 1920년 · 더보기 »

1921년

192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21년 · 더보기 »

1922년

192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22년 · 더보기 »

1925년

192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25년 · 더보기 »

1927년

192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27년 · 더보기 »

1928년

192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면와 1928년 · 더보기 »

1929년

192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29년 · 더보기 »

1930년

193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30년 · 더보기 »

1931년

193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31년 · 더보기 »

1932년

193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면와 1932년 · 더보기 »

1933년

193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33년 · 더보기 »

1934년

193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34년 · 더보기 »

1935년

193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35년 · 더보기 »

1936년

193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면와 1936년 · 더보기 »

1937년

193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37년 · 더보기 »

1938년

193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38년 · 더보기 »

1939년

193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39년 · 더보기 »

1941년

194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41년 · 더보기 »

1942년

1942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42년 · 더보기 »

1944년

194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면와 1944년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45년 · 더보기 »

1946년

194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46년 · 더보기 »

1947년

194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47년 · 더보기 »

1948년

194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면와 1948년 · 더보기 »

1949년

194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49년 · 더보기 »

1950년

한국 전쟁 중 아주머니와 아이가 땔깜용 파편을 구하는 모습. 195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50년 · 더보기 »

1950년대

1950년대는 1950년부터 195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장면와 1950년대 · 더보기 »

1951년

195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51년 · 더보기 »

1952년

195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면와 1952년 · 더보기 »

1953년

195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53년 · 더보기 »

1954년

195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54년 · 더보기 »

1955년

195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55년 · 더보기 »

1956년

195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면와 1956년 · 더보기 »

1957년

195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57년 · 더보기 »

1958년

195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58년 · 더보기 »

1959년

195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59년 · 더보기 »

1960년

196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면와 1960년 · 더보기 »

1960년대

1960년대는 1960년에서 196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장면와 1960년대 · 더보기 »

1961년

196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61년 · 더보기 »

1962년

196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62년 · 더보기 »

1963년

196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63년 · 더보기 »

1964년

196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면와 1964년 · 더보기 »

1965년

196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65년 · 더보기 »

1966년

196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66년 · 더보기 »

1967년

196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67년 · 더보기 »

1970년

197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70년 · 더보기 »

1971년

1971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71년 · 더보기 »

1972년

1972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면와 1972년 · 더보기 »

1974년

197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74년 · 더보기 »

1975년

1975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75년 · 더보기 »

1976년

1976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면와 1976년 · 더보기 »

1981년

1981년(1981年)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81년 · 더보기 »

1982년

198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82년 · 더보기 »

1987년

198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87년 · 더보기 »

1989년

19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89년 · 더보기 »

1990년

1990년 10월 3일. 동독의 다섯 주가 서독으로 편입되면서 41년간 분단되었던 '''독일'''이 '''통일'''되었다. 199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90년 · 더보기 »

1990년대

1990년대는 1990년부터 1999년을 가리.

새로운!!: 장면와 1990년대 · 더보기 »

1998년

19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98년 · 더보기 »

1999년

199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1999년 · 더보기 »

1월

1월(一月)은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첫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장면와 1월 · 더보기 »

1월 10일

1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번째(윤년일 경우도 1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월 10일 · 더보기 »

1월 12일

1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번째(윤년일 경우도 1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월 12일 · 더보기 »

1월 16일

1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번째(윤년일 경우도 1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월 16일 · 더보기 »

1월 18일

1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번째(윤년일 경우도 1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월 18일 · 더보기 »

1월 19일

1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번째(윤년일 경우도 1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월 19일 · 더보기 »

1월 1일

1월 1일은 양력(그레고리력)으로 첫 번째 날을 말.

새로운!!: 장면와 1월 1일 · 더보기 »

1월 20일

1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번째(윤년일 경우도 2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월 20일 · 더보기 »

1월 23일

1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번째(윤년일 경우도 2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월 23일 · 더보기 »

1월 27일

1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번째(윤년일 경우도 2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월 27일 · 더보기 »

1월 2일

1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월 2일 · 더보기 »

1월 4일

1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1월 4일 · 더보기 »

2000년

200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세기와 제2천년기의 마지막 해이.

새로운!!: 장면와 2000년 · 더보기 »

2001년

9·11 테러로 세계무역센터가 불타는 장면 200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와 제3천년기의 첫 번째 해이.

