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불교 용어 목록/유

색인 불교 용어 목록/유

설명이 없습니다.

180 처지: 도 (불교), 도리, 도제, 마음 (불교), 마음작용, 멸진정, , 명상, 무루, 무명, 무명 (불교), 무상정, 무색계, 반야, 바라밀, 바수반두, 가립, 가법, 가행, 견 (불교), 견취, 견혹, 경계, 번뇌, 번뇌의 다른 이름, , 법 (불교), 법계 (불교), 법처소섭색, 법상종, 고 (불교), 고과와 낙과, 보리 (불교), 공간, 계 (불교), 계금취, 변집견, 불교 용어 목록, 불교 용어 목록/ㅊ, 불교 용어 목록/ㅎ, 불교 용어 목록/ㅁ, 불교 용어 목록/ㅂ, 불교 용어 목록/ㅅ, 불교 용어 목록/무, 불교 용어 목록/묵, 불교 용어 목록/불, 불교 용어 목록/이, 불교 용어 목록/정, 불교 용어 목록/유, 불교 용어 목록/육, ..., 불교 용어 목록/수, 불교 용어 목록/오, 불교 용어 목록/온, 불교 용어 목록/삼, 불교 용어 목록/삽, 불교 용어 목록/선, 불교 용어 목록/심, 불신, 부정견, 부처, 부파불교, 대승광오온론, 대승불교, 대승기신론, 대승아비달마잡집론, , 누 (불교), 교법, 구경각, 득 (불교), 우주, 요가, 욕계, 쟁 (불교), 자성 (불교), 이장 (불교), 이숙 (불교), 이십살가야견, 인 (불교), 인간도, 인과관계, 인위와 과위, 인연, 적정 (불교), 제행, 정통, 조복, 주장, 중생, 집착, 지 (불교), 청정, 천 (불교), 천상도, 촉 (불교), 촉경, 유루, 유루와 무루, 유리, 유가행파, 유가사지론, 유견법과 무견법, 유대법과 무대법, 유구, 유다이아, 유쟁, 유쟁법과 무쟁법, 유전 (불교), 유집수와 무집수, 유위, 유위와 무위, 유색법과 무색법, 유신견, 육도 (불교), 육경, 육행관, 윤회, 팔정도, 팔식, 위파사나, 상응, 상속 (불교), , 생 (4상), 택멸, 색 (불교), 색경 (불교), 색계, 수 (불교), 오경 (불교), 오계, 오근, 오근과 육근, 오대 (용어), 오주지번뇌, 오위백법, 오위칠십오법, 오온, 현관 (불교), 행 (불교), 열반, 사견, 사향사과, 사선, 사성제, 산란 (불교), 산스크리트어, 삼도, 삼계, 삼수 (불교), 선 (불교), 선 (철학), 선법 (불교), 설일체유부, 성자, 성인 (불교), 성유식론, 세간, 소의, 소의신, 소조색, 할라카, 알폰스 무하, 안근, 아마라식, 아비달마, 아비달마구사론, 아비달마품류족론, 악행, 심불상응행법, 심의식, 십이처, 십이심, 십지, 십육심, 십팔계, 십선, 십악 (불교), 싸움, 화엄경.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30 더) »

도 (불교)

불교 용어로서의 도(道)는 대표적인 뜻으로는 길 또는 진리를 뜻하는데,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여러 가지 뜻이 있.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도 (불교) · 더보기 »

도리

리(道理)의 일반 사전적인 의미는 ① 사람이 어떤 입장에서 마땅히 행하여야 할 바른 길, ② 어떤 일을 해 나갈 방도(方道)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도리 · 더보기 »

도제

제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도제 · 더보기 »

마음 (불교)

마음(心)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 등에 따르면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의 6식(六識)을 말.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 등에 따르면 6식에 제7식의 말나식과 제8식의 아뢰야식을 더한 8식(八識)을 말. 마음을 주체(主體) 또는 주관(主觀)의 뜻에서 심왕(心王)이라고도 하며, 집기(集起)의 뜻에서 심법(心法)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마음 (불교) · 더보기 »

마음작용

마음작용(caitasika,,, mental events, mental states)은 마음의 작용(마음의 作用)의 준말이며, 전통적인 불교 용어로는 심소유법(心所有法), 심소법(心所法) 또는 심소(心所).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마음작용 · 더보기 »

멸진정

멸진정(滅盡定)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멸진정 · 더보기 »

신체 모형 몸 또는 신체(身體)는 생물의 한 개체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몸 · 더보기 »

명상

자연적 명상 - 묵상 Nature contemplation 명상(瞑想·冥想)은 행위의 측면에서 단순하게 표현하면, 개인이 마음을 운영하거나 훈련 시키거나 정신이 평화로운 생각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의식 모드를 유도하는 관행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명상 · 더보기 »

무루

무루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무루 · 더보기 »

무명

무명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무명 · 더보기 »

무명 (불교)

무명(無明) 또는 치(癡,, moha, mūdha,,, delusion)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무명 (불교) · 더보기 »

무상정

무상정(無想定)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무상정 · 더보기 »

무색계

무색계(無色界)는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의 3계(三界) 가운데 하나로, 욕유(欲有)색유(色有)무색유(無色有)의 3유(三有) 가운데 무색유(無色有)와 동의어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무색계 · 더보기 »

반야

반야(般若)는 산스크리트어 프라즈냐(प्रज्ञा prajñā) 또는 팔리어 빤냐(paññā)를 음에 따라 번역한 낱말로, 뜻에 따라 번역하여 지혜(智慧)라고도 하며 간단히 지(智) 또는 혜(慧).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반야 · 더보기 »

바라밀

바라밀(婆羅蜜) 또는 바라밀다(波羅蜜多)는 산스크리트어 빠라미따(पारमिता pāramitā)를 음에 따라 번역한 것으로, 완전한 상태구극(究極)의 상태최고의 상태를 뜻.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초기 대승불교의 사상 > 6바라밀,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6바라밀: 六婆羅蜜 바라밀이란 빠라미따(Paramita)의 음사(音寫)로서 완전·구극(究極)·최고의 상태라는 뜻인데, 불교의 교리상으로는 도피안(到彼岸), 즉 이상경(理想境)으로 들어가는 것을 말하며, 현실의 차안(此岸)에서 이상의 피안으로 사람들을 넘기기 위한 행(行)이라는 점에서 도(度)라고도 번역.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바라밀 · 더보기 »

바수반두

바수반두 바수반두(Vasubandhu, 世親, 세친)은 316 - 396년 경의 인도의 불교 사상가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바수반두 · 더보기 »

가립

립(假立) 또는 가설(假設)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또는 으로, '실재하는 실체'가 아닌 것을 마치 실재하는 실체인 것처럼 삼는 것을 말. 즉 실법(實法) 또는 실유(實有) 즉 실재하는 법 또는 존재가 아닌 것을 마치 실재하는 법 또는 존재인 것처럼 삼는 것으로, 이렇게 하여 세운 법을 가법(假法) 또는 가유(假有) 즉 실재하지 않는 법, 일시적인 법 또는 임시적인 법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가립 · 더보기 »