새로운!!: 장면와 2001년 · 더보기 »

2002년

200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의 첫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장면와 2002년 · 더보기 »

2004년

20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면와 2004년 · 더보기 »

2005년

200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2005년 · 더보기 »

2006년

200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2006년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면와 2008년 · 더보기 »

2009년

20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2009년 · 더보기 »

2011년

201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면와 2011년 · 더보기 »

2월

2월(二月, February)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두 번째 달이며, 평년일 때에는 28일, 윤년일 때에는 29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0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며, 이 달과 작년의 6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장면와 2월 · 더보기 »

2월 10일

2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1번째(윤년일 경우도 41번째)ㅡㅡㅡ3ㄷ3.

새로운!!: 장면와 2월 10일 · 더보기 »

2월 11일

2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2번째(윤년일 경우도 4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2월 11일 · 더보기 »

2월 14일

2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5번째(윤년일 경우도 4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2월 14일 · 더보기 »

2월 15일

2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6번째(윤년일 경우도 4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2월 15일 · 더보기 »

2월 16일

2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7번째(윤년일 경우도 4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2월 16일 · 더보기 »

2월 17일

2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8번째(윤년일 경우도 4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2월 17일 · 더보기 »

2월 18일

2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9번째(윤년일 경우도 4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2월 18일 · 더보기 »

2월 19일

2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0번째(윤년일 경우도 5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2월 19일 · 더보기 »

2월 21일

2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2번째(윤년일 경우도 5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2월 21일 · 더보기 »

2월 22일

2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3번째(윤년일 경우도 5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2월 22일 · 더보기 »

2월 25일

2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6번째(윤년일 경우도 5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2월 25일 · 더보기 »

2월 26일

2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7번째(윤년일 경우도 5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2월 26일 · 더보기 »

2월 27일

2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8번째(윤년일 경우도 5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2월 27일 · 더보기 »

2월 28일

2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9번째(윤년일 경우도 5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2월 28일 · 더보기 »

2월 4일

2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번째(윤년일 경우도 3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2월 4일 · 더보기 »

2월 8일

2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9번째(윤년일 경우도 3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2월 8일 · 더보기 »

3.15 부정선거

3·15 부정선거 또는 3·15 개표조작은 1960년 3월 15일 국민들의 직접선거에 의해 실시된 제4대 대통령 선거 및 제5대 부통령 선거였.

새로운!!: 장면와 3.15 부정선거 · 더보기 »

3·1 운동

3·1 운동(三一運動) 또는 3·1 만세 운동(三一萬歲運動)은 일제 강점기에 있던 한국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병합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이.

새로운!!: 장면와 3·1 운동 · 더보기 »

3·15 마산 의거

3·15 마산 의거(三一五馬山義擧)는 1960년 3월 15일 대한민국 경상남도 마산시(현 창원시)에서 3·15 부정선거에 대한 항의로 일어난 시위이며, 이승만 정부의 부정선거 행위에 대항해 의롭게 거사를 했다는 뜻에서 3·15 의거라고도 부른.

새로운!!: 장면와 3·15 마산 의거 · 더보기 »

3성 장군

NATO 중장 계급의 휘장Note: This rank insignia is not worn in all NATO armed forces. 3성 장군(3 star general), 3성 제독(3 star admiral) 또는 3성 계급(3 star rank)은 나토 계급 부호 OF-8로 대부분의 군대에서 상급 지휘관을 가리키는데 사용하는 용어이.

새로운!!: 장면와 3성 장군 · 더보기 »

3월

3월(三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세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북반구에서는 3월이 되면서 날씨가 풀리기 때문에, 대체로 이 달을 봄의 시작으로 본. 남반구는 가을이.

새로운!!: 장면와 3월 · 더보기 »

3월 15일

3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4번째(윤년일 경우 7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3월 15일 · 더보기 »

3월 16일

3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5번째(윤년일 경우 7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3월 16일 · 더보기 »

3월 17일

3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6번째(윤년일 경우 7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3월 17일 · 더보기 »

3월 18일

3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7번째(윤년일 경우 7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3월 18일 · 더보기 »

3월 1일

3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0번째(윤년일 경우 6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3월 1일 · 더보기 »

3월 23일

3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2번째(윤년일 경우 8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3월 23일 · 더보기 »

3월 24일

3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3번째(윤년일 경우 8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3월 24일 · 더보기 »

3월 27일

3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6번째(윤년일 경우 8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3월 27일 · 더보기 »

3월 28일

3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7번째(윤년일 경우 8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3월 28일 · 더보기 »

3월 29일

3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8번째(윤년일 경우 8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3월 29일 · 더보기 »