가법

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가법 · 더보기 »

가행

행(加行)에는 다음의 4가지 뜻이 있.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가행 · 더보기 »

견 (불교)

(見)은 심려(審慮: 심사숙고)하고 결탁(決度: 확인 판단)하는 것, 또는 심려와 결탁을 통해 형성된 견해(見解: 일반 사전적인 뜻은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자기의 의견이나 생각), 의견(意見), 주장(主張)을 말. 즉, 견(見)의 본질적 성질은 심려(審慮: 심사숙고)와 결탁(決度: 확인 판단)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견 (불교) · 더보기 »

견취

(見取)는 5견(五見), 즉 유신견(有身見)변집견(邊執見)사견(邪見)견취(見取)계금취(戒禁取)의 5가지 염오견(染汚見) 중 하나로, 그릇된 견해를 올바른 것이라고 집착하는 것, 즉 유신견변집견사견 등을 일으킨 후 이를 고집하여 진실하고 뛰어난 견해라고 집착하는 것을 말. 견취견(見取見)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견취 · 더보기 »

견혹

혹(見惑)은 견도소단혹(見道所斷惑)의 줄임말로, 문자 그대로는, 견도(見道)에서 끊어지는 번뇌를 뜻. 의미상으로는, 진리 즉 4성제에 대해 미혹하게 하는 번뇌로, 이지(理智)적인 번뇌를 말. 한편, 견혹과 대비하여, 수도(修道)에서 끊어지는 번뇌를 수혹(修惑)이라 하는데, 수혹은 삼라만상의 사물의 진실한 모습에 대해 미혹하게 하는 번뇌로, 정의(情意)적인 번뇌를 말. 견혹은 견번뇌(見煩惱) · 견장(見障) 혹은 견일처주지(見一處住地).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견혹 · 더보기 »

경계

경계(境界)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경계 · 더보기 »

번뇌

번뇌(煩惱,, ,)는 그 본질적 성질이 부적정(不寂靜: 고요하지 않음)인 마음작용들을 말. 번뇌의 본질적인 작용은 번뇌가 일어나게 되면, 그 번뇌를 대치(對治)하지 않는 한, 그 자체의 본질적인 성질에 근거하여 그 번뇌가 일으키는 부적정한 영향력 즉 부적정한 업이 몸과 마음에 상속되어 전전(展轉)하게 하는 것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번뇌 · 더보기 »

번뇌의 다른 이름

번뇌(煩惱)는 그것의 특정한 의미 즉 특정 측면을 부각시켜 말하는 여러 다른 이름들 즉 번뇌의 동의어가 존재.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번뇌의 다른 이름 · 더보기 »

정의의 의인화 유스티티아. 법(法)은 질서를 유지하고 사회가 유지되기 위해 정의를 실현함을 직접 목적으로 하는 국가의 강제력을 수반하는 사회적 규범 또는 관습을 말. 넓은 뜻으로는 자연법(自然法), 헌법(憲法), 관습법(慣習法), 명령, 규칙, 판례까지를 포함하지만 좁은 뜻에서는 일정한 조직과 절차 밑에서 제정된 법률을 가리.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법 · 더보기 »

법 (불교)

법(法)은 산스크리트어 다르마(Dharma)의 번역으로서, "지키는 것지지하는 것"이 원뜻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법 (불교) · 더보기 »

법계 (불교)

법계(法界)는 산스크리트어 다르마다투(Dharmadhatu)의 역어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법계 (불교) · 더보기 »

법처소섭색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 법처에 속한 물질,, dharmāyatana-paryāpanna)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법처소섭색 · 더보기 »

법상종

법상종(法相宗Dharma character schoolFa-Hsiang)이란 제법(諸法)의 성상(性相)을 분별하는 종(宗)이란 뜻으로 오위백법(五位百法)을 세워 아뢰야식(阿賴耶識)을 근본으로 하기 때문에 유식종(唯識宗)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법상종 · 더보기 »

고 (불교)

(苦)는 괴로움을 뜻하는 불교 용어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고 (불교) · 더보기 »

고과와 낙과

(苦果)와 낙과(樂果), 즉 괴로운 과보와 즐거운 과보는 서로 상대되는 낱말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고과와 낙과 · 더보기 »

보리 (불교)

보리(菩提)는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에서 수행자가 최종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참다운 지혜깨달음 또는 앎의 경지를 일컫는 단어 bodhi(बोधि)에서 나왔다. 이는 깨어나다, 알게 되다, 알리다, 알다, 혹은 이해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어근 budh로부터 형성된 추상 명사로, 팔리어 동사 bujjhati나 산스크리트어 동사 bodhati 및 budhyate 등을 통해 이를 알 수 있다. 보제(菩提)라고도 한다. 불교에서 보리는 고타마 붓다와 그에게 가르침을 받은 나한들이 얻었다고 하는 깨달음, 또는 그 깨달음을 얻기 위한 수행 과정을 일컫는다. 이는 우주의 참 모습에 대한 올바른 인식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보리를 얻은 뒤에는 윤회의 고리에서 벗어난다고 가르친다. (해탈 참고.).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보리 (불교) · 더보기 »

공간

공간(空間)은 어떤 물질 또는 물체가 존재할 수 있거나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 장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공간 · 더보기 »

계 (불교)

불교에서 계(戒)는 덕, 바른 행동, 도덕, 도덕의 규율, 계율을 말하며, 그것을 위해 노력하는 것. 계는 정(定), 혜(慧)와 함께 삼학(三學)에 속하며, 바라밀의 두 번째 행인 지계(持戒)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계 (불교) · 더보기 »

계금취

(戒禁取)는 5견(五見), 즉 유신견(有身見)변집견(邊執見)사견(邪見)견취(見取)계금취(戒禁取)의 5가지 염오견(染汚見) 중 하나로, 그릇된 계행(戒行)을 올바른 것이라고 집착하는 것, 즉 그릇된 계율이나 금지 조항을 바른 것으로 간주하여 거기에 집착하는 것을 말. 그리고, 이에 따라, 인(因) 아닌 것을 인이라 하고, 참된 해탈도(解脫道)가 아닌 것을 참된 해탈도라고 집착하는 잘못된 견해 말. 계금취견(戒禁取見), 계금등취견(戒禁等取見), 계도견(戒盜見) 또는 계취견(戒取見)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계금취 · 더보기 »

변집견

변집견(邊執見,,,, extreme view)은 단(斷)과 상(常)의 두 극단에 집착하는 견해, 즉 단견(斷見)과 상견(常見)을 말. 변집견은 줄여서 변견(邊見)이라고도 하며, 2가지 변견이라는 뜻에서 2변(二邊)이라고도 하며, 변견(邊見)을 번역하여 극단적인 견해라고도 하고 2변(二邊)을 번역하여 두 극단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변집견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