3월 2일

3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1번째(윤년일 경우 6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3월 2일 · 더보기 »

3월 30일

3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9번째(윤년일 경우 9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3월 30일 · 더보기 »

3월 5일

3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4번째(윤년일 경우 6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3월 5일 · 더보기 »

4.19 혁명

1960년 3월 15일자 《동아일보》에 게재된 3.15 부정선거 관련 기사 4·19 혁명(四一九革命) 또는 4월 혁명(四月革命)은 1960년 4월 19일 대한민국에서 제1공화국 자유당 정권이 이기붕을 부통령으로 당선시키기 위한 개표조작을 하자, 이에 반발하여 부정선거 무효와 재선거를 주장하는 학생들의 시위에서 비롯된 혁명이.

새로운!!: 장면와 4.19 혁명 · 더보기 »

4월

4월(四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네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대한민국에서는 4월이 과학의 달이.

새로운!!: 장면와 4월 · 더보기 »

4월 10일

4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0번째(윤년일 경우 10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4월 10일 · 더보기 »

4월 12일

4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2번째(윤년일 경우 10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4월 12일 · 더보기 »

4월 18일

4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8번째(윤년일 경우 10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4월 18일 · 더보기 »

4월 19일

4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9번째(윤년일 경우 11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4월 19일 · 더보기 »

4월 1일

4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1번째(윤년일 경우 9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4월 1일 · 더보기 »

4월 20일

4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0번째(윤년일 경우 11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4월 20일 · 더보기 »

4월 23일

4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3번째(윤년일 경우 11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4월 23일 · 더보기 »

4월 24일

4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4번째(윤년일 경우 11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4월 24일 · 더보기 »

4월 25일

4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5번째(윤년일 경우 11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4월 25일 · 더보기 »

4월 26일

4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6번째(윤년일 경우 11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4월 26일 · 더보기 »

4월 28일

4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8번째(윤년일 경우 11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4월 28일 · 더보기 »

4월 3일

4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3번째(윤년일 경우 9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4월 3일 · 더보기 »

4월 6일

4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6번째(윤년일 경우 9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4월 6일 · 더보기 »

4월 7일

4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7번째(윤년일 경우 9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4월 7일 · 더보기 »

4월 8일

4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8번째(윤년일 경우 9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4월 8일 · 더보기 »

4월 9일

4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9번째(윤년일 경우 10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4월 9일 · 더보기 »

5·16 군사 정변

5·16 군사 쿠데타(五一六軍事 coup d’État)는 1961년 5월 15일 저녁부터 1961년 5월 18일 정오 무렵까지 서울, 부산, 대전, 광주, 김포, 부평, 수색, 포천 등에서 쿠데타를 목적으로 일어난 유혈 군사반란을 말한다. 주동자는 서울을 관할하는 제6 관구의 전 사령관이었던 박정희로 밝혀졌으며 그는 미국에 의해 지방으로 좌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삼군의 참모총장 몰래 십수명의 장성 및 수십명의 핵심 영관급 장교들과의 사전모의를 통하여 무력으로 정권을 탈취하고자 하였다. 사전에 참여 병력으로는 김포 공수단 10000000여명, 해병 제1여단 1300여명, 6관구 사령부 소속 병력 1700여명, 김형욱 회고록 p.184 "혁명 장교들이 인솔하는 해병대 1300명, 공수단 1000여명 및 6관구 병력 등 도합 4000여명이었다."제6군단 포병단 5개대대 3000여명과 제5사단(사단장 채명신 준장이 이끌고 서울 진주), 제12사단(사단장 박춘신 준장과 부사단장 및 작전참모가 이끌고 춘천 진주), 제30사단(부사단장, 작전참모, 헌병부장이 사단 이끌고 서울 진주), 제33사단(작전참모, 연대장 등이 이끌고 서울 진주), 그리고 2군을 비롯한 지방에 있던 여러 장교들까지 수만명에 이르렀다. 제2공화국은 이를 진압하고자 했으나, 공병대를 제외하고, 서울 인근에 있는 모든 전투 군부대가 이미 반란군에게 장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시작전 통제권을 쥐고 있던 주한미군 총사령관이 불개입 의사를 표시하고 2군단장 등이 사후동조를 하면서 휴전선 인근의 일선부대를 대거 차출해야 했던바 진압을 고의적으로 포기해버렸다. 이 사건의 결과로 한명의 민간인과 십여명 이상의 군인이 죽거나 다쳤으며 제2공화국은 와해되고 군인들이 세운 국가재건최고회의가 삼권을 장악해 3여년간의 군부독재를 실시하였다.