이 문서는 불교 용어 중 한국어 위키백과에 독립된 문서가 있거나 혹은 될 만한 용어들은 해당 문서의 링크와 간단한 정의를 제공하고, 독립된 문서로 발전할 가능성이 없다고 여겨지는 용어들은 그 정의를 제공하기 위한 문서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불교 용어 목록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ㅊ

1.차별(差別) 또는 차별상(差別相)은 사물과 다른 사물 간의 상(相,: 모양형상상태성격성질본질, mark, token, sign, characteristic, attribute)의 차이 또는 차별을 말. 사물 간에 서로 상(相)의 차이 또는 차별이 있기 때문에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은 각각의 사물을 다른 사물과 다른 것으로 표상(요별, 식별)할 수 있. 한편,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의 이러한 표상작용과 그 세력(적집, 집합)을 상(想) 또는 상온(想蘊)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불교 용어 목록/ㅊ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ㅎ

1.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ㅁ

마나바(摩那婆,,,, lad, youth)는 소년 또는 어린아이라는 뜻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불교 용어 목록/ㅁ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ㅂ

바깥은 내적인 것에 대해 외적인 것을 뜻. 예를 들어, 근(根)경(境)식(識)에서 가설적 존재로서의 나를 기준으로 할 때 근과 식은 내적인 것이며 경은 외적인 것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불교 용어 목록/ㅂ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ㅅ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불교 용어 목록/ㅅ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무

1.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불교 용어 목록/무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묵

문소성혜(聞所成慧)는 문혜(聞慧)의 다른 말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불교 용어 목록/묵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불

불가견무대(不可見無對)는 무견무대색의 다른 말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불교 용어 목록/불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이

이간어(離間語)는 양설(兩舌)의 다른 말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불교 용어 목록/이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정

불교 용어로서의 정에는 다음의 용어들이 있.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불교 용어 목록/정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유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불교 용어 목록/유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육

6계(六界)는 지계(地界, prthivī)수계(水界, ap)화계(火界, tejas)풍계(風界, vāyu)공계(空界, ākāśa)식계(識界, vijñśna)를 말. 6대(六大)와 동의어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불교 용어 목록/육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수

수(受)는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지법(大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불교 용어 목록/수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오

5견(五見)은 유신견(有身見)변집견(邊執見)사견(邪見)견취(見取)계금취(戒禁取)의 5가지 잘못된 견해 즉 5가지 염오견(染汚見: 번뇌에 오염된 견해)을 말. 5염오견(五染污見), 5리사(五利使) 또는 5벽견(五僻見)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불교 용어 목록/오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온

올타남(嗢拕南, 嗢拖南)은 우타나(優陀那,, uddāna)의 다른 말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불교 용어 목록/온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삼

3계(三界)는 불교의 우주론 또는 세계관을 구성하는 존재계인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의 3가지 계(界)를 통칭하는 낱말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불교 용어 목록/삼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삽

삽가야견(颯迦耶見)은 유신견(有身見)의 다른 말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불교 용어 목록/삽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선

선(善)이란, 《보살영락본업경》 하권의 〈7.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불교 용어 목록/선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심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불교 용어 목록/심 · 더보기 »

불신

불신 (不信)은 큰 위험이 있거나, 깊은 의심의 상황에서 너무 많이 어느 한 쪽을 신뢰하지 않는 형식적인 방법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불신 · 더보기 »

부정견

부정견(不正見) 또는 악견(惡見)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부정견 · 더보기 »

부처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부처 또는 여래(如來), 세존(世尊), 붓다()는 인도 불교에서 "깨달은 자", "눈을 뜬 자"라는 뜻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부처 · 더보기 »

부파불교

부파불교(部派佛敎)는 고타마 붓다가 반열반에 든 후 제자들 사이에 견해의 차이가 생겨 불멸후 100년 경에 보수적인 상좌부(上座部)와 진보적인 대중부(大衆部)로 분열되고, 이어서 이 두 부파(部派: 종파)로부터 여러 갈래의 분열이 일어나 불교가 여러 부파로 나뉘면서 전개되었던 시대의 불교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부파불교 · 더보기 »

대승광오온론

《대승광오온론》(大乘廣五蘊論)()은 인도불교의 유식학(唯識學) 총 3기 중 제3기의 논사인 안혜(安慧: 475~555)가 지은 유식학 논서로, 세친(世親: 316?~369?)의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에 대한 주석서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대승광오온론 · 더보기 »

대승불교

승불교(大乘佛敎) 또는 마하야나()는 "대승(大乘)"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큰 탈것"(great vehicle) 또는 "뛰어난 탈 것"이라는 뜻이며, '탈 것'이란 '가르침'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가르침에 의해 사람들을 미혹의 세계로부터 깨달음의 세계로 실어간다는 것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대승불교 · 더보기 »

대승기신론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은 대승불교의 논서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대승기신론 · 더보기 »

대승아비달마잡집론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阿毗達磨雜集論)》()는 인도불교의 유식학(唯識學) 총 3기 중 제3기의 논사인 안혜(安慧: 475~555)가 제1기의 논사 무착(無着: 300?~390?)이 지은 《대승아비달마집론》과 무착의 제자이자 동생인 사자각(師子覺)이 지은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대한 주석서를 합하여 편찬한 유식학 논서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대승아비달마잡집론 · 더보기 »

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누 · 더보기 »

누 (불교)

(漏) 또는 루(漏)는 번뇌를 뜻하며,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근본불교의 사상 > 무루,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단어의 처음에서 두음법칙에 의해 누로 발음되고 표기되며, 단어의 처음이 아닌 경우에는 루로 발음.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누 (불교) · 더보기 »

교법

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교법 · 더보기 »

구경각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구경각(究竟覺, ultimate enlightenment, final enlightenment, supreme enlightenment)은 불교의 수행이 완성되어 증득(證得)하게 된 완전한 깨달음을 가리키는데 곧 부처의 상태를 이룬 것이나 부처가 되는 자리를 뜻. 구경각을 가리키는 다른 낱말로는 다음의 것들이 있.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구경각 · 더보기 »

득 (불교)

득(得,, prāpta)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득 (불교) · 더보기 »

우주

우주(宇宙)란 과학적으로 또는 철학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것의 총체라 정의 할 수도 있. 표준국어대사전은 무한한 시간과 만물을 포함하고 있는 끝없는 공간의 총체로 정의..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우주 · 더보기 »

요가

요가 명상을 하고 있는 시바 요기 조각상 요가()는 힌두교의 종교적영적 수행 방법의.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요가 · 더보기 »

욕계

욕계(欲界)는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의 3계(三界) 가운데 하나로, 욕유(欲有)색유(色有)무색유(無色有)의 3유(三有) 가운데 욕유(欲有)와 동의어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욕계 · 더보기 »

쟁 (불교)

쟁(諍)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불태우고(燒) 해하다(害)' 또는 '간(諫)하다, 송사하다, 다투다'로,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들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쟁 (불교) · 더보기 »

자성 (불교)

자성(自性,, sva-laksana, svalakṣaṇa)은 다른 어떤 것과도 관계하지 않는 자기만의 특성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자성 (불교) · 더보기 »

이장 (불교)

2장(二障,, dvidhā-dauṣṭhulya,,, two obstructions, two impediments)은 2애(二礙)라고도 하는데, 가로막아 앎성취 또는 발현을 방해한다는 장애(障礙)의 뜻에서 번뇌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이장 (불교) · 더보기 »

이숙 (불교)

이숙(異熟: 다름게 익음)은 선인낙과(善因樂果) 악인고과(惡因苦果)의 불교의 인과사상 또는 교의를 말. 다르게 익는다는 것은 선(善)이 쌓여서 그 결과 무기의 낙(樂)으로 성숙(成熟) 또는 변환되고, 불선 즉 악(惡)이 쌓여서 그 결과 무기의 고(苦)로 성숙 또는 변환되는 것을 말. (선이 고가 되고 악이 낙이 된다는 의미는 없다.) 이숙(異熟)이라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 과보를 이숙과(異熟果) 또는 이숙생(異熟生)이라고 하는데, 이 두 낱말은 동의어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 특히, 이숙과는 전생의 선악업의 총체적인 결과물로서 현생에서 태어날 때 받은 몸과 마음을 가리.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이숙 (불교) · 더보기 »

이십살가야견

20살가야견(二十薩迦耶見) 또는 20종살가야견(二十種薩迦耶見)은 살가야견 즉 유신견(有身見)을 5온 또는 5취온에 근거하여 세분하였을 때의 5가지 아견(我見)과 15가지 아소견(我所見)을 통칭하는 낱말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이십살가야견 · 더보기 »

인 (불교)

불교 용어인 인(因)은 다음을 뜻.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인 (불교) · 더보기 »

인간도

음을 나타낸다. 달을 가리키고 있는 붓다는 6도윤회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인간도(人間道)는, 불교에서 중생이 깨달음을 증득하지 못하고 윤회하여 다시 태어날 때, 전생에서 지은 선업 또는 악업의 총합에 따라 그 과보로서 현생에서 태어나는 세계 또는 의식 상태 또는 존재 상태인 지옥도(地獄道)아귀도(餓鬼道)축생도(畜生道)아수라도(阿修羅道)인간도(人間道)천상도(天上道)의 6도(六道) 중 하나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인간도 · 더보기 »

인과관계

인과관계(因果關係)는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말. 인과(因果)인과율(因果律) 또는 인과성(因果性)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인과관계 · 더보기 »

인위와 과위

인위(因位)와 과위(果位)는 불교의 수행과 수행에 의해 증득되는 결과 또는 도달하는 경지에 관련된 용어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인위와 과위 · 더보기 »

인연

인연(因緣, 또는 nidāna)은 원인을 의미하는 불교 용어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인연 · 더보기 »

적정 (불교)

적정(寂靜)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고요함인데 불교에서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적정 (불교) · 더보기 »

제행

제행(諸行)은 다음을 뜻.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제행 · 더보기 »

정통

정통(正統)는, 명나라 정통제의 연호(元号) 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정통 · 더보기 »

조복

조복(朝服)은 조선시대의 문무백관이 입는 관복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조복 · 더보기 »

주장

주장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주장 · 더보기 »

중생

중생(衆生)은 산스크리트어 사트바(sattva)의 번역어로 유정(有情)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중생 · 더보기 »

집착

집착(執着)은 어떤 것에 대해 계속해서 얽매여, 계속해서 마음이 쓰이는 것을 말. 분류:번뇌.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집착 · 더보기 »

지 (불교)

불교에서 지(地)는 다음의 뜻이 있.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지 (불교) · 더보기 »

청정

청정(淸淨,, viśuddha, pariśuddha,, visuddha, parisuddha)은 악행(惡行) 즉 그릇된 신업어업의업의 3업(三業)으로 인해 생긴 과실(過失)이나 번뇌(煩惱)를 멀리 떠난 것을 말. 징정(澄淨) 즉 맑고 깨끗함과 동의어이며, 반대말은 잡염(雜染)염오(染污) 또는 오염(污染)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청정 · 더보기 »

천 (불교)

(天)은 산스크리트어 데바(deva)의 번역어이기도 하지만 또한 데바로카(deva-loka)의 번역어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천 (불교) · 더보기 »

천상도

음을 나타낸다. 달을 가리키고 있는 붓다는 6도윤회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천상도(天上道)는, 불교에서 중생이 깨달음을 증득하지 못하고 윤회하여 다시 태어날 때, 전생에서 지은 선업 또는 악업의 총합에 따라 그 과보로서 현생에서 태어나는 세계 또는 의식 상태 또는 존재 상태인 지옥도(地獄道)아귀도(餓鬼道)축생도(畜生道)아수라도(阿修羅道)인간도(人間道)천상도(天上道)의 6도(六道) 중 하나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천상도 · 더보기 »

촉 (불교)

촉(觸, 접촉, 3사화합분별변이)은 초기불교의 12연기설(十二緣起說)의 6번째 지분이며,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지법(大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촉 (불교) · 더보기 »

촉경

촉경(觸境)이라는 낱말은 2가지 뜻이 있. 하나는 마음과 마음작용이 인식대상을 접촉한다는 촉대(觸對)의 뜻이고, 다른 하나는 6경(六境) 중 하나인 촉경을 말. 이 문서의 이하의 내용은 후자를.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촉경 · 더보기 »

유루

유루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유루 · 더보기 »

유루와 무루

불교에는 일체법(一切法) 또는 제법(諸法)을 분류하는 여러 방식이 있는데, 그 중에는 크게 유루법(有漏法)과 무루법(無漏法)의 두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이 있. 이 분류 방식은 일체법을 크게 유위법(有爲法)과 무위법(無爲法)의 두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과 더불어 불교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는 분류법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유루와 무루 · 더보기 »

유리

유리구 유리병 유리(琉璃)는 단단하고 깨지기 쉬운 비결정질 고체(과냉각된 액체)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유리 · 더보기 »

유가행파

유가행파(瑜伽行派) 또는 요가차라()는 4세기 인도의 무착스님이 만든 대승불교 종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유가행파 · 더보기 »

유가사지론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K.0570, T.1579)은 불교 전통에 따르면 미륵보살이 강설한 것을 무착이 기록하여 성립된 논서로, 유식유가행파의 근본 논서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유가사지론 · 더보기 »

유견법과 무견법

유견법과 무견법 즉 '유견법(有見法)무견법(無見法)의 쌍'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유견법과 무견법 · 더보기 »

유대법과 무대법

유대법과 무대법 즉 '유대법(有對法)무대법(無對法)의 쌍'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유대법과 무대법 · 더보기 »