새로운!!: 장면와 5·16 군사 정변 · 더보기 »

5월

5월(五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다섯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장면와 5월 · 더보기 »

5월 10일

5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0번째(윤년일 경우 13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5월 10일 · 더보기 »

5월 11일

5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1번째(윤년일 경우 13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5월 11일 · 더보기 »

5월 12일

5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2번째(윤년일 경우 13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5월 12일 · 더보기 »

5월 14일

5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4번째(윤년일 경우 13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5월 14일 · 더보기 »

5월 15일

5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5번째(윤년일 경우 13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5월 15일 · 더보기 »

5월 16일

5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6번째(윤년일 경우 13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5월 16일 · 더보기 »

5월 17일

5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7번째(윤년일 경우 13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5월 17일 · 더보기 »

5월 18일

5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8번째(윤년일 경우 13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5월 18일 · 더보기 »

5월 19일

5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9번째(윤년일 경우 14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5월 19일 · 더보기 »

5월 20일

5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0번째(윤년일 경우 14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5월 20일 · 더보기 »

5월 21일

5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1번째(윤년일 경우 14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5월 21일 · 더보기 »

5월 22일

5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2번째(윤년일 경우 14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5월 22일 · 더보기 »

5월 24일

5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4번째(윤년일 경우 14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5월 24일 · 더보기 »

5월 25일

5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5번째(윤년일 경우 14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5월 25일 · 더보기 »

5월 26일

5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6번째(윤년일 경우 14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5월 26일 · 더보기 »

5월 29일

5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9번째(윤년일 경우 15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5월 29일 · 더보기 »

5월 30일

5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0번째(윤년일 경우 15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5월 30일 · 더보기 »

5월 31일

5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1번째(윤년일 경우 15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5월 31일 · 더보기 »

5월 3일

5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3번째(윤년일 경우 124번째), 뒤에서부터는 24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5월 3일 · 더보기 »

5월 9일

5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9번째(윤년일 경우 130번째), 뒤에서부터는 23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5월 9일 · 더보기 »

6월

6월(六月)은 에서 한 해의 여섯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는 네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장면와 6월 · 더보기 »

6월 10일

6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1번째(윤년일 경우 16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6월 10일 · 더보기 »

6월 11일

6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2번째(윤년일 경우 16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6월 11일 · 더보기 »

6월 12일

6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3번째(윤년일 경우 1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6월 12일 · 더보기 »

6월 14일

6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5번째(윤년일 경우 16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6월 14일 · 더보기 »

6월 15일

6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6번째(윤년일 경우 16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6월 15일 · 더보기 »

6월 19일

6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0번째(윤년일 경우 17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6월 19일 · 더보기 »

6월 1일

6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2번째(윤년일 경우 15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6월 1일 · 더보기 »

6월 20일

6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1번째(윤년일 경우 17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6월 20일 · 더보기 »

6월 25일

6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6번째(윤년일 경우 17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6월 25일 · 더보기 »

6월 26일

6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7번째(윤년일 경우 17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6월 26일 · 더보기 »

6월 27일

6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8번째(윤년일 경우 17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6월 27일 · 더보기 »

6월 28일

6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9번째(윤년일 경우 18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6월 28일 · 더보기 »

6월 30일

6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1번째(윤년일 경우 18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6월 30일 · 더보기 »

6월 3일

6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4번째(윤년일 경우 15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6월 3일 · 더보기 »

6월 4일

6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5번째(윤년일 경우 15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6월 4일 · 더보기 »

6월 6일

6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7번째(윤년일 경우 15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6월 6일 · 더보기 »

7월

7월(七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일곱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4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윤년인 경우 그 해의 1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 400년 동안 이 달은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에 58번, 월요일과 화요일에 57번,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56번 시작.