유구

유구는 다음 뜻이 있.; 불.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유구 · 더보기 »

유다이아

유다이아는 전통적으로 가나안 지방의 남단을 부르는 고대의 지명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유다이아 · 더보기 »

유쟁

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유쟁(有諍)은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폭류(暴流)액(軛)취(取)계(繫)개(蓋)주올(株杌)구(垢)상해(常害)전(箭)소유(所有)근(根)악행(惡行)누(漏)궤(匱)소(燒)뇌(惱)유쟁(有諍)화(火)치연(熾然)조림(稠林)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유쟁 · 더보기 »

유쟁법과 무쟁법

유쟁법과 무쟁법 즉 '유쟁법(有諍法)무쟁법(無諍法)의 쌍'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유쟁법과 무쟁법 · 더보기 »

유전 (불교)

유전(流轉)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유전 (불교) · 더보기 »

유집수와 무집수

불교 용어인 유집수(有執受)는 심법(心法: 마음)과 심소법(心所法: 마음 작용)이 함께 집지(執持)포섭(包攝)하여 의처(依處), 즉 소의(所依: 도구, 감각 기관)나 경계(境界: 대상)로 삼는 색(色, 물질)을 가리.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유집수와 무집수 · 더보기 »

유위

유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유위 · 더보기 »

유위와 무위

불교에는 일체법(一切法) 또는 제법(諸法)을 분류하는 여러 방식이 있는데, 그 중에는 크게 유위법(有爲法)과 무위법(無爲法)의 두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이 있. 이 분류 방식은 일체법을 크게 유루법(有漏法)과 무루법(無漏法)의 두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과 더불어 불교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는 분류법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유위와 무위 · 더보기 »

유색법과 무색법

유색법과 무색법 즉 '유색법(有色法)무색법(無色法)의 쌍'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유색법과 무색법 · 더보기 »

유신견

유신견(有身見,,,, self view, identity view) 또는 살가야견(薩迦耶見)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유신견 · 더보기 »

육도 (불교)

음을 나타낸다. 달을 가리키고 있는 붓다는 6도윤회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6도(六道)는, 전통적인 관점에서는, 불교에서 중생이 깨달음을 증득하지 못하고 윤회할 때 자신이 지은 업(業)에 따라 태어나는 세계를 6가지로 나눈 것으로, 지옥도(地獄道)아귀도(餓鬼道)축생도(畜生道)아수라도(阿修羅道)인간도(人間道)천상도(天上道)를 말. '나아가는 세계 또는 장소'라는 뜻의 취(趣)을 써서, 6취(六趣).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육도 (불교) · 더보기 »

육경

6경(六境)은 안근이근비근설근신근의근의 6근(六根)이 취하는 인식 및 작용대상이자, 또한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의 6식(六識)의 인식대상이자 경계(境界: 세력 범위)인 색경(色境)성경(聲境)향경(香境)미경(味境)촉경(觸境)법경(法境)을 말. 부처의 상태에 이르지 못한 중생의 경우,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6경이 만유제법의 참된 성품 또는 만유제법의 실상(實相)을 가리는 장애로서 작용하는데, 이런 측면에서 6경을 6진(六塵)외진(外塵)6망(六妄)6쇠(六衰) 또는 6적(六賊)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육경 · 더보기 »

육행관

6행관(六行觀)은 3계9지(三界九地)의 각각의 지(地)에서 수혹(修惑)을 끊기 위하여 유루지(有漏智)로써 닦는 관찰 수행을 말. 행관(行觀)에서 행(行)은 진취(進趣) 즉 을 뜻하고 관(觀)은 관찰을 뜻하며, 따라서 행관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관찰로 나아가서 관찰에 다다른다는 것으로, 관찰 수행을 행하는 것 즉 비파사나 수행을 행하는 것을 말. 《대비바사론》 제64권과 제163권 그리고 《구사론》 제24권에 따르면, 각각의 지(地)의 무간도(無間道)에서 자지(自地)와 그것의 바로 다음의 하지(下地)의 온갖 유루법에 대해 추(麤)고(苦)장(障)이라고 관하여 그 결과 하지를 염(厭: 싫어함)하고, 해탈도(解脫道)에서 자지(自地)의 상지(上地)의 온갖 유루법에 대해 정(靜)묘(妙)리(離)라고 관하여 상지를 흔(欣: 좋아함, 즐거이 구함).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육행관 · 더보기 »

윤회

윤회(輪廻) 또는 삼사라()는 일정한 깨달음, 경지 또는 구원된 상태에 도달하지 못한 사람은 그 깨달음, 경지 또는 구원된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하여 이 세상으로 재탄생한다는 교의 또는 믿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윤회 · 더보기 »

팔정도

8정도(八正道), 8성도(八聖道) 또는 8지성도(八支聖道)는 사성제 가운데 마지막의 도제에서 가르치는, 깨달음(멸제)을 성취하는 원인이 되는 "여덟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성스러운 길, 수단 또는 실천 덕목"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팔정도 · 더보기 »

팔식

8식(八識,, astau vijñānāni) 또는 8식신(八識身)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서 마음(즉 심왕, 즉 심법)을 구성하고 있다고 보는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말나식아뢰야식의 8가지의 식(識)을 말. 8식은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5위, 즉 심법(心法: 8가지)심소법(心所法: 51가지)색법(色法: 11가지)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 24가지)무위법(無爲法: 6가지)의 5가지의 그룹들 가운데 첫 번째 그룹인 심법을 이. 마음(즉 심왕, 즉 심법)이 8식으로 나뉜다는 견해는, 8식을 그대로 인정하거나 8식에 암마라식(菴摩羅識) 또는 무구식(無垢識)을 더한 9식(九識)을 세우는 등 다소간의 차이가 있지만 8식을 받아들인다는 면에서 보면,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뿐만 아니라 화엄종천태종선종 등 대승불교 전반에서 받아들이고 있는 견해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팔식 · 더보기 »

위파사나

위파사나(위빠사나, 위빠싸나, Vipassanā, विपश्यना, 觀, Vipaśyanā) 또는 관(觀)은 불교의 명상법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위파사나 · 더보기 »

상응

상응(相應)의 원어로는 팔리어로는 상윳따(saṃyutta)가 있으며, 산스크리트어로는 삼프라육타(saṃprayukta)와 삼프라요가(saṃprayoga)의 2가지가 있. 첫 번째의, 팔리어의 상윳따(saṃyutta)의 번역어로서의 상응(相應)은 가르침을 주제에 따라 분류하여 배열한 것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팔리어 대장경의 5부(五部,, 니까야) 중 《상응부(相應部)》의 팔리어 원어명이 상윳따 니까야(Samyutta Nikāya)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상응 · 더보기 »

상속 (불교)

상속(相續)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다음 차례에 이어 주거나 이어받음' 또는 '뒤를 이음' 으로, 불교 용어로서는 원인은 결과를 내고 결과는 또한 원인이 되어 또 다른 결과를 내는데 이렇게 원인과 결과가 차례로 연속하여 끊어지지 않는 것을 말. 이러한 뜻에서 인도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진나(陳那, 480~540)는 《취인가설론(取因假設論)》에서 상속(相續)을 인과부절(因果不絶) 즉 '다른 시간에서 원인과 결과가 끊어지지 않는 것(於異時 因果不絶)'이라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무착(無着: 300?~390?)은 《현양성교론》 제1권에서 상속차별(相續差別) 즉 유위법이 상속하면서 과거와 현재에서 달라지는 것이 곧 심불상응행법 가운데 하나인 득(得)이라고 말하고 있다. 득(得) 즉 획득과 성취란 구체적으로는 어떤 변화, 역량 또는 법(法)을 획득하고 성취하는 것에 의해, 상속이 계속 진행되는 중에, 현재의 상태가 과거의 상태와 달라지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상속은 여러 형태로 분류되는데, 5온의 집합체로서의 소의신(所依身)과 관련해서는 자상속(自相續)타상속(他相續) 또는 일상속(一相續)다상속(多相續)으로 나누기도 한다.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60권에서는 상속을 중유상속(中有相續)생유상속(生有相續)시분상속(時分相續)법성상속(法性相續)찰나상속(剎那相續)의 5가지로 나누고 있다. 또한 《아비달마대비바사론》에 따르면, 분별론자(分別論者)는 상속을 시상속(時相續)생상속(生相續)상사상속(相似相續)의 3가지로 나누고 있다.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상속 (불교) · 더보기 »

(貪,,,, attachment) 또는 집착(執著) 즉 무언가에 들러붙어서 떠나지 못함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탐 · 더보기 »

생 (4상)

생(生)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생 (4상) · 더보기 »

택멸

택멸(擇滅) 또는 택멸무위(擇滅無爲)는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 가운데 허공(虛空)택멸(擇滅)비택멸(非擇滅)의 3무위(三無爲) 중의 하나이고, 또한 유식유가행파의 5위 100법 가운데 허공(虛空)택멸(擇滅)비택멸(非擇滅)부동(不動)상수멸(想受滅)진여(眞如)의 6무위(六無爲) 중의 하나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택멸 · 더보기 »

색 (불교)

색(色)은 산스크리트어 루파(रुपा, Rūpa)의 역어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색 (불교) · 더보기 »

색경 (불교)

불교에서 색(色,, "변화 소멸하는 것")은 넓은 뜻으로는 물질 일반을 가리키지만, 좁은 뜻으로는 눈의 대상이 되는 물질의 속성, 즉 빨강이니 파랑이니 하는 색깔과 장단방원(長短方圓) 등의 모양과 크기를 가리.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색경 (불교) · 더보기 »

색계

색계(色界)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색계 · 더보기 »

수 (불교)

수(受, 느낌지각정서영납(領納)감수(感受))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수 (불교) · 더보기 »

오경 (불교)

5경(五境)은 5근(五根)의 대상이 되고 5식(五識)에 의하여 알게 되는 색(色, 색깔과 모양과 크기)성(聲, 소리)향(香, 냄새)미(味, 맛)촉(觸, 감촉)을 말. 5진(五塵)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오경 (불교) · 더보기 »

오계

5계(五戒)는 산스크리트어 판차실라(pañca-śīla)를 번역한 말로서, 재가인(在家人)이 지켜야 할 다음의 5종의 계(戒)를 말.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의례와 수행·교단조직 > 의례와 수행 > 5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오계 · 더보기 »

오근

5근(五根)은 37도품(三十七道品) 중의 4번째 그룹을 이루는 신근(信根: 믿음)진근(進根: 정진)염근(念根: 기억)정근(定根: 선정)혜근(慧根: 지혜)의 5가지의 선법(善法)을 말. 이들 5가지 선법(善法)들은 번뇌를 항복시켜 성도(聖道)로 이끌어들이며 보리에 도달하기 위한 유력한 향상법이 되는데, 이러한 연유로 때문에 근(根)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오근 · 더보기 »

오근과 육근

5근(五根)은 안식(시각)이식(청각)비식(후각)설식(미각)신식(촉각)의 5식(五識)이 각자의 대상으로서의 색경(색깔과 형태)성경(소리)향경(냄새)미경(맛)촉경(감촉)의 5경(五境)을 지각할 때 사용하는 소의(所依)로서의 안근(眼根: 눈)이근(耳根: 귀)비근(鼻根: 고)설근(舌根: 혀)신근(身根: 몸)의 5가지 감각 기관을 말. 전체적으로 말하면, 5식은 5근을 소의(所依: 성립 근거, 의지처, 도구, 감각 기관)로 하여 5경을 인식.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오근과 육근 · 더보기 »

오대 (용어)

오대(五大)란 우주를 구성하는 땅, 물, 불, 바람, 공의 5요소로 되어있다는 불교 사상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오대 (용어) · 더보기 »

오주지번뇌

5주지번뇌(五住地煩惱,, five entrenchments of mental disturbances)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오주지번뇌 · 더보기 »

오위백법

오위백법(五位百法)은 유식 계통의 불교 종파인 법상종에서 세친의 《대승백법명문론(大乘百法明門論)》에 근거하여 일체의 만유제법(萬有諸法)을 크게 다섯 종류의 총 100개의 법으로 나눈 것을 말. 대분류인 오위(五位: 다섯 종류)는 심법(心法)심소법(心所法)색법(色法)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무위법(無爲法)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오위백법 · 더보기 »

오위칠십오법

오위칠십오법(五位七十五法)은 부파불교 시대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서 모든 존재(일체법)를 다섯 그룹(位)의 75가지 법(法)으로 나눈 것을 가리.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오위칠십오법 · 더보기 »

오온

5온(五蘊)은 불교에서 생멸변화하는 모든 것, 즉 모든 유위법(有爲法)을 구성하고 있다고 보는 색(色)수(受)상(想)행(行)식(識)의 다섯 요소를 말. 이들을 각각 색온(色蘊: 육체, 물질)수온(受蘊: 지각, 느낌)상온(想蘊: 표상, 생각)행온(行蘊: 욕구, 의지)식온(識蘊: 마음, 의식)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오온 · 더보기 »

현관 (불교)

현관(現觀,,,,, observing reality clearly, clear contemplation, direct realization, insight into)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은 '앞에 있는 경계 즉 대상을 관(觀)한다'는 뜻인데, 산스크리트어 원어 아비삼마야(abhisamaya)는 아비사미(abhisami)와 동의어로, 서로에게 다가가다(approach together), 합치다 또는 합일하다(come together) 또는 만나다(meet at)를 뜻. 즉, 지혜와 대상이 바로 만나는 것을 뜻. 이런 의미에서 현관(現觀)은 무루의 지혜로써 대상을 있는 그대로 명료하게 파악하는 것, 즉 명료한 이해(clear understanding), 각(覺, Buddh) 즉 깨달음(Buddh, realization)이라고도 정의.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현관 (불교) · 더보기 »