새로운!!: 장면와 7월 · 더보기 »

7월 11일

7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2번째(윤년일 경우 19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7월 11일 · 더보기 »

7월 12일

7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3번째(윤년일 경우 19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7월 12일 · 더보기 »

7월 13일

7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4번째(윤년일 경우 19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7월 13일 · 더보기 »

7월 19일

7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0번째(윤년일 경우 20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7월 19일 · 더보기 »

7월 20일

7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1번째(윤년일 경우 20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7월 20일 · 더보기 »

7월 24일

7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5번째(윤년일 경우 20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7월 24일 · 더보기 »

7월 27일

7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8번째(윤년일 경우 20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7월 27일 · 더보기 »

7월 29일

7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0번째(윤년일 경우 21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7월 29일 · 더보기 »

7월 2일

7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3번째(윤년일 경우 18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7월 2일 · 더보기 »

7월 4일

7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5번째(윤년일 경우 18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7월 4일 · 더보기 »

7월 5일

7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6번째(윤년일 경우 18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7월 5일 · 더보기 »

7월 6일

7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7번째(윤년일 경우 18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7월 6일 · 더보기 »

7월 7일

7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8번째(윤년일 경우 18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7월 7일 · 더보기 »

8월

8월(八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여덟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부터 연말까지는 2의 배수가 오는 달마다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1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 또한, 윤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2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되며, 다음 해도 평년인 경우 다음 해 5월과 같은 요일이.

새로운!!: 장면와 8월 · 더보기 »

8월 10일

8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2번째(윤년일 경우 22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8월 10일 · 더보기 »

8월 15일

8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7번째(윤년일 경우 22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8월 15일 · 더보기 »

8월 16일

8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8번째(윤년일 경우 22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8월 16일 · 더보기 »

8월 17일

8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9번째(윤년일 경우 23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8월 17일 · 더보기 »

8월 18일

8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0번째(윤년일 경우 23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8월 18일 · 더보기 »

8월 19일

8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1번째(윤년일 경우 23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8월 19일 · 더보기 »

8월 1일

8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3번째(윤년일 경우 21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8월 1일 · 더보기 »

8월 20일

8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2번째(윤년일 경우 23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8월 20일 · 더보기 »

8월 21일

8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3번째(윤년일 경우 23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8월 21일 · 더보기 »

8월 22일

8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4번째(윤년일 경우 23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8월 22일 · 더보기 »

8월 23일

8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5번째(윤년일 경우 23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8월 23일 · 더보기 »

8월 26일

8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8번째(윤년일 경우 23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8월 26일 · 더보기 »

8월 27일

8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9번째(윤년일 경우 24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8월 27일 · 더보기 »

8월 28일

8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0번째(윤년일 경우 24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8월 28일 · 더보기 »

8월 29일

8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1번째(윤년일 경우 24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8월 29일 · 더보기 »

8월 2일

8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4번째(윤년일 경우 21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8월 2일 · 더보기 »

8월 4일

8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6번째(윤년일 경우 21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8월 4일 · 더보기 »

9·28 사건

왼손 관통 직후, 경호원의 부축을 받은 장면 박사 9·28 사건 또는 장면 부통령 저격사건은 1956년 9월 28일 대한민국의 제4대 부통령 장면(張勉)이 서울 시공관에서 김상붕 등의 총에 피격된 사건이.

새로운!!: 장면와 9·28 사건 · 더보기 »

9월

9월(九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아홉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한국,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북반구에는 가을이 되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과 같은 남반구에는 봄이.

새로운!!: 장면와 9월 · 더보기 »

9월 10일

9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3번째(윤년일 경우 25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9월 10일 · 더보기 »

9월 12일

9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5번째(윤년일 경우 25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9월 12일 · 더보기 »

9월 13일

9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6번째(윤년일 경우 25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9월 13일 · 더보기 »

9월 15일

9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8번째(윤년일 경우 25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9월 15일 · 더보기 »

9월 18일

9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1번째(윤년일 경우 26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9월 18일 · 더보기 »

9월 1일

9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4번째(윤년일 경우 24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9월 1일 · 더보기 »

9월 20일

9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3번째(윤년일 경우 2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9월 20일 · 더보기 »

9월 23일

9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6번째(윤년일 경우 26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9월 23일 · 더보기 »

9월 26일

9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9번째(윤년일 경우 27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9월 26일 · 더보기 »

9월 28일

9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1번째(윤년일 경우 27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9월 28일 · 더보기 »

9월 29일

9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2번째(윤년일 경우 27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9월 29일 · 더보기 »

9월 30일

9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3번째(윤년일 경우 27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9월 30일 · 더보기 »

9월 7일

9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0번째(윤년일 경우 25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9월 7일 · 더보기 »

9월 9일

9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2번째(윤년일 경우 25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면와 9월 9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다마오가 쓰도무, 다마오까 쓰또무, 다마오카 스토무, 다마오카 쓰토무, 존 면, 존 민 쟁, 존면 장, 운석 장면, 요한 장면, 장 면, 장면 요한, 장지태, 장운석.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