행 (불교)

행(行)은 범어 삼스카라(saṃskāra)의 역어로, '만드는 것'과 '이변(異變)하는 것'의 뜻이 있다고 하며, 12연기(十二緣起)의 제2행(行)은 전자, 즉 업(業)의 뜻이고, 제행무상이라고 할 때에는 후자, 즉 모든 현상을 말. 그러나 수행(修行)이란 뜻에서의 행은 그 원어가 다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행 (불교) · 더보기 »

열반

열반(涅槃)은 "(바람 등이) 불기를 멈추다(촛불 등을) 불어서 끄다(촛불 등이) 불어서 꺼진 상태"라는 뜻의를 음을 따라 번역한 말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열반 · 더보기 »

사견

사견(邪見)은 크게 다음의 두 가지 뜻이 있. 첫 번째의 사견(邪見)은 모든 잘못된 견해를 통칭하는 말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사견 · 더보기 »

사향사과

4향4과(四向四果)사문4과(沙門四果) 또는 성문4과(聲聞四果)는 원시불교와 부파불교의 수행 계위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사향사과 · 더보기 »

사선

사선, 4선은 다음의 뜻이 있.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사선 · 더보기 »

사성제

사성제(四聖諦) 또는 사제(四諦)는 《아함경(阿含經)》에 나오는 원시 불교 가르침으로 불교 기본 교의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사성제 · 더보기 »

산란 (불교)

산란(散亂, 염오등지, 염오삼마지, 그릇된 등지, 그릇된 삼마지, 오염된 등지, 오염된 삼마지,,, desultoriness)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산란 (불교) · 더보기 »

산스크리트어

산스크리트어(संस्कृता) 간칭 범어(梵語)는 인도의 고전어로, 힌두교대승불교자이나ㆍ교 경전의 언어이자 수많은 인도 제어의 고급 어휘의 근간을 구성하는 언어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산스크리트어 · 더보기 »

삼도

3도(三道,, mārga-traya,, three paths)는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에서 공통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수행(修行)의 3단계인 견도(見道)수도(修道)무학도(無學道)를 말. 즉, 3도는 성문과 보살 모두에게 해당하는 수행의 3단계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삼도 · 더보기 »

삼계

삼계(三界, 운허 & 동국역경원., 《불교 사전》. 2011년 2월 19일에 확인. 또는 trayo dhātavaḥ,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11년 2월 19일에 확인., 또는 tisso dhātuyo, William Edward Soothill, Lewis Hodous.,《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p.70. 2011년 2월 23일에 확인.)는 불교 용어로, 부처의 지위에 도달하지 못한 사람이 거주하는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를 통칭하는 낱말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삼계 · 더보기 »

삼수 (불교)

3수(三受)는 불교에서 느낌지각정서의 마음작용인 수(受) 또는 수온(受蘊)을 3가지로 세분한 고수(苦受)낙수(樂受)사수(捨受)를 말.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삼수 (불교) · 더보기 »

선 (불교)

선정(禪定)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선(禪)이란, 중국 대륙에서 5세기에 발전하기 시작한 대승불교의 한 조류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선 (불교) · 더보기 »

선 (철학)

선(善)이란 일반적으로 좋은 것(일)뛰어난 것(일)훌륭한 것(일)을 뜻.세계사상 > 사 상 용 어 > 윤리학 관계 > 가치·이상 등 > 선·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따라서 선은 사물인간 상황에 관한 것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선 (철학) · 더보기 »

선법 (불교)

선법(善法) 또는 착한 법은 선한 교법의 줄임말로, 5계(五戒)10선(十善)3혜(三慧)4혜(四慧)4성제(四聖諦)3학(三學)5온설(五蘊說)12연기설(十二緣起說)8정도(八正道)37도품(三十七道品)6바라밀(六波羅蜜) 등 이치에 맞고, 자신과 세상을 이익되게 하는 법(法), 즉 도리와 방편, 즉 가르침 또는 선한 행위와 수행법을 말. 선법(善法)의 반대를 불선법(不善法), 악법(惡法) 또는 착하지 않은 법이라 하며, 5악(五惡)10악(十惡)바라이죄(波羅夷罪)8사행(八邪行) 등의 불선(악)한 행위와 견해들이 여기에 속. 그리고, 선법도 불선법도 아닌 법을 무기법(無記法) 또는 착하지도 착하지 않지도 않은 법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선법 (불교) · 더보기 »

설일체유부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는 부파불교 시대의 종파 또는 부파들 중에서 가장 유력한 부파이며, 부파불교의 사상적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부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설일체유부 · 더보기 »

성자

성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성자 · 더보기 »

성인 (불교)

불교에서 성인(聖人)은 성자(聖者)라고도 하는데, 다음의 3가지 뜻이 있. 이 가운데 세 번째의 것이 범부(凡夫)에 대하여 성인(聖人) 또는 성자(聖者)라고 할 때의 성인 또는 성자의 본래의 의미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성인 (불교) · 더보기 »

성유식론

《성유식론》(成唯識論,, 비즈냐프티마트라타싯디 샤스트라)은 인도 대승불교 유가유식파의 세친(世親: c. 320~400)이 저술한 《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을 기반으로 한 논서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성유식론 · 더보기 »

세간

세간(世間)의 산스크리트어로는 '로카(loka)'와 '라우키카(laukika)'가 있. 로카(loka)는 세상 또는 세계를 뜻하며 영어로는 'world (세상)'를 뜻. 이 때의 세계는 불생불멸의 무위의 세계가 아니라 생멸하고 천류하고 파괴되는 유위의 세계를 의미.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세간 · 더보기 »

소의

소의(所依)는 의존처(依存處)의지처(依止處)의지(依止)근거(根據) 또는 발동근거(發動根據)를 뜻. 능의(能依: 의지하는 자)의 반대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소의 · 더보기 »

소의신

소의신(所依身)은 줄여서 의신(依身)이라고도 하는데, 각 사람의 육체(肉體) 즉 육신(肉身) 즉 신체(身體)를 가리.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소의신 · 더보기 »

소조색

소조색(所造色)은, 문자 그대로의 뜻은 "만들어진 물질"로, 지(地)수(水)화(火)풍(風)의 4대종(四大種: 4대 원소, Four primary elements)에 의해 만들어진 모든 물질(色法)을 통칭.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소조색 · 더보기 »

할라카

(Halakha, 히브리어: הֲלָכָה)는 성경법 (613 계명)과 탈무드, 랍비법, 관습과 전통을 포함한 유대교의 종교법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할라카 · 더보기 »

알폰스 무하

알폰스 무하 알폰스 마리아 무하(1860년 7월 24일 - 1939년 7월 14일)는 체코의 화가이며 장식 예술가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알폰스 무하 · 더보기 »

안근

안근(眼根) 또는 안(眼)은 시각기관을 말하며,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안근 · 더보기 »

아마라식

아마라식(阿摩羅識)은 산스크리트어 아말라 비즈냐나(amala-vijñāna)의 번역어로, 유식유가행파의 심식론(心識論)에서 제8아뢰야식의 청정해진 모습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하고, 제8아뢰야식과는 별도의 제9식(第九識)으로 해석.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아마라식 · 더보기 »

아비달마

아비달마(阿毘達磨,, 논論) 또는 아비담마()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대법(對法: abhi + dharma.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아비달마 · 더보기 »

아비달마구사론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은 4세기 인도의 세친 스님이 지은 불전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아비달마구사론 · 더보기 »

아비달마품류족론

《아비달마품류족론》(阿毘達磨品類足論,, K.0949, T.1542) 약칭 《품류족론》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주요 아비달마 논서들 중의 하나로, 설일체유부의 논사인 세우(世友,: 1~2세기)가 저술한 논서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아비달마품류족론 · 더보기 »

악행

악행(惡行) 또는 나쁜 행위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악독(惡毒)한 행위', 즉 '마음이 흉악하고 독한 를 말하는데, 불교에서는 말과 행동과 뜻으로 지은 일체(一切)의 불선(不善)의 행위를 말. 즉, 일체의 불선의 3업(三業), 즉 일체의 불선의 신업(身業)어업(語業)의업(意業)을 말하며, 이들을 신악행(身惡行)어악행(語惡行)의악행(意惡行) 3악행(三惡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악행 · 더보기 »

심불상응행법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 또는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심불상응행법 · 더보기 »

심의식

심의식(心意識)은 심(心)의(意)식(識)의 세 낱말을 합친 복합어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심의식 · 더보기 »

십이처

12처(十二處)는 불교의 여러 일체법 분류체계 또는 분석방식 중 하나로, 존재 전체를 안처(眼處)이처(耳處)비처(鼻處)설처(舌處)신처(身處)의처(意處)의 6근(六根)6내처(六內處) 또는 6내입처(六內入處) 내외(內外)는 내적인 것과 외적인 것을 말. 《구사론》의 에 따르면, 마음, 즉 6식(識)은 아집(我執, ahaṃkāra)의 의지처가 되기 때문에 나라고 가설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12처(處) 중 내적인 것은 나의 소의(所依)가 되는 가까운 것인 6근(根), 즉 앞의 6처(處)를 말하며, 외적인 것은 나의 소연(所緣)이 되는 먼 것인 6경(境), 즉 뒤의 6처(處)를 말. 18계(界)의 경우, 내적인 것은 나의 소의(所依)가 되는 가까운 것인 6근(根)과 6식(識)을 말하며, 외적인 것은 나의 소연(所緣)이 되는 먼 것인 6경(境)을 말. 와 색처(色處)성처(聲處)향처(香處)미처(味處)촉처(觸處)법처(法處)의 6경(六境)6외처(六外處) 또는 6외입처(六外入處)의 총 12가지 처(處)로 분류 또는 분석하는 법체계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십이처 · 더보기 »

십이심

12심(十二心)은 '마음과 마음작용' 즉 '심법과 심소법'이 항상 상응하여 작용하는 관계에 있으므로, 마음과 마음작용이 함께 작용하고 있는 상태를 심(心) 즉 마음이라 할 때, 그것에 다음 목록과 같은 12가지의 구분 또는 상(相)이 있는 것을 말. 즉 12유형의 마음 또는 마음의 12유형을 말. 12심은 《구사론》 제7권 등에 나오는 유형 구분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십이심 · 더보기 »

십지

10지(十地,,, ten stages)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십지 · 더보기 »

십육심

16심(十六心,, ṣoḍaśa-cittaka) 또는 16찰나의 마음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십육심 · 더보기 »

십팔계

18계(十八界)는 불교의 여러 일체법 분류체계 또는 분석방식 중 하나로, 존재 전체를 안계(眼界)이계(耳界)비계(鼻界)설계(舌界)신계(身界)의계(意界)의 6근(六根) 또는 6소의(六所依)와 색계(色界)성계(聲界)향계(香界)미계(味界)촉계(觸界)법계(法界)의 6경(六境) 또는 6경계(六境界)와 안식계(眼識界)이식계(耳識界)비식계(鼻識界)설식계(舌識界)신식계(身識界)의식계(意識界)의 6식(六識) 또는 6능의(六能依)의 총 18가지 계(界)로 분류 또는 분석하는 법체계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십팔계 · 더보기 »

십선

10선(十善)은 몸말뜻으로 짓는 다음의 10가지 종류의 선업(善業)들, 즉 청정한 행위들을 말.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십선 · 더보기 »

십악 (불교)

10악(十惡) 또는 10악죄(十惡罪)는 몸말뜻으로 짓는 다음의 10가지 종류의 악업(惡業)들을 말. 10악을 10불선행(十不善行) 또는 신삼구사의삼(身三口四意三)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십악 (불교) · 더보기 »

싸움

싸우는 미국 육군 군인 싸움은 의견 등이 일치하지 않아 물리적 또는 비물리적으로 충돌이 일어나는 것을 말. 합법적인 물리적 충돌은 UFC, road FC, 권투 경기, 씨름 경기, 태권도 경기, 검도 경기, 유도 경기, 레슬링 경기, 공수도 경기, 무에타이 경기 등이 있. 합법적인 비물리적 충돌은 토론 등이 있. 싸움 분류:폭력 분류:분쟁 분류:겨울.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싸움 · 더보기 »

화엄경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줄여서 《화엄경(華嚴經)》() 또는 《잡화경(雜華經)》()은 초기 대승불교의 가장 중요한 경전 중 하나로,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6001 > 화엄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화엄경: 華嚴經 원명은 부다아바탐사카 나마 마하바이풀랴 수트라(Buddha­avatamsaka­nama­mahavaipulya­sutra)이고 자세하게 말해서 이라 부른.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유와 화엄경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무루과, 무루관, 무루도, 무루로, 무루등지, 무루단, 무루인, 무루정, 무루선, 무루선법, 무루식, 무루행, 무색천, 존재 자체, 출세간도, 출세간정, 유가관행자, 유가사, 유루과, 유루과와 무루과, 유루관, 유루도, 유루도와 무루도, 유루로, 유루로와 무루로, 유루무루, 유루무루법, 유루법과 무루법, 유루단, 유루단과 무루단, 유루인, 유루인과 무루인, 유루정, 유루정과 무루정, 유루지와 무루지, 유루선, 유루선과 무루선, 유루선법, 유루식, 유루식과 무루식, 유루신과 무루신, 유루행, 유루행과 무루행, 유제사, 유위법과 무위법, 유자구, 유색천, 유예경, 유예할 대상, 유여사, 유애, 유통전지, 여사, 세간도, 세속